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南京 洞玄觀 유적 출토 南朝 연화문와당에 대한 고찰

        박현진 ( Park Hyeonji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4 백제문화 Vol.- No.70

        中國 南京 方山에 위치한 洞玄觀은 남경에서 가장 오래된 도교 사원 유적이다. 남경대학 역사학원과 남경대학 문화와 자연유산 연구소는 이 유적에 대하여 2012년 7월부터 11월까지,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발굴 조사를 통해 南朝의 축대 유적(擋土石牆遺蹟), 唐代 건축물과 塼井 유적, 宋元 시기의 석벽 유적(石牆遺蹟), 明淸 시기의 건축물과 전정 유적 등이 발견되었다. 유물은 남조부터 명청 시기에 속하는 건축 부재가 주로 출토되었으며 잡상, 신상의 잔해, 수키와, 평기와, 와당 등과 함께 소량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남경대학 문화와 자연유산 연구소의 안내에 따르면, 방산 동현관 유적에서 출토된 와당은 총 133점으로, 남조부터 명청 시기에 속하는 다양한 와당이 출토되어 시대적인 특징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방산 동현관 유적에서 출토된 남조 와당을 정리하여 기초적인 검토를 통해 六朝瓦當 연구와 함께 동시기 백제 와당과의 비교 연구를 위한 자료로 소개하고자 한다. 방산 동현관 유적에서 출토된 남조 와당은 총 16점으로 모두 연화문와당이다. 사잇잎의 장식 문양(연꽃잎사이 구획선 끝부분)을 기준으로 4형식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검토하였다. 기존에 출토되어 시기가 분명하게 설정된 와당의 특징과 비교하여 방산 동현관 유적에서 출토된 남조 와당의 대략적인 시기를 설정하였다. 또한 실물 와당 자료 관찰을 통해 당면과 주연부의 제작 기법, 와당 뒷면의 성형기법, 와당과 수키와의 접합기법 등 와당의 제작 기법을 확인하였다. 특히 회전성형을 통한 조정 흔적과 함께 회전축으로 보이는 흔적이 관찰되어 주목할 만하다. 관찰한 와당 표본의 수량이 적어 정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향후 와당의 생산 체계나 와공과 관련한 연구 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Located in the Fangshan, Nanjing, the Dongxuanguan is the oldest Taoist temple site in the city. Two excavation campaigns were carried out by the School of History at Nanjing University and the Nanjing University Institute of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spanning from July to November 2012 and from May to September 2013. During these excavations, various significant findings emerged. These included remnants of a retaining stone wall dating back to the Southern Dynasties, remnants of buildings and a brick well from the Tang Dynasty, stone walls from the Song Yuan period, and buildings and a brick well from the Ming and Qing periods. Additionally, a plethora of architectural elements spanning from the Southern Dynasties to the Ming and Qing periods were unearthed, along with a small assortment of pottery, miscellaneous statues, remains of deity statues, convex roofing tiles, concave roofing tiles, and Roof-end Tiles. According to the Nanjing University Institute of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a total of 133 Roof-end Tiles were excavated from the Dongxuanguan Taoist temple site at Fangshan, each distinct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respective era. This paper summarizes the Roof-end Tiles from the Southern Dynasties excavated at the Dongxuanguan Taoist temple site in Nanjing. It presents them as research data for the Roof-end Tiles of the Six Dynasties period and for comparative studies with Baekje Roof-end Tiles from the same period through a fundamental review. Sixteen Roof-end Tiles from the Southern Dynasties were excavated at the Dongxuanguan Taoist temple site in Fangshan, all featuring lotus flower patterns. These til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decorative patterns between lotus leaves, and thei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Comparisons were drawn with previously excavated Roof-end Tiles, which allowed for an approximate dating of the Southern Dynasties' Roof-end Tiles unearthed at the Dongxuanguan Taoist temple site in Fangshan.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actual Roof-end Tiles data provided insights into production techniques such as front and periphery molding, back molding, and the bonding technique between Roof-end Tiles and convex roofing tiles. Notably, traces resembling rotational axes and indications of adjustments through rotational molding were observed. Although the small sample size limits definitive conclusions, thes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the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systems of Roofend Tiles.

      • SCOPUSKCI등재

        다양한 측정법을 이용한 담마검의 연화점 분석 연구

        박현진(Hyeonjin Park),윤소정(Sojeong Yoon),정향연(Hyangyeon Jeong),반영란(Younglan Ban),홍성준(Seong Jun Hong),조성민(Seong Min Jo),이양봉(Yang Bong Lee),신의철(Eui-Cheol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12

        본 연구는 다양한 측정 기구를 통해 담마검의 연화점을 측정한 연구로써, 현행 시험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ring and ball 방법을 기본 원리로 하여 수동 승온법, 자동 승온법, 자동측정법으로 각각 연화점 측정을 진행하였다. 세 가지 방법을 통한 연화점 측정은 analytical method validation을 통해 타당성을 제시하였으며, 서로 다른 세 곳의 분석기관에서 동시 분석을 진행하여 기관에 따른 오차나 분석일차, 그리고 분석자와 같은 차이에도 타당성을 가진 결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을 통해 얻은 담마검의 연화점은 수동 승온법에서 77.41℃, 자동 승온법에서 87.20℃, 자동측정법에서 87.33℃로 확인되었다. 식품첨가물공전에 제시되어 있는 담마검의 연화점인 86.00~90.00℃와 비교하였을 때, 수동 승온법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소재의 순도(food grade가 아닌 일반용 샘플)의 차이가 연화점 물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동 측정에서 end-point를 결정하는 실험자의 판단에 따른 오차가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되며, 승온의 일정한 속도 역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화점 분석 결과, 수동 승온법보다 일정한 온도 승온 방식이나 end-point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 좀 더 표준화된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determining the softening point of dammar gum. The softening point value of dammar gum is presented in the Food Additives Code. To determine the softening point, the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ring and ball method for manual-heating, automatic-heating, and automatic-measurement presented in the Food Additives Code of Korea.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was conducted to ensure a precise measurement of the softening point. The softening point of dammar gum was 77.41℃ with a %RSD of 0.22∼5.59% in the manual-heating method, 87.20℃ with a %RSD of 0.43∼1.68% in the automatic-heating method, and 87.33℃ with a %RSD of 2.33% in the automatic-measuremen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recision of the experimental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matic-heating method and automatic-measurement method, which provided results within the range (86.00∼90.00℃) of the softening point value of dammar gum provided in the current Food Additives Code, are appropriate for softening point analysis.

      • KCI등재

        세대단축시스템을 이용한 국내 밀 품종의 등숙기 강우에 의한 품질변이 평가

        박현진(Hyeonjin Park),차진경(Jin-Kyung Cha),이소명(So-Myeong Lee),권영호(Youngho Kwon),최지수(Jisu Choi),오기원(Ki-Won Oh),이종희(Jong-Hee Lee) 한국작물학회 2023 한국작물학회지 Vol.68 No.3

        밀 등숙기 강우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백립계인 조경과 적립계인 황금알을 이용하여 출수기 이후 시기별 인공강우처리에 의한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자 단면은출수기 이후 35일부터 분상질화되기 시작하였고, 출수기이후 40일부터 ΔL값과 ΔE* ab 값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출수기 이후 55일에 조경은 종자 단면 전체가 분상질화 되었지만, 황금알은 초자질 비율이 높게 유지되어 품질변이에 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종자 내 전분입자 촬영 결과, 조경은 출수기 이후 40일부터, 황금알은 50일부터 A-, B-granule이 분해되는 것을 관찰할수 있었다. 종자 품질분석 결과, 단백질 함량은 처리시기별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회분은 출수기 이후 45일처리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침전가는 출수기 이후 35일부터 감소하였다. 따라서 밀 등숙 전반기에는 강우의 영향을 적게 받지만, 출수기 이후 40~45일부터는 강우에 의한 품질변이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적립계 밀 품종은 백립계에 비하여 수발아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황금알이 조경에 비해 등숙 후반기 강우에도 품질이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밀 종피색와 품질변이 간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Wheat (Triticum aestivum L.) is an important crop in Korea, with a per capita consumption of 31.6 kg in 2019. In the southern region, wheat is grown after paddy rice, and it is harvested during the rainy season in mid-June. This timing, in combination with high humidity and untimely rainfall, activates the enzyme alpha-amylase, which breaks down starch in the wheat grains. As a result, sprouted grains have lower quality and value for flour. However, seeds that absorb water before sprouting are expected to maintain better qualit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ritical period during wheat maturation when rainfall has the greatest impact on grain quality, to prevent price declines due to quality deterioration. Two wheat cultivars, Jokyoung and Hwanggeumal, were grown in a speed breeding room, and artificial rainfall was applied at different times after heading (30, 35, 40, 45, 50, and 55 days). The proportion of vitreous grains decreased from 40 to 55 days after heading (DAH). Both cultivars had chalky grain sections from 35 DAH, with Hwanggeumal having a higher proportion of vitreous grains. Starch degradation was observed using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 40 DAH for Jokyoung and 50 DAH for Hwanggeumal. Color measurements indicated increased L and E values from 40 DAH, with rain treatment at 55 DAH leading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L values for both cultivars. Ash content increased at 45 DAH, whereas SDSS decreased at 35 DAH. Overall, grain quality from 40 DAH until harvest was found to be affected to the greatest extent by direct exposure of the spikes to moisture. Red wheat showed better quality than white wheat.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cultivation of high-quality wheat and can guide future research efforts in this area.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박현진(Hyeonjin Park),고현국(Hyunkook Ko),권동택(Dongtaik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공식 문서에 기재된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생태전환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literature review)이다. 자료 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이루어졌고 학술지에 등재된 학술논문이 수집되었다. 문헌 선정 기준은 일반교육 범주에서 생태전환교육을 다루고 있는 연구이고, 눈덩이 표집(snow balling) 전략을 사용해 배제되는 논문이 없도록 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 내용은 자체 제작한 코딩 표에 정리하여 코딩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초까지 꾸준히 진행되어왔으며, 시기마다 ‘홀리스틱 교육’, ‘지속가능성 교육’ 등 연구의 중점이 조금씩 달랐다. 둘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중등교육보다 유아교육이나 초등교육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었고, 학교 간 연계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보다 문헌 연구 방법으로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2020년대 이후 발간⋅출판되는 연구 동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고, ‘지속가능’, ‘변화’, ‘변혁’ 등 대체 주제어를 사용하여 문헌 고찰을 수행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연구 시기와 대상, 연구 방법 기준이 아닌 다른 기준이나 변수를 설정하여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Sinc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as used in official docu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the term are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set with the purpose of systematically identifying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riving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ata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The literature selection criterion was whether it deals with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general education category, and a snowballing strategy was used to ensure that no papers were excluded.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contents were organized in a self-made coding table,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by comparing coding valu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20s, and the focus of research wa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period, such as ‘holistic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Second,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relatively more activ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elementary education than in secondary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Third,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conducted mor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an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it. Second, based on this study,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by focusing on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ublished after the 2020s. Third,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review literature using alternative keywords such as ‘sustainability’, ‘change’, and ‘transformation’. Fourth,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y setting new standards or variables.

      • KCI등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교사의 직무만족 및 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

        박현진(Park, Hyeonjin),고현국(Ko, Hyunkook),장영수(Jang, Youngsu),정진욱(Jung, Jinwook),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난 시점에서 교육의 주요 주체인 교사와 학생이 코로나19로부터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1년 5월 9일부터 14일까지 초등교사 75명, 초등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 교사 직무만족, 학생 학교생활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코로나19 스트레스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로 인한 어려움이 코로나19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교사에서 더 컸다. 둘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교사의 직무만족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 요인들 각각에 대해 분석하였을 때 발전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업무부담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사이에는 낮은 수준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초등학생보다 코로나19 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사의 업무 고충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교사에게 코로나19 상황은 스트레스로 다가오지만, 그들은 그것을 성장의 발판으로 삼고 자기 계발 및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새로운 형태로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가고 있으므로, 학교와 교사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심리 요인을 유지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OVID-19 str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VID-19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ill als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subjects completed a 5-point scale online questionnaire. All 75 teacher questionnaires and all 222 studen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full with no exceptions, and the responses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VID-19 stress felt by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gree to which fear of infection and difficulties of social distancing affect COVID-19 stress, in particular, was greater i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However, when analyzing each of the sub-factors of teacher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orkload. Last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COVID-19 stress more so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a specific solution to teacher’s work grievances should be prepared as a policy. Second, the COVID-19 situation comes as a stres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ever, they are using said stress as a stepping stone for growth and making efforts for self-development whilst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future COVID-19-related obstacle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djusting to school life in a new form despite the COVID-19 situation, so schools and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maintain a positive mindse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이종 그래프상의 비유클리디안 데이터 분석을 위한 쌍곡 그래프 변형 인공 신경망

        이승훈(Seunghun Lee),박현진(Hyeonjin Park),김현우(Hyunwoo J Kim)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8 No.2

        합성곱 기반인 합성곱 인공 신경망(CNNs)은 이미지 분류, 이미지 생성, 시계열 분석 등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유클리디안 공간과는 달리 그래프와 같은 비유클리디안 공간에서는 합성곱을 바로 적용할 수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으로 합성곱을 그래프 상으로 확장하였으며, 다양한 그래프 인공 신경망(GNNs)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그래프 인공 신경망 연구는 간선의 타입이 하나인 동종 그래프 분석에 국한되어 있는데 반해, 현실의 데이터는 간선의 타입이 많은 이종그래프 데이터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기존의 그래프 인공 신경망으로 해결하려 하면 큰 왜곡이 생기게 된다. 본 연구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이종 그래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그래프 변형 네트워크(GTNs) 모델과 쌍곡 그래프 합성곱 네트워크(HGCNs) 모델을 통합하여 새로운 모델인 쌍곡 그래프 변형 네트워크(HGTNs)를 제안한다. Convolution Neural Networks (CNNs), which are based on convolution operations, are used for various tasks in image classification, image generation, time series analysis, etc. Since the convolution operations are not directly applicable to non-Euclidean spaces such as graphs and manifolds, a variety of Graph Neural Networks (GNNs) have extend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o homogeneous graphs, which has a single type of edges and nodes. However, in real-world applications, heterogeneous and hierarchical graph data often occur. To expand the operating range of GNNs to the graphs that have multiple types of nodes and edges with the hierarchy, herein, we propose a new model that integrates Hyperbolic Graph Convolution Networks (HGCNs) and Graph Transformer Networks (GT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