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도관 시편을 이용한 세균 생물막 형성

        방숙진,박성주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自然科學 Vol.9 No.2

        배급수계통에서 수돗물의 세균학적 2차 오염을 유발하는 생물막 형성과 그영향을 조사하고 생물막내 세균 군집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관 시편응 이용한 회분 실험과 모형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분 실험계에서는 가동 2주후부터 생물막 미생물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종속영양세균과 지표세균은 가동 2∼3주 후에 최대밀도 10? CFU/㎠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병원성 세균의 최대 밀도는 이보다 1/10 낮은 10? CFU/㎠이었다. 모형관 실험계에서는 수돗물에 노출된 1일 후부터 미생물이 강관조각에 부착되기 시작하였다. 유출수내 세균 밀도는 유입수내 세균밀도와는 관계없이 생물막 세균수에 좌우됨으로써 생물막 분리가 유출수내 세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PI kit MIDI 분석 시스템으로 전형적인 추정 양성 콜로니를 동정한 결과 진성인병원성 세균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회성 병원균은 동정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Flavobacterium, Pseudomonas, Bordetella, 또는 Alcaligenes 속이었으며, Enterobacteriaceae 과에 속하는 것도 있었다. 분변성 연쇄상구균의 전형적인 양성 콜로니는 Staphylococcus 속으로 동정되었다. Effects of bacterial secondary pollution by biofilm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were evaluated using batch and pipe model systems where galvanized-iron coupons were installed. Bacterial biofilms on coupons began to develop in two weeks after operation of batch systems. Maximum densities of heterotrophic and indicator bacteria in biofilms were at a level of 10? CFU/㎠ in two o three weeks after operation. But those of pathogenic bacteria were only a level of 10⁴CFU/㎠, about one-tenth of the heterotrophic or indicator bacterial densities. Bacterial biofilms were developed on coupons in one day after operation of pipe model system. Bacterial numbers in effluent depended upon those in biofilms regardless of those in influent, which suggests the higher density in effluent should result from detachment from biofilms. Bacterial isolates were identified by API kits and MIDI system. No real pathogenic bacteria were found from typical positive isolates but some opportunistic pathogens were detected. Most of them were identified as genera of flavobacterium, Pseudomonas, Bordetella, of Alcaligenes and some belonged to family Enterobacteriaceae. Typical positive colonies on fecal streptococci media were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sp.

      • 배급수계통에서 세균에 의한 수돗물의 2차 오염

        방숙진,박성주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自然科學 Vol.9 No.1

        대청호 원수를 사용하는 청주정수장으로부터 배수지, 가정 저수조, 수도관을 통과하는 수돗물을 채취하여 1996년 3월부터 10월까지 세균의 분포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평균 유리 잔류염소 농도는 배급수계통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현저히 감소한 반면 평균 총세균수(AODC)법)는 1.06×10??∼1.33×10?? cells/㎖, 종속영양세균수(R2A법)는 5.79×10²∼1.09×10³CFU/㎖로 비교적 일정하였다. 그러나 수온이 20℃ 이상으로 증가하고 저수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5월에 배수지의 수돗물에서는 유리잔류염소가 0.5㎎/ℓ이상을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종속영양세균과 총대장균군 재생장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였다. 분변성 대장구균과 분변성 연쇄상구균의 재생장애에 의한 수돗물의 2차 오염은 잔류염소가 현저히 감소한 관말지점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선택배지에서 자란 Salmonella와 Shigella의 전형적인 추정 양성 콜로니를 동정한 결과 진성은 하나도 없었다. 대장균군 선택배지에서 생장한 대부분의 추정 양성 콜로니는 Enterobacteriaceae 과에 속하는 Enterobacter, Klebsiella, Serratia, Erwinia, Hafnia 속으로 동정되었다. Bacterial densitie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f drinking waters from distribution reservoirs and a domestic storage tank and tap waters through the distribution system of Chongju Water Treatment Plant where Daechong Reservoir waters are used as raw water were monthly analyzed from March to October in 1996. Mean free chlorine residuals gradually decreased against distance of the distribution system, whereas mean total bacterial numbers by AODC method and mean heterotrophic plate count bacteria by R2A method were generally constant regardless of distance of the system, 1.06×10?? to 1.33×10?? cell/㎖ and 5.79×10²to 1.09×10³ CFU/㎖, respectively. However, the secondary pollution of drinking waters by heterotrophic plate count and total coliform bacteria occurred in the water distribution reservoirs especially in May when water significantly reduced, although free chlorine residuals were 0.5㎎/ℓ or more. The secondary pollution by fecal coliforms and fecal streptococci also occurred mainly in water pipe ends where chlorine residuals were quite low. None of presumptive positive colonies of Salmonella and Shigella grown on selective media were identified as real positive ones. Most of presumptive total and fecal coliform colonies developed on selective media belonged to the genera of Enterobacter, Klebsiella, Serratia, Erwinia, or Hafnia of the family of Enterobacteriaceae.

      • 공단지역 및 청정지역 식물 잎권의 잎표면세균 및 내산성세균의 분포

        안종훈,방숙진,한남정,송왕영,황소영,이인수,박성주 대전대학교 이과대학 기초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 Vol.- No.-

        산성강하물의 영향을 받는 대천공단지역과 영향을 받지 않는 청정지역인 대전 계족산 자연휴양림에서 자라는 밤나무(Castanea crenat)의 잎표면에서 서식하는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종속영양세균수, 내산성세균수를 1996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공단지역 잎표면 평균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및 종속영양세균수는 각각 9.9×10^(5) cell/㎠, 1.6×10⁴cell/㎠, 7.1×10³cell/㎠,로서 청정지역에 비하여 각각 1.5배, 2배, 2.6배 정도로 관찰되었다. MPN법으로 측정한 pH 5.6애서의 잎표면 내산성세를수는 공단지역 3.3×10⁴, 청정지역 3.4×10⁴MON/㎠로 거의 같았고, pH 4.0에서의 내산성세균수는 공단지역애서 1.9×10^-(-1)MPN/㎠인 반면 청정지역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pH 3.0에서의 내산성 잎표면세균수는 공단지역과 청정지역의 잎권 어느 곳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계절별 잎표면세균수의 분포는 대체로 잎이 나기 시작하여 크기가 가장 작은 5월에 최대를, 그리고 낙엽이 지는 11월에 최소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공단지역의 대기오염물질의 침적이 주변의 식물 잎표면 세균수를 감소시키지는 않으며, 특히 산성강하물의 영향으로 내산성세균수가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Total, direct viable count, and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population sizes were quantified on leaves of chestnut tree (Castanea crenata S. et Z.) near Taejon Industrial Estate affected by acid precipitation and deposition as well as in the clean natural forest area, Mt. Kyejok, in Taejon city from August 1996 to August 1997. Geometric mean numbers of total, direct viable count, and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 were 9.9×10^(5) cell/㎠, 1.6×10^(6)cell/㎠, and 7.1×10³cfu/㎠ respecfvely, being 1.5, 2, and 2.6 times those in the clean area. Acid-to-lerant epiphytic bfcterial numbers at pH 5.6 by MPN method were 3.3×10" in the industrial area, about the same as the number,3.4×104 MPNicni, of the clean area. Acid-tolerant bacterial number at pH 4.0 was 1.9×10^(-1)MPN/㎠ in the industrial area, whereas none was detected in the clean area. Acid-tolerant bacteria at pH 3.0 were not detected at all in the industrial area as well as in the clean area. Epiphytic bacterial population sizes were generally the greatest in May when leaves are emerged and grew but the lowest in November when defoliation occurs. These results showed that air pollutant deposition on leaves did not cause a deuease of epiphytic bacteria at least and acid deposition on leaves did cause an increase of acid-tolerant bacteria.

      • SCOPUSKCI등재

        공단지역 및 청정지역 식물 잎권의 잎표면세균 및 내산성세균의 분포

        안종훈,방숙진,한남정,송왕영,황소영,이인수,박성주,Ahn, Jong-Hoon,Bang, Sook-Jin,Han, Nam-Jung,Song, Wang-Young,Hwang, Soyoung,Lee, In-Soo,Park, Seong Joo 한국미생물학회 1997 미생물학회지 Vol.33 No.4

        산성강하물의 영향을 받는 대전공단지역과 영향을 받지 않는 청정지역인 대전 계족산 자연휴양림에서 자라는 밤나무(Castanea crenata)의 잎표면에서 서식하는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종속영양세균수, 내산성세균수를 1996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공단지역 잎표면 평균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및 종속영양세균수는 각각 $9.9{\times}10^5cell/cm^2$, $1.6{\times}10^6cell/cm^2$, $7.1{\times}10^3cfu/cm^2$로서 청정지역에 비하여 각각 1.5배, 2배, 2.6배 정도로 관찰되었다. MPN법으로 측정한 pH 5.6에서의 잎표면 내산성세균수는 공단지역 $3.3{\times}10^4$, 청정지역 $3.4{\times}10^4MPN/cm^2$로 거의 같았고, pH 4.0에서의 내산성세균수는 공단지역에서 $1.9{\times}10^{-1}MPN/cm^2$인 반면 청정지역세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pH 3.0에서의 내산성 잎표면세균수는 공단지역과 청정지역의 잎권 어느 곳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계절별 잎포면세균수의 분포는 대체로 잎이 나기 시작하여 크기가 가장 작은 5월에 최대를, 그리고 낙엽이 지는 11월에 최소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공단지역의 대기오염물질의 침적이 주변의 식물 잎표면 세균수를 감소시키지는 않으며, 특히 산성강하물의 영향으로 내산성세균수가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Total, direct viable count, and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population sizes were quantified on leaves of chestnut tree (Castanea crenata S. et Z.) near Taejon Industrial Estate affected by acid precipitation and deposition as well as in the clean natural forest area, Mt. Kyejok, in Taejon city from August 1996 to August 1997. Geometric mean numbers of total, direct viable count, and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 were $9.9{\times}10^5cell/cm^2$, $1.6{\times}10^6cell/cm^2$, and $7.1{\times}10^3cfu/cm^2$ respectively, being 1.5, 2, and 2.6 times those in the clean area.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numbers at pH 5.6 by MPN method were $3.3{\times}10^4$ in the industrial area, about the same as the number, $3.4{\times}10^4MPN/cm^2$, of the clean area. Acid-tolerant bacterial number at pH 4.0 was $1.9{\times}10^{-1}MPN/cm^2$ in the industrial area, whereas none was detected in the clean area. Acid-tolerant bacteria at pH 3.0 were not detected at all in the industrial area as well as in the clean area. Epiphytic bacterial population sizes were generally the greatest in May when leaves are emerged and grew hut the lowest in November when defoliation occurs. These results showed that air pollutant deposition on leaves did not cause a decrease of epiphytic bacteria at least and acid deposition on leaves did cause an increase of acid-tolerant bac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