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 평화시대 문화예술교육서비스 유통 체계 연구

        백미현 ( Paek Mihyu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4

        남한은 국민의 문화향유와 창의력 고양에 목표를 둔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와 사회영역에 문화예술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북한은 문학예술을 인민의 계몽과 당 선전운동의 도구로 삼는 강력한 전달체계를 갖추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서비스 대상자에게 전달되고 소비되는 일련의 과정은 ‘유통’보다는 ‘전달체계’라는 용어를 쓴다. 유통은 생산-보급-소비에 이르는 순환체제 개념이 전달체계보다 더 명확하다. 따라서 일방향 이미지를 주는 정책의 하향식 전달체계를 보완하는 체계로 활용 가능한 지 실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평화시대를 맞이한 남북 관계의 미래에 대비하여 문화예술교육 교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적으로 남북 교류현황, 남북 문화예술, 남북 문화예술교육서비스 전달체계를 비교하고, 상호간 문화예술교육서비스 유통체계 구축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검토할 항목은 생산-유통- 소비 차원으로 도출되었는데, 먼저, 생산차원에서 기존 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차이 등 양측의 예술교육 개념정립 협력이 필요하다. 유통단계에서 하부전달체계 시스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전문인력의 양성과 배치 문제이다. 이 부분, 남한이 북한에 모형이 되는 제도와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차원에서 교육철학의 상호 이해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부수적으로 학습대상의 세분화가 지적되었다. South Korea provides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s to the public education and social areas in order to realize the policy aimed at enhancing the people's enjoyment of culture and creativity. North Korea has a powerful delivery system that makes culture and arts as an instrument of the people's enlightenment and party propaganda.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term "delivery system" is used rather than "distribution " for a process that is transmitted to service target and consumed by them. The concept of circulation system of the distribution from ‘production - diffusion - consumption’ is more clear than delivery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st whether it can be used as a system to complement the delivery system that provides one -way image of top-down-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exchange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of th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era of peace. In the method, I compared both countries the exchange status, culture & arts and culture & arts education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I established a distribution system for culture & arts education servi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a result, the items are derived to examine from the level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t the produc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nd cooperate with both sides i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art education. In the distribution stage, the most important things among lower delivery systems are the training and placement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In this case, South Korea can provide the training systems and personnel as a model for North Korea. In the stage of consumption, it is very important understanding educational philosophy each other. An additional subdivision of the learning target was pointed out.

      • KCI등재

        캐나다 ‘학습종합지수(CLI)’의 Y시 사례 적용 연구

        백미현(Paek, Mi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우리나라의 평생학습도시 평가지표는 지원시스템, 정책사업의 성과분석 등 공급자 관점으로 구축되었다. 평생학습도시가 학습사회 조성을 목표로 한다면 시민의 평생학습 수준과 도시의 평생학습 환경조성도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럽학습종합지수(ELLI)의 근간인 캐나다 학습종합지수(CLI)로 한국 평생학습도 시조성도 측정이 가능한지 탐색하고 국내 학습도시 평가지표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는 Y시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로 CLI지표에서 국내 적용가능성이 높은 지표의 순서는 앎을 위한 학습> 더불어 살기 위한 학습> 행하기 위한 학습> 존재를 위한 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평생학습종합지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은 첫째, 학습종합지수를 측정 하는 통계데이터 단위의 통일, 둘째, 국내 조사된 바가 없는 지표 중 도입이 필요한 질적 자료의 제고, 셋째, 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지표’를 반영한 평생학습지수 개발을 위한 학계의 노력 등이 도출되었다. The indicators in evaluating lifelong learning cities in Korea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viewpoint of suppliers, such as support systems and the outcome of governmental projects regarding lifelong learning. If creating a learning society is the goal of a lifelong learning city,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level of the lifelong learning of its citizens as well as how well the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LI, the fundamental tool for ELLI, could possibly be used for measuring the level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in Korea, and discusses its appropriateness. A set of data obtained from Y-city was analyzed for this investig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is shown in “suitability measure.” The research method is a case study on tne Y-city where the researchers have data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that the appropriateness of CLI appears in the following order ‘learning to know’ > ‘learning to live together’ > ‘learning to do’> ‘learning to be’. Also revealed is that in order to develop a composite index for lifelong learning in Korea, the following must be addressed: first, unified measures for statistical data concerning composite learning index; second, consideration of those indices and resources undocumented in Korea but worth being introduced; third, continuous research in developing standardized measures that reflect the indices for ‘Korean Quality of Life Index’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 연구

        백미현 ( Paek Mihyun ),송현정 ( Song Hyeon-je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2013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는 각 분야별 예술의 분류체계가 혼재된 10개 분야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는 이 제도 이전의 예술강사제도, 문화예술전문인력 제도 등의 필요성에 따라 추가한 분야를 포함한 데 기인하며, 이 분야들은 대학전공의 전통적 분류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현대예술의 융복합적 전공 분야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분야와 대학의 전공개설 현황, 현장의 수요를 점검하여 자격 분야 분류 체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분석 및 문화예술 관련 법령조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분야 관련 학술분류체계 및 산업, 표준직업분류체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신규분야 도입방안의 타당성을 도출하고 현문화예술교육사 자격분야 분류체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10개 자격분야 국악, 연극, 디자인, 사진, 무용, 공예,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음악, 미술 외에도 신규도입 논의 가능 분야로 문학, 연예, 건축, 어문, 게임, 출판, 문화재, 방송영상, 캐릭터, 광고, 공연, 공연콘텐츠, 대중문화, 의상, 예술일반, 이론, 문화예술경영, 융합(미디어아트) 총 18개를 포괄한 틀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of qualification subject for culture-art educator based on literature and comparison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related law, and other classification system of science, industry, and occupation, and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classification of qualification subject for culture-art educato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suggest new eighteens(18) qualification subjects adding to current ten(10) subjects; literature, entertainment, architecture, literature critics, games, publishing, cultural properties, broadcasting, character, commercials, performance, performance contents, pop culture, fashion, art general, art theory, culture and arts management, convergence(media art). Second, we designed a frame of classification system of qualification subject for culture-art educator.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에 관한 전문가 인식 연구

        백미현 ( Paek Mihyun ),송현정 ( Song Hyeon-je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4

        2013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을 현장에 배치하여 교육성과의 향상과 더불어 예술전공자들의 일자리 안정화를 향상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첫째, 유사제도인 예술강사제도의 당사자인 예술강사들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자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점, 둘째, 새롭게 발표된 제도임에도 시대적 변화와 무관하게 예술강사제도의 장르중심 10개 자격분야(국악, 연극, 디자인, 사진, 무용, 공예,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음악, 미술)를 공유하는 점에서 이 제도의 실효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연구진은 이를 고찰하기 위해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서면조사와 FGI를 통해 1.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현장 실효성에 대한 인식, 2. 현 자격분야의 개선안에 대한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의 문화예술교육사제도와 예술강사제도에 대한 혼선, 현장의 인력포화상태, 예산부족 등의 근거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자격분야에 시대적 변화와 현장수요를 반영한 통폐합, 부분적인 분야 세분화, 융합분야의 신규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럼에도 예술전공자들이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사 두 분야 모두 진출 할 수 있다는 취업기회의 증가 및 일자리의 안정성 면에서 문화예술교육사의 장점은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추후 두 제도의 점진적 통합의 제고, 이를 위한 자격분야의 개선,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 규명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is to boost performance of professionals in arts & culture education at the scene and to improve the instructors` job stabilization. But we need to consider of its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first, teaching artist is dominated in the license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although they belong to teaching artist system already; Second, the newly announced system is consisted of exactly same ten genre (Korean traditional music, drama, design, photograph, dance, crafts, movies, cartoons & animations, music and art) of teaching artist system. Using questionnaire and FGI, the researchers examined following; 1) professionals` awareness about the effectiveness of systems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2) opinions on the reform recommendations on current ten qualification subject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As a result, negative comments about the current system were presented in the basis of 1) confusion about two systems on the spot, 2) saturation of expertise personnel, 3) and budget shortfall.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1) re-arrangement of qualification subject reflected changes and demand of the times, 2) partially segmentalized qualification subject, 3) and necessity of new introduction of the subject, Still, there is strong advantages of growth of job opportunities and stabilization for arts majors because they can enter in the field of both teaching artist an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based on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system. In the further, people need to consider of gradual integration of two systems, improvement of qualification subject, and investigation of expertise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 KCI등재

        현업작가 3인의 예술노동과 직업 인식에 대한 연구

        백미현(Paek Mi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연구는 3인의 시각예술분야의 작가를 대상으로 예술가 직업정체성과 예술노동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사회적으로 직업을 밝혀야 할 때 예술가 대신 작가, ‘강사’라고 하거나 적당히 둘러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예술가가 사회적으로 직업으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며, 대학에서 취업도 잡히지 않는‘무직’으로 취급받기 때문이다. 또한 참여자들은 각기 예술노동에 대해 인식이 달랐다. 예술노동이 노동처럼 보상받아야 한다는 생각은 C가 가장 강했고 현실적으로 자신의 독자성과 시장수요를 맞춰가며 작품 판매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전업작가인 A는 작품을 적게 팔아도 그 액수에 맞게 간소하게 살고 있다. B는 예술노동을 사회적으로 ‘지원’받는 방식을 비판하고 예술가가 예술의 가치로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존중’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예술가들이 예술의 공공성을 실현하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erception of artist occupational identity and art labor for threewriter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As results of the study, they were found to be “creator” or “instructor” instead of identifyingthemselves as “artist” when they had to reveal their jobs socially. The reason is that artists arenot socially accepted as jobs, and they are treated as “unemployed” who do not get a job incollege. In addition, each participant had a different perception of art labor. The idea that artlabor should be compensated like labor was the strongest in C, and in reality, C is activelystriving to sell works by matching her own uniqueness and market demands. Full-time creator Alives simply according to the amount even if she sells a small number of works. B criticizes theway art labor is socially “supported” and believes that artists should be “respectful” by contributingto society as the value of art. B saw that to this end, artists should try to realize the publicity ofart.

      • KCI등재

        국내 외 예술대학 직업 지원시스템 현황 고찰

        백미현(Paek Mi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국내 외 예술대학들의 직업 지원시스템과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국내 13개, 국외 31 개 총 44개의 예술대학 사례를 수집하고 횡단연구를 하였다. 분석틀은 1) 대학 조직현황, 2) 직업 지원시스템: 진로 취업 지원기구, 교육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3) 학교 규모 및 학교 형태에 다른 특징 비교, 4) 국내및 국외 사례들의 직업 지원시스템 특징을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조직규모에서 종합대 수준으로 규모가 큰 학교 3개는 런던대학, 시카고예술대학, 베를린예술종합대학이며, 대부분의 대학이 10개 내외의 전공을 설치하였다. 둘째, 직업 지원시스템의 주요 결과를 보면, 전체 44개대학 중 직업 지원시스템을 갖춘 학교는 총 34개(77.27%), ‘실습교과’ 운영은 38개 대학(86.36%), ‘취업정보 프로그램’ 제공은 37개 대학(84.09%)이 하고 있다. 셋째, 종합대학 규모의 학교 중 직업 지원시스템과 프로그램 전체를 갖춘 학교는 베를린예술종합대학이 유일하다. 따라서 학교 규모와 직업 지원시스템은 큰 연관이 없었다. 그러나 학교 형태는 직업지원시스템과 연관성이 깊어, 예술대학생 전담기관을 갖춘 학교는 총 14개 중 11개가 독립 예술대학이었다. 넷째, 국내 외 대학 간 차이를 보면, 국내 대학은 ‘직업 전담기관’을 100% 보유하고 있다. 반면, ‘졸업후 창작 지원’을 하는 대학은 8개(18.18%)로 모두 국외 대학들이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support systems and programs in the curriculum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eges of fine arts. A total of 44 Art Colleges, 13 domestic and 31 overseas, were collected and cross-sec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analysis framework is 1)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organization, 2) vocational support system: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program. And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3) Comp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school size and school type,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tional support system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compar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ase Colleges have established about 10 majors. And out of 44 universities, the three large Colleg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size are the ‘Art University of London’, the ‘Art University of Chicago’, and the ‘Art University of Berlin’. Second, according to the main results of the vocational support system, a total of 34 universities(77.27%) have vocational support systems, 38 universities(86.36%) operate “practice courses,” and 37 universities (84.09%) provide “employment information programs.” Third, Berlin University of Arts is the only one among the three largest Colleges with a full vocational support system and program. Therefore, the size of the Colleges and the vocational support system were not very related. However, the Colleges type is deeply related to the vocational support system, so 11 out of 14 Colleges with dedicated institutions for art students were independent art colleges. Fourth,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lleges, Korean Colleges have 100% of ‘vocational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eight Colleges(18.18%) provide ‘creative support after graduation’, all of which are foreign Colle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