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박완성(Park, wan-sung),김미숙(Kim, mi-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 진로탄력성이 어떤 상관이 있는지,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대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각 변인들의 상호관련성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계획된 우연,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 진로신념, 진로탄력성의 세 변인간의 모두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계획된 우연이 진로신념보다 진로탄력성을 예측하는데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 변인들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계획된 우연에서는 낙관성과 인내심이 진로신념에서는 내적가치와 명확성이 진로탄력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에서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을 합리적으로 전환하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e career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 of university students, and how the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 affect career resili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5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based four-year universities from April to May 2019.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nd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 on career resilience for the inter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The study found that, first, all three variations of planned happenstance, career myth and career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mid-to-long-circulation analysis shows that planned happenstance have greater influence in predicting career resilience than career belief. Third, looking at each of the sub components of the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myth variation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optimism and patience in planned Happenstance were variables that predicted the intrinsic value and clarity of career resilience significantly in career belie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flex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career path, they need to help them rationally transform their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eliefs from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 KCI등재

        코로나19로 실시한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완성(Wan-Sung, Park),종환(Jong-Hwan Park),임영미(Young-Mi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실시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의 경험을 살펴보고 향후 온라인 수업의 학습방향을 찾기 위한 것이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연구 참가자 10명을 모집하였고, 부모와 참가자의 동의를 얻어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사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5단계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여 122개의 개념, 24개의 하위 범주, 7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첫째, 온라인 수업 참가자들이 좋아하는 수업 방식은 짧은 수업,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이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서 얻는 유익함으로는 배움 노트, 노력하는 모습, 학습결과였다. 셋째, 온라인 수업의 학습 환경은 편한 수업, 적응된 수업, 성적 보충이었다. 넷째, 학습 불편감은 수업불만, 과중한 숙제, 부정인식이었다. 다섯째, 성적 부진 이유는 이해 부족, 낮은 집중력, 불성실한 태도, 흥미 잃음이었다. 여섯째, 생활의 변화는 친구 교류, SNS상의 친구, 부모와의 관계, 게임시간 증가, 불규칙한 생활, 건강악화였다. 일곱째, 학교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는 함께하는 수업, 효과적인 수업, 신체활동 수업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의 경험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ducted due to COVID-19, and to find the learning direc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future. Methods For this study, 10 study participants located in Gyeonggi-do were recrui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consent of parents and participants.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ive-step process of Colaizzi 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122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7 supercategories were deriv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class participants favorite teaching methods were short classes and understandable classes. Second, the benefits of online classes were learning notes, effort, and learning outcomes. Third, the learning environment of online class was comfortable class, adapted class, and grade supplement. Fourth, learning discomfort was class complaints, heavy homework, and negative perception. Fifth, the reasons for poor grades were lack of understanding, low concentration, insincerity, and loss of interest. Sixth, the changes in life were friends exchange, social media friends, relationship with parents, increase in game time, irregular life, and deterioration in health. Seventh, the reasons for preferring school classes were together classes, effective classes, and physical activity class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online class experience of elementary and upper grade students.

      • KCI등재

        플립드러닝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 경험과 수업참여를 중심으로

        박완성(Park, Wansung),김효원(Kim, Hyo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관련하여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기반 수업 설계 후 이를 대학수업에 적용하여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S대 재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플립 드러닝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 124명,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통제집단 37명으로 구분하여 대학생이 경험하는 학습(학습동기, 비판적 사고 및 메타인지) 비학습(교수-학습자 상호작용)경험과 수업참여를 중심으로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동기, 비판적 사고 및 메타인지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은 플립드러닝 수업을 적용한 집단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셋째, 수업참여에서도 플립드러닝 수업을 적용한 집단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플립드러닝 수업 적용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플립드러닝 수업이 학습자의 인지사고능력과 사고기술 신장의 학습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수업설계가 선행되어야 하며 둘째,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플립드러닝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which is designed to use in the university classroom. To conduct the research, object of the study was 161 students-experimental group was flipped learning participants of 124 students, and control group was 37 students of instructor-led classroom. For experimental group, flipped learning model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for more than seven weeks. Students are required to watch the video before they come to the class, to apply their learned knowledge from discussion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during the class, and to examine themselves through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fter the class. Here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it did no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in learning motivation, 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in both groups. Secondly, cognizance of teacher-learner interaction of expeimental group showed growth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Lastly, the group of students which applied the flipped learning class proved that the significant increase in classroom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o draw out the implications related to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first, lesson plan which serves flipped learning purpose has to be preceded, therefore the consequence will come up with academic achievement on learner’s cognitive thinking ability and thinking skills. Furthermore, continuous observation is needed since the quality of the lesson is influenced by the progress of lesson from professional teach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완성(Wan-Sung Park),득남(Deuk-Nam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N시 소재의 지역아동센터 중에서 H지역아동센터를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12명을 실험집단으로 S지역아동센터를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12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동질성 검사를 통해 동일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동적학교생활화를 사전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주 1회씩 90분간 10회기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전체 평균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중 만족감과 의사소통 영역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동적학교생활화 검사에서는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들에게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집단원들과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아동의 발달과정을 고려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Methods Among the local children's centers in N City,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H-area children's center were organiz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the S-area children's center were organized as a control group.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ynamic school life were conducted as preliminary tests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a week for 90 minutes. After that, a post-test was conducted on the two groups, a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ults Fir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he overall average self-esteem and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in the dynamic school life tes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able to observe meaningful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ared to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use local children's centers developed self-esteem by gaining positive emotions, confidence, achievement,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s.

      • KCI등재

        집단따돌림 유형에 따른 협동 및 공감기술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박완성(Wan-Sung Park),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 유형에 따른 협동 및 공감기술과 학교생활적응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중 · 고등학교에서 213명의 청소년(중: 106명, 고: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집단따돌림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2단계 군집분석을 사용하였고, 집단에 따른 예측변수의 설명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경험은 협동 및 공감기술과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학교생활적응도와도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집단따돌림 가해군과 피해군은 협동기술의 부족과 관련되며, 가․피해군은 공감기술의 부족과 관계가 있었다. 셋째, 학교생활적응도에 협동과 공감기술은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청소년들의 협동과 공감기술은 집단따돌림의 가해 및 피해경험을 줄이고,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bullying types, collaboration․empathy skills,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search, and asked 213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capital area(middle school: 106, high school: 107). Data Analysis was used a two-step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he type of bullying, explanation of a prediction variable according to the groups were analyzed by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experience of afflicting or suffering from school bullying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aboration․empathy skills, and also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ly, assailant group and victim group of school bullying was related to the lack of collaboration skill, and also related with empathy skill. Thirdly, collaboration․empathy skills was influential factor o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Based on the results, collaboration․empathy skills reduce the experience of bullying,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It confirmed the need for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 학업적·사회적 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박완성(Wan-Sung Park),정구철(Goo-Chur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 대학생활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신입생 654명을 대상으로 2월에 학습전략과 부정적 정서를 조사하였으며, 3개월 후 학기 말에 학업적?사회적 적응과 성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상호작용 효과의 사후분석으로 단순기울기 검증을 수행한 후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전략과 학업적 적응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 정서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에게서만 유의하였고, 사회적 적응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나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학업적 성취에 학습전략과 정서 및 적응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hich impacts learning strategy, negative emotions, and influence that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undergraduates has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ing strategy and negative emotionin February, targeting 654 freshmen of a university in Seoul on their academic and social adaptation and grades which has been measured and analyzed three months later at the end ofthe term.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ders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diagram was presented after conducting the simple gradient verification as a post analysis on interactive effect. As a result of analysis, although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daptation was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affecting grades regardless of gender,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only to females, and the impact of social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only to males, which enabled the researchers to confirm the regulation effects on different genders. The implications and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about learning strategy, emotion, and adapt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discussion of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완성(Park, wan-sung),김미숙(Kim, mi-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어떤 상관이 있는지와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A 고등학생 1학년 168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설문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검정으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교육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세 변인 간의 모두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변인들의 하위요인은 진로교육경험에서는 진로지식정보형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직업정보와 미래계획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긍정적이고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career p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career pepar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in November 2020 on 168 first-year A high school students based in Gyeonggi-do. Statistical analysis used SPSS 25. to conduc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and career peparation behavior dong all showed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variables were sub-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p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information and future plan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i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career peparation behavior school has a full mediated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career peparation behavior f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ounsel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hat can positively and reasonably use and improve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