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란수도 부산의 잡지 창간과 미술가의 활동

        박정회 ( Park Jeong-ho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8 No.-

        6.25전쟁이 발발하자 피란민들에게 삶의 터전이었던 피란수도 부산에서는 폭발적으로 늘어난 인구만큼 정보매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희망』, 『새벗』, 『여성계』, 『문화세계』, 『사상계』 등 다양한 종류의 잡지가 창간되었다. 이때 잡지 출판문화가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발행되는 동향에 힘입어 당시 피란 미술가였던 김환기, 백영수, 이중섭, 천경자, 김병기, 한묵 등은 잡지의 표지화나 삽화 제작으로 출판미술이라는 활동의 영역을 넓혀 나갔다. 전쟁으로 작품활동에만 전념하기 어려웠던 피란 미술가들은 잡지의 표지, 목차, 내용을 꾸며주는 삽화를 그리며 자신의 회화세계를 꾸준히 이어 나갔던 것이다. 피란 미술가들은 전쟁 통에서도 한정된 규격과 낙후한 인쇄기술의 틀 안에서도 확고한 자신의 회화세계의 일면을 드러내거나, 잡지사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하면서 자신만의 특유한 분위기를 잃지 않았다. 또한 서구미술의 흐름을 받아들여 변화를 모색하기도 하였다. 현재 이들이 남긴 삽화는 특정 소재를 반복하여 한 미술가의 예술세계를 상징하는 표상이 되었으며, 이 시기에 차근히 구축해나간 초기 조형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잡지에는 피란 미술가들의 삽화뿐만 아니라 기고글까지 수록되어 있어 현재 한국 근현대 미술의 거장으로 평가되는 이들의 초기 미적 성향과 예술관이 반영된 미술자료로 볼 수 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그들이 전쟁으로 고향을 떠나 당시 기거하고 있던 부산의 정경에 대해 자극을 느끼고, 이를 잡지를 통해 삽화와 글로서 적극적으로 표출시켰다는 것이다. 따라서 잡지를 매개로 당시 ‘부산’이라는 공통된 모티브를 미술가들마다 다양하게 연출하기도 했던 이들이 남긴 삽화는 피란수도 부산이 생성했던 예술사조적 산물로 보아야할 것이다.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various kinds of magazines such as 『Hope』, 『Saebot』, 『Yusungke』, 『Culture World』 and 『Sasang-gyae』 were launched in Busan, where the demand for information media increased by an explosion of population. With the magazine publication culture developing by being founded and issued for various classes in Busan when it was the wartime capital of Korea, refugee artists at the time such as Kim whan-ki, Baek Young-su, Lee Jung-sup, Cheon Gyeong-ja, Kim Byung-ki, and Han Mook expanded their spectrum of activity from production of cover pages and illustrations for magazines to publication art. During the Korean War, artists could not able to support their living expenses. Therefore, they drew illustrations of magazine covers, table of contents, and contents to sustain their life and painting worlds. These artists revealed their clear artistic world amidst limited specifications and old printing technologies during the war, or they accommodated the requests of magazine companies, while maintaining their unique ambience, while also accepting the trends of western art to make their own changes. The illustrations left behind by these artists have become a symbol of artists’ art world by repeating certain materials. That is, these illustration reveal the early world of sculpture that was built in this period. Especially, those magazines contain not only illustrations but also participated artists’ writings, which can be seen as art materials reflecting the early aesthetic tendencies and artistic views of leading artists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What especially stands out is that they were stimulated by the scenery of Busan where they resided away from home because of the war, and they actively expressed it in illustrations and writings through such magazines. Therefore, using the medium of magazines, the artists expressed the common motif of ‘Busan’ in various ways, and their illustrations should be viewed as an artistic byproduct created by Busan as the wartime capital.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