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 소리판의 현대적 재현-또랑광대를 중심으로-

        박흥주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2

        Today's revival of traditional Soripan : Ttorang-kwangdaePark, Heung Ju(Gut Institute)Ttorang-kwangdae, or minor Pansori performer, was despised by major P‘ansori artists because such performers were considered to be neither skillful nor talented. However, the term, Ttorang-kwangdae, has been revaluated since 2001 and it is now considered an alternative for the old-fashioned P’ansori. This change is largely triggered by the annual Ttorang-kwangdae Contest, which has been held in the city of Jeon-Ju since 2001, but some aspects of this unique performance, such as dynamics and presentness, must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its popularity. Since its rebirth,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make Ttorang-kwangdae P‘an(stag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sub-groups.1. Some Ttorang-kwangdae Pans were planned in advance and designed on purpose by performers : Insadong-Street sorIpan, Byorak(thunderbolt) soripan, and Missinary Madang(the variation of the bible Pansori)2.The other Ttorang-kwangdae Pans were built spontaneously : Ansan-street soripan, and the National Committee of Ttorang-kwangdae. 또랑광대의 새로운 판소리에 대한 모색은 최근 몇 년 사이에 등장한 문화현상이다. 판소리가 점점 잃어가는 판과 판놀음을 회복하여 현재성 있는 판문화를 만들어가겠다는 선언적 자세는 전주산조예술제에서 처음 시작되어 인사동거리소리판, 바닥소리, 안산거리소리판, 성서판소리작업, 또랑광대전국협의회와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 과정에 있다. 그 결과물들은 새판소리란 개념으로 행해진다.또랑광대 작업은 기존 판소리가 갖는 판놀음으로서의 미학과 기능을 충실히 따르려는 노력을 통해 수용자 중심의 판소리 본질에 다가가려는 자세를 보인다. 판이 갖고 있는 열린 구조와 쌍방향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소리가 감상의 대상물에 머무는 것을 거부함으로서, 소리를 통한 교감이 놀이화 되고 놀이판화 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놀이방식을 채택한다. 그 과정에서 판에 대한 개념과 판놀음방식이 다시 되살아나고 있으며, 판에서 현재성을 발현시키는 과정은 자연스럽게 작품의 창작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지금에 맞는 놀이방식 모색에도 적극적이다. 이는 판놀음으로서의 판소리 전통을 현재성 있게 전승해가는 긍정적인 사례로 만드는 요인들이다. 기존의 또랑광대와 자칭 또랑광대와의 연계성을 비교해보더라도 소리에 대한애정과 더불어 생활문화운동가로서의 자세가 일치하고 있음으로서 또랑광대의 정체성에 근접하고 있다. 다만 자칭 또랑광대가 새판소리작업에 전업적이라는 점과 창작품을 갖고 있다는 점이 기존 또랑광대와 차별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런 차별성이 또랑광대의 현재성을 살리는 긍정적인 면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판소리에 대한 자기 정리와 더불어 소리의 시대적 역할과 대안문화로서의 현재성 획득이 필요하다. 즉, 자기 또랑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관건으로 대두되리라 본다.

      • KCI등재

        풍물(굿)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본 풍물굿의 현황과 특성

        박흥주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In 2010s,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Pungmul(-Kut) and its socialrole rapidly decrease so that the foundation of Pungmul-Kut becomes moreand more weak. In this thesis, to make ‘the second revival of Pungmul-Kut’’,we study about changes in conditions of Pungmul-Kut and its websites. From 1990s, websites about Pungmul-Kut appeared and in 2000s, thenumber of websites increased drastically. During 10 years, 12~17 websites wereborn in every year. It is the time that Pungmul-Kut was the most activelyintroduced and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But in 2011, the number of newwebsites was just averagely 6. On the whole, the number of the websitespeaked in 2004 and became rapidly decreasing from 2011. By analyzing about 168 websites on the major portal sites in Korea, “daum”,“naver”, “cyworld”, 140 websites are being run as “cafe” of portal sites. Just28 websites (about 17%) are run as homepages which have own domainaddresses. The 83% of the whole are on poor condition as they cannot maintaintheir own domain addresses. In these websites, the fact is reconfirmed that urban residents are main agentsand they adopted Pungmul-Kut as a culture of the city. The basecamps ofcommunities are mostly in a capital area. Even in local areas, they concentrate around the major cities or metropolitan cities. The percentages of communitieswhich work in metropolis area hold a majority (about 62.4%). If we add thenumber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percentages became higher. This result shows an alteration of Pungmul-Kut during the last 20 years. It changefrom the culture for expression of a cultural movement in the 1980s by students,peasants, workers based on meta-discourse and ideologies to the culture for sharingof ‘Jeong(情)’ by an ordinary lower middle class citizen around metropolitan inthe 1990s-2010s. From the 2000s, women, who are mostly housekeepers,spontaneously adopt Pungmul-Kut. The judgment about how interpret thisphenomenon and how to prospect will be a major variable about the future ofPungmul-Kut. From now on, a major assignment of Pungmul-Kut is how thecharacteristics of cities, women, and communities fetch out Kut-Sung of Pungmul. That is to say, Pungmul-Kut is altering from the male-centered worker’sculture and community culture based on Shinmyeong to a female-centeredleisure culture and a commodity. On the condition that we admit this alterationas the ‘fact’, we need to attempt to find a point of contact for revealingKut-Sung. To realize this requirement, we have to invent a new style andreestablish a concept. During this process, it is revealed that wrap-up partyand sharing of ‘Jeong’ still remain a positive characteristic of Kut. That willmake a possibility of Pungmul(-Kut) of the city. 풍물(굿)의 향유층과 그 사회적 역할의 급격한 축소로 인해 존립기반마저 흔들리는 2010년대에 이르러 ‘제2의 풍물굿재생기’를 맞이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있어 인터넷사이트의 변화양상과 그 속에 담긴 풍물(굿)에 대한 실상파악을 시도하였다. 그 기초자료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에서였다. 인터넷상에 사이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서였다.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기는 2000년대였다. 10년 동안 매년 12~17개의 사이트가 개설됐다. 가장 활발하게 가상공간에서 풍물(굿)이 소개되고, 자기 활동상을 적극적으로 대중과 호흡하며 교감한시기였다. 2011년에 접어들면 평균 6개/년 로서 3분의1로 급감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보면,2004년을 정점으로 최대치를 보였다가 하양곡선을 그린 후에 2011년부터 급격한 쇠퇴현상을 보였다. 포탈사이트인 다음, 네이버, 싸이월드를 통해 무작위로 추출한 풍물(굿) 관련 사이트168개를 분석한 결과 140개는 이들 포탈사이트의 카페 형태로 개설돼 있으며, 나머지 28개(17%)만이 독자적인 도메인를 갖춰 사이트를 운영하는 중이다. 전체의 83%가 독자적으로도메인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한 상황임이 드러났다. 이들 사이트를 통해 재삼 확인하게 된 사실은 도시민들이 주된 활동주체이며, 그들에 의해 수용되고 자리 잡은 도시문화로서의 풍물(굿)이었다. 단체들의 활동 근거지가 서울․경기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과 지방권역이라 하더라도 광역시로 지정된 대도시에 집중돼 있었다. 대도시권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의 합이 도합 62.4%로서 과반수를 넘어섰다. 중소도시까지 포함하면 그 비율은 훨씬 높아진다. 이 결과를 이념과 거대담론에 입각한 학생․농민․노동자들의 문화운동에 있어서의 풀이문화로 그 굿성이 발현됐던 1980년대 풍물(굿)이 1990~2010년 사이 20여 년 동안 점점대도시 중심의 소시민들의 ‘정 나눔’문화로 그 성격이 변화해왔음이 내재된 결과로도 해석됐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 도시의 주부들이 자생적으로 풍물을 수용하던 추세가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주부 중심의 여성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 이에 대한 태도결정과 향후 전망이 풍물굿의 미래를 가늠 하는 주요한 변수로 부각됐음을 직시하였다. 이런 궤적을 통해 확인한 향후 풍물(굿)의 숙제는 도시성, 여성성, 공동체성이 개인과 남성성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굿성을 어떻게 발현시켜나갈 것인가로 집약시킬 수 있었다. 즉, 남성 중심이며, 신명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문화이자 노동문화로서의 성격이 강했던풍물굿을 여성 중심의 여가문화와 상품으로서의 기능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는 현 단계의풍물굿을 ‘사실’ 자체로 인정한 상태에서 굿성이 발현될 수 있는 접점찾기를 시도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실현시켜낼 수 있는 양식 개발과 개념의 재정립에 대한 요구였다. 이과정에서 ‘뒤풀이문화’와 ‘정 나눔’은 여전히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는 긍정적인 굿성이라는점을 간과할 수 없었다. 이는 도시풍물(굿)의 주요한 가능성일 수도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개인공동체’로서의 굿문화 엿보기

        박흥주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한국민속 내에 잠재된 가능성에 대한 인식력 제고와 더불어, 이제까지 한국민속학이 이룬 성과를 재창출의 토대와 가능성으로 적극 활용하려는 인식제고에 관심을 갖고, 그 한 방안으로서 한국민속문화가 갖고 있는 공동체의 실상과 그 특성에 주목하였다. 현대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공동체론과 그 실체 형성에 기여할 방안을 찾기 위해굿문화를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개체와 집단과의 관계는 상보적이어야 하는 공동체였으며, 상생하기 위해서는 개체성을 최대화시키고 집단성을 최소화시키는 인식체계가 도출됐다. 이를 실제상황에서 매 순간마다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주체성(내 멋), 원초성, 즉흥성(시나위), 현장성을 얼마나 살려나가는 가가 관건이었다. 현대사회는 “자본주의 인간형으로서의 개인이 확산 심화되는 상황에서 개인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이며, 공동체와의 관계가 계속 서로에게 유익할 것인가, 공동체와의 바람직한 현재적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진단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현대인들은 자신 이외의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을 주체로 간주해주지 않는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거대한 타자들의 대상화에 대항해 홀로만 스스로를 주체라고 주장하는 사태에 직면하고 있다. 점점 구성원들 사이에서 주체적 존재로 인정받거나 상호협력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닫는 중이다. 그것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현상을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는 개인의 확산이라고 봤다. 그러면서도 관계에 대한 필요와 욕구는 상존해 있다. 익명성은 필요한 내용을 그 순간(한정된 시간)만 공유하기를 원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익명성이 자신을 보호할뿐더러 오히려 자신의 주체성을 적극 발현시킬 수 있는 장치와 통로로 전환시키는 방안이 되고, 익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적절한 접점을 찾는 공동체를 찾을 수 있다면, 익명성과 한정된 시간을 공유하려는 현대인들의 속성을 굳이 부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며, 오히려 시대성을 획득한 적절한 현대의 공동체문화를 구축할 돌파구일 수 있다. 그 접점찾기에서 굿문화의 공동체성에 주목해봤다. 집단보다는 개체의 절대성과 주체성 발현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굿문화의 인식목표는 현대인들이 개인의 주체성을 견지하려는 목표와 상통한다. 익명성 또한 굿문화는 이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내재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즉흥성과 현장성에서 도출됐다. 즉흥성은 그 순간의 상황과 관계를 개체가 주체적으로 소화해서 적극 자신을 발현시켜내는 것으로서, 이를 그 현장에 있는 집단(다른 개체들)으로부터 ‘인정받음’을 획득하거나 집단이 그 개체의 즉흥성을 인정하게 될 때 서로 ‘하나’가 되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 익명성으로 실체를 가린 상태라 하더라도 이는 가능했다. 굿문화에서도 익명성이 필요로 할 때는 탈(가면)과 인형이라는 장치를 적극 활용하였다. 사회전체와 개인이라는 관계가 설정될 수밖에 없는 현대인들에게는 익명성이 자신의 주체성을 보호받을 수 있는 좋은 ‘탈’일 수 있으며, 한시적인 만남은 이를 안정적으로 발현시켜줄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현대인 저마다의 주체성 발현이 ‘내 멋’이 되고, 내 멋에 원초성도 담보된 문화를 갖게 될 때, 그 만남의 순간만을 최대한 내 멋으로 즐기는 것이 시나위적으로 조화를 이룬다면 공동체형성에 긍정 ... In this thesis, we focus on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 of a community in Korean folk culture to reconsider cognitive faculty about possibilities of the folk culture. It is one of the ways that raise awareness about using products of Korean folklore as foundation of creation. We study about the culture of Kut to find the theory about communities that could contribute to modern society and the solution that leads to build up real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at community is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a community and its individuals. In this community, we also find a recognition that maximize individuality, while minizing collectivity to coexist. To manifest this characteristics in every moments, the way which revive subjecthood(Nae-Meot), primitiveness, improvisation(Sinawi), monument is important. In Modern society, we have to propose the question how we perceive an individual and what kind of a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a community is good for both, while the personality of capitalism is spreading and intensifying. Modern people confront the circumstances in which all of the social members except oneself don’t regard the person as a subject, at the same time an individual asserts one’s subjecthood alone in opposition to a great crowd’s objectifying. The symptom is more and more severe so that the approval for a subject being among the members or the mutual cooperation with others are almost impossible. This phenomenon clearly appears in spreads of hiding individual behind anonymity. Nervertheless the needs and desires for relationships still exist. Anonimity has feature that people want to share the moments only in case of needs. On the other hand, by anonimity, we are able to protect oneself and, furthermore, we find the ways to express one’subjecthood. If we find the community that maintains individual’s anonimity and mutual coopteration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it is unnecessary to deny modern people’s ironic characteristics. Inversely we could make breakthrough to build appropriate culture of modern communities. As finding the contact point, we focus on communal characters of culture of Kut. The perceptional purpose of the culture of Kut, that ensures appearance of individual’s absoluteness and subjecthood ratherth an community’s, connects with modern people’s purpose to maintain personal subjecthood. Also the culture of Kut has a solution to guarantee anonymity. It is found on improvisation and monument. Spontaneity appears in a moment when individuals adapt autonomously their circumstances and relationships, so they actively express themselves. It contributes to become a ‘one’ with others by acommunity’s (or other individuals’ in a community) acceptance in the moments or by a community’s recognition about individual’s spontaneity. That is possible, even though when an individual is hiding it’s nature by anonymity. In the culture of Kut, they actively use devices like masks and dolls when they needs anonymity. Anonymity is a wonderful mask to protect one’s subjecthood for modern people, who unavoidably are positioned between an individual and a whole community. A brief encounter is an device to stably guarentee it. When modern people’s subjecthood emerges one by one and becomes ‘Nae-Meot’ and, when primitiveness is preserved in ‘Nae-Meot’, furthermore, when individuals enjoy the every moments of contacts harmoniously, the formation of conmmunities procedespositively. To find that way, this thesis connects ‘the community which respects one’s individuality’ with the term and concept of ‘Anonymous Social Network’. And we raise the possibility ofcontribution to build specific ‘Anonymous Social Network’ by the culture of Kut.

      • KCI등재

        민속학의 연대와 그 가능성

        박흥주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While we emphasize an awareness about the situation that we are concerned problems and the future of folklore in Korea, one of the specific methods to overcome this situation is 'the solidarity of folklore'. It is necessary in this time because of three reasons. First of all, in an academic aspect, the colonial folklore still remains. Because the basement for reproduction and human network of the colonial ethnology is still very stable, even though it has been about 70 years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It is the fundamental self-limitation of folklore in Korea, and to overcome this limit might be difficult if we just judged this problem as political one. Second, as we bring up the self-purification efforts to solve this political problems, we point the problem about abilities of scholars in ethnology. In the meanwhile, we focus on the existence and role of local folklorists. Also we suggest the active role of scholars in folklore that improve academic achievements and create consciousness about the solidarity. Third, as regretting about bias in social roles of folklore, we hope for scholars to extend their interest toward social practices and more academic achievements. While we propose the thesis, "Objectify ourselves", to overcome all of this, we suggest 'the solidarity of folklore' as the form to secure it stably. 한국민속학은 현안과 미래를 고민해야할 중차대한 시공간에 서 있다는 현실인식을 강조하면서 이를 극복해나갈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로 ‘민속학의 연대’를 제기하였다. ‘민속학의연대’가 필요한 이유를 3가지 언급하였다. 첫째, 학문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식민지민속학의 폐해를 극복하지 못했다고 보았다. 해방을 맞이하고도 70여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지 못한 것은 식민지민속학의 폐해가 재생산될 수 있는 토대와 인적네트웍이 공고한 결과로 보았다. 이 점을 바로 한국민속학이 여전히 갖고 있는 근원적인 자기한계로 보았으며, 이는 학문적인 차원에서만 극복될 수 없는 정치적인 문제로 보았다. 이런 정치적인 문제까지 극복하려는 민속학 내부의 자정노력을 제기하면서, 그 핵심으로서 민속학자의 자질문제를 지적하였다. 두 번째는 민속학자의 자질문제와 더불어 열악한 민속학자의 층을 확대하기 위해 향토민속학자들이나 재야민속학자들의 존재와 그 역할에 주목하였으며, 이들의 학문적인 성과제고와 연대의식을 생성시키기 위한 민속학자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제안하였다. 세번째, 그동안 민속학의 사회적 역할이 편향돼왔었다는 점을 반성하면서, 사회적 실천에 대한관심영역확대와 학문적인 성과를 기대하였다. 이 모두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모색에앞서 설정해야할 명제로서 “스스로를 객체화 하자”를 제기하면서, 이를 안정적으로 획득해나갈 ‘틀’의 건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산 신발산업의 국제경쟁력과 과제에 대한 연구

        박흥주,빈봉식,송경수,Park Heung-Ju,Bin Bong-Sik,Song Kyung-Soo 대한경영정보학회 2001 경영과 정보연구 Vol.7 No.-

        The Busan shoe industry has been the accelerating overseas transfer of production facilities due to loss of competitiveness in the wake of drastic revaluation of the won, an increase in personnel expenses and the rise of backup developing countries since the late 1980s. On account of changes in the general system of supply and demand caused by a decrease in exports and production,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subjected to a transition from export to domestic demand. As a result, the Busan shoe industry, which used to rank second in the world in terms of its shoe export and to account for 16.5% in terms of its market share, started to be regarded as a fast-fading industry. As a domestic companies have a tendency to almost all the tasks on bloc, it is true that their competitiveness is on the rapid decline for they prefer self-reliance on the premise that all the production should be dealt with for themselves. It is outsourcing that is taken into account as a strategic vehicle for converting such self-reliance into the system of low expenditure and high efficiency.

      • KCI등재

        한국(韓國) 기업(企業)의 대중국(對中國) 투자(投資) 전략(戰略)에 관한 연구(硏究) - 부산(釜山) 지역(地域) 기업(企業)을 중심(中心)으로 -

        박흥주,Park Heung-Joo 대한경영정보학회 1997 경영과 정보연구 Vol.1 No.-

        Since the profess of the reformation and opening Policy in 1978, China has been outstandingly developed its economy and increased the real scale of its economy 4 times as big as before, and is expected to rise as a superpower holding in check U.S.A even in economy as well as politics, military affairs and diplomacy in the 21st century. In this position, China has constantly tried to join WTO since 1986, as an effort to gain a statu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hsa been making various economic reformations to provoke a crustal movement in its own economy such as tariffs lowering measurement for the almost whole items, remove of restriction of import items, lowering the refunding rate of over deposit tax and annihilation of the special treatments for the foreign investment. In short, recently Chinese government is cutting down the special treatments for the foreign capital enterprises and changing the policy to the direction of gradually reinforcing the control, so it requires that our enterprises trying to advance and invest in China have to consider these carefully. Investment in China of our enterprises become serious since 1990 is focused on such labor intensive industries as textiles, sewing and shoes which lost the competitive power due to the wage increase. Particularly, Pusan economy having played the role of locomotive for Korean economy in the past developing period has been weakened in the competitiveness and not yet activated in 1990s. In terms of this, the enterprises engaged in such typical industries of Pusan as shoes, textiles and sewing have borne much fruit from the investment in China with abundant and cheap labors. However, from a few years the enterprises in Pusan invested in China due to the cheap labors and rich resources and invested in China have suffered much troubles and failures more and more resulted from the advancement without sufficient prev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vestment including investment environment. Therefore, at the time of advancement in China, Korean enterprises should make their decision related to the investment, after taking these investment environment into account previously to a full extent and making an investment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