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박성혜(Sungha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표현영역교육 수업을 개선하고 확장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통합적 표현영역 수업 계획 및 설계, 수업 실행과정에 대한 관찰 및 분석, 수업의 효과와 확대 가능성 검토의 3단계를 거쳐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표현영역교육 수업을 실행하는 연구자와 그 수업에 참여한 예비체육교사 20명이다. 자료 수집은 문헌 및 현지자료, 참여관찰, 개방형 설문 및 면담, 반성적 수업일지 및 학습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범주화하였다. 결과 표현영역교육 수업은 표현영역에 포함된 심동적, 정의적, 인지적 역량을 균형 있게 체험하도록 직접 체험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간접 체험 활동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구성하였으며, 영상 활용 수업을 운영하여 예비체육교사들이 표현영역 관련 신체활동을 응용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협동학습 및 문제기반학습을 활용하여 표현영역 관련 과제를 해결하도록 독려하였다. 통합적 표현영역의 수업의 효과는 목표 측면에서 표현영역의 이해를 통한 중요성 및 관점의 변화, 내용 측면에서 표현영역 내용의 다양성 확인, 방법 측면에서 표현영역 방법의 다각적 체험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목표, 내용, 방법 측면의 변화는 표현영역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고 교육자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체육교사들의 표현영역 전문성 향상을 위해 표현영역 관련 예비체육교사교육의 정비, 표현영역교육 수업에서 통합적 관점으로의 전환, 표현영역교육을 지도하는 교수자의 반성적 성찰 및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t in order to improve the expression area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thods An ac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planning and design of the integrated expression domain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review of effects and expansion possi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 researcher who conducted an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and 2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d field data, participatory observation,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reflective class and learning diarie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Results The plan and application of the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was integrated into a variety of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as well as direct experiences so that the psychodynamic, affective, and cognitiv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expression area were evenly experienced. In addition, by operating video-based classes,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could stimulated to apply phys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and were encouraged to solve tasks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using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in the integrated expression area was revealed as a change in importance and perspectiv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area on the goal aspect, confirmation of the diversity of the expression area contents in the content aspect, and the multifaceted experience of the expression area method in the method aspect. These changes in the aspect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expression area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duca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xpression area, it is necessary to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for pre-servi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Furthermore, an integrated perspective is required for the education class in the expression area, and reflection and continuous growth of teacher educators in the expression area are needed.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유아 신체활동 연구동향 분석

        박성혜(Park, Sungh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신체활동 관련 연구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유아 신체활동 관련 학술등재지 176편을 NetMiner 프로그램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신체활동’, ’동작교육‘, ’놀이‘, ’프로그램’, ‘교사’, ‘운동’, ‘신체표현’이 유아 신체활동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 ‘창의’, ‘사회’, ‘정서’, ‘지능’ 등 유아 신체활동의 효과를 나타내는 단어들과 ‘인식’, ‘태도’, ‘교수효능감’ 등 유아 신체활동의 운영 및 수행 주체들과 관련된 단어들이 주요한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1) 신체표현 활동의 효과와 교육방법, 2) 놀이중심 신체활동에서 사회성을 도모하는 교육방법과 효과, 3) 신체활동 프로그램 연구에서 사용되는 신체활동의 유형, 4) 음악을 활용한 신체활동의 교육방법과 효과, 5) 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의 다섯 가지 주제가 유아 신체활동 연구의 세부 주제로 파악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유아 신체활동 연구의 정교화와 유아 신체활동 교육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for young children. The 176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hysical activity,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9, were analyzed by using NetMiner program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word cloud analysis, physical activity , movement education , play , program , teacher exercise , and body expression were identified as the key concepts used in the study of physical activity for young children. In addition, words that describ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infants such as creativity , sociality , emotion , and intelligence , and word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physical activities such as awareness , attitude , and ‘teaching efficacy were derived as important key words.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the following are classified into five sub-topics; 1) effects and educational method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2) educational methods and effects for promoting sociality in play-based physical activities, 3)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used in physical activity program research, 4) teaching method and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by using music, 5)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ovement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As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elaboration of physical activity research for young children and the activation of early childhoo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부ㆍ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박성혜(Park, Sunghae),이희선(Lee, Hee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ther and mother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family interaction and warmth parenting behavior, school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of their childr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using data from 1,380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family interac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warmth parenting behaviors of themselve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mo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fa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hool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through the mo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 Third,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related to famil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ㆍ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통해 아버지와 어머니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380명의 부모와 유아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ㆍ모의 가족상호작용은 각자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을 거쳐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발달 및 교육, 가족과 관련된 제도ㆍ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박성혜(Sunghae Park),김은향(Eunhyang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arents’family interactio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Methods: 1,418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survey data from a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4),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First, the mother s family interaction had direct influence on their parenting efficacy, as well as their child 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Second, the father s family inter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ly on the internal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 and child external problem behaviors were influenced through the father s parenting efficacy. Third, parenting efficacy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Especially, the father s family interaction was found to affect child variables through the mother s parenting efficacy. Finally,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 mediated the effects of the parents’family inter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on chil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 factors of father, mother, and child are interrelated, and that parent interaction has varying influence on the problems of their children.

      • KCI등재

        ‘피지컬 리터러시’ 개념을 통한 유아 신체활동의 교육적 함의 탐색

        박성혜(Park, Sunghae),이희선(Lee, Hees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피지컬 리터러시 개념이 유아 신체활동에 주는 교육적 함의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피지컬 리터러시의 역사 및 철학적 배경과 구성요소를 통해 개념을 이해하고, 피지컬 리터러시가 유아 신체활동에 주는 교육적 함의를 분석하였다. 피지컬 리터러시는 전 생애에 걸쳐 신체활동의 가치를 통해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자질로 동기와 자신감, 신체적 능력, 지식과 이해력으로 구성된 개념이다. 또한, 최근 외국에서 피지컬 리터러시의 철학적 근거와 실천적 효과 등의 관련 연구가 수행되면서, 교육 및 체육 정책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든 개개인은 생애주기에 따라 개별적 피지컬 리터러시 여정을 통해 발달해야 함을 강조하고, 피지컬 리터러시가 유아신체활동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철학적, 실천적 관점에서 제안하였다. 향후 피지컬 리터러시 기반 유아 신체활동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ㆍ실천적 관련 연구가 요구되며, 유아 교사 교육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피지컬 리터러시 개념을 적용하여 유아 신체활동 관련 정책을 검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physical literacy on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ept of physical literacy was understood through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component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hysical literacy on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literacy is a disposition acquired by human individuals encompassing the motivation, confidence, physical competenc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at establishes purposeful physical pursuits as an integral part of their lifestyle.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udies on the philosophical basis and practical effects of physical literac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physical literacy is being practiced in educational and sports policies in various countries. It was revealed that all individuals must go on their own physical literacy journey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hysical literacy on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were emphasized in terms of educational philosophical, practical, and effective aspects. To realize physical literacy-based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related to physical literacy are required, and physical literacy should be us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urthermore, policies related to children’s physical activities should be diagnos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physical literacy.

      • KCI등재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박성혜(Park, Sunghae),윤종희(Yoon, Chong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생의 개인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들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들의 학교적응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6학년생 270명과 중학교 3학년생 27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및 학교적응, 자아존중감, 학생이 지각하는 부와 모 각각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을 묻는 질문지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독립변수(성별, 학년, 학교성적, 자아존중감, 가정의 경제수준, 부와 모, 각각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를 투입한 회귀분석결과, 본 연구의 모델이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을 5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이었다. 다음으로 학교성적,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의 순이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생이 중학교로, 또 중학교 3학년생이 고등학교로 전이해 가는 시점에서 부와 모의 양육신념이나 양육행동과 같은 환경 변인보다는 개인적 변인인 자아존중감이나 학교성적과 같은 변수가 학교적응에 더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에 따라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업증진이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해야한다는 제언을 하며 이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6th and 9th graders. A total of 540 Korean students answe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n questions related to their age, sex, GPA,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family’s economic status, beliefs and behaviors of their mothers and fathers,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performed and indicated that the model explained 53% of school adjustmen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children’s self-esteem, followed by GPA, sex, family’s economic status. In order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these age groups, it was suggested to implement intervention-programs designed to enhance the self-esteem of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