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과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오경희,한대동,박의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2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teacher and the careful classroom behavior of student affect the school violence. Specifically, this study sets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teacher, the careful classroom behavior of student, and the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 experience of school victimization, outsider behavior, bullying assistant behavior, and defending behavior of victim) as key variables and empirically test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m. We construct a survey data set collected from a sample of 1,190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the 6th grade from 12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and Yang-San. In particular, we employ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a number of questions regarding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teacher, the careful classroom behavior of student, and the school viol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teacher exert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careful classroom behavior of student. Second,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teacher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experience of school victimization, outsider behavior, bullying assistant behavior. Third, the effect of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teacher on the school violence is mediated by the careful classroom behavior of students. Specifically,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teacher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bullying behavior, experience of school victimization, outsider behavior, bullying assistant behavior bu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defending behavior of victim. Fourth, the careful classroom behavior of student had a negative a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bullying behavior, experience of school victimization, outsider behavior, bullying assistant behavior but exert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defending behavior of victim.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communal classroom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he careful classroom behavior of student can be a way of preventing school violence.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 학교폭력(가해행동, 피해경험, 방관행동, 가해동조행동, 피해자방어행동)을 주요 연구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찰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과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와 양산시 초등학교 12개교에 재학하고 있는 6학년을 대상으로 1,190명을 표집하였다. 이들에게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 학교폭력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은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은 학교폭력 피해경험, 방관행동, 가해동조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은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를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행동, 피해경험, 방관행동, 가해동조행동에 부적인 간접효과와 피해자방어행동에 정적인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는 학교폭력 가해행동, 피해경험, 방관행동, 가해동조행동에 부적인 직접효과와 피해자방어행동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과 학생의 돌봄적 수업태도가 학교폭력 예방의 한 대처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와 평일이용시간이 놀이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경희,나은경,박의향 육아정책연구소 2015 육아정책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생활시간과 문제행동의 각 하위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고, 육아 지원기관의 이용시작시기와 평일이용시간의 영향이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남녀 성별에 따라서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로는 첫째,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가 빠를수록 유아의 놀이방해행동이 높으며, 육아지원기관 평일이용시간이 길수록 유아의 놀이방해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방해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놀이방해행동에서, 전체 유아와 남아 모두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보다 육아지원기관 이용평일이용시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유아와 남아의 경우,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가 빠를수록, 육아 지원기관 평일이용시간이 길수록 유아의 놀이방해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 유아와 남아의 경우,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보다 육아지원기관 평일이용시간이 놀이방해행동이 높은 유아와 낮은 유아를 구별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육아지원정책의 방향이 진정한 ‘유아 존중의 정책’인지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였으며, 더불어 유아들이 장시간 또는 장기간 육아지원기관에 머무는 것에 관해서 다측면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use of support center for infant childcare and sub-variables of behavior problem. Specifically, we analyze how time spending at the center (i.e., first day of the usage and hours of usage per day) affects the infant child’s play disturbance behavior and see how gender can moderate this relationship. First, we find that the earlier the usage of the support center, the higher infant child’s play disturbance behavior. In addition, longer hours of usage during a day implies more disturbance behavior of child. In particular, male child show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 disturbance behavior compared with the female child. Second, the effect of hours of usage are stronger than that of starting day of usage of both total children and male children. Third, for the case of total children and male children, earlier the first day of usage results in the higher level of play disturbance behavior. Longer hours of the usage per day also presents the same results. Lastly, hours of the usage per day rather than the first day of the usage play significant role for distinguishing children with the high level of disturbance behavior from the ones with the low level among total children and the males.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We urge to reflect whether the present direction of infant child care supporting policy is really appropriate. In addition it is asserted that multifaceted approaches about infants` long-term stay in institution are needed.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교사와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 실천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오경희,한대동,박의향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construc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of the teacher, classroom and school violence (bullying behavior, victimizing behavior) and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In order to construct unique data set, we survey 1,190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Yangsan.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e questions regarding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of the teacher, classroom and school violence. The paper employ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wo unobserved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observed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directly affect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of the classroom. Second, the teacher's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 school violence including both bullying behavior and victimizing behavior. Third,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of the classroom directly affect the experience of bullying and of th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ommunal instructional practices of the teacher and classroom need to be enhanced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school violence.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실천,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실천, 학교폭력(가해행동과 피해경험)을 주요 연구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부산시와 양산시 초등학교 12개교에 재학하고 있는 6학년을 대상으로 1,190명을 표집하여 이들에게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실천, 학교폭력(가해행동과 피해경험)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실천이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실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실천이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피해경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급의 공동체적 수업실천이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감소시키고, 학교폭력 피해를 줄이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학급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