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미지와 미셀 투르니에

        박아르마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999 학술발표회 연구자료집 Vol.- No.1

        현대문명 속에서 문자언어는 점차 시각언어에 떠밀려 설자리를 잃고 있다. 미래사회에서는 종이 위에 인쇄된 문자 텍스트로서의 책이 사라지고, 대신 책의 각 장들을 자유롭게 넘나들고 때로는 다른 책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가 지배할 것이라고 예견하는 사람도 있다. 아직 문자 언어가 지배적이지만 '비쥬얼'을 지향하는 움직임들은 도처에서 목격된다. 우선 컴퓨터의 운영체계와 통신체계가 텍스트 중심에서 시각중심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그곳에서 우리는 언어가 아닌 창을 통해 세계를 만나고 보게된다. '보는 것'은 '읽는 것' '듣는 것'보다 더 직접적이며 생각의 긴장을 덜 유발하는 것처럼 보이는 까닭이다. 물질 중심적이며 즉각적 감각을 중시하는 사회에서 시각만큼 우월한 감각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사진이 처음 발명되었을 때 그토록 열광했던 것은 보다 저렴한 비용과 짧은 시간에 현실의 대상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해 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진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초상화를 제공해 주었고 원하는 대상을 짧은 시간에 정확히 옮겨 놓아 미술, 건축, 고고학 등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사진이 평면 속에서 대상의 정지된 순간의 한 인상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영화는 대상의 입체적 움직임을 동영상을 통해 표현한다. 동영상에 소리가 더해지면서 탄생한 멀티미디어는 텔레비전, 광고, 인터넷 등의 다양한 매체들 안에서 발전하고 있다. 이제 현대문명 자체와 '시각적인 것'을 구분지어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사람들의 대화 한 복판에서도 '어제 본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지 '들은 것'혹은 '읽은 것'에 대한 이야기는 비중이 덜해 보인다. 모든 사회구조가 시각 중심이 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이미지'다. 이미지라는 괴물이 유령처럼 도시와 사람들 사이를 떠돌고 있다. 현대문명 속에서 범람하는 이미지는 모둔 영상 매체를 지배하고 일상생활의 중심을 차지하여 기호와 상징을 몰아내고 있다. 보고 느끼면 되는 거지 생각하고 이해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우리는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때로는 현실 자체가 이미지와 전도되어 현실을 사는 것이 아닌 이미지화된 현실을 살고 있는 느낌을 갖게 될 정도다. 컴퓨터 속의 가상공간 안에서는 대상들의 직접적인 접촉없는 온갖 욕망들이 분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공간은 현실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을 넘어 현실 자체를 창조하여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우리들의 삶 속에서도 현실에 존재하는 농촌과 전통마을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민속촌과 같은 가상의 마을이 현실을 창조하고 실제처럼 행사한다. 놀이공원들과 박물관의 모형들 역시 현실을 재현해내고 있다기 보다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냄으로써 새로운 현실을 창조해 내고 있다. 온갖 이미지의 언어가 넘쳐나는 고아고는 사람들의 잠재적 욕구를 자극하여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낸다. 광고 속의 이미지들은 사람들의 감각을 지배하여 자신이 창조해 낸 가상의 현실 속에 이들을 가둔다. 사진의 언어 역시 이제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재현해 내는데 만족하지 않는다. 사진은 사람들 각자의 목적에 따라 온갖 이미지들의 조합을 통해 현실을 왜곡하고 욕망을 자극하는 도구로 전락하였다. 영화라는 영상자체도 관객들에게 현실을 왜곡하고 욕망을 자극하는 도구로 전락하였다. 영화라는 영상 자체로 관객들에게 가상의 현실을 마치 실체의 사건처럼 보이게 한다. 영상이 만들어낸 가상이 현실에 길들여진 관객은 오히려 실제의 거리며 사람들이 무대장치처럼 낯설어 보이기도 한다.

      • KCI등재

        쥘 베른의 『녹색광선Le Rayon vert』과‘경이의 여행’ 총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아르마 한국프랑스학회 2017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7 No.-

        Le Rayon vert est un roman de Jules Verne, paru en 1882. Ce roman est regroupé par une collection, les ‘Voyages extraordinaires’. Dans ce roman, le phénomène du rayon vert veut dire le lueur de couleur émeraude lorsque le soleil disparaît juste sur la mer. Miss Campbell déclare à ses oncles qu’elle ne se mariera qu’après avoir vu le rayon vert. Selon les légendes écossaises, le rayon vert permettrait à ceux qui l’ont observé de voir clair en leur cœur. Nous pourrons considerer Le Rayon vert comme “un pèlerinage familial et littéraire” de l’écrivain : Jules Verne est fasciné par la tradition de sa mère qui descend d’un archer écossais et l’écrivains écossais ainsi que Ossian, Walter Scott. Son éditeur Pierre-Jules Hetzel, au lieu de lui faire des compliments sur ce roman, dit que “c’est une jolie oeuvre littéraire très douce, très simple et très fine….” A vrai dire, c’est l’un des rares Voyages extraordinaires dont le thème est différent des autres romans de Jules Verne. C’est-à-dire que Le Rayon vert est publié dans la collection, mais n’est pas le roman d’aventures ni le roman d’anticipation. Généralement on dit que “Jules Verne est optimiste par sa nature en ce qui concerne les destins de l’homme et les progrès de la science.” Mais dans Le Rayon vert nous constatons l’opposition entre le personnage d’Sinclair, artiste rêveur et Aristobulus Ursiclos, scientiste ; Miss Campbell ne prône point la science. L’écrivain aussi ironise sur le scientiste, myope avec des lunettes à monture en aluminium, qui veut expliquer tout le phénomène naturel au point de vue de la science. Il fait de ce scientiste un personnage ridicule. Donc, dans ce roman Jules Verne ne fait des éloges aux progrès de la science. Le Rayon vert n’est pas le chef-d’de Jules Verne et bien différent des autres romans dans les ‘Voyages extraordinaires’. Mais ce roman nous permet de découvrir son regard ironique en ce qui concerne les progrès de la science et les belles descriptions de l’Ecosse : des Hébrides, la grotte de Fingal.

      • KCI등재후보

        웰에이징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 연구

        박아르마,김광환,김종숙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2024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웰에이징 프로그램 참여자의 프로그램 적용과 효과 연구로서 프로그램 개선점 및 활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인원은 총 8명으로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적용과 효과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삶에 대한 개인적인 성찰을 통한 인식변화를 우선순위로 두었으며 진정성 있는 참교육이 진행되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적용과 효과를 중심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성 제시와 교육 대상자들의 웰에징을 위한 표준화 된 교육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웰에이징 기초자료로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gram improvement points and utility as a study on the program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participants in the well-aging program. A total of 8 people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participants prioritized a change in perception through personal reflection on the program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and hoped that sincere true education would proce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standardize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presenting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and well-aging of educational subject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program, and is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presenting the direction as basic well-aging data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한국사회 공동체 관련 요소들의 고찰을 통한 웰다잉(well-dying)과 웰에이징(well-aging) 연구

        박아르마,송현동,권온,김광환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공동체 관련 요소 9개 곧 향약, 두레, 품앗이, 동제, 관례, 혼례, 상례, 제례, 새마을운동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웰에이징, 웰다잉의 관련성을 밝혀 더 나은 한국 사회를 조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동체 항목 9개에 관한 유의미한 접근을 시도한 2016년~2021년에 발행된 논문 45편을 조사하고 분석하 였다. 분석 결과 45건의 사례 중에서 조선시대와 연결되는 경우가 22건, 현대사회와 관련되는 경우가 15건이었다. 또한 삶과 죽음의 대비적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9개 항목 중 6개 항목은 삶과 결속되었고 3개 항목은 죽음과 삶을 포괄하였다. 그리고 웰에이징, 웰다잉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A유형~D유형으로 구체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융복합적 시각을 차용하여 우리 사회가 호혜와 연대의 원리로 사회통합을 이루고 모두의 이익을 나눌 수 있는 진정한 공동체가 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istorically examined nine representative community-related elements such as Hyangyak, Doore, Pumassi, Dongje, Gwallye, Wedding, Funeral, Ancestral Rites, Saemaul Undong, etc. in our society. This study aimed to create a better Korean society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aging and well-dying.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45 recent papers published between 2016 and 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ut of 45 cases, 22 cases are connected to the Joseon Dynasty, and 15 cases are related to modern society. When divided into life and death, 6 out of 9 items were bound to life, and 3 items encompassed life and death. A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aging and well-dying, it was specified as Type A-D. In conclusion, this study allows our society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and share the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and solidarity. This study can contribute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to becoming a true community that can share the interests of the community.

      • KCI등재

        바칼로레아 ‘복합논평’을 활용한 문학 텍스트 분석 방법 연구

        박아르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2 사고와표현 Vol.15 No.3

        이 연구는 프랑스 바칼로레아 논술의 핵심 방법론 ‘복합논평’을 대학 글쓰기교육에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바칼로레아의 프랑스어 시험은 문학작품 읽기 교육을 기반으로 이를 글쓰기 교육과 결합하여 문학 텍스트 분석과논리적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평가하는 시험임을 알 필요가 있다. 바칼로레아 논술에서 문학작품 읽기와 쓰기 능력이 필수적인 이유는 쓰기 자체가 ‘문학적 글쓰기’를 지향하고 있지 않으며 문학의 논제 혹은 제시문에 대한 비평적 이해가 전제가 된 글쓰기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복합논평의 분석 대상 텍스트는 스탕달의 적과 흑, 쥘리앵 그린의 레비아탄,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이다. 분석된 글에서 주된 평가요소는 논평자가 텍스트에 기반하여 주제를 이해하고 분석한 것인지, 논거가 제시문의 문장과 단어에 기반하기보다 인상주의적 읽기를 통해 제시된 것은 아닌지, 주제의 이해와 분석에 있어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글쓰기 교육의 기초는 문학교육’이라는 사실에 동의할 때, 문학비평 교육과글쓰기 평가가 결합하여 있는 ‘복합논평’ 방법론은 우리의 글쓰기 교육은 물론 문학비평 교육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 바칼로레아 논술의 대학 글쓰기 교육 적용방안 연구

        박아르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2

        Current writing education is moving toward learner-centered, but educational content has not yet found a direction between practical or creative writing, process based or theme based writing, and integrated writing or writing in each department, or is following the curriculum of the past. On the other hand, the French baccalauréat essay deals formally with the strict rhetorical methodology and literary analysis theory, as well as the writing theory for the essay. In terms of content, the subject itself is based on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refore, the experience of baccalauréat essay writing, logical and analytical writing methods and related theories, and the case of essay writing in general, which presents one’s thoughts logically by understanding the text or subject, will be a model for ou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baccalauréat essay in France’ was started from this awareness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baccalauréat ‘dissertation’ methodology into our university writing curriculum. In particular, ‘commentaire composé’, ‘dissertation’, and ‘résumé’ presented as a specific methodology for baccalauréat essays deal with reading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so it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paragraph structure(introduction-body-conclusion) education that lacks a practical methodology. However, we believe that in order for baccalauréat essays to b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our curricula 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not only to learn the writing methodology, but also to read books at the minimum liberal arts level, including literature and philosophy education. 현재의 글쓰기 교육은 학습자 중심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교육 내용은 실용적 혹은 창의적 글쓰기, 과정중심 혹은 주제중심 글쓰기, 통합 혹은 계열별 글쓰기 사이에서 아직 지향점을 찾지 못하거나 과거의 교육과정을 답습하고있다. 반면에 프랑스 바칼로레아(baccalauréat) 논술은 형식적으로는 엄격한 수사학적 방법론과 문학 분석 이론은 물론 논술 전반에 관한 글쓰기 이론을 기반으로하고 있고, 내용적으로는 글의 주제 자체가 문학과 철학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바칼로레아 논술의 운영 경험과 논리적, 분석적 글쓰기 방법 및 관련 이론, 제시된 텍스트나 주제를 이해하여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제시하는 논술 일반의사례는 우리 대학 글쓰기 교육에도 하나의 모델이 될 것이다. ‘프랑스 바칼로레아 논술의 대학 글쓰기 교육 적용방안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우리의 대학 글쓰기 교육 과정에 바칼로레아 ‘논술’ 방법론을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바칼로레아 논술의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제시된 ‘복합논평’과 ‘논술’, ‘요약’은 읽기와 쓰기를 동시에 다루고 있어 실천적 방법론이 부재한 전통적인 3단 구성 중심의 글쓰기 교육에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바칼로레아 논술이 우리의 교육과정 내지 대학 글쓰기 교육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방법론에 대한 학습뿐이 아니라 문학과 철학 교육을 포함하여 최소한의 교양 수준의 책읽기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요약 방법론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연구 -프랑스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아르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4 사고와표현 Vol.17 No.3

        The goal of ‘Research on Writing Education Using the Summary Methodology’ is to develop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rough the process of learners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text and rewriting it in their own sentences in order to summarize the original text. France presents strict principle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summarizing because summarizing is an independent curriculum in essay education and evaluation. The principle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summarizing are: observing the ratio of the summary to the original text, summarizing that reflect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original text, rewriting the original text in the summary writer’s sentences, and prohibiting the summaries’ evaluation of the original text. As a result, the summary should be clear and concise as an independent text that exists apart from the original text. Summarizing is possible only when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essentials’ and ‘secondary things’ is supported through insight and comprehension. The summarizing learn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learners can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core and logic of the text given in the original text, and can expect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content of the original text into their own language. Therefore, if we expand ‘summarization’ to an independent learning process and set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results, we will be able to practice writing education in which reading and writing are not separated.

      • KCI등재

        ‘로빈슨류 이야기’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현장 적용 방안

        박아르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8 사고와표현 Vol.11 No.1

        The main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utilize ‘Robinsonnades’ in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or ‘creative writing’ activities. Currently, college freshmen lack reading skills and interest in writing. However, 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writing classes, reading, debating, engaging learners and writing processes should be organically bound. In light of this reality, we intend to provide the reader with a ‘Robinsonnades’, which is accessible to learners with minimal reading experiences. The ‘Robinsonnades’ could be used in the ‘creative writing’ process because it provides the reader with a sense of ‘survival’ and an interesting story that leads to the survival of the reclusive, isolated, reclusive, and intriguing creatures, as well as an intriguing story to the reade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binsonnades’, the usefulness of text, the flexibility of conclusion and an interesting story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creative writing’ process. 이 논문의 핵심목표는 대학교양 글쓰기 강좌에서 ‘로빈슨류 이야기’를 ‘창의적글쓰기’ 활동에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의 대학 신입생의 경우 독서량이 부족하고 교양 글쓰기에 대한 관심도 떨어진다. 하지만 글쓰기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읽기와 토론, 학습자의 참여, 쓰기 과정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현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에게 최소한의 독서경험으로 접근이 가능한 ‘로빈슨류 이야기’를 텍스트로 제공하려 한다. ‘로빈슨류 이야기’는 난파와 무인도 체류, 고립과 고독, 생존을 위한 투쟁, 탈출로 이어지는 흥미로운 스토리를 독자에게 제공하고 주인공과의 동일시 과정에서 학습자의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창의적 글쓰기’ 과정에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로빈슨류 이야기’의 특징인 텍스트의 개방성, 결론의 유연성, 흥미로운 스토리 등을 활용하면 ‘창의적 글쓰기’ 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보건의료계열 글쓰기 특성화 방안과 교육과정 연구 -건양대학교 <보건의료계열 글쓰기> 교과를 중심으로-

        박아르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Health and Medical Writing of Konyang University and find problems in the operation process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writing education by department. In particular, the key to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curriculum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in the health and Medical and what learning content should be covered in the curriculum. The problem of writing education by department is that it is not focused on the scalability of basic communication skills because it focuses on writing practical sentences such as writing documents, and liberal arts education becomes a tool subject for major education. The curriculum for writing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focuses on devising practical sentence writing, understanding the theme-based learning process, improving thinking and criticism, learning the logical development method suitable for the major, and acquiring ethical awareness as a medical practitioner. In particular, for the courseoriented writing education rather than the results, the goal was to organically combine ‘read – discussion – write – presentation – feedback’. For writing and practical tasks, the writing process in the form of a project was introduced so that discussion and presentation, writing and feedback could be combined. In order to achieve success in writing education by department, more fundamental measures such as expansion of the liberal arts writing curriculum, separation of semesters or grades of basic and advanced courses, development of related textbooks, and correctional guidance through writing clinics should be implem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건양대학교 보건의료계열 글쓰기 교과의 내용을 점검하고 운영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찾아내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특히 보건의료계열의 전공별 특성을 고려한 교과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할 학습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문제점은 실용문 쓰기에 치우쳐 있어 기초의사소통역량의 확장성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교양교육이 전공교육의 도구 과목이 되는 것이다. 보건의료계열 글쓰기 교과는 실용문 쓰기가 아닌 주제 중심의 학습과정을 다루면서도 사고력과 비판력의 증진, 전공 영역에 적합한 논리전개 방식 익히기, 의료인으로서의 윤리의식 습득에 중심을 두었다. 특히 결과가 아닌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을 위해 ‘읽기-토론-쓰기-발표-피드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수업을 지향했다. 쓰기와 실습과제의 경우 프로젝트 형식의 쓰기 과정을 도입하여 토론과 발표, 쓰기와 피드백이 결합될 수 있도록 했다. 계열별 글쓰기 교육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양선택 글쓰기 교과의 확충, 기초와 심화 과정의 학기별 혹은 학년별 분리, 교재의 개발, 글쓰기 클리닉을 통한 첨삭지도 등의 보다 근본적인 방안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르 클레지오의 『검역』의 서술 공간 연구

        박아르마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0 No.1

        La Quarantaine de Le Clézio n’est pas un roman sur une île déserte. Mais ce roman peut être lu comme une histoire sur une île et un naufragé, en ce qu’il combine l’isolement découlant des caractéristiques géographiques de l’île, le désir de s’évader, de changer la perception des habitants et de survivre. Ce type de lecture nous permet de repousser les limites de la compréhension du travail de l’auteur avec l’approche thématique ‘mythe familial’ et ‘recherche de l’identité’. En particulier, La Quarantaine nécessite une analyse et une compréhension complexes du contenu et du format de l’histoire, dans la mesure où elles se chevauchent avec une variété d’appareils descriptifs, le temps, l’arrière-plan spatial, les mémoires éparses et la diversité des histoires qui ne suffisent pas à tenter uniquement une lecture thématique. En particulier, à travers l’écriture de Leon nous faisant penser à un roman sur une île déserte, nous avons vu l’île Maurice devenir une île idéale, qui s’est progressivement transformée en un lieu inaccessible, et l’île Gabriel s’est transformée en paradis au fur et à mesure que la perception de Léon de l’île changeait. Comme dans la plupart des histoires sur l’île, nous avons une fois de plus confirmé que l’île avait existé dans son état naturel depuis des temps immémoriaux et que la perception des habitants changeant, elle serait logée différemment en lui et présentée différemment. Les romans de Le Clézio révèlent des thèmes quelque peu stéréotypés à la surface, mais incluent la beauté de la description et des dispositifs descriptifs élaborés, ainsi que le courant de conscience d’un personnage et la double narration. En conséquence, les vertus de ce roman ne résident pas dans le processus stéréotypé de la recherche de l’identité, mais dans l’isolement des personnages, l’attente d’une vie permanente et le désir de trouver un nouveau mon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