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애니 베어드의 소설에 표현된 타자의 종교

        방원일 ( Bhang Won-il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1 종교와 문화 Vol.-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rtrayal of Korean religion in the missionary novels written by Annie Laurie Adams Baird (Ahn Ae-ri, 1864-1916), an early Protestant missionary in Korea. Her novels, published in the 1890s and 1900s, contain detailed descriptions of women's religious life in the Joseon dynasty. Unlike other missionaries, she wrote “Korean novels” with her excellent Korean language skills. Since she also wrote a novel on Korea in English, we can compare her Korean and English works. Annie Baird represented Korean religion negatively in her novels. In The Story of Old Chang, Korean religions provided excuses for villagers to reject the Gospel. In The Story of Sait Pyul, Shamanism appears as a strong competitor to Christianity. In The Story of Ko Young-gyu, Shamanism was a main religious means for Joseon women’s troublesome life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The English novel Daybreak in Korea, published in New York in 1909, contains more demonized and exotic images of Korean religions. They were devices in the novels to arouse interest in Korea from American readers. However, since Annie Baird's novels are based on Korean realities, they have value as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religious life of the time. Based on her experience of working closely with Korean women, she provide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ir religious practices.

      • KCI등재

        특집논문6 : 종교와 동물 ; 원시종교 이론에 나타난 인간과 동물의 관계

        방원일 ( Won Il Bh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2 종교문화비평 Vol.21 No.21

        본 논문의 목적은 원시종교에 대한 이론의 역사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었는지를 개괄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출발점은 초기 종교학사의 토테미즘이론의 근거가 되었던 자료를 검토하는 것이다. 우리는 18세기 북미원주민 오지브와족 남성의 증언에 대한 무역상 존 롱의 기록이라는 역사적 구체성을 지닌 자료를 기반으로 토테미즘이라는 원시종교 이론이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테미즘은 종교 기원론으로서 이론적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인간과 동물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 이론은 당시 대중들에게 비서구 사회 종교에서 동물을 대하는 특이한 태도에 대한 보고로 오해받은 여지가 있었다. 그들이 비서구 사회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해 갖게 된 생각은 다양하다. 원시인은 인간과 동물을 구분할 지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 원시인은 진화의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동물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는 것, 비서구 사회에서는 동물을 숭배하는 혐오스러운 신앙이 존재한다는 것이 그 내용이다. 원시종교의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이론은 인류학자들을 중심으로 초기 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제 현대인과 원시인의 사유의 이질성보다는 동질성을 보여주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동물은 숭배의 대상이거나 동일시되는 대상이라기보다는 사유의 재료로서 인식되었다. 북미원주민 연구에서는 이보다 근본적인 반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지브와족에서 인간과 동물은 동일한 범주에 속하며 둘 다 ``사람``이라고 불린다. 이는 인간과 동물이 대등한 관계를 맺는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범주 설정이다. 이 범주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는 서양의 인간중심적인 전제에서 벗어난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해 상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더 나아가 타자의 범주에 대한 이해가 종교학 이론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s through the history in the theories of primitive religion. The thesis starts with looking into the report on which early Totemism was based. We can identify that the first theory of Totemism was found on a report of a Ojibwa`s witness by trader John Long in 18th century. Totemism contributed to the study of religion as a theory of origin of religion. However, taken as an a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it seemed like an exotic report of attitude of non-Westerner`s to animals. The public views from Totemism varies as follows: the lack of primitives` capability of differing human from animals, the common traits between primitives and animals as an early grade in evolution, and the existence of disgusting worship of animals in non-Western societies. Now the theories of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in primitive religion has been developed to the degree of overcoming earlier misunderstandings. They focused more on the homogeneity than heterogeneity between moderner and primitives. Animals are recognized not as the object of worship or identification but as the materials for thought. More fundamental attribution was suggested in the study of Native American study. According to this study, in Ojibwa human and animal belong to same category and are called "person." It is a category reflecting a culture of equating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s. From understanding this category formation, we have chance to imagine the new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s beyond Western anthropocentric views. Furthermore, we recognize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other`s categories enhance the reflection for the theories of religion.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종교와 공간

        방원일 ( Bhang Won-il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비평 Vol.40 No.40

        한국의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종교는 이슈의 중심에 있었다. 한국 정부는 방역을 위해 비대면 종교 집회를 요청하였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독립적 영역이었던 종교 공간에 공적 개입이 이루어진 것이었다. 개신교는 전반적으로 비대면 예배를 수용하였지만, 일부 교회가 대면 예배를 고수하면서 논쟁이 빚어지기도 했다. 개신교회가 ‘주일성수(主日聖守)’라는 시간적 규범을 공간적 규범으로 변형해가면서까지 대면 예배를 고수한 배경에는, 근대 이후 형성된 건물 중심의 종교문화가 존재했다. 한국 개신교는 초기부터 교인들의 성금을 모아 교회를 짓고 확장하면서 성장하였다. 그래서 예배당은 물리적 건물을 넘어 교회 공동체와 동일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예배가 지속되면서 교회 건물 중심의 종교문화에 균열이 생기고 자리에 덜 매이는 종교성을 암시하는 징후들이 포착되고 있다. 종교사에서 성스러운 중심의 상실은 종교의 종말로 귀결되기보다는 성스러운 장소의 복제와 같은 대안적 종교문화의 계기가 되었다. 중심에 물리적으로 접근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인간은 특정 장소에 매이지 않는 새로운 종교문화를 창조해왔으며, 현재의 인터넷 환경에서 새로운 문화가 형성될 여지는 크다. 코로나19가 불러온 종교적 공간에 대한 인식 전환은 새로운 종교학 이론을 요청한다. 종교학은 기본적으로 종교적 관념이 공동체의 경험에서 비롯하였음을 전제했지만, 이제는 동일한 공간을 점유한 공동체 대신에 온라인으로 연결된 상상된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종교가 가능한지를 물어야 하는 시점이 되었다. 신자이자 유저인 의례 참가자에게 예배 개념이 확장되고 있고, 종교 공간이 확장되고 있다. 공간에 매이지 않고, 공간을 넘어서는 종교적 사유의 확장이 가속화되고, 집과 모니터를 성스러운 공간으로 인식하는 유연성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상이 회복된 이후의 교회 예배와 공존하면서 새로운 공간 관념을 형성할 것이고, 종교학 이론은 이러한 변화를 담아낼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Religion was at the center of the issu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requested non-face-to-face religious gatherings for quarantine purposes, which was a public intervention into a religious space that has been relatively independent. Protestants generally accepted non-face-to-face worship, but some churches adhered to face-to-face worship, causing controversy. They transformed the temporal norm of ‘keeping Sunday’ into the spatial norm. In the background of these action, there was a building-centered religious culture formed since modern times. From the beginning, Korean Protestantism grew by collecting donations to build and expand the church. So, the chapel was accepted as the church community itself beyond the physical building. However, as non-face-to-face worship continue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signs suggesting a less building-centered religiosity are being picked up. In the history of religion, the loss of the sacred center did not lead to the end of religion, but rather became an opportunity for alternative religious culture, such as the reproduction of sacred places. In a situation where the center has become physically inaccessible, humans have created a new religious culture that is not tied to a specific place, and there is great room for a new culture to be formed in the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The shift in the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space brought about by COVID-19 calls for a new theory of religious studies. Although the study of religion basically presupposed that religious notions came from the experience of a community, it is now time to ask whether a religion based on an imagined community connected online is possible instead of a community occupying the same space. The concept of worship is expanding to the participants of the ritual, who are both believers and users. Without being bound by space, the expansion of religious thought beyond space is accelerating, and the flexibility of recognizing houses and monitors as sacred spaces is gaining momentum. These changes will form a new concept of religious space while coexisting with church worship. The theories of religious studies should be prepared to explain these changes.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논문- 종교와 미디어 :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이 사용한 한국 종교 사진

        방원일 ( Won Il Bha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5 종교문화비평 Vol.27 No.27

        한국에서 개신교 선교는 사진 기술의 보급과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개신교선교사들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사진기를 사용한 중요한 서양인 집단이었다. 본 논문은 개신교 선교사들이 19세기말에 조선과 조선 사람들을 찍은 사진 중에서 한국 종교에 관련된 것들을 분석하는 작업이다. 선교사들이 찍은 한국 종교 사진은 그들이 한국에서 경험한 바를 대상화시켜 ‘종교’라는 범주 안에 포함시키는 비교와 일반화의 과정, 즉종교 개념화 과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19세기말부터 개신교 선교 현장에서 사진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 사진은 본국의 교인들에게 선교지의 성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선교 지원을 이끌어내는 중요한통로였다. 한국에서도 선교사들은 사진을 통해 서양의 독자들에게 한국의 모습을 전달하였고, 그 중에는 한국 종교를 찍은 것도 포함되었다. 이 사진은 선교사들이 한국에서본 바를 ‘종교’라는 범주 안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사진은 종교의 인식 과정에 대해 기존의 문헌 자료들이 보여주지 못한 측면을 밝혀주는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갖는다. 첫째, 선교사들이 사용한 종교 사진은 그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대상을 통해서 한국 종교에 대한 인식을 전개하였는지를 알려준다. 그것은 주로 서울 지역에서 활동한 이들이 비교적 용이하게 접근 가능했던 대상들이었다. 서울 경내의 원각사지, 서울 인근의보도각 백불과 여러 사찰들, 그리고 장승과 무녀가 그들이 한국 종교를 개념화하는 데바탕이 된 자료들이었다. 둘째, 사진이 사용된 방식을 통해 우리는 사진이라는 자료의 특수성을 볼 수 있다. 사진은 시각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전달해주는 자료가 아니다. 사진이 촬영된 맥락과 촬영자의 의도에 의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진과 함께 제공되는 표제어와 본문 내용에 의해, 사진은 다양한 의미를 전달한다. 무녀와 장승의 사진이 전혀 다른 본문에서 다른 내용을 전달하는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우리는 사진과 함께 그것을 사용하는 저자와 편집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종교’는 만남의 정황에서 출현하는 개념이다. 만남의 초기에 서양인들은 한국에 종교 개념을 적용할 수 없었고, 그 인식론적 실패가 ‘볼 수 없다’는 언어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그들이 종교 개념에 대한 성찰을 거쳐 종교에 해당하는 것을 보게 되었을 때, 사진은 종교에 대한 시각적 추구의 결과물로서 생성되었다. 여러 주체들의 의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긴 했지만, 사진은 독자에게 진실성의 부여라는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한국 종교의 존재를 증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In Korea Protestant mission and photography were introduced at similarperiod. Protestant missionaries were a major group who used camera in lateChosun Dynasty and Protectorate period.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seProtestant missionaries’ photography on Korean religion. Photography onKorean religion concern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categorize whatthey experienced in Korea into “religion” by comparison and generalization. Since late 19th century photography used necessarily in mission field. Itwas a major channel through which missionaries advertised the results inmission field and draw supports from Christians in their homeland. In Koreathey also took pictures to deliver the views of Korea, among which includethat of Korean religion. These pictures are the valuable data which show theway missionaries conceptualized what they sawinto “religion.”First, photography used by missionaries show the concrete objects bywhich missionaries understand Korean religion. They were accessible spotsto missionaries who stayed in Seoul: the site of Wongak-sa, White Buddhanear Seoul, Changsung, and Mudang. Second, we can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y as a datum. It is not a datum which carries the visual experience as it is. It’s meaningvaries as context, the intention of photographer, and, above all, the title and text. The pictures of Mudang and Changsung illustrate the way different texts make different meanings. “Religion” appears at the situation of encounter. During the first phaseof encounter Westerners could not apply the concept of religion to Korea. Their failure at recognition was represented as the expression “I cannot see.”However, when they came to see what belongs to religion after the reflectionon their concept, photography was produced by the visual pursuit of religion. Though photography was formed by intentions of various subjects, itwitnessed the existence of Korean religion by its powerful imposition oftruthfulness.

      • KCI등재

        한국 개신교계의 종교 개념 수용 과정

        방원일(Bhang Won-Il)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4

        본 논문의 목적은 1890년대, 1900년대 한국 개신교가 전통적인 도(道), 교(敎) 개념으로부터 근대적 종교(宗敎) 개념을 수용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기 개신교 문헌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면 개신교계의 ‘종교’ 수용이 다른 지식인 집단에 비해 늦은 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에서 초기의 종교 개념은 유교 지식인이 주도하여 도입하였다. 초기개념은 종교가 국가 발전의 근간이 되는 으뜸 되는 가르침이라는 것이고, 이것은 조선에서 유교라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개신교계에서는 국가정체성과 결합한 종교 개념을 수용하는 데 소극적이었고 ‘종교’보다는 전통적 용어인 ‘도’와 ‘교’를 사용하여 종교를 서술하였다. 개신교계에서는 1890년대까지는 전통적 개념을 주로 사용했고 1900년대 들어서 종교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1910년 이후에 현재와 같은 보편적 종교개념이 일반화되었다. 타종교에 관한 많은 저술을 남긴 개신교 지식인 최병헌의 사례에서 1900년대 말에 종교 개념이 수용되어 사용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근대 종교 개념의 형성을 수용 주체별로 세분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증명하였고, 근대 지식체계 수용에 일본 외에도 선교사를 통한 미국의 영향 등 다양한 채널이 존재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환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lucidate the introduction of modern concept of religion by Korean Protestantism in the 1890s and 1900s.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arly Korean Protestant literature reveals that the Protestant community"s acceptance of “religion” is slower than other intellectual groups in Korea. The initial concept of religion was that religion is the foremost teaching on which the nation is developed, and this led to the claim that the religion in Joseon is Confucianism. Protestantism was passive in accepting the concept of religion combined with national identity, and used the traditional terms such as “do (道)” and “gyo (敎)”. The traditional concepts were mainly used until the 1890; the concept of religion began to be used in the 1900s; the universal concept of religion became common after 1910. This analysis showed the necessity to analyze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according to various subjects of acceptance. And we can recognize that, in accepting the modern knowledge systems, there are various channels such as missionaries.

      • KCI등재

        논문 : 페티시즘: 개념의 역사와 선교지 한국에서의 의미

        방원일 ( Won Il Bhang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1 종교와 문화 Vol.0 No.21

        Fetish emerged in the cross-cultural space of the coast of West Africa in 16th and 17th centuries. European traders considered West African`s worship as the attribution of reversed values to material objects. Fetish was reported to European intellects through travel reports such as Willem Bosman`s book. In 1760, Charels de Brosses generalized this West-African phenomenon into a basic religion and proposed a concept fetishism. In Religious Studies, fetishism took position as the first theory of religion for centuries, but, since the late 19th century, was considered as an old-fashioned theory. However, it was revaluated in economy and psychology by Marx and Freud. Meanwhile, throughout Protestant missionaries`s fields, it acquired more aggressive implication against native`s worship.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shared this implication, but developed into two ways. In one way, they applied fetishism as an iconoclastic concept against Shamanism. In the other way, a group of missionaries, such as George Heber Jones and Homer Hulbert, tried to set fetishism as a terminology for describing a major character of Korean religion. Their attempts held for a short time, but it foreshadows the scholarly interest in the materiality in Korean religion.

      • KCI등재

        혼합현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 종교문화의 만남을 서술하기 위하여

        방원일 ( Bhang Won Il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3 No.33

        국내에서 신크레티즘은 부정적이고 신학적 의미의 혼합주의로 소개됐지만, 중립적이고 학술적인 용법은 잘 소개되어 있지 않다. 이 글은 종교학과 인류학에서 혼합현상의 중립적이거나 긍정적 가치를 논의한 이론적 성과들을 소개함으로써 이 개념을 새로운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성과들은 혼합현상의 긍정적 가치를 지향하는 것을 넘어 그것이 분석적 개념으로서 종교문화의 만남을 서술하는 이론적 틀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판데르레이우는 혼합현상이 구체적인 공간이나 시간의 공유에서 비롯함을 강조하였다. 기독교 인류학자 조엘 로빈스는 혼합현상을 요소들이 위계를 이루며 구성된 구조 모델로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신자들의 세계관은 정합적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기독교인은 자기 세계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기독교와 전통적 요소를 공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알렉산더 헨은 혼합현상에서 정치적 이념적 측면보다 의례적 맥락에서 구체적인 물질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천적 측면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여러 요소가 공존하는 의례적 장에서 행해지는 혼합적 신앙은 외부자의 염려와는 달리 신자에게 정체성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에서 한국 개신교의 추도식은 혼합현상의 사례로 충분히 다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혼합현상은 한국개신교의 난맥상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개신교의 한국다움이 어떻게 갖추어지는지를 분석적으로 드러내는 개념이다. In Korea, syncretism was introduced as a negative and theological discourse, but not as a descriptive term. This paper intends to enhance the discussion of the syncretism by introducing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religious studies and anthropology. These achievements show that they have an analytical concept for describing the encounter of religious cultures. Van der Leeuw emphasized that the syncretism comes from the sharing of specific space and time. Joel Robbins, an anthropologist of Christianity, has shown that it is possible for Christians to coexist with traditional elements without undermining their own world view, because they understand the phenomenon through a model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their world view forms a coherent structure. Alexander Hen emphasized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ractical aspects of concrete material rather than the intentionally created political ideologies in the syncretism. The syncretism, which is performed in the ritual field of the coexistence of the various factors, does not cause the problem of identity to believers. In this rationale, the Korean Protestant’s memorial worship can be fully treated as an example of the syncretism.

      • 세기 전환기의 한국 기독교 연구 -2000-2006년에 발간된 영미권 단행본을 중심으로

        방원일 ( Won Il Bhang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15 宗敎學硏究 Vol.33 No.-

        This review article, which scrutinizes the English scholarly books on Korea Christianity published during 2000-2006, aims to recognize the currency and central issues of Foreign Korean studies on Christianity. Though this review only covers limited range of books, it shows the change of scholars`` focus on Korean Christianity at the beginning of 21th century. Taken a glance of the books in this period, we can get the following three key words concerning Korean Christianity: "the relation between Korean Christianity and politics," "Korean culture and Christianity," and "the religious life of Korean-Americans." In spite of the significance of Korean Christi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igious studies, the reference system to which scholars of religion can refer has not been enough to reflect the reality of this field. In this sense, the books published at this period contribute to pose new problematics in this field. Chung-shin Park``s work is valuable in that he tried to describe the political place of Korean Christianity objectively. The recent publication of David Chung``s thesis written in 1950``s contributes to provide the referent point to reevaluate the theological studies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Korean culture and Christianity. The increase of the studies on the religion of Korean-Americans provides new perspectives from Korean Christianity outside Korea. We can conclude that the studies on Korean Christianity published in English at the turn of century are reflecting on the problematics inherited from 20th century and transforming them into new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