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정한 자기용서에 대한 탐색

        박종효(Park, Jonghyo),김수경(Kim, Sooky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진정한 자기용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진정한 자기용서를 거짓 자기용서, 처벌적 자기용서와 구분하고, 진정한 자기용서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정서 및 행동변인과 진정한 자기용서가 행복,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대학생과 대학원생 641명을 대상으로 자기용서, 수치심, 죄책감, 보상행동, 불안, 우울, 분노, 행복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수치심이 많을수록, 죄책감과 보상행동이 적을수록, 용서 받지 못했다고 지각할수록, 거짓 자기용서 수준이 높아졌다. 죄책감과 반추행동이 많을수록, 보상행동과 용서 받지 못했다고 지각할수록, 처벌적 자기용서 수준은 높아졌다. 반면에 진정한 자기용서는 죄책감, 반추행동, 보상행동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용서받았다고 지각할수록 높아졌다. 또한 진정한 자기용서는 행복감을 향상시켜 주고 우울, 불안과 분노는 감소시켜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정한 자기용서의 중요성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variables related to self-forgiveness and impact of self-forgiveness on mental health and happiness, distinguishing ‘genuine’ self-forgiveness from pseudo and punitive self-forgiveness. To pursue this goal, a total of 641 students in currently enrolled in college were administrated with a series of psychological instruments that measured levels of self-forgiveness, rumination, perceptions of perpetration severity, shame and guilt, retribution behavior, happiness, depression, anger, anxiety, and perceptions of being forgiven. Th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eople have higher levels of pseudo self-forgiveness if they perceive to receive less forgiveness from the injured, feel more shame, less guilt and display less retribution behavior. Those who have higher levels of punitive self-forgiveness perceive to receive less forgiveness from the injured, have more shame and rumination, and display less retribu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people are more likely to show genuine self-forgiveness when they perceive to receive more forgiveness from the injured, feel more guilty, have more rumination and display more retribution behavio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enuine self-forgivenes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 KCI등재

        사회연결망분석에 기초한 웹 기반 클래스넷(ClassNet)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종효(Park, Jonghyo),문경숙(Moon, Kyoungsuk),안해정(Ahn, Haijeong),최지영(Choi, Jiyoung),홍경화(Hong, Kyungwha),김진구(Kim, Jingu),최은영(Choi, Eun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lassNet, a Web-based social network analysis(SNA) software program for assessing peer rel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s were utilized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current SNA programs; (b) consultations of tea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c) co-development with software development experts, and (d) development of peer-nomination and self-report measures. The ClassNet program was experimentally implemented in the 12 classrooms and evaluated by the classroom teacher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s. The ClassNet program provides three kinds of information; classroom structural characteristics (i.e. friendship network), classroom-level factors (i.e. anti-bullying norms), and student-level factors (i.e. leadership). According to data analysis and teachers’ evaluations, ClassNet and its instruments were renewed and validated. ClassNet is user-friendly, easily accessible, and free-of-charge, allowing teachers to easily track changes in their classroom and among their students. As a result it helps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and make classrooms safe and positive. Academically, ClassNet provides a sophisticated research tool to better understand peer ecology and dynamics in the classroom.

      • KCI등재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박종효(Park, Jonghy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교의 물리적·사회적 환경이 학교만족도, 학교규칙에서의 일탈, 학교성적 등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자료 중 1차년도 중학생, 인문계 고등학생, 특성화(전문계) 고등학생 각각 2,000명이 보고한 학교환경, 학교만족도 자료와 그들의 교사가 보고한 학생의 성적 및 학교규칙으로부터의 일탈행동을 활용하였다. 학교환경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학교환경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학교만족도는 통합모형이, 학교성적과 학교규칙에서의 일탈은 매개모형이 최선의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학교 만족도는 학교의 물리적 환경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사회적 환경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래관계보다는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만족도를 높이는 데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교규칙에서의 일탈과 학교성적은 또래 관계, 특히 친구의 학교생활 태도가 중요한 설명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는 물리적 학교환경 개선방향과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 또래관계 질 향상을 돕는 학교풍토 형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s aimed at explo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nvironments and school adjustments. School environments consist of environments both physical and social, whereas school adjustment is defined in the three following dimensions: school satisfaction, deviation from school disciplinary rules, and achievement. The first wave of data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vocational high school) were utilized to carry out this study along with their teachers' reports of school achievement and deviation behavior of disciplinary rules in their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conducted to locate the best model of school adjustment among three hypothetical models (i.e. independent, mediational, or integrative). While school satisfaction was best explained with the integrative model, school achievement and deviation from school disciplinary rules wer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 mediation model. Schoo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chool's physical environment on a direct level and b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an indirect level. Peer relations, especially friends' attitude toward school life impacted students' deviation behavior from school disciplinary rules and achievement. This article concludes with implications on educational policies for improving school environment and enha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school (i.e. peer relations, teacher-student relations).

      • KCI등재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심혜미(Haemee Shim),박종효(Jonghyo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이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읽기 부진 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교육적 개입(활용)방안을 탐색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다룬 최근 국외 연구 11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유의한 효과를 유발하는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이 요인이 읽기동기와 읽기능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적 개입 모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은 읽기 부진 학생들에게 책 읽기에 대한 상황 흥미를 유발하여 읽기동기를 높이게 되고 이 때 상황 흥미가 개인 흥미로 발달할 수 있는 보조자의 개입 방식을 통해 읽기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을 위한 단계별 교육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그램 운영안은 국내 읽기부진 학생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effect of reading to dogs, and to suggest applications of reading to dogs for poor readers.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eleven studies were analyzed which examined the effect of reading to dogs and factors were induced which related to significant effects. Then the mechanism of effect of reading to dogs was identified to help poor readers improve their reading abilities. Results According to the mechanism, reading to dogs leads to promote reading motivation among poor readers by facilitating situational interest. And then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ies is achieved by applying interventions which enables to develop situational interest to personal interest in reading. Finally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current study.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reading to dogs based on its hypothetical effective mechanism could be an alternative for domestic poor readers. And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 KCI등재

        또래지위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학교참여의 매개효과와 학교급 차이

        최은영(Choi, EunYou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지위, 학교참여,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와 같은 관계가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래지위는 선호와 인기로, 학교참여는 행동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로 나누어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학교급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클래스넷 3차 년도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054명, 중학교 1~3학년 학생 697명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또래지위, 학교참여,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학교급에 따른 구조모형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참여는 또래지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간의 관계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호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행동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를 완전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기는 학교급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과정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의 경우 인기가 학교참여를 매개하지 않고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생의 경우 인기가 행동적 참여를 완전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er status(preference, popularity), school engagement(behavioral and emotional),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 followed by school-level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third year of ClassNet. It included 1,054 students from grades 4 to 6 in 47 elementary schools; and 697 students from grades 1 to 3 in 30 middle schools. Peer status was measured using the peer nomination method, an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school engagement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er status, school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s followed by the school lev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lationship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er status and school levels. Preference had no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ha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both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On the contrary, the popula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 popula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behavioral engagement. Using multi-group analysis, this research integrated structural and developmental aspec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lso contribut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ocial context and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가해 관련 심리・행동적 특성과 대인관계회복간의 관계: 진정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탐색 연구

        김수경(Kim, Sookyou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누군가에게 잘못된 행동을 한 개인이 진정한 자기용서를 통해 대인관계회복에 이르는 과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연구모형이 실증적으로 타당한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5명(여성 57.9%, 대학원생 14.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자신의 잘못을 전혀 심각한 것이 아니라고 응답하였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경우 등 32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393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신의 잘못에 대한 책임수용, 죄책감과 보상행동은 진정한 자기용서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진정한 자기용서는 피해자와 화해하고자 하는 욕구를 높였으며 타인에 대한 이해와 신뢰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정한 자기용서의 학술적 시사점과 교육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empirically to validate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by which a wrongdoer can restore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genuine self-forgiveness. Participants were 425 college and graduate school students(females:246, males:147)attending K university in Seoul.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i.e. ANOV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with the data from 393 respondents, after subtracting cases where the transgression was not serious or where unfaithful responses were given.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sibility acceptance, guilt, and conciliatory behavior affected genuine self-forgiveness and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desire for reconciliation and trust,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genuine self-forgiveness.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self-forgiveness to cope with wrongdoing and mistakes in a positive and healthy manner can contribute to restor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perpetrator. Furthermo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련성

        심재량(Sim, Jae Rya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계에 대한 학급 갈등규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클래스넷 3차년도 데이터의 일부로서, 전국 소재 총 초등학교 7개교, 52개 학급의 4∼6학년 학생 1,19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또래지명 방식으로 측정한 또래거부, 괴롭힘 피해행동, 괴롭힘 가해행동, 교사-학생 갈등 변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또래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은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학급 갈등규범은 학급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괴롭힘 피해행동의 학급 차이도 유의하였다. 셋째, 다층분석 결과에 의하면, 또래거부가 많을수록, 괴롭힘 피해행동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갈등규범 수준이 높은 학급에서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도 높았다. 특히 또래 거부와 괴롭힘 피해행동의 관계는 학급의 갈등규범 수준이 조절하였다. 즉, 갈등규범 수준이 낮은 학급에 비해, 갈등규범이 높은 학급에서 또래거부는 괴롭힘 피해행동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또래거부가 괴롭힘 피해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학급 갈등규범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해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among schoolchildren and to test whether conflict norms in the classroom moderated this relationship. The analysis used the third year data derived from ClassNet research (Park, et al., 2017)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sample comprised fourth-grade through sixth-grade students in 52 classrooms of 7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N = 1194). A series of multi-level analyses were performed to fulfill the study’s purpose using variables obtained by peer nomination, such as social rejection, victimization, bullying perpetration, and teacher-student conflict. The results found that boys experienced more victimization than girls and peer rej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victimization. Furthermore, conflict norms in the classroo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Peer rej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tent of victimization in classrooms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conflict norms.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significance of conflict norm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a focus on ways that teachers can facilitate healthier classroom environments.

      • KCI등재

        용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긍정심리와 사회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서연(Kim, Seoyon),박종효(Park, Jonghy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7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용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긍정심리(희망, 삶의 의미)와사회역량(대인관계조화, 사회적 유대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에 이용된 용서 프로그램은 역사 교과와 관련된 인물의 이야기에용서를 적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이 용서 프로그램은 역사 교사인 연구자가담당한 한국사 시간과 연계하여 교과수업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일반계고등학교 1학년 학생 189명으로, 실험집단 94명(남, 50명), 통제집단 95명(남, 47명)이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 사후 및 추후점수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는 공분산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긍정심리인 희망과 삶의의미, 사회역량인 대인관계조화와 사회적 유대감 사후, 추후점수는 통제집단의 사후, 추후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용서교육이 용서 강점과 미덕들을 부각시키면서 개인의 긍정적 기능을 촉진하여 학생들의 긍정심리와 사회역량 계발에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용서 프로그램을 교과 시간과 연계하여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는데, 이는 학교 교과교육에서 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삶의 능력을 가르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Forgiveness Program affect positive psychology(hope, meaning of life) and social competence(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connectednes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forgiveness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forgiveness of the characters in the history textbooks. The study targets 94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50 males; 44 females) and 95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47 males; 48 females). Measurements of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a pre-test in May, a post-test in June, and a follow-up test in July. The analysis of the effects were confirmed by ANCOVA. Result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y(hope, meaning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post-test and a follow-up test score. Second, the social competence(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connected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post-test and a follow-up test scor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orgiveness education can be used for students positive psychology and social competency development by promoting individual positive functions while emphasizing forgiveness strengths and virtues.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the forgiveness program in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his provides an important suggestion in that the school curriculum offers one way to teach students the ability to live a healthy and happy lif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최은영(Choi, Eunyou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 기본심리욕구,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도 클래스넷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에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1,133명(여자 50.8%)이 포함되어 있었다. 사회적 성취목표와 기본심리욕구, 사이버 공격성은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외현적 공격성과 대인관계 공격성은 또래지명을 통해 측정하였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사회적 숙달목표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로 구분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는 자율성과 유능성, 관계성으로, 공격성은 외현적 공격성, 대인관계 공격성, 사이버 공격성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사회적 성취목표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숙달목표는 외현적, 대인관계, 사이버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유능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공격성에, 자율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사이버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는 외현적, 대인관계 사이버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유능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공격성에, 자율성을 매개로 사이버 공격성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율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사이버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과 교육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achievement go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ggression in primary school students. Social achievement goals consist of social development goal,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and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 whereas basic psychological needs compris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ggression is classified into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or cyber aggression. This study used ClassNet data in 2019. Participants were 1,133 students (female : 50.8%) in the fourth to sixth grades of primary school. Social achievement go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yber aggression were measured by using self-report instruments, while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were assessed by peer nomination methods.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aggression. Social development goal had a negative effect on overt, relational, and cyber aggression, with exerting influences on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competence, and cyber aggression through autonomy and relatedness.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t, relational, and cyber aggression, with exerting impacts on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competence, and cyber aggression through autonomy. However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 did not directly impact overt, relational, and cyber aggression, but it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yber aggression through autonomy and related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중등학생의 친사회성, 교사학생지지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지위의 매개효과

        권지웅(Kwon, Jiwoo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친사회성 및 교사들의 학생지지가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그 사이에 작용하는 또래지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클래스넷 4차 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박종효 외, 2017)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소재의 초등학생(4∼6학년) 2,485명과 고등학생(1∼3학년) 1.641명 총 4,126명을 분석하였다. 또래지명 방식을 활용하여 변인의 값들을 측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친사회성, 교사학생지지, 또래지위(인기와 선호), 방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사회성인 행동과 교사학생지지는 방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또래지위는 방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지위는 친사회성 및 교사학생지지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친사회성과 교사지지는 또래지위를 향상시키며, 높아진 또래지위는 학교 폭력 상황에서 피해 학생을 돕기 위한 방어행동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status (i.e., popularity, social pref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against bullying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ClassNet, a software program designed to track and analyze social networks in classroom peer groups (Park et al., 2017). A total of 4,126 students (2,4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641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all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the Peer Nomination Method in the current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osocial traits and teacher-student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bully defending behavior. Second, peer status had a direct effect on bully defending behavior. Third, peer status (popularity and social prefer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traits, teacher-student support, and defending behavior. It implies that students who had a high level of prosocial traits and got support from their teacher possessed high status among peers, leading them to defend bully victim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