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농지아러(農家樂) 관광을 통해 본 시장사회주의 중국의 도농관계와 소비의 정치학

        박충환 ( Choong Hwa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3

        농지아러는 개혁개방 후 눈부신 경제성장과 함께 급증한 중국의 도시중산층들이 ``농가원``(農家院)이라는 농가민박집에서 ``농가반``(農家飯)이라는 중국판 ``시골밥``을 즐기며 여가를 보내는 독특한 형태의 농촌관광 현상을 가리킨다. 이는 지난 20여 년간 중국의 도시중산층에게는 하나의 새로운 여가문화로서 또 농민에게는 새로운 자영업의 한 형태로서 급속한 성장을 해왔다. 이 글은 북경시 근교 안서 계곡을 중심으로 행한 약 14개월간의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토대로 농지아러 관광의 중층적 의미를 중국 정부의 농촌 발전 어젠다 그리고 여가확대를 통한 소비촉진정책과의 연관성 속에서 조명하고 있다. 이 글의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농지아러의 문화적 테마와 중국 정부의 농촌 발전 어젠다에 투사된 도농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적 도농관계의 성격과 그 문화적 심급을 파악하고, 농지아러 관광, 중국 정부의 농촌 발전 어젠다 그리고 여가확대를 통한 소비촉진정책이 맞물리는 접합의 장을 조명한다. 둘째, 농지아러, 농촌 발전 어젠다, 소비의 정치학이라는 세 개의 상이한 축이 교차하고 경합하는 장에서 개혁개방 이전 사회주의 중국을 떠받치고 있던 생산자로서의 금욕주의적 인간형을 대체하고 하나의 새로운 인간형, 즉 끊임없이 여가와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로의 쾌락주의적 인간형이 탄생하고 있는 과정과 그 정치적 함의를 탐구한다. Drawing on some fourteen months of ethnographic fieldwork in Yanqi Valley, 70km north of Beijing, this article explores a Chinese version of rural tourism called nongjiale(delights in farm guesthouses). Nongjiale tourism has been booming over the last two decades not only as a new form of holiday-making among members of the urban middle-class Chinese but also as a viable family enterprise among millions of peasants in China. In this article, I illuminate nongjiale`s cultural and political articulation with the state agenda of rural development and the politics of consumption in market-socialist China. In so doing, I highlight the changing nature of China`s rural-urban relations and the emergence of a new politico-cultural regime that replaces the old Maoist subjectivity of socialist production and asceticism with a newly hedonistic subjectivity of leisure and consumption.

      • KCI등재

        대구근대골목투어

        박충환(Park, Choong-Hwan)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2

        대구근대골목투어는 대구광역시 중구 원도심 일대의 구불구불한 골목길을 따라 걸으며 골목 곳곳에 산재해 있는 근대적 시간의 흔적들을 탐방하고 감상하는 도심 문화유산관광의 한 형태이다. 대구근대골목투어(이하 골목투어)는 유무형의 역사문화콘텐츠를 문화상품의 형태로 생산․소비하는 문화유산관광의 한 장르로서, 관광산업 일반에서 관찰되는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의미심장한 정치적․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골목투어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특수성을 보여준다. 첫째, 주로 정부와 자본에 의해 기획되고 관리되는 일반적인 문화유산관광과 달리 그 단초가 민간주도의 시민문화운동을 통해서 마련되었다. 둘째, 스펙터클하고 기념비적인 유적지가 아니라 도심의 평범하고 일상적인 골목길을 그 공간적 맥락으로 삼고 있다. 골목투어는 바로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해 오히려 훨씬 더 복잡하고 의미심장한 정치적 지형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 글은 골목투어의 정치적 지형을 공간의 박물관화와 스토리텔링의 정치라는 측면에서 조명하는 연구이다. 골목투어는 2001년 민간주도 시민문화운동의 형태로 시작해서 2007년 대구시 중구청의 도심재개발 프로젝트에 편입되면서 공식적인 문화유산관광으로 제도화되었다. 이 연구는 먼저 골목투어의 이와 같이 독특한 진화궤적을 추적함으로써 그 장에서 전개되어온 기억과 재현의 정치를 포착하고, 그것이 대구 지역사회에서 발휘해온 정치적ㆍ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조명한다. 다음으로 골목문화해설사 스토리텔링의 서사구조에 대한 담론분석을 통해, 골목투어가 대구의 정치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대구 지역정체성이 형성, 경합, 재생산되는 의미심장한 정치적 장 중 하나임을 밝힌다. Daegu Modern Alley Tourism(DMAT) is a form of Cultural Heritage Tourism(CHT) in which tourists walk along the complex web of meandering old alleys in the old town district of Daegu City and appreciate material and discursive traces of early modern times scattered in every nook and corner of the alleys. As a genre of CHT that produces and consumes cultural heritages in a form of cultural commodity, DMAT involves not only the economic and pragmatic effects observed in general tourism industries but also assumes significant political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DMAT registers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irstly, unlike the typical CHT designed and administered by the government and the capital, it has evolved from a civil cultural activism. Secondly, its spacial context is not a spectacular and monumental site of history but the space of ordinary alleys in the old town of Daegu City. Due to these particularities, DMAT constructs a far more complex and significant political landscape. This article, based on historical-anthropological methods, illuminates the political landscape of DMAT in terms of two analytical concepts, the museumification of space and the politics of storytelling. DMAT originated from a civil cultural activism led by a dozen of local college students in 2001 and has been institutionalized since 2007 as a form of CHT, being included in the Old Town Re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by the Central District Government of Daegu City. By tracing the unique historical trajectory of DMAT, this study attempts to capture the politics of memory and representation having been unfolded in the field of DMAT and examine its political-ideological implications in the regional society. And with a discourse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storytelling practiced by DMAT tour guides, it demonstrates that DMAT is a dynamic political arena in which the local identity of Daegu City is formed, contested, and reproduced in conjunction with the city’s politico-economic context.

      • KCI등재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궤적 ― 근대전환기에서 사회주의시대까지

        박충환(Park, Choong-Hwan)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3 No.-

        This article aims at illuminat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China s rural-urban relations in terms of three historical periods, the era of Modern Transition, the Republican China, and the Socialist China under the Maoist regime. The era of Modern Transition was the time when the traditional form of sociocultural continuum between the city and the country was gradually dismantled and the modern form of rural-urban distinction and inequality was formulated. The Republican China witness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rural-urban relations as a result of the cultural reconfiguration of the city and the country in terms of social evolutionist conceptual framework adopted from the West. Accordingly, China s countryside began to be represented as the locus of feudal backwardness and ignorance and the city as the symbol of progress and the site of modernity. In the Socialist China, the rural-urban relation was constructed upon a seemingly incompatible ideological and cultural ambivalence, and it registered its dramatic form in the so-called up-to-the mountain, down-to-the village campaign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China s rural-urban relations traced by this research is to be a critical intellectual jumping board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ruality and urbanity and its multiple implications in the political-economic and cultural landscape of Chinese society today. 본고는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변화궤적을 근대전환기, 중화민국시대, 마오쩌둥 치하 사회주의시대로 구분해서 추적함으로써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조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근대전환기는 전근대 중국의 도농관계를 특징지었던 사회문화적 연속체가 해체 되고 근대적 도농이분법과 도농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단초가 마련되는 시기였다. 중화 민국시대에는 중국경제가 세계 자본주의 체제로 본격적으로 편입되고, 서구로부터 사회진화 론의 개념적 프레임이 도입되면서 도농관계가 문화적으로 급격하게 재구성되는 시기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도시는 진보의 상징이자 모더니티의 소재지로, 농촌은 봉건적 낙후성과 무지 몽매의 장으로 정의되고 재현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시대 중국의 도농관계는 표면적으로 양립 불가능할 것 같은 이념적 양가성을 통해 구성되었고, 이는 문화혁명기에 절정에 이른 상산하향운동을 통해 극적인 형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조명한 중국 도농관계 변화의 역사적 궤적은 오늘날 중국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과 그것이 중국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지형에서 갖는 중층적 함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적 발판을 제공해줄 것이다.

      • KCI등재

        인류학의 비교문화론적 관점에서 본 장태문화(藏胎文化)

        박충환 ( Choong Hwan Par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8

        이 연구는 세계 장태문화에 대한 인류학의 비교문화론적 접근으로서 크게 두 가지 목적 하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지구상의 다양한 사회에서 발견되는 장태문화, 즉 태반(胎盤)의 처분과 관련된 광범위한 문화적 담론과 실천의 체계를 인류학의 비교문화론적 관점을 통해 조명한다. 둘째, 이를 토대로 조선왕조 태실이 인류문화의 보편적인 맥락에서 가질 수 있는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함의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보다 진일보한 연구를 위한 지적 발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공시적으로는 아프리카, 아메리카, 호주, 아시아, 유럽등지에 분포하는 수많은 종류의 문화집단과, 통시적으로는 고대부터 당대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시대의 다양한 장태문화를 비교분석한다. 이러한 비교문화론적 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인류사회에서 태반은 출산이 수반하는 단순한 생리적 부산물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삶과 사회관계 그리고 세계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종교적 신앙의 대상으로 의미심장한 주술적 힘을 발휘하며, 인간과 자연 더 나아가 인간과 우주의 상징적 연결고리로서 중요한 사회문화적·정치적인 함의를 가지고 있음을 밝힌다. 이에 입각해서 한국의 장태문화, 특히 조선왕실의 장태의례와 태실이 조선의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우주론적 질서와 복잡하게 맞물려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함으로써 향후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has two main purposes. Firstly, it examines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of anthropology placenta cultures around the world, a wide range of cultural discourses and practices dealing with the human placenta. Secondly,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it attempts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jumping-board for further studies of the royal placenta rituals and placenta burial sites of the Joseon Dynasty by interpreting their deep and polysemic implications. To do this, this article analyzes a great variety of placenta dealing cultures around the world from the archaic time to the modern era. With this comparative analysis, it demonstrates that the human placenta is not a mere by-product of biological reproduction, but has multi-layered symbolic, social, politico-economic, and even cosmological significances. That is to say, the human placenta symbolically represents and reproduces the cultural value, social relation, and cosmology of a certain cultural group; exerts a significant magical power as an object of religious worship; and has complex sociocultur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s a symbolic link between the human, the nature and the cosmos. As a conclusion, it suggests some possible research questions for deeper and more holistic approaches to the royal placenta rituals and placenta burial sites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홍색관광과 기억의 정치학: 개혁개방 후 중국, 가까운 과거와 관계 맺기

        박충환 ( Choong Hwan Park ) 현대중국학회 2011 現代中國硏究 Vol.13 No.1

        이 글은 최근 중국에서 크게 붐을 일으키고 있는 홍색관광에 관한 문화인류학적 연구이다. 홍색관광은 사회주의 혁명 영웅들의 탄생지나 기념관, 홍군의 대장정 루트, 국공내전과 항일전쟁 전적지 등을 찾아 사회주의 혁명의 영광과 중국공산당의 업적을 되새기고 학습하는 활동을 테마로 한 중국 특유의 문화유산관광이다. 현대적 관광의 대표적 장르 중 하나인 문화유산관광은 과거를 문화상품의 형태로 재현·소비하는 활동으로서 일차적으로 시장과 상품관계에 편입되어 있는 경제적 과정으로 드러난다.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본질적으로 선택적이고 가치가 개입된 문화적 과정으로서 과거의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기억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다양한 힘들이 경합하는 복잡한 ``기억의 정치학``을 수반하기도 한다. 이 글은 중국판 문화유산관광인 홍색관광을 기억의 정치학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개혁개방 후 시장사회주의 중국이 개혁개방 이전 그리 멀지 않은 과거와 관계 맺는 방식을 포착하고, 그것이 당대 중국사회의 변화하는 물질적·상징적 질서 속에서 갖는 함의를 조명한다. This article is an anthropological study of an interesting tourism called "red tourism"(hongse luyou) which has been booming over the last two-decades in China. Red tourism is a form of heritage tour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matizing the activities of remembering and learning the glory of China`s socialist revolution and the historical achieve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hile visiting various historical sites such as the birth places of China`s revolutionary heros, the routes of Red Army`s Long March, and the battle fields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Chinese civil war. Heritage tourism, a symptomatic genre of modern tourism, is predicated upon the representation and consumption of the past in a form of cultural commodity, and first of all manifests itself as an economic process articulated with market and commodity relations. As an essentially selective and value-charged cultural process, however, it also involves the politics of memory in which many different gazes and forces compete over how and which parts of the past should be remembered or recalled. By analyzing red tourism in terms of the politics of memory, this article captures how post-reform China relates to, and deals with, its near past of socialism and revolution, and illuminates its multi-layered implications in the rapidly changing material and symbolic order of China today.

      • KCI등재

        연구논문 : 따자이(大寨) 모범촌의 공간적 변용과 모델의 정치학

        박충환 ( Choong Hwa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1

        이 글은 마오쩌둥 시절 사회주의적 농촌 현대화의 모델이자 정치적 순례지로서 전국적인 명성을 날렸던 따자이 모범촌의 역사적 변화 궤적을‘공간의 사회적 생산’과‘모델의 정치학’이라는 측면에서 추적하는 공간인류학적 연구이다. 따자이 모범촌은 개혁개방후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하에서 쇠락하다 최근 중국에서 붐을 일으키고 있는 홍색 관광지로의 변모를 통해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이 글은 따자이 모범촌이 관광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공간적 변용의 원리와 그것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모델의 정치학이 개혁개방 후 중국 사회의 급변하는 정치경제적·문화적 지형을 이해하는 데 의미심장한 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가정으로부터 먼저 따자이 마을의 공간적 변화와 그것을 규정하는 다양한 실천과 담론들을‘공간의 사회적 생산’이라는 개념적 프레임을 통해 포착한다. 다음으로 따자이의 공간적 변용과‘장소 만들기’과정에 개입하고 있는 여러 시선들의 교차와 경합을 모델의 정치학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공간의 사회적 생산과 국가/ 시장 권력의 연동관계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논의를 통해 오늘날 중국인들의 사회적 삶과 가치를 규정하는 권력관계와 문화적 위계가 따자이 모범촌의 미시적 공간과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물들을 통해 구체화되는 과정을 조명해 본다. This article trac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Dazhai model village in terms of both the social production of space and the dynamics of model politics in contemporary China. Dazhai was the most famous model village of rural development and socialist modernization under the Maoist regime. Its fame and political aura having waned under the rapidly changing field of meaning and power during the first decade of post-Reform China, the village now is on its way to a second ascent to prominence by transforming itself into a“ Red-Tourism”destination.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Dazhai model village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the model politics articulated with this process provide a critical window through which one may examine the changing politico-economic and cultural landscape of Chinese society today. Based on this assumption, it attempts to capture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Dazhai village and the multiple forces that channel this process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social production of space.”Then, it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ocial production of space and China`s state-market forces by illuminating the contesting gazes that inform Dazhai`s spatial transformation and place-making process in conjunction with model politics.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sheds light on the ways in which the cultural hierarchy and power relations affecting the social life and value of Chinese people today are registered through the micro-space of Dazhai model village and the people who live there.

      • 세미워터제트형 연안어선 개발에 관한 연구

        고재용(Jae-Yong Ko),심상목(Sang-Mok Shim),박충환(Choong-Hwan Park),서성부(Sung-Bu Suh),배동균(Dong-Gyun Ba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최근 어선어업 주변환경의 급속한 변화는 기존 어선어업의 구조조정과 새로운 사회, 경제적 환경에 부응하는 선형개발의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서.남해 연안에서 작업 및 항해하는 연안어선들은 노출된 프로펠러에 어망, 로프 등이 감기는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연안어선의 해난사고 방지를 위해 기존 선미형상을 수정한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연안어선을 대상으로 모형시험을 통하여 세미워터제트형 연안어선의 주요성능을 분석, 검토한 것이다. Recently, The fast change of fishing boat fishery surrounding environment is connected by request of fan shape development that meet in restructuring of existing fishing boat fishery and new community, economical surrounding. In southern sea district along the coast work and district along the coast fishing boats that sail to exposed propeller fishing net, rope etc.. cold real condition that accident is increasing every year. This study is thing which analyze main performance of minuteness water jet type district along the coast fishing boat through model examination to propeller protection tunnel sticking district along the coast fishing boat that correct existing stern shape for marine accident prevention of district along the coast fishing boat in viewpoint such as ideal and exam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