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관계에 대한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의 인식 연구

        박향경(Park, Hyang Kyung),권자영(Kwon, Ja 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본 연구는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의 실천관계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정신보건 실천현장에서 이들의 바람직한 실천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어떠한 이해와 노력이 필요한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초점집단면접방법(FGI)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에서 사례관리경험이 있는 정신보건전문요원 세 집단 20명과, 연구참여 당시 사례관리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두 집단 11명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통범주는 ‘좋은 실천관계에 대한 인식’, ‘실천관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사례관리자ㆍ정신장애인’, ‘실천관계에 영향을 주는 기관환경’으로 도출되었으며, 연구참여자 군에 따라 정신장애인 영역에서는 ‘사례관리자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사례관리자 영역에서는 ‘이상적인 실천관계’ 범주가 각각 다르게 도출되었다. 주제 분석의 결과를 통해 실천관계에 있어서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정서적 유대 등 관계를 촉진하는 실제관계(real relationship)의 중요성과 ‘가족처럼’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관계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바람직한 실천관계 형성을 위한 기관의 물리적 환경과 사례관리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근무환경,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실천적 제언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by exploring the perception of case managers and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of their working relationship, explores what understanding and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best working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Data were collected using FGI which was analyzed through the subject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3 group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at have had case managing experience in mental health centers and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2 groups of mentally disabled persons who were using case managing service during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participants’ testimonies, the common categories that were extracted were ‘perception of a good working relationship,’ ‘case manager/mentally disabled person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working relationship,’ ‘facility environment that influences the working relationship,’ and different categories were discov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y the case manager’ for mentally disabled persons, ‘ideal working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bject analysis, the importance of re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case manag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relationship represented by ‘family-like,’ and working environment and policy support for the good working relationship were found, and practical sugges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인터넷 토론방 댓글에 나타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대중의 인식

        박향경(Park Hyang-Kyung),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1

        본 연구는 최근 발생한 일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복지지원금 횡령사건과 관련하여 인터넷 토론방에서 논의된 댓글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댓글분석 결과, 토론방 댓글 참여자들은 우리나라 공공복지 최일선에서 공무원과 사회복지사라는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사회복지제도를 비롯하여 공무원제도의 희생자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사는 공공영역에서도 여전히 전문직이라기보다는 개인의 희생과 헌신을 앞세운 도덕성이 강조되는 봉사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회복지계의 노력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Recently, there were some welfare embezzlement cases of public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ublic perceptions of public social workers by analysing the comments named "datgeul" in the internet media discussion rooms("toronbang") about welfare embezzlement cases of public social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discourse about public social workers to perform a dual role as the public servants and social workers on the front line of public social welfare is that they are the victims of both a public official system and welfare administration system. In addition, social workers in public sphere are still recognized as service personnels with sacrifice and commitment rather than as professional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o improve public perception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어머니가 경험한 가족생활 내러티브탐구 -폭풍우가 휩쓸고 간 숲 드러난 뿌리로 부둥켜안으며 지켜오다-

        박향경 ( Hyang Kyung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2 No.-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가족구성원들과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탐구로 수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남편, 다른 자녀들과 생활하며 20년 이상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봐온 어머니와의 심층인터뷰, 관찰, 연구일지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가족생활의 의미는 “ 폭풍우가 휩쓸고 간 숲, 드러난 뿌리로 부둥켜안으며 지켜오다 ” 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의 삶을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한 돌봄제공자 친화적인 정신보건정책의 필요성과 정신장애의 만성화 과정에 따른 가족지원서비스의 다양화 등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 depth and undertand what experiences a mother of an adult-child with mental disorder has gone through and how their lives have ever been changed for 20 years in the flow of time and space since the outbreak of a child``s mental illnes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he narrative inquiry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The meaning of living family experiences derived from narratives of participants was "a forest swept by the storm is keeping and embracing with exposed roo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e and policy strategies that help the families who living with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

        박향경(Park, Hyang Kyung),권자영(Kwon, Ja 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4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을 하는 사회복지사의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과 그 이후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서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살이나 사고사가 아닌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을 경험한 7명의 사회복지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클라이언트 생존 당시 사회복지사와의 관계, 클라이언트 죽음 이후 심리적ㆍ정서적 경험, 클라이언트 죽음과 그 이후 기관의 지원 경험, 클라이언트 죽음 이후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변화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을 경험한 사회복지사는 슬픔, 상실감, 죄책감 등 심리적ㆍ정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업무환경에서의 공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경험하였다. 또한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을 통해 그간의 사회복지실천을 성찰, 노년기의 특성을 반영한 실천을 하게 되었고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는 경험을 하였다. 그러나 기관환경에서 충분히 공감을 받지 못한 경우 실천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조직에 냉담해지는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클라이언트의 죽음이라는 위기상황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실천현장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depth by the phenomenological study who lost their elderly clients because of death. For the study purpose, the elderly who died of suicides and accidents were excluded. We selected 7 social workers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deaths of elderly clients. The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by differentiating before and after client’s death. Before clients death, the main question was related wit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clients. After clients death, we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workers, agency’s posthumous support, changes in the social worker’s practices and so on. As a result, the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elderly client’s death underw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sadness, sense of loss and guilt, further realized the importance empathic approach in the working environment. Also, it is found that the workers who lost their clients due to death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carrying out practice with consideration of the traits of old age and g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However, workers who did not receive sufficient support from the agency tend to experience burn out and indifference toward the organizati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the crisis because of elderly client’s death.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주거환경변화가 거주장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박향경(Park, Hyang Kyung),권자영(Kwon, Ja Young),최명민(Choi, Myung M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4

        본 연구는 장애인 인권 차원에서 진행된 대규모생활시설에서 소규모생활시설로의 전환이 지적장애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최근 주거환경의 변화를 경험한 한 시설을 선정하여 기관 종사자와 거주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별인터뷰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고 기관방문 및 관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생활시설에서 거주장애인의 삶이 “관리되는 시설생활”이었다면 소규모거주시설로 이주 후의 삶은 “함께 살아가는 가정생활”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주거환경의 변화를 통해 거주장애인은 개인공간의 소유를 통한 사생활 보호, 일상생활에 대한 자발성 증진, 개별 돌봄으로 인한 정서적 안정, ‘우리집’에 대한 소속감 강화 및 이타적 상호작용 향상 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물리적 환경의 변화 뿐 아니라 이로 인한 종사자와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질의 변화에서 비롯되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고 소규모시설 전환에 관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to explore how the change from large scale to small scale residential facilities, a decision based on human rights considerations, affect the liv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facility that recently experienced conversion was selected,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ts staff and resident disabl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facility visits and observations, which were analyzed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ives of resident disabled in large scale residential facilities, previously “managed,” transformed into “living together in family life“ after moving into a small scale residential home. Thus, this change in residential environment allow resident disabled to experience privacy by owning individual space, enhancement of voluntarism in daily life, emotional stability due to individual care, strengthening of membership to “our home,” and improvement of altruistic interactions. Also, these changes arise from not only a change in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ff and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considered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related to conversion to small scale residential homes.

      • KCI우수등재

        Lefebvre의 공간이론에 근거한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가능성 탐색

        최명민(Choi, Myung Min),박향경(Park, Hyang Kyung),이현주(Lee, Hyun Ju)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4

        최근 공간에 대한 사회과학연구는 권력과 억압, 자원분배 등 권력관계 분석에 토대를 둔 사회적 공간 개념에 기초하여 공간에 작동하는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는 데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사회복지에서는 정작 현대 공간학에 대한 이해를 담보하지 못 하고 공간을 중성적이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이해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공간사회학자인 Lefebvre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공간담론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근거하여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의 개념정립을 시도하였으며, 실제 사회복지현장사례를 통해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이 대안적 방법론으로 가질 수 있는 함의를 논하고 그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 social studies on space have focused on changing the social relations that activate in space. In general, these studies have been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space on which is grounded the power-relation analysis such as power, oppression, resource allocation, and so on. Social work practice has traditiona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 beings. Nonetheless, social work practice has tended to comprehend space in a neutral and abstract way because it has insufficiently considered modern spatial theor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ing on Lefebvre’s social space theory reviewed the contemporary discourses on space in the area of social work practice. Following the review,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ases in social work field and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SSWP”.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delivered the implications of 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 as an alternative method and suggested the practical direction of SSWP.

      • KCI등재

        실종아동부모가 경험한 가족의 삶

        권자영 ( Ja Young Kwon ),박향경 ( Hyang Kyung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가족복지학 Vol.48 No.-

        본 연구는 자녀실종이후 실종아동부모가 경험한 가족의 삶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실종아동가족의 부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자녀실종이후 부모의 가족생활경험을 자녀의 실종당시, 자녀 찾기와 남아있는 가족 사이, 가족을 지키기 위한 노력과 앞으로의 삶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갑작스런 자녀의 행방불명으로 ‘청천벽력의 생이별’의 자녀실종을 경험하였다. 이후 실종자녀를 찾는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터전은 황무지화되고, 가족의 삶은 자녀가 실종된 그 때의 시간에 갇히게 되고, 부부관계의 파국과 심신의 황폐화에 이르는 위기에 맞닥뜨리게 되는데 이는 ‘생지옥의 아비규환’으로 체험되고 있었다. 결국 연구참여자들은 생지옥 속에서 살아내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가족 스스로 ‘자력갱생’의 노력과 자조모임, 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이는 ‘지옥에서 붙잡은 지푸라기’로 체험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의 현재와 앞으로의 삶은 ‘놓을 수 없는 손’인 실종자녀를 찾는 일과 ‘놓칠 수 없는 손’인 남아 있는 가족과의 ‘공존공생’으로 체험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기에 노출되어 있는 실종아동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가족사회복지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epl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the family life of parents after their children goes missing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Eight different parents of missing childre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family life experience of parents after their children goes missing was considered in four different aspects: at the time of the child’s disappearance, balancing between child-searching and caring for the remaining family, efforts to maintain the family, and the days to com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a“heart-wrenching separation like a bolt from the blue”due to the sudden disappearance of their children. Afterward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missing child, the living found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lay in waste, family lives became trapped in the moment of the child’s disappearance, and the parents encountered crises of destruction of marital relation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astation, which were all experienced as“hellish pandemonium.”Eventually,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efforts to survive this living hell. Research participants utilized self-reliance efforts, self-support groups, and family support services during this process, which were experienced as“last-ditch efforts to clutch at any straws.”The present and future live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erienced as searching for“the one they cannot give up”and “coexisting symbiotically”with the remaining family, “the ones they cannot lose.”Finally, the implications for family social welfare in order to support families of missing children exposed to dangers are discussed.

      • KCI등재

        1인 가구의 연령계층별 자살 생각 비교연구

        송나경(Na Kyoung Song),박향경(Hyang Kyung Park),노재성(Jai Sung Noh)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1인 가구 형태에 주목하여 연령에 따라 청년, 중ㆍ장년, 노년층으로 집단을 나누고, 집단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2017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혼자 사는 청년보다 중ㆍ장년과 노년의 자살 생각 경험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계층에 따라 자살 생각에 차이가 있으며, 연령계층별 자살 생각 영향요인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에 따라 공통으로 자살 생각에 가장 큰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우울감, 일상생활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 1인 가구에서는 공통요인을 제외하고 걷기운동 빈도가 자살 생각과 연관이 있었다. 중ㆍ장년 1인 가구의 경우 배우자, 경제적 특성, 흡연, 그리고 사회활동참여 및 가족, 이웃, 친구와의 연락 빈도가 자살 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으며, 65세 이상 노년 1인 가구의 경우 소득과 직장 유무의 경제적 특성과 고위험 음주, 걷기운동의 빈도 및 사회활동참여빈도가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1인 가구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지금 이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1인 가구의 연령계층별 특성 및 욕구를 고려한 사회복지 차원의 예방, 관리 대책의 필요성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thought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ged 19 and older. Using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grouping them into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it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suicidal thoughts by age groups. Suicidal thoughts rate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 adults. Also, according to age group,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uicidal thoughts associated factors. Depress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al thoughts regardless of the age group. Except the common factors, the frequency of walking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suicidal thoughts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middle-aged people in single-person households, spouse, economic status, smoking,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neighbors, and friends were statistically related to suicidal thoughts. In case of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income, employment status, high risk drinking, the frequency of walking exercise, and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suicidal thoughts. This study finding shed light on single-person household s psychological difficulties. It also discusses social health and welfar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