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박미란(Mee Ran Park),김남초(Nam Cho Kim)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병동 간호사의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과 간호대학 교수, 임상간호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검증, 병동 간호사 대상의 설문지 조사, 임상등급 4등급 간호사 대상의 자가평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방법론적 연구이다.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Carper[19]가 제시한 간호지식의 4가지 유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 Jang[1]의 간호역량 모형을 근거로 4개 영역, 13개의 간호역량 요소, 30개의 핵심간호역량 요소 목록과 4개 임상등급별 간호역량수행 평가기준으로 적합한 항목을 선정하였다.4가지 간호지식의 유형에는 과학적, 윤리적, 인격적, 심미적 간호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과학적 간호역량이란 ‘경험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간호실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간호지식을 체계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역량이므로[1]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에게 필요한 중요 핵심역량 영역인 간호전문 영역을 포함하였다.둘째, 심미적 간호역량은 ‘의식적인 심사숙고 없이도 즉각적으로 그 순간에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알고, 직면한 상황의 의미를 알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어[1] ‘임상적 판단과 대처’에 포함되었던 개념 중 ‘조기 대처와 위기관리’를‘위기관리’로 수정하였다. 또한 ‘환자이해’와 ‘환자 지향성’에 관한 간호역량의 내용이 유사하여 이를 ‘환자 지향성’으로 통합하였고 ‘타인육성’ 역량에는 환자, 가족, 동료 및 기타 사람들을 지도 교육하고 발전시키는 것으로 ‘교육 및 상담’으로 수정하였다. 국외 의료기관의 경우 2000년 이전에는 4~6개 영역으로 구분하였고[15], 2003년 이후 주로 4개 영역으로 분류됐다[9,22]. 국내 병원은 대부분 4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4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기관별로 영역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은 그 기관의 미션과 비전에 따라 목표와 핵심가치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21]본 연구에서의 임상등급은 Benner[7]의 기술 습득 모형을수정 . 보완하여 1등급은 초보 등급(입사~1년), 2등급은 상급초보 등급(2~3년), 3등급은 유능 등급(4~6년), 4등급은 숙련등급(7년 이상)으로 구성하였다. 임상등급을 활용한 최초의 사례는 캘리포니아 대학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들의 임상적 능력, 지식 및 성과에 따라 보상받을 수 있는 임상경력시스템(Clinical ladder system)으로 간호역량에 따라 4개 등급의실무 수준을 개발한 것이다[23]. 임상등급 기준은 임상경력 기간 뿐 만 아니라 등급이 높아질수록 간호사의 업무능력이 향상되고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구 및 교육에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며 문제해결 능력, 부서 간 협력 및 대인관계에서 발전된 수준을 기대할 있다[24,25]. 이와 같이 4개의 임상등급으로 구분한 것은 국내 Kim[25]의 연구에서도 타당하게 받아들여졌고 현재 경력개발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병원에서도 대부분 4개의 임상등급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23].본 연구에서는 간호역량 평가 예비문항 구성에서 간호사의 핵심역량과 중요도 인식 정도가 높은 문항을 우선적으로 반영 하였고 근무 부서 특성을 고려하여 병동에서 중요도가 높은128개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13개의 간호역량 요소를 정의한 후 각 역량 요소에 따른 핵심간호역량을 결정하였으며 임상등급별로 수행평가 기준을 차별화하여 기술하였다.간호역량 중환자에게 직접 제공되는 부분을 간호전문분야로 정의하였고 환자와 공감하는 부분은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환자지향성’으로, ‘기타 사람들을 지도, 교육하는 것’을 ‘교육 및 상담’으로 정의하였다. Choi와Eun[26]은 수술실의 특징을 반영하여 ‘환자 이해’와 ‘대상자 지향성’을 제외하고 ‘안전관리’를 포함하여 12개의 간호역량을 개발하였다. 또한 Liu 등[15]의 연구결과 도출된 ‘지도력,간호행위, 인간관계, 윤리적 활동, 교육, 전문성 개발 노력, 비판적 사고, 연구 경향’은 본 연구의 ‘간호전문 영역, 전문성 개발 노력, 병동업무 처리력, 윤리적 가치 지향성, 자기조절, 유연성, 교육 및 상담’과 유사한 영역으로 나타났다. Kang 등[17]은 일반병동 간호사의 간호역량을 9개로 구분하고 70개 문항으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9개 영역에서 본 연구와 유사한 영역은 ‘자원관리와 전문성 개발 노력, 병동업무 처리력,간호과정 적용력, 위기관리, 환자 지향성’이고 비판적 사고와 도덕적 의무, 인격적 배려 부분은 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문항 선정에서 128개 예비문항중 8개 문항이 삭제되었다. 이는 생리적 적응 증진, 측정 및 검사 부분의 중요도 인식이 다른 항목에 비해 낮고 내용이 중복 되었기 때문이다.최종 개발된 임상등급별 간호역량 평가도구를 임상등급 4등급 간호사 전체를 대상으로 자가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92였고, 점수는 4점 만점에 3.38~ 3.75점으 로 나타나 병동 간호사의 간호역량 평가도구로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임상등급에 따른 전문성을 기준으로 선정된 것이어서 임상간호 질의 유지와 공정한 승급 도구로서의 가치가 있어 간호인적 자원관리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based on the clinical ladders of nurses working in wards. Methods: Thirty clinical experts and 501 ward nurse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A survey using the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was conducted with 114 nurse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Res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dentified 13 components of nursing competencies and 30 core nursing competencies based on each of the 4 grade clinical ladders. Cronbach`s . coefficient for the total was .92. Cronbach’s . reliabilities of each clinical ladder grade were .83 for GradeⅠ, .84 for Grade Ⅱ, .81 for Grade Ⅲ, and .84 for Grade Ⅳ.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the scale with 120 individual items was 0.976~1.000 for GradeⅠ scale, 0.986~1.000 for Grade Ⅱ scale,0.984~1.000 for GradeⅢ scale, and 0.992~1.000 for Grade Ⅳ scale. The expert group nurses’ average degree of nursing competence measured using the scale was 3.38~3.75 out of 4.0. Conclusion: Through this process, 120 final questions were confirmed to represent items of the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based on clinical grade.

      • SCOPUSKCI등재

        원발성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및 임상적 관찰 (III)

        서지영,박미란,김창선,손형대,조동일,유남수,Seo, Jee-Young,Park, Mee-Ran,Kim, Chang-Sun,Son, Hyung-Dae,Cho, Dong-Il,Rhu, Nam-Soo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5 No.1

        연구배경: 최근 폐암은 전세계적인 증가 추세에 놓여 있을 뿐 아니라 서구에서는 여성 폐암 환자의 비율이 크게 늘고 있고 조직학적으로는 이미 선암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등의 임상적인 면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어 본과에서도 최근의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흐름을 파악해 보기로 하였다. 방 법: 1990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본과에 입원하여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받은 212예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별 및 성별로 나누고 내원 당시의 증상, 흡연 습관, 진단방법 및 진단양성율, 조직학적 및 병기별 분포와 치료 방법등에 따라 세분하여 관찰하였다. 곁 과: 1) 총 212예 중 남성이 178예, 여성이 34예로 5.2 : 1의 성비를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60대가 35.4%로 가장 많았고 40대 미만의 예는 5.2%였다. 2) 주증상은 기침, 호흡곤란, 흉통 등의 순이었으며 초발 증상 발현 이후 내원까지의 기간은 대부분 3개월 이내(57.7%)였고, 1년 이상이 지나 내원한 경우도 13예(6.5%)였으며 1980년대를 기점으로 조기 내원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3) 전체 환자 중 흡연자는 77.2%였으며, 편평상피 세포암과 소세포암 환자에서 흡연자의 비율은 각각 88.4%, 85.7%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선암의 경우는 55.7% 가 흡연자였다. 4)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이 44.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선암(30.7%), 소세포암(17.0%), 대세포암(3.8%) 순으로 선암이 증가 추세에 있고, 병기별로는 비소세포암의 경우 제 IIIb 병기 이상의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72.1%였으며 소세포암의 경우는 제한기와 전신기가 각각 48.6%, 51.4%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5) 진단양성율은 단순객담세포검사의 경우 75.3%, 경기관지 조직생검시 65.7%였으며, 임파절 흡인검사 95.8%, 경피적 폐침흡인검사 94.6%이고 개흉검사상에서는 100% 진단 가능했으며 전반적으로 과거에 비해 진단율이 향상되었다. 6) 내원당시의 활동 능력은 ECOG 1(46.7%), 0(26.2%)의 순으로 비교적 양호하였고, 진단 이후 69.3%의 환자에게 화학 혹은 방사선 치료가 시행되었고, 수술을 받은 경우는 7.5% 에 불과했다. 곁 론: 본 연구에서는 아직 편평상피세포암이 가장 많으나 과거에 비해 흡연파 비교적 상관관계가 적은 선암이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어 흡연 이외의 다른 발암 기전에 관한 관심이 요구되며 진단 당시 진행된 병기에 비해 양호한 활동 능력을 보이는 바 폐암의 선별 검사 및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나 아직까지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는 관계로 무엇보다 금연등 예방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Lung cancer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Also, the proportion of female patients incease and adenocarcinoma is the predominant histological type among lung cancer in many western countries. So, we studied these current trends of lung cancer by clinical approach of recent patients from our department Method: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n 212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lung cancer at the department of chest medicine in National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0 and July 1996. The contents of analysis were patient's profile, clinical manifestation, smoking habits, accuracy of diagnostic methods, histological cell type, staging and treatment, etc.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5.2 : 1. The peak incidence of age was 7th decade(35.4%). 2) Chief complaints were cough, dyspnea and chest pain, etc. The most common duration of symptoms before the first admission was less than 3 months(57.7%). On the other side, duration more than 1 year represented 6.5%. The early diagnosed patients has been increased from the 1980s. 3) Smokers among the total patients were 77.2%. The proportion of smokers in sq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were 88.4%, 85.7% and 55.7%, respectively. Smoking history and histological cell type were correlated in squamous and small cell carcinoma. 4) Squamous cell carcinoma is still the predominant histological type (44.8%), but, adenocarcinoma increased more than the previous study(30.7%). The other histological types were small cell carcinoma(17.0%) and large cell carcinoma(3.8%) in order of their proportions. 5) The accuracy of diagnostic methods were as follows: sputum cytology 75.3%, bronchoscopic biopsy 65.7%, lymph node aspiration cytology 95.8%, percutaneous lung aspiration cytology 94.6% and open lung biopsy 100%. The general accuracies of diagnostic methods were improved than previous studies. 6) Performance status scales on admission were relatively good. After diagnosis, chemotherapy and/or radiotherapy were undertaken in 69.3% of the patients, and only 7.5% of the patients were operated. Conclusion: In our study, squamous cell carcinoma is still the predominant histological cell type, but, adenocarcinoma continues to increase. Because adenocarcinoma is less correlated with smoking habits, further evaluation of other carcinogens than smoking is requested. Screening and early diagnosis of lung cancer is important for good performance status scales in spite of advanced stages. But, we think that the prevention, for example, stop smokings is more important as because of no perfect treatment for lung cancer.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부, 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김유선 ( Yu Sun Kim ),박미란 ( Mee Ran Park ),이지연 ( Jee Y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관계에서 부-자녀간, 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5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및 그 하위요인인 우울, 불안, 적대감, 정신증과는 보통 정도의 정적 관련성이 나타났다. 또한 부-자녀간 의사소통과 정신건강, 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정신건강도 모두 보통 정도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모-자녀간 의사소통이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방식으로 검증한 결과 모-자녀간 의사소통은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모-자녀간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부-자녀간 의사소통은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들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ather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o achieve the goal, I analyzed a collection of data about 593 male and female midd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and its sub-factors which are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and psychosis indicated static correlation at a general level. On the other h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at a general level. Second, I perform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thod o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o find if the communication can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ir academics` poor mental health. As a result, I found that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t implied that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ird, I found that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지윤(Ji-Yun Choi),박미란(Mee-Ran Park),고종욱(Jong-Wook K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암 진단 시점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를 초기에 사정하고 중재하여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면서 안정을 되찾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 방법을 탐구하여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간호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암 진단 받고 수술 전후에 입원한 환자 13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지지, 친구지지, 그리고 특별(의료인)지지가 높을수록 암 진단 초기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유형은 특별(의료인)지지였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암 진단 초기부터 환자와 가족을 동시에 지지 해주는 중재, 그리고 암환자의 특성상 완치되거나 질병이 진행되어도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병의 진행 단계를 고려한 종단적인 지지 프로그램과 간호중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nursing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for cancer patients by exploring social support methods for recovering stability with less stress by initially assessing and mediating the post-traumatic stress of patients at the time of cancer diagnosis at the stag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1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ancer and hospitalized before and after surge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special support, the less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ased on the analysis of results, the intervention that simultaneously supports the patients and family members from the beginning of the patients’ cancer diagnosis and a continuous support program and nursing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ngoing disease were confirmed to be necessar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