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비교문학 ― 언어, 매체, 읽기

        박선주 ( Park Seonjo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3

        이 논문은 ‘읽기’라는 방법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비교문학이라는 근대학문이 포스트휴먼 시대에 학문으로서의 적합성을 갖출 수 있는지를 점검해본다. 오늘날 언어는 매체와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고 있으며 점점 더 인공적, 기계적인 성격을 갖추어가고 있다. 심지어는 최신 언어철학이론조차도 과학기술과의 상호적 관계를 통해 구성되고 있다. 인간과 기계, 문학언어와 매체언어, 과학과 인문학은 더 이상 경쟁관계가 아니라 서로를 모방하고 흉내 내는, 긴밀하게 얽힌 관계이며, 문학성, 인간성, 보편성 등 비교문학의 핵심적인 개념들은 이러한 맥락 속에서 거세게 도전받고 있다. 포스트휴먼 시대, 기계와 얽혀버린 언어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면하여, 읽기의 행위를 먼저 자기성찰적으로 혹은 계보학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문학, 혹은 비교문학연구에서 지배적인 읽기 방법론이라 할 수 있는 ‘자세히 읽기’를 이런 식으로 바라보면, 이 방법론이 자동적으로 전제하는 ‘보편’, ‘인간성’, ‘문학성’ 등의 개념이 갖는 정치적, 역사적, 언어적 한계와 편협성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난다. 읽기라는 행위가 수행하는 통치성에 함몰되지 않고 그 행위를 외부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비교문학은 매체화된 언어, 언어화된 매체, 즉 인공언어로 이루어진 텍스트들의 포스트휴먼적인 속성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을 것이며, 새로운 담론장에서 공동체와 인간됨의 다른 형태들을 사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comparative literature might become relevant in the posthuman age, mainly focusing on the issue of reading. Language has been transforming itself constantl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media, thus becoming increasingly artificial and mechanical. Even the most radical linguistic theories have been constituted through the global translation from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beings and machines, literary language and media, science and humanities do not compete; instead, they are deeply implicate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ir constitution. In this context, the core ideas such ‘humanity’, ‘universality’ or ‘literariness’ for comparative literature are being challenged. ‘Close reading’ as a representative methodology does not cope with such a challenge, and to devise a different way to read, we need to establish the genealogy of reading in a Foucauldian sense. That way, the ideological, social and historical limitations of ‘close reading’ can be revealed more clearly. Comparative literature, when reading itself from the outside, might be able to deal with the artificiality of languages and texts, and think of the other ― posthuman ― forms of humanity.

      • KCI등재

        승화되지 않은 죽음

        박선주(Park, Seonjo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5

        이 논문은 19세기 이후 ‘죽음’이 서구 사상과 담론에서 개념화되어온 과정을 통해 서구국민문학의 역사적 궤적을 살펴보고 그것의 종말(가능성)을 논의해본다. 헤겔의 죽음 개념은 ‘나’를 ‘우리’로 승화하는 핵심기제로 글쓰기가 국민국가의 제도로 포섭되는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프로이트와 라깡은 20세기적 맥락에서 헤겔의 틀 밖에서 죽음을 사유하고 ‘나’에서 ‘우리’로의 승화 불가능성을 제시하지만 헤겔의 영향력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한다. 테레사 학경 차의『딕테』는 이런 의미에서 중요한 텍스트이다. ‘글’이 ‘국민문학’이 되는 기제 자체를 문제시함으로써 글쓰기를 국민국가의 포섭망 밖으로 이끌어내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제도로서의 국민문학이 끝났음을 혹은 끝날 수 있음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딕테』에서 재현되는 죽음은 ‘나’를 ‘우리’로 손쉽게 바꿔주는 승화기제가 아니라 파편화와 균열을 향해 몰아치는 맹목적인 충동이며 적과 나를 구분하지 않는 파괴적 동학으로, 언어-서사-정체성 간의 필연적인 내적 균열을 야기한다. 이는 공존의 윤리를 다시 써야하며 ‘우리’를 다르게 상상하고 실천해야 하는 오늘날의 정치적 현실에서 글쓰기, 개인, 공동체 등을 다시 사유하기 위한 언어적 기반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death has been conceptualized in the Western thoughts and discourse since 19th century and how it ha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as a state institution. Hegelian idea of death, with the unique operation of dialectic sublimation, has made it possible to transform ‘I’ into ‘we’, and the modern form of writing has ended up becoming (National) Literature endorsing the collective ‘we’. Freud and Lacan have made some adjustment on the Hegelian idea of death proposing a new venue for writing but Hegel’s trace has not been entirely eliminated. Theresa Hak Kyung Cha’s Dictée, is especially important since Dictée, as a uniquely transnational text, proclaims the death of Literature. For this text, death is presented not as a mechanism for sublimation, but as a drive toward fragmentation. Not only ‘we’ but also ‘I’ in this text are inevitable engaged in the self-destructing dynamics; consequently, the idea of identity, language, discourse is put into question. Disjunction between language, literature and identity may open a new way to articulate a viable political response and an alternative history in which ‘we’ are differently imagined and practiced. 이 논문은 19세기 이후 ‘죽음’이 서구 사상과 담론에서 개념화되어온 과정을 통해 서구국민문학의 역사적 궤적을 살펴보고 그것의 종말(가능성)을 논의해본다. 헤겔의 죽음 개념은 ‘나’를 ‘우리’로 승화하는 핵심기제로 글쓰기가 국민국가의 제도로 포섭되는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프로이트와 라깡은 20세기적 맥락에서 헤겔의 틀 밖에서 죽음을 사유하고 ‘나’에서 ‘우리’로의 승화 불가능성을 제시하지만 헤겔의 영향력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한다. 테레사 학경 차의『딕테』는 이런 의미에서 중요한 텍스트이다. ‘글’이 ‘국민문학’이 되는 기제 자체를 문제시함으로써 글쓰기를 국민국가의 포섭망 밖으로 이끌어내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제도로서의 국민문학이 끝났음을 혹은 끝날 수 있음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딕테』에서 재현되는 죽음은 ‘나’를 ‘우리’로 손쉽게 바꿔주는 승화기제가 아니라 파편화와 균열을 향해 몰아치는 맹목적인 충동이며 적과 나를 구분하지 않는 파괴적 동학으로, 언어-서사-정체성 간의 필연적인 내적 균열을 야기한다. 이는 공존의 윤리를 다시 써야하며 ‘우리’를 다르게 상상하고 실천해야 하는 오늘날의 정치적 현실에서 글쓰기, 개인, 공동체 등을 다시 사유하기 위한 언어적 기반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death has been conceptualized in the Western thoughts and discourse since 19th century and how it ha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as a state institution. Hegelian idea of death, with the unique operation of dialectic sublimation, has made it possible to transform ‘I’ into ‘we’, and the modern form of writing has ended up becoming (National) Literature endorsing the collective ‘we’. Freud and Lacan have made some adjustment on the Hegelian idea of death proposing a new venue for writing but Hegel’s trace has not been entirely eliminated. Theresa Hak Kyung Cha’s Dictée, is especially important since Dictée, as a uniquely transnational text, proclaims the death of Literature. For this text, death is presented not as a mechanism for sublimation, but as a drive toward fragmentation. Not only ‘we’ but also ‘I’ in this text are inevitable engaged in the self-destructing dynamics; consequently, the idea of identity, language, discourse is put into question. Disjunction between language, literature and identity may open a new way to articulate a viable political response and an alternative history in which ‘we’ are differently imagined and practiced.

      • KCI등재

        비교문학연구방법론에 대한 소고: 길고 약하고 두껍게 비교하기

        박선주 ( Park Seonj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비교문학방법론의 쇄신과 재개념화의 방향을 제안한다. 비교문학은 서구중심주의와 식민주의의 흔적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고 보편-특수라는 서구근대학문의 인식론에 갇혀있으며 비교문학연구 방법론은 이러한 한계를 계속 유지하고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 비교문학은 기존의 등가ㆍ등치 관계에서 벗어나 디목의 “약한 이론,” “긴 네트워크,” 푸코의 “작가의 소멸” 등의 개념이 제시하는 방향, 즉 서구학문의 보편성ㆍ과학성의 한계를 드러내고 문학담론의 역사성과 사회적 관계를 보여주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연구방법론의 변화가 담보되어야 한다. 인류학자 클리포드 기어츠의 “켜켜이 쌓인 묘사”라는 개념은 비교문학연구방법론을 재개념화하기 위한 유용한 출발점이다. 이 개념은 문화를 텍스트에 대한 해석들이 쌓아올리는 두께로 재정의하고 국민국가의 국가성을 다언어적 혼돈 위에 재설립하며 인문학의 과학성을 픽션화한다. 또한 근대학문의 체계화와 분류화, 추상화를 최대한 피하면서 과학성ㆍ합리성ㆍ보편성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서구내셔널리즘을 문제화하고, 인간 삶과 그 의미의 풍부함을 충실히 드러내면서 문학담론을 더 ‘약하’고 더 ‘길’며 더 ‘두꺼운’ 네트워크로 재개념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Comparative Literature which has been deeply Eurocentric and even colonial ever since its birth. ‘Comparison’ in Comparative Literature has been in fact the ideological mechanism for containing, classifying, and eventually controlling all differences in the world. Literature has naturally served as a national institution of the West at epistemological and discursive level with hidden adjective “comparative”. To re-conceptualize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Comparative Literature”, we need to revolutionize methodology itself based on Wai Chee Dimock’s idea of “Weak Theory”, Foucault’s “disappearance of author”, and Clifford Geertz’s “thick description”. “Thick description” as a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re-establishes the discipline as a field of “weak theory”, defusing the centrality of linguistic identity and re-making it as a “long network” of loose and missed connections. “Thick description” poses the publicness of nation-state within “confusion of tongues”, problematizes the legitimacy of modern knowledge, and puts (the western) nationalism in question. With this idea as a starting point, we can re-imagine Comparative Literature anew as a field of ceaseless discourse of longer, weaker, and thicker networks of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differences.

      • KCI등재

        텍스트의 탈맥락화

        박선주(Seonjoo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3 외국문학연구 Vol.- No.89

        최근 객체지향적 존재론, 사변적 리얼리즘 등 소위 존재론적 전회라고 지칭되는 일련의 사유가 ‘언어적 전회’에 깊이 함몰된 인문학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언어적 전회’는 인간의 의식, 언어, 인식을 중시하면서 사물 그 자체에 대해서는 탐구를 포기하는 방향으로 흘렀다는 것이다. 존재론적 전회의 대표적 철학자인 그래엄 하먼, 퀑탱 메이야수는 각각의 방식으로 ‘사물’과 ‘실재’ 그 자체를 탐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사물은 주변의 맥락이나 관계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말하며 사물, 텍스트를 탈맥락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런 방식으로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읽어보면, 이 소설은 여러 가지 맥락과 관계의 단절을 기반으로 쓰여져 있다. 괴물 역시 맥락 밖에 존재하며 맥락을 파괴하는 자이다. 이 텍스트와 괴물을 탈맥락화하여 읽었을 때 ‘인간’과 ‘인간성’은 분리되어 따로 사유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대상이자 객체로 남는다. 이러한 독해는 궁극적으로 인간중심적 인문학이라는 개념을 문제화한다. Ontological turn challenges the humanistic studies which has been deeply immersed in linguistic turn. Graham Harman and Quentin Meillasoux, the representative thinkers, argue that thing/object/reality exist for itself, regardless of its contexts, relations, or co-relations. Harman says that literary critics should see how text/thing withstand its contexts and environment or even culture, and Meillasoux argues that reality is an absence of reason and we can get to it only by a narrative which is disconnected from every logic and predictable law. Mary Shelly’s Frankenstein can be read in terms of what these ontological thinkers say. The monster in the text is an excellent example of ‘thing itself.’ Its narrative is about disconnections and disruptions, exemplifying Meillasoux’s idea of “extro-science fiction.”

      • KCI등재

        사라지는 말, 흩어지는 기억

        박선주(Seonjoo Park)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슬라브학보 Vol.34 No.1

        This paper argues the effects of Svetlana Alexievich’s writings on the philosophical, linguistic, historical, and literary level, focusing on War Has No Womanly Face. Alexievich’s ‘voice novels’ challenge the grand narrative of the West mainly constructed by nationalism, male-centrism, and scientific objectivity. But reading her novels in terms of binaric alternative involves its own dangers since modernity has exerted the capacity to absorb the challenges, classify them, segregate them, ultimately to control and dominate. In order not to be contained in the grand-narrative, Alexievich’s works should be approached as unexpected and uncontrollable effects not as an opposite/alternative. Derrida’s idea of “archive fever” provides a useful point to investigate the death drive of memory/history itself. Alexievich’s novel does not hold the consistent and autonomous messages; instead, it drives itself to irrevocable loss and destruction. Agamben’s argument of “Stimmung” also offers valuable insight through which the narrators’ image in the Alexievich’s text stands out; they moan and scream because the words are dis-articulated at the moment they are articulated. William Reddy interprets the idea of ‘emotion’ as ‘translation’ conceptualizing the whole process of utterance as an endless interpretation and reinterpretation. “The history of emotion” Alexievich tries to write in her own work is the whole process of translation that has happened in the individuals. Alexievich’s work can be effective when the idea of modern man, language, and memory should be questioned and reexamined along with these effects her ‘voice novels’ invoke.

      • KCI등재

        메리 셸리의 『최후의 인간』에 나타나는 전염병과 근대정치

        박선주 ( Park Seonjoo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1

        본 연구는 메리 셸리의 소설 『최후의 인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19세기 초 셸리가 근대 민주주의 정치를 조망하는 시각과 그 의미를 검토한다. 이 작품은 절대적으로 공평하게 모든 것을 파괴하는 전염병이라는 상징을 통해 평등이라는 근대정치의 원칙과 고아라는 근대정치의 주체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철저한 사유를 보여준다. 소설의 등장인물은 고아 혹은 고아형 인물로 등장하여 단독성이라는 근대개인의 이상을 구현하며 이들은 형제애와 우정으로 평등한 연대와 정치적 낙원 건설을 추구한다. 이 고아들이 ‘고아-됨’을 버리고 국가의 아이들로 변모하여 서구제국의 논리를 따라 비서구로의 침략과 정복을 수행하자, 전염병은 국가를 포함한 모든 공동체를 파괴하여 이들을 다시 고아로 만든다. 전염병은 또한 서구의 국가/제국이라는 보편을 비트는 방식으로 모든 이가 죽음으로 평등해지는 절대적이고 민주적인 보편성을 구현한다. 보편성이란 결국 죽음을 상정하지 않고는 개념화될 수 없으며, 근대민주주의의 평등원칙에는 죽어가는 생명의 형상이 뚜렷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고아라는 근대주체 역시 인간이라기보다는 초인 혹은 괴물의 형상에 더 가깝다. 셸리는 전염병과 종말이라는 비극적 서사를 통해 근대, 근대국가, 근대개인의 구성 밑에 근원적으로 죽음, 폭력, 정복, 괴물, 비인간, 전근대 등이 얼마나 복잡하고 모순적으로 얽힌 채 자리 잡고 있는가를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Mary Shelley’s vision on modern politics,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in her SF novel The Last Man. This novel focuses on the trope of the orphan to show how the individual, the modern agency of politics, and modern politics are constituted. Characters are presented as orphans, embodying the independent, vulnerable, and isolated state of the modern political being, and they make social bonds based on fraternity, sympathy and friendship, building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community of the nation-state. At some point, orphans become the children of the State, and they start to conquer the East in the name of father/empire/civilization. Plague throws these children of the State back to the original state of orphans again making everyone alone, destitute, and vulnerable with its ruthless principle of equalization. Plague also distorts the universality of imperialism with its more universalizing figure of a dying man. In Shelley’s thorough examination of modern politics, equal democracy is inevitably built on the figure of death; human society is built on paradoxes of exclusion/inclusion; and the modern agency of the individual is either Nietzsche’s übermensch or the monster in Frankenstein. Shelley’s ambiguity towards the modern world in the post-revolutionary era is reflected in the paradoxical role of the orphan in the novel.

      • KCI등재

        I Who Remember: Shotaro Yasuoka’s A View by the Sea and The Postwar Japanese I-Novel

        Park, Seonjoo(박선주),Kim, Kyongwon(김경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2

        이 논문은 ‘아시아’라는 지역적 정체성과 ‘나’라는 개념 간의 상호구성관계를 기억 담론을 통해 살펴본다. 기억은 개인을 문화, 지역, 국가 등 보다 넓은 정체성으로 이어주는 핵심적인 연결고리로 정체성을 만드는데 기여하지만 또한 어떤 경우 지역, 혹은 지역화라는 개념 자체를 문제화하면서 정체성의 견고함에 도전하기도 한다. 전후 일본은 이처럼 정체성의 구성과 해체, 그 과정에 기억의 역할등을 살펴보기에 좋은 장소인데, 이 시기 기억이라는 이슈는 ‘아시아’라는 정체성이 개인적, 집단적 차원에서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사소설이라는 장르는 이런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문학적 표현이다. 사소설은 일본과 서구 간의 복잡하게 얽힌 협상의 결과물로 나타난 장르로 이 장르의 주된 관심사인 ‘나’는 개인으로, 일본인으로, 혹은 아시아인으로 ‘나’라는 정체성이 구성되고 유지되는 과정은 그 협상이 담보하는 내적 모순을 그대로 담고 있기도 하다. 특히 쇼타로 야수오카의 『해변의 풍경』 (1959)는 전후라는 일본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쓰여진 사소설로, 전후 일본서사들이 확립하고자 하였던 ‘나’ 혹은 ‘우리’라는 정체성과는 다른 방식을 시도하면서 정체성의 (불)안정성을 ‘(부)정확하게 기억하는 개인’이라는 개념에 기대어 그려내고 있다. 이 소설은 특히 한 가족의 혼란스럽고 부정확한 기억, 심지어는 그 가족이 대면해야 하는 광기를 주제로 다루면서 ‘나’, 혹은 ‘가족’, 더 나아가 ‘일본인’이라는 정체성이 일견 담보하는 듯 보이는 온전성, 균일성에 대해 심각한 도전과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소설은 이처럼 온전성이 훼손되고 깨어진 기억과 자아는 전후 일본이라는 역사적 맥락, 즉 전쟁의 상흔의 회복, 미군에 의한 점령. 그로 인한 수치심 등 역사적 트라우마와의 깊은 연관 속에서 구성되고 있다. ‘인간’, ‘집’, ‘가족’, ‘기억’ 등 정체성을 구성하는 개념들은 ‘동물’, ‘떠돌이’, ‘타인’,‘광기’ 등의 개념과 끊임없이 섞이고 이런 혼돈을 통해 희생자/가해자, 나/너, 죄의식/수치심 등의 이분구도는 끊임없이 흔들리고 문제화된다. 『해변의 풍경』은 이런 과정을 통해 ‘일본인’, ‘아시아인’ 등의 구성, 더 나아가 ‘일본’, ‘동아시아’, 혹은 ‘아시아’ 등의 국민국가, 문화, 지역적 정체성의 온전성과 단일성까지도 문제화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con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identity of ‘Asia’ and the concept of ‘I’ through ‘memory’ discourse. Memory makes identity, as an essential link between an individual and a region/culture, but it also unmakes identity, putting the whole idea of region/regionalization itself in question. Post-war Japan is a good place to examine this problematic status of memory in (un)making identity because in this period the issue of memor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self-making of ‘Asia’ both on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The genre of Japanese I-novel, as a product of the complicated negotiations with the West, is an example where the contradictions within the construction of the ‘I’?as an individual, a Japanese, or an Asian?are revealed most clearly. A View by the Sea (1959) by Shotaro Yasuoka, a post-war I-novel, deals with the (in)stability of personal and collective identity depending on the idea of a person who remembers (in)correctly. The incoherent, jumbled memory and the madness of the family members in this novel problematize the idea of ‘I’ as an authentic and unified entity. A View by the Sea also shows that the problematic (de-)construction of identity is deeply related to the memory of trauma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post-war Japan. The coherent ‘I’ that the postwar narrative have tried to establish is seriously put into question and the presumably ‘authentic’ self and its ‘whole’ memory are constantly contradicted, displaced, and challenged. 이 논문은 ‘아시아’라는 지역적 정체성과 ‘나’라는 개념 간의 상호구성관계를 기억 담론을 통해 살펴본다. 기억은 개인을 문화, 지역, 국가 등 보다 넓은 정체성으로 이어주는 핵심적인 연결고리로 정체성을 만드는데 기여하지만 또한 어떤 경우 지역, 혹은 지역화라는 개념 자체를 문제화하면서 정체성의 견고함에 도전하기도 한다. 전후 일본은 이처럼 정체성의 구성과 해체, 그 과정에 기억의 역할등을 살펴보기에 좋은 장소인데, 이 시기 기억이라는 이슈는 ‘아시아’라는 정체성이 개인적, 집단적 차원에서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사소설이라는 장르는 이런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문학적 표현이다. 사소설은 일본과 서구 간의 복잡하게 얽힌 협상의 결과물로 나타난 장르로 이 장르의 주된 관심사인 ‘나’는 개인으로, 일본인으로, 혹은 아시아인으로 ‘나’라는 정체성이 구성되고 유지되는 과정은 그 협상이 담보하는 내적 모순을 그대로 담고 있기도 하다. 특히 쇼타로 야수오카의 『해변의 풍경』 (1959)는 전후라는 일본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쓰여진 사소설로, 전후 일본서사들이 확립하고자 하였던 ‘나’ 혹은 ‘우리’라는 정체성과는 다른 방식을 시도하면서 정체성의 (불)안정성을 ‘(부)정확하게 기억하는 개인’이라는 개념에 기대어 그려내고 있다. 이 소설은 특히 한 가족의 혼란스럽고 부정확한 기억, 심지어는 그 가족이 대면해야 하는 광기를 주제로 다루면서 ‘나’, 혹은 ‘가족’, 더 나아가 ‘일본인’이라는 정체성이 일견 담보하는 듯 보이는 온전성, 균일성에 대해 심각한 도전과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소설은 이처럼 온전성이 훼손되고 깨어진 기억과 자아는 전후 일본이라는 역사적 맥락, 즉 전쟁의 상흔의 회복, 미군에 의한 점령. 그로 인한 수치심 등 역사적 트라우마와의 깊은 연관 속에서 구성되고 있다. ‘인간’, ‘집’, ‘가족’, ‘기억’ 등 정체성을 구성하는 개념들은 ‘동물’, ‘떠돌이’, ‘타인’,‘광기’ 등의 개념과 끊임없이 섞이고 이런 혼돈을 통해 희생자/가해자, 나/너, 죄의식/수치심 등의 이분구도는 끊임없이 흔들리고 문제화된다. 『해변의 풍경』은 이런 과정을 통해 ‘일본인’, ‘아시아인’ 등의 구성, 더 나아가 ‘일본’, ‘동아시아’, 혹은 ‘아시아’ 등의 국민국가, 문화, 지역적 정체성의 온전성과 단일성까지도 문제화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con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identity of ‘Asia’ and the concept of ‘I’ through ‘memory’ discourse. Memory makes identity, as an essential link between an individual and a region/culture, but it also unmakes identity, putting the whole idea of region/regionalization itself in question. Post-war Japan is a good place to examine this problematic status of memory in (un)making identity because in this period the issue of memor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self-making of ‘Asia’ both on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The genre of Japanese I-novel, as a product of the complicated negotiations with the West, is an example where the contradictions within the construction of the ‘I’?as an individual, a Japanese, or an Asian?are revealed most clearly. A View by the Sea (1959) by Shotaro Yasuoka, a post-war I-novel, deals with the (in)stability of personal and collective identity depending on the idea of a person who remembers (in)correctly. The incoherent, jumbled memory and the madness of the family members in this novel problematize the idea of ‘I’ as an authentic and unified entity. A View by the Sea also shows that the problematic (de-)construction of identity is deeply related to the memory of trauma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post-war Japan. The coherent ‘I’ that the postwar narrative have tried to establish is seriously put into question and the presumably ‘authentic’ self and its ‘whole’ memory are constantly contradicted, displaced, and challenged.

      • KCI등재

        군위안부와 엠마 보바리의 조우 : 서벌턴성의 트랜스내셔널한 의미

        박선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comparatively and transnationally the overlapped layers of comfort women, with Chang-rae Lee’s novel A Gesture Life and Gustav Flaubert’s Madame Bovary. Comfort women are the typical examples of the ‘unspeakable’ subaltern and this ‘unspeakability’ has been constructed by the regime of nation-state. Their narrative has been produced and consumed mainly as a group narrative rather than an individual one. Change-rae Lee’s A Gesture Life and Gustav Flaubert’s Madame Bovary, comparatively read, illuminate the transnational nature and historicity of this silence; it enables us to read the different nature of this ‘unspeakability’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within the regime of the nation-state through 19th and 20th century. The comparative reading also suggests how to conceptualize the subaltern’s memory, trauma, death and mourning, and, more importantly, how to approach/represent this ‘unspeakability’ in an ethical and responsible way. 이 논문은 창래 리(Chang-rae Lee)의 소설 『제스쳐 인생』과 플로베르(Flaubert)의 『보바리 부인』을 교차하여 읽으면서 서벌턴으로서의 군위안부의 의미를 짚어보고 이들의 ‘말할 수 없음’이 갖는 역사적이고 현재적인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하는 비교학적이고 트랜스내셔널한 시도이다. 군위안부의 ‘말할 수 없음’은 20세기 초반 일본제국의 전시 성적 착취로 인한 동아시아 식민지 여성의 기억과 언어 상실의 현상일 뿐 아니라, 19세기에서 20세기 후반을 거쳐 21세기까지 길게 이어지는 근대국민국가체제의 구성, 진화, 전지구적 확장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보아야 한다. 군위안부의 ‘말할 수 없음’은 또한 서벌턴성과 정체성 정치가 맺는 밀접한 관계 밖에서 사유될 필요가 있다. 군위안부는 ‘민족’ 혹은 ‘여성’ 등 집단정체성을 대표하는 추상적 트라우마가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이고 단독적인 기억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보바리 부인』과 『제스쳐 인생』의 교차 속에서, 19세기 프랑스의 부르조아 계급의 부인네와 20세기 초 아시아의 식민지 여성, 20세기 후반 미국의 ‘시민’은, 또 그들의 ‘말할 수 없음’은 역사적, 문학적으로 얽혀있다. 플로베르가 『보바리 부인』에서 사용하는 아이러니, 동일시-타자화의 반복과 진동, “몰개성화” 등의 수사 전략은 이 ‘말할 수 없음’을 재현하고자 하는 예술적 시도이면서 궁극적으로는 그 재현의 실패를 표현하는 윤리적인 태도이기도 하며, 이는 21세기 서벌턴과 ‘말할 수 없음’의 재현작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