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발 중심의 수업 사례 연구

        방성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4 한국언어문화학 Vol.21 No.1

        본 연구는 원격대학원에서 이루어진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발 프로젝트 중심의 수업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의 성과 및 어려움,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 학기의 수업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설계 사례를 제시하고, 프로젝트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총 28명의 참여자가 2회의 프로젝트 종료 후에 각각 작성한 성찰 일지이다.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한 5개의 주제는 ‘한국어 교사로서 향상된 역량’, ‘팀 역학 및 협업의 의미’, ‘개인적 성찰 및 성장’, ‘프로젝트 수행의 어려움 요인’,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한 의견’이다. 참여자들은 인지적, 행동적, 정의적 측면에서 다양한 역량의 향상을 경험하였으며, 팀 기반의 활동을 수행하면서 팀 활동 기술 및 협업 기술이 향상되었다. 또한 교사이자 연구자로서 자신을 성찰하고 성장의 의지를 다지게 되었다. 이러한 학습 성과는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이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 유용한 교수학습 모형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프로젝트 수행의 어려움 요인’은 시간 조절의 어려움, 팀 활동의 어려움, 과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한 의견’과 함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의 보완점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교육을 통해 한국어 교사의 실천적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achievements, challenges, and avenues for improvement in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It focuses on a class centered on a Korean textbook analysis and development project implemented at a distance learning graduate school. The study introduces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of a semester-long course and analyzes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project participants. The data analyzed were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28 participants at the end of the two projects. Qualitative data analysis revealed five themes: 1) improved competencies as Korean language teachers, 2) the meaning of team dynamics and collaboration, 3) personal reflection and growth, 4) difficulties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5) suggestions for improving future classes. Participants experienced improvements in their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competencies, and their teamwork and collaborative skills improved as they worked on team-based activities. They also reflected on themselves as teachers and researchers, strengthening their willingness to grow. These learning outcomes suggest that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can be a valu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Korean teacher education. The difficulties in project implementation include time management, team activities, and the task.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suggestions for improving future classes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improvements to be implemented in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instructors who want to strengthen Korean teachers’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online education.

      • KCI등재

        기능성 식물용기 디자인 선호도 평가

        방성원,송종은,박영은,김정예,김광진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수한 디자인 특성을 갖는 기능성 식물용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기능성 식물용기를 상품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주거환경에서 시제품을 사용한 후 선호도와 디자인을 평가하였다. 시제품은 스탠드형과 걸이형 2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먼저, 37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형태의 기능성 식물용기에 대한 경관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 38명을 대상으로 실내환경에서 한 달간 사용 후 선호도와 디자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도구는 경관형용사쌍을 이용한 SD scale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디자인 평가는 한국디자인진흥원(2010)에 제작된 굿디자인(GD)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물화분에 대한 기본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화분(2%) 보다 디자인화분(47%), 특수화분(36%), 기능성화분을(15%)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물용기에 대한 소비 욕구가 디자인과 기능성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관선호도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심미성, 장식성, 선호성, 공간성, 편안함의 5개의 요인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두 가지 형태 모두 주거공간에 적합하고 아름다운 디자인과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에 비해 경제성을 제외한 적합성, 합목적성, 만족성, 사용성, 제품성, 심미성 등 6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구매의사도 스탠드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 후 디자인 평가 결과, 스탠드형이 걸이형 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탠드형의 기능성 식물용기는 협소한 장소에 수직적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주며, 주거환경에서도 식물을 잘 기르고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a functional plant pot that increases space efficiency and has an excellent design.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functional plant pot, a customer design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The prototype product was made into two types, standing and hanging. First, an overall design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372 people evaluated the designs of the product and chose a preferred design between the two. Then, 38 people used the product in indoor environment for a month to evaluate the design in real life. Design preference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ith adjective pairs of landscape. The good-design scale made by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was used for the design evaluation. The survey on the basic awareness of the plant pots showed that plant pots are preferred in the order of design pots (47%), special pots (36%), functional pots (15%), and regular pots (2%). This shows that the desire of consumption towards plant pot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design and funct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are five factors of the functional plant pot: aesthetic, fanciness, preference, spatiality, and comfort. Also, both types of plant pots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the living environment, providing comfort and aesthetic design. In addition, the design evaluation showed that the standing type was superior to the hanging type in suitability, purposiveness, satisfaction, usability, production, aesthetical satisfaction, but not in economic factors. The desire of consumption was also higher for the standing type plant pots. Overall, the real application and design evaluation conducted after the 1 month of using the plant pots, the standing type proved to be superior in quality.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the standing type functional plant pot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is a design that can increase the special efficiency of vertical spaces in confined areas while being aesthetically pleasing to grow a plant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 KCI등재

        통합 교수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방성원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0 한국어 교육 Vol.11 No.2

        At the beginning level, it is effective to use the textbook integrating four language skills -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socio-cultural fact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results of surveying beginners' needs. I also examine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focusing on which of five elements (four skills and the socio-cultural facts) they integrate, and how they design the learning items, i.e. situation, function and grammar. Considering the results, I give a demonstration of the improved design of textbook, includ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textbook: the aim of the textbook, the scheme of learning items, the way of integrating elements, and the organization of each unit.

      • KCI등재

        形式과 機能의 상관성에 기초한 韓國語 敎育 文法 연구

        방성원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2

        As the significance of grammar tea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which communicative approach and use of language are emphasized, the tendency of laying great stress on the connection between communi- cative function and the form of grammar in terms of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s now appearing. However, more researches are neede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in terms of classifi- cation system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the grammar form which is typically connected to a specific communicative function. In this study,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communicative function in Korean pedagogical grammar was review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ding forms proposed as targeted grammar and the com- municative functions for elementary and intermediate Korean textbooks was also analyzed.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Korean pedagogical grammar in which communicative function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grammar teaching are stressed. 韓國語 敎育 분야에서 意思疏通 中心 접근법이 자리 잡고, 문법 교육의 목표는 言語 使用 伸張이라는 점이 강조되면서, 문법 교육의 내용을 설계할 때 意思疏通 機能과 文法 形式의 연결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敎育課程에 포함될 수 있는 의사소통 기능의 분류 체계, 특정 기능과 典型的으로 연결되는 문법 형식에 대한 연구는 韓國語 敎育學의 관점에서 볼 때 아직 실용적인 교육 문법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단계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形式과 意思疏通 機能의 관계를 敎育 文法에 포함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해 진단하고, 수정된 의사소통 기능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의사소통 기능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初級 및 中級 교재의 대화문에서 목표 문법으로 제시된 終結 表現과 意思疏通 機能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방성원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s to the future research. Specifically, the research papers appeared in the domestic journals and doctoral theses were analyzed. For th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he five categories that are development of textbook,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xtbook,practical use of teaching materials,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textbooks and distance learning materials were respectively analyzed. In addition, research papers as to the target level of the textbook, learner’s motivation and purpose, learner’s language, cultural contents and linguistic factors of vocabularies, grammar, pronunciation, etc. as described in the textbooks, language skills and constitution of units were also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trends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discussed per each detailed subject and the direction on the future research as to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