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인박해기의 순교자와 체포자

        방상근(方相根)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866년에 시작된 병인박해는 1873년 흥선대원군이 정권에서 물러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했는데, 달레(Dallet) 신부는 『한국천주교회사』에서 1870년까지 ‘8천 명’이 순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를 근거로 병인박해기에는 8천 명 이상의 신자가 순교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8천 명 순교설’은 지금까지 학술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필자는 ‘8천 명 순교설’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당시에 체포된 신자 수와 순교자 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몇 가지 특징들도 정리해 보았다. 필자는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8천 명 순교설’은 근거가 없음을 밝혔다. 이 설은 리델(Ridel) 신부가 1869년에 이미 들었던 풍문이며, 원래의 내용은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1868년의 5개월 동안 8천 명이 순교했다’는 이 설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보다는 오히려 ‘1868년 9월 이전에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칼레(Calais) 신부의 서한 내용이 좀더 신빙성이 있다. 둘째, 1868년 9월 이전의 순교자를 기준으로 병인박해기의 체포자 수를 추정해 보았다. 즉 ‘2천명 이상이 순교했다’는 내용과 ‘76.3(50.0)%로 추정되는 당시의 순교율’을 연계해서 최대 4,471명의 체포자를 산출하였다. 셋째, 관변 자료와 교회 자료에서 1,891명의 체포자를 찾아냈고, 이를 통해 병인박해기 체포자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① 시기적으로는 1868년>1866년>1867년>1871년 순으로 체포자가 많았고, 지역적으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신자들이 많이 체포되었다. ② 남성 신자가 여성 신자 보다 3배 정도 많이 체포되었으며, 남성 신자는 1866년에, 여성 신자는 1868년에 가장 많이 체포되었다. ③ 체포된 숫자는 남성 신자가 많지만, 남성 신자에 비해 여성 신자의 순교율이 높고, 배교율이 낮았다. ④ 지역별로는 충청>서울>경기 순으로 순교자가 많았고, 지역과 시기를 연계했을 때에는 ‘1868년 충청도>1866년 충청도>1868년 서울>1866년 서울’ 순으로 순교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그리고 남자는 ‘1866년 충청도’, 여자는 ‘1868년 충청도’에서 가장 많은 순교자가 나왔다.

      • KCI등재

        박해 시대 조선 천주교회의 회장제

        방상근(方相根) 한국교회사연구소 2017 敎會史硏究 Vol.0 No.51

        조선의 회장제는 주문모 신부가 실시하였다. 구베아(Gouvea) 주교가 최인길을 카테키스타(cătēchísta)라고 칭한 기록이 있지만, 이것은 평신도 성직제 하의 신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조선의 회장제는 중국에서 시행되던 회장제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중국의 회장제가 그대로 조선에 시행된 것은 아니었다. 중국 교회와 조선 교회의 상황이 달랐기 때문에, 명도회와 마찬가지로 회장제도 조선의 현실에 맞게 변형되었다. 주문모 신부는 ‘평신도 교회’를 운영했던 신자들의 경험을 활용하였고, 본당 조직이 없었던 조선의 현실을 고려하여 명도회를 중심으로 회장제를 운영하였다. 육회(六會)의 회장들은 서울의 공소회장이었고, 일반 회원 중에는 전교회장으로서 전교와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이 있었다. 이외 주문모 신부는 여회장과 지방의 공소회장을 임명하여, 여성 신자들과 지방의 신자들을 돌보도록 하였다. 프랑스 신부들이 입국한 1836년 이후에도 조선의 회장제는 기존의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리고 베르뇌(Berneux) 주교 대에는 각 지역을 총괄하는 도회장이 임명되어, 공소회장 → 도회장 → 신부(주교)의 형태로 신앙 공동체가 관리되었다고 생각한다. 한편 카테키스타는 지금까지 회장으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조선에도 전교회장이 있었으므로, 카테키스타는 내용에 따라 회장과 전교회장으로 구분해서 번역되어야 한다. 회장은 신부가 주교의 권한을 위임받아 임명하였다. 회장이 되기 위해서는 착한 표양과 좋은 명성이 있어야 하며 교리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회장은 교우들을 통솔하고 신부와 신자 사이를 연결해 주는 존재이다. 이들은 신부를 대신하여 신자들의 종교생활과 일상생활을 주관하였다. 뿐만 아니라 외교인에게 전교하고, 병자를 돌보거나 임종을 도왔으며, 신부의 공소 순방 때 관련된 준비도 하였다. 그리고 영해회와 전교회등 교회에서 운영하는 사업에 관여하였다. 회장이 사망했을 때, 회장을 위해 기도해 주는 기간은 신부보다 짧고 일반 신자보다 길었다. 이러한 사실은 회장의 지위가 신부보다 낮고, 일반 신자보다 높았다는 것을 잘 말해 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천주교도의 순교 과정(체포~처형) 연구

        방상근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022 敎會史硏究 Vol.- No.61

        During the persecution period, Catholics went through the stages of arrest, interrogation, decision, application, and execution, leading to martyrdom.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process of martyrdom by examining how Catholics were treated at each stage from 1785 to 1872. In other words, the types of arrests, the institutions and procedures for interrogation in Seoul and provinces, the structure and timing of decision was summarized, and changes in legal provisions(application) applied to believers were examined. In particular, in the application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gal basis for punishment was prepared as punishment for Catholics was gradually systemized, When the “Making Magical Inscriptions and Magical Incantations”(jo yoseo yoeon, 造妖書妖言) clause is applied, the ‘recognition and response(punishment)’ of the authorities on the Catholic Church did not match,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y coincided in the stage of the egulations of the Six Codes(Yukjeon chorye, 六典條例, 1867).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as punishments for Catholics gradually tightened, some believers were executed after 1868 according to “execute the criminals first and inform the king afterwards”(seoncham hugye, 先斬後啓). And finally, in the execution stage, the types, main agent, and places of execution were examined. 박해시기 천주교도는 체포 → 심문 → 결안(結案) → 조율(照律) → 처형 단계를 거쳐 순교에 이르렀다. 이 글은 1785년부터 1872년까지 천주교도들이 각 단계별로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순교 과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즉 체포 유형, 서울과 지방에서 심문하는 기관과 절차, 결안의 구조와 작성 시점을 정리하였고, 신자들에게 적용되는 법조항(조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조율 단계에서, 천주교도에 대한 처벌이 점차 체계화되면서 처벌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는 과정, ‘조요서요언(造妖書妖言)’ 조문이 적용될 때는 천주교에 대한 당국자들의 ‘인식과 대응(처벌)’이 일치하지 않다가 『육전조례(六典條例)』(1867) 단계에서 일치하게 되었다는 점 등을 확인했다. 아울러 천주교도에 대한 처벌이 점차 강화되면서 1868년 이후 선참후계 조치에 따라 처형되는 신자들도 생겨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처형 단계에서는 처형의 종류, 주체, 장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기해일기』에 대한 기초적 연구

        방상근(Bang, Sang-Keun) 한국사학사학회 200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2

        『Gihae Diary』 is a biographical sketch of the Catholics who died for their faith from persecution in the year of Gihae, 1839. This book, written in Korean, is a precious material in the aspect that it covers the history of Catholicism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at it shows a part of the Chosun society at that time. However, as there are few researches of it at present, fundamental facts of Gihae Diary』 are not fully clarified. This paper examines the basic facts of 『Gihae Diary』 on the basis of Records of the martyrs' testimony of persecution in the years of Gihae(1839) and Byeong-Oh(1846).(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증언록). Through this examination, it discovers that: the materials for 『Gihae Diary』 were collected by several people after the Gihae Persecution and based on these materials, Young-soo Choi(최영수) made a draft in the beginning of 1841; however, Young-soo Choi was arrested in April (in lunar calendar) 1841 so Seok-mun Hyeon(현석 문) replaced him to write this book; Seok-mun Hyeon corrected Young-sooChoi's draft and completed 『Gihae Diary. 1841 can be assumed as the time Seok-mun Hyeon completed this book through the fact that Eui-jeong Choi (최의정) Peter read this book through Seok-mun Hyeon in 1841. The original of 『Gihae Diary』 is not available at present and two manuscripts of it are kept in Jeoldusan Martyrs' Shrine(절두산순교성지) and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한국교회사연구소) respectively. In the past, it was said that the manuscri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copied against that in Jeoldusan Martyrs' Shrime, but both copies have several differences. So it is assumed that there will be another copy for the manuscri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Gihae Diary』 classified the arrested Catholics into “beheaded death” and “in-jail death” according to their execution type, and it made the records in the order of the date of death. There are more martyresses (50) than martyrs (25) in the book, but more importance was given to martyrs. In addition, the biographical sketches of several people including Ha-sang Jeong(정하상) show that Catholics were not anti-national. Repeatedly, it can be said that 『Gihae Diary』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he respect that it shows the existence type of Catholics living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at it contains many unique contents not available in other materials. In addition, it is the only Korean-written biography of martyrs who died from the Gihae Persecution. And it shows a new human model based on the ideology of Catholicism.

      • KCI등재

        병인박해기 진잠의 신앙공동체와 순교자

        방상근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진잠 지역에 신앙이 전파된 시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교회의 밀사로 북경을 왕래한 김유산이 1798년 이후에 진잠 산막동에 거주한 것으로 보아, 진잠에는 1798년 이전에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801년(신유박해) 김유산이 체포되어 순교한 이후, 진잠의 신앙공동체가 기록에 다시 등장하는 것은 1830년대이다. 박영근 가족, 손선지 가족, 한재권 가족, 정원지 가족이 이 시기에 진잠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리고 1860년대에는 전자연, 강순지, 김 스타니슬라오, 원 베드로, 이 바오로 등이 진잠에서 살다가 체포되었다. 따라서 진잠의 신앙공동체는 박해시기 내내 존재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진잠의 신자들은 오늘날 대전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산막동, 장안, 앞재, 바랑골, 오리동 등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은 농업에 종사했으며, 회장의 지도 아래 신앙생활을 하였다. 그러다가 1866년에 병인박해를 맞이했다. 병인박해 때 체포된 진잠과 관련된 신자는 9명이다. 이 중 8명이 순교했고, 1명(원 베드로)은 석방되었다. 8명의 순교자 중 진잠에서 체포된 사람은 4명(전자연, 강순지, 김 스타니슬라오, 이 바오로)이며, 나머지 4명은 서산 강당리(김선양), 전주 대성동(한재권·손선지), 전주 성지동(정원지)에서 체포되었다. 타지에서 체포된 4명 중 한재권과 정원지는 진잠 출신이며, 손선지와 김선양은 타지에서 진잠으로 이주했다가 다시 타지로 이주해 간 신자들이다. 그리고 진잠에서 체포된 4명 중 강순지, 전자연, 김 스타니슬라오는 진잠 지역에 세거한 사람이며, 이 바오로는 진산에서 진잠으로 이주한 신자였다.

      • KCI등재

        18세기 말 전라도 신앙공동체와 천주교 서적

        방상근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9 교회사학 Vol.0 No.16

        In Jeolla-do, a community of faith was formed in Jeonju and Jinsan by Yoo Hang-gum and Yun Ji-chung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t that time, believers in Jeolla-do, like other area believers, learned about Catholicism through books and Based on this, the faith community was formed and expanded. Jeolla-do believers may have read many of the church books that were read by Seoul and Chungcheong-do believers. However, the books that Jeolla believers read can only be found in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The Seven Victories(七克), The Ten Commandments(十誡命), matins and complines(早晩課), and The Overview of Western Learning(西學凡). Of these, The Ten Commandment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faith and life of Jeolla believers. They engaged in active Missionar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Ten Commandments, and believed that they could ascend to receive the heavenly blessings. As a result, the number of believer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is period. Next, believers came to the idea that they should not apostate through the Ten Commandments. And this perception led to the martyrdom of believers when persecution arose. The Ten Commandments affected not only the life of faith but also the temporal life of believers. In other words, The Ten Commandments taught believers to live as good people, filial sons, loyal people, and mature human beings in this world, and believers did their best to keep these commandments. 전라도에는 조선 교회가 설립된 직후에 유항검과 윤지충에 의해 전주와 진산에 신앙공동체가 형성되었다. 당시 전라도의 신자들은 다른 지역의 신자들과 마찬가지로 서적을 통해 천주교에 대한 지식과 교리를 익혔으며, 이를 토대로 신앙공동체를 형성하고 확대시켰다. 전라도 신자들은 서울과 충청도 신자들이 보았던 많은 교회 서적들을 읽었다. 그러나 기록상 《천주실의》, 《칠극》, <십계>, <조만과(早晩課)>, 《서학범(西學凡)》 정도만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십계>는 전라도 신자들의 신앙과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십계>의 가르침에 따라 신앙생활을 하였고 전교활동도 펼쳤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하늘의 영복(永福)을 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신자들의 이러한 믿음은 이 시기 신자 수를 증가시킨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신자들은 <십계>를 통해 배교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박해가 일어났을 때 신자들을 순교로 이끌었다. <십계>는 신앙생활뿐만 아니라, 신자들의 일상의 삶에도 영향을 미쳤다. <십계>(4~10계)는 신자들이 현세에서 착한 사람, 효성이 지극한 자식, 충성스런 국민, 인격을 갖춘 성숙한 인간으로 살아가도록 가르쳤고, 신자들은 이러한 계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 KCI등재

        개화기 프랑스 선교사들의 정착과 한국 인식

        방상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8 No.-

        Since their return to Korea in 1876, French missionaries, in efforts to reconstruct a Christian community, had engaged in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cultivating catechist, offering free funeral services and running orphanage, nursing home, pharmacy and even schools. Their outreach effor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local communities and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number of Catholics in Korea. In the meantime, the French missionaries were able to settle down in the country. They carried out their missionary work based on the Korea-France Treaty’s provisions for consular jurisdiction and the protection of foreigners and with support from the French Minister to Korea. As a result, they came to have considerable influence and better status especially in rural communities. Furthermore, the exoneration of Nam Jong-sang and Hong Bong-ju in January 1895 and the audience of Bishop Mutel with King Gojong in August of the same year constituted important backgrounds for missionaries to settle down in a local community. Meanwhile, those missionaries who settled in Korea during its Enlightenment Period treated Korean people and their culture with a Western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and recognized the Japanese rule of Korea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country was politically corrupt and backward, ignoring the issue of Korean independence. The missionaries took a pro-regime position in order to have freedom of religion guaranteed, although they were well aware of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who had suffered exploitation and had a understanding of what Japan’s invasion did mean. Consequently, they supported the Joseon Dynasty’s regime while it was in place and accepted the Japanese rule after the forced Eulsa Treaty concluded in 1905. In conclusion, the freedom of religion and doubts about Korea’s ability to achieve independence constituted a main reason why the French missionaries ignored Korea’s national issue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however, the way that they looked at Korean problems as Frenchmen can be said to have underlain such perceptions. 이 논문은 1876년부터 1910년 사이,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국 정착과 한국에 대한 인식 문제를 살펴본 글이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재입국한 1876년 이후 신자공동체를 재건하는 한편, 전교회장을 양성하고, 고아원, 양로원, 시약소, 무료 장례 등의 활동을 전개했으며, 학교도 운영하였다. 선교사들의 이러한 활동은 당시 천주교의 인상을 좋게 하고 외교인들을 감화시켜 신자수를 증가시켰고, 천주교가 지역 사회와 소통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가운데 선교사들의 정착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다음으로 선교사들은 조불조약의 ‘영사재판권, 외국인 보호’ 조항과 프랑스 공사의 후원을 토대로 선교 활동을 전개했다. 그 결과 이들은 양대인으로 호칭될 정도로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이 커졌고, 이러한 선교사들의지위 향상은 교세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1895년 1월에 있었던 남종삼과 홍봉주의 신원 조치와 8월에있었던 뮈텔(Mutel) 주교의 고종 알현도 선교에 영향을 미쳤다. 역적으로 취급되던 신자들이 신원되고, 사교라고 탄압받던 천주교의 책임자가 국왕을 만났다는 것은 선교사들이 지역 사회에 정착할 수 있는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한편 개화기 한국 사회에 정착했던 선교사들은 서구문화 우월의식에 입각하여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평가했고, 한국이 정치적으로 부패하고 낙후되었다는 인식 아래 일본의 한국 지배를 인정하고 한국의 독립 문제를 외면했다. 선교사들은 착취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고, 일제의 침략이 의미하는 바도 이해하고 있었지만, ‘종교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해 체제옹호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그리하여 조선 왕조가 유지될 때에는 왕조 체제를 옹호했고, 1905년 이후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아들였다. 결국 종교의 자유, 한국의 독립 능력에 대한 회의가, 개화기 프랑스 선교사들이 한국의 민족 문제를 외면한이유지만, 이러한 인식의 기저에는 프랑스인으로서 한국 문제를 바라보는 타자의 입장이 깔려있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베르뇌 주교의 조선 선교 활동 ―조선대목구의 수입과 지출을 중심으로―

        방상근(Bang, Sang-Keun) 한국교회사연구소 2021 敎會史硏究 Vol.- No.59

        제4대 조선대목구장인 베르뇌 주교는 1856년 3월에 입국하여 1866년 3월 새남터에서 순교할 때까지 10년 동안 조선에서 활동했다. 그사이 조선대목구의 체제를 정비함과 동시에, 대목구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여러 사업을 전개했다. 그런데 이러한 활동에는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목구의 수입 규모와 각 사업의 소요 비용을 살펴보는 것은, 대목구의 활동을 전체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이 글은 이러한 비용이 어떻게 마련되고, 어디에 쓰였는지를 살펴본 것이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대목구의 수입은 전교회 지원금, 성영회 지원금, 파리외방전교회의 지원, 물품 판매금, 이자 수익 등이며, 파리·홍콩·심양·일정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전교회가 조선대목구에 지원한 금액은 1년에 평균 24,206프랑이며, 성영회의 지원금은 6,182프랑, 파리외방전교회의 지원은 6,910프랑 정도였다. 따라서 조선대목구의 1년 수입은 평균 37,298프랑이며, 현재의 가치로는 4억 원 정도가 된다. 다음으로 지출 항목은 선교사 생활비, 동거하는 신자 가족의 생활비, 선교사 영입 비용, 심양에 있는 자금과 물품의 운송비, 신학생 양성비, 물품 구입비, 인쇄소 운영비, 성영회 사업비 등이 있다. 지출 금액은 총 22,991프랑으로 수입의 61.64% 정도가 된다.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지출 항목이 많고, 또 알려진 항목이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비용이 증가했을 것이므로, 실제 비용은 22,991프랑보다 훨씬 많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총지출은 총수입보다 적었다. 베르뇌 주교는 남은 자금으로 시약소와 고아원을 설립하여 운영하고자 했고 예비 신학교도 늘리고자 했다. 그러나 박해의 위험 때문에 실행하지 못하다가 병인박해를 맞이했다. Bishop Berneux, the 4th Vicar Apostolic of Joseon, entered the country in March 1856 and served as the head of the Joseon church for 10 years until his martyrdom at Saenamteo in March 1866. In the meantime, he reorganized the system of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and at the same time, he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to maintain and develop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However, these activities incur costs. Therefore, examining the income scale of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and the cost required for each project is a useful way to grasp the activities of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as a whole and in detail. This article looked at how these expenses were prepared and where they were used,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s income came from The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support, The Holy Childhood Association’s support, support from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sales proceeds, and interest earnings, and he had certain assets in Paris, Hong Kong, Shenyang, and Seoul. The average annual income of Vicariate Apostolic of Joseon is 37,298 francs, which is about 400 million won in the present value. Next, expenses include living expenses for missionaries, living expenses for a family of believers living together, cost of entry for missionaries, transportation expenses for funds and goods in Shenyang, expenses for seminaries, purchase expenses, printing shop operating expenses, and the holy childhood association business expenses. The total expenditure amounted to 22,991 francs(61.64% of the income). However, there are many unknown expenditure items, and even known items, the cost will have increased over time, so the actual cost would have been much more than 22,991 francs. However, the total expenditure was much less than the total income. With his remaining funds, Bishop Berneux wanted to establish pharmacies and orphanages, and also to increase the preparatory seminary. However, because of the danger of persecution, he was unable to carry out the project.

      • KCI등재

        1868년 ‘남연군묘 도굴사건’과 조선 신자

        방상근(Bang, Sang-Keun) 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7

        이 글은 1868년에 발생한 ‘남연군묘 도굴사건’에 참여한 조선인 신자가 누구이며, 이들이 왜 원정에 참여했는지를 정리한 것이다. 남연군묘를 도굴하기 위해 오페르트 일행이 상해를 떠난 것은 1868년 5월이었다. 이때 상해에 머물던 조선인 신자는 최선일, 심순여, 김학이(김여경), 송운오, 박복여, 이성집, 이성의 등 7명이었다. 이들 중 최선일·심순여·김학이 등 6명이 페롱 신부와 함께 오페르트의 원정에 참여했고, 그중 2명은 덕산에서 도망하였다. 최선일·심순여·김학이는 병인양요 때에도 향도 역할을 하였다. 상해에서 페롱 신부와 동행한 신자들 외에 김여강과 이돈호 등 덕산에서 오페르트 일행과 접촉한 신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대체로 페롱 신부가 조선에서 사목할 때 인연이 있던 신자들이었다. 1866년에 중국에 갔던 신자들은 ‘서양의 힘을 이용하여 박해를 종식시키고, 나아가 신앙의 자유까지 획득하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병인양요가 바로 그러한 방안이었다. 그러나 군사력을 이용한 방법은 프랑스의 소극적인 태도로 실패하였다. 게다가 박해가 장기화되면서 상해의 선교사와 신자들 중에는 절망감에 빠진 사람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계획된 극단적인 방법이 바로 ‘남연군묘 도굴사건’이었다. 도굴 계획과 관련해서 상해에 있던 신자들은 처음부터 이 계획에 찬성한 부류, 나중에 설득된 부류, 끝까지 반대한 부류가 있었지만, 찬성한 부류의 선택이 조선 신자들의 생각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who were the Korean Catholics who participated in the robbery case of Namyeongun’s tomb in 1868 and why they participated in the expedition. It was May 1868 that the Oppert party departed Shanghai for the robbery of the tomb. At this time, the Korean people who stayed in Shanghai were Choi Seon Il, Sim Sun Yeo, Kim Hak I(Kim Yeo Gyeong), Song Un O, Park Bok Yeo, Lee Seong Jip, Lee Seong Ui, Six of them, including Choi Seon Il, Sim Sun Yeo, and Kim Hak I, along with Father Feron participated in the expedition of Oppert, two of whom fled from Deoksan. Choi Seon Il, Sim Sun Yeo, and Kim Hak I also played a role of the channel guide in the Byengin Yangyo(The French Fleet’s Invasion in 1866). In addition to the believers who accompanied Father Feron in Shanghai, there were also believers who had contact with the Oppert party in Deoksan. Among them, Son Gyeong Ro, Kim Yang Gil, and Lee Yeong Jung were beheaded in 1868. The believers who went to China after the persecution of 1866 had the idea of ending the persecution and even gaining the freedom of faith by using the power of the West. However, the method of using military force failed with the passive attitude of France. In addition, as the persecution became prolonged, there were people in Shanghai who became desperate among missionaries and believers. In the meantime, extreme measure was taken, which was the robbery of Namyeongun’s tomb. In connection with the robbery plan, the believers in Shanghai were in favor of this plan from the beginning, those who were later persuaded, and those who opposed it to the end, but the choice of those who were in favor did not represent the general idea of Joseon belie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