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사건, 대인감정, 심리적 강인성, 자기통제력이 대학차원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미라,제남주,Park, Meera,Je, Nam Jo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차원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차원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IBM SPSS 21.0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대학차원스트레스는 생활사건발생, 생활사건중요도, 대인감정, 자기통제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차원스트레스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강인성(β=-.323, p<.001)이었고, 그 다음으로 동아리활동(β=.237, p<.001), 대인갈등(β=.215, p=.001), 학년-2(β=-.203, p=.001), 학과적응(β=.161, p=.010), 연령-21세(β=-.149, p=.024)순이었다.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44.4%이었다(F=42.43, p<.001). 본 연구의 결과가 대학차원에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대학차원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는 심리적강인성과 학과적응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연령과 학년을 고려하고, 지지체계인 동아리활동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llege-based stress and develop stress-relieving educational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students in G-province, from June 15th to july 15th, 2020. Analysis was done using IBM SPSS 21.0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College-based str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event, life event importance, interpersonal emotion, and self-control.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llege-based stress was psychological hardiness (β=-.323, p<.001), followed by club activities (β=.237, p<.001), interpersonal conflict (β=.215, p=.001), grade-2 (β=-.203, p=.001), department adaptation (β=.161, p=.010), and age-21 (β=-.149, p=.024). The explanatory power was 44.4% (F=42.43,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refore,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age and grade, using club activities as support systems, and dealing with psychological hardiness and department adaptation are needed.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박미라(Meera Park),제남주(Nam Joo J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학과 112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두 그룹 간에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영역 중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생명의료윤리 교육에 참여한 후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 대한 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생명의료윤리 교육과정에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 관련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여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보아 추후 반복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evaluation of the differences in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related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2 nursing student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1.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ub-domains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rtificial insemination, euthanasia and organ transplantation.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s toward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wareness of death, and awareness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fter participating in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nursing college stud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artificial insemination, euthanasia, and organ transplantation. Moreover,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related to attitude toward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awareness of hospice palliative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need for development of various curricula related to death, hospice palliative care,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the biomedical ethics curriculum. In addition, a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single colleg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at different facilities are recommended.

      • KCI등재

        결혼 1년차 여성의 새로운 가족되기 경험

        박미라(Meera Park),여형남(Hyeongnam Yeo),양현주(Hyun-Joo Y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결혼한 지 1년 이내의 여성을 대상으로 새로운 가족되기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고, 현상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도의 결혼한 지 1년 이내이며 자녀가 없고 임신을 하지 않은 여성 9명을 편의표본 추출법인 눈덩이 표집법으로 모집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인터뷰와 녹음, 메모 등을 사용하여 2019년 7월에서 2020년 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혼한 지 1년 이내의 여성의 새로운 가족되기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핵심연구 질문은 ‘결혼 후 새로운 가족되기를 겪은 경험은 무엇인가?’ 이었다. 인터뷰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혼 부부의 새로운 가족되기 경험으로 4가지 구성요소와 11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4가지 구성요소는 다름으로 인한 갈등을 겪음, 새로운 가족이 생김, 새로운 역할이 증가함, 새로운 시작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결혼 초기 서로와의 다름과 새로운 환경의 적응으로 가족되기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를 완화하고 원만한 가족되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혼 부부를 대상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원만한 부부되기 가족되기에 도움이 되는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new family experience for women within a year of marriage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pursue the essence and describe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in depth. The participants were nine women who had been married within a year, had no children and were not pregnant. They were recruited by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9 to February 2020 using in-depth interviews, recordings and memos. The key research question to know a woman"s experience of becoming a new family within a year of marriage was "What is your experience of becoming a new family member after marriage?"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xperience of newly married couples resulted in four components: conflict due to differences, new families, new responsibilities and new beginnings.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partners in the early stages of marriage and adaptations to a new environment made it difficult to become a happy family. Therefore, newly married couples should be provided with relevant education programs to help them understand each other and make an amicable family.

      • KCI등재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미라(Park Meera),윤지원(Yoon Jiwon),이하정(Lee Ha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 자기효능감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재학생들의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1월 19일부터11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자는 G도 C시 소재의 C대학교 2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몰입은 평균 3.30점이었고, 교수-학생상호작용은 평균 3.34점. 교우관계는 평균 3.64점, 자기효능감은 평균3.32점이었다. 대학 몰입은 교수-학생상호작용, 교우관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교수-학생상호작용은 교우관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고(p<.001), 교우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16). 대상자의 대학 몰입에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학생상호작용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우관계였다. 이 결과는 대학 몰입이 교수-학생상호작용과 교우관계에 영향을 받으며 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과 교우관계가 중요함을 인식하고이들의 상호작용 경험을 활발히 할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rrange a basic material to improve institutional commitment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teacher-learner interaction, friendship and self-efficacy.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9, 2020 to November 26, 2020 through online question, aimed 213 participants from C university in a C city in G province. As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core of institutional commitment was 3.30, the average score of teacher-learner interaction was 3.34, the average score of friendship was 3.32, and the average score of self-efficacy was 3.32.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friendship(p<.001).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level of friendship(p<.001), a level of friendship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p<.016).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affects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was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a level of friendship in order. The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institutional commitment is influenced by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friendship, and that the effort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of the college students is needed at the collegiate level.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박희옥(Park, Hee-Ok),박미라(Park, Meera),전영미(Chun, Young-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증가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을 비롯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산전관리 교육요구도 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산전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 1개의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71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2014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수행되었다. 산전관리 교육요구도 는 불임, 남녀생식구조, 산전교육, 예방접종, 건강문제 관리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혼이주 여성은 신생아 안전관리 및 응급대처법, 예방접종, 건강문제관리, 신생아 정상발달과정, 신생아 관리법 등 주로 신생아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에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에 따른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부항목 중 불임에 대한 교육요구도에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중국과 기타 국적 출신의 결혼이주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5.53, p<.05). 따라서, 향후 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할 시 신생아 성장발달 과정과 이들 간호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어 프로그램 내용 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 i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suggest the meaningful data in developing prenatal care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multi-cultural center, D-city from 2014 Mar to 2015 April and a total of 71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s were investigated using a questionnaire including infertility, human reproductive structures, prenatal educations, vaccinations, health problems managements and so on. Scores in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s were high in newborn baby safety managements, vaccinations, health care managements, newborn baby normal developments and newborn baby care managements. In addition, education needs related to fertility i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were higher tha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China and others (F=5.53, p<.05).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an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focus on newborn baby normal developments and nursing care management for them.

      • KCI등재

        몽골유학생의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제남주,박미라,윤지원,Je, Nam Joo,Park, Meera,Yoon, Jiwo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iarit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continuity for Mongolian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June 30, 2021 on 124 Mongolian students from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using Google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study, gr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iarity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culture. The intention to continue schoo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it, familiarity with Korean culture, and social support. Grit direct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continuity,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ulture and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continu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grit and seek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o help using Korean cultural familiarity and social support systems.

      • KCI등재

        재가노인의 약물지식과 약물오남용행위 및 사회적지지의 구조모형분석

        성춘희(Sung, Chunhee),박미라(Park, Meera),김영진(Kim, You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약물오남용행위에 영향을 주는 약물지식과 사회적지지의 관계구조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 하여 검증하였다. D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 177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3일부터 5월 25일까지 13일 간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모형의 3요인간의 모형접합도와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첫째, 사회적지지가 약물지 식에 미치는 효과는 ß=.515(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적지지가 약물 오남용행위에 미치는 효과 는 ß=-.769(p=.002)로 유의하였으나 간접효과는 ß=.036(p=.671)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지지에서 약물오남용에 간접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옴으로 약물지식이 오남용에 대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지지가 중요한 인자로 나왔지만 선행연구들에서는 약물지식이 약물오남용행위를 감소시키는 중요요인으로 언급되고 있어 효과검증 을 위한 반복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knowledge of drug which affects drug abuse in elderly by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SEM). The samples included 177 elderly who lived in ‘D’ city was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questionnaires for 13 days from May 13 to May 25, 2013. 3 factors of research models had a significant model fit and correlation. The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social support they have, the more knowledge of drug they tend to have(ß=.515, p=.005). Second, direct effect that social support led to drug abuse was significant.(ß=-.769, p=.002) However the in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ß=.036, p=.671). Third, the indirect effect that social support led to drug abuse was not significant, which means it has no mediating effect. Social support turned out to be very important factor in this research, but other preceding research mentioned that knowledge of drug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could reduce drug abuse. Research needs to be analyzed repeatedly for verification of effect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온라인 수업(실시간-비실시간)의 교수 실재감 연구

        윤지원 ( Jiwon Yoon ),박미라 ( Meer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수업 방식(실시간-비실시간)에 따른 교수 실재감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창원 소재의 C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교양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한 28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교수 실재감(수업의 체계적 실행, 의사소통 촉진, 교수적 콘텐츠, 학습촉진 및 점검, 교수자의 존재감)과 관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교수 실재감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섯 개의 영역 중 의사소통 촉진 영역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교수 실재감을 확인한 연구로서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경우, 수업 방식에 따라 학습자가 느끼는 교수 실재감에는 큰 차이가 없었음을 밝혔다는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im is to examine the teaching presence of a university online writing class (synchronous-asynchronous). For this, I collected 283 students who took writing class out of enrolled students of the C university Changwon, Kyungnam province and analyzed the constructed survey questionnaires related to a teaching presence (systematic execution, facilitating a communication, educational contents, learning promotion and monitoring, teaching presence of teacher). A teaching presence in a synchronous online class and an asynchronous online class is really high, and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Looking into the sub-categories,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promotion. This study identified teaching presence in university online writing class and has a significance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a teaching presence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way of teaching.

      • KCI등재

        미혼남녀의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과 교육요구도 및 준비도

        제남주(Nam Joo Je),박미라(Meera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는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부모역할 인식과 교육요구도 및 준비도를 파악하여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의 미혼남녀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1일~ 20일까지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heffe-test, paired t-test, IPA matrix 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은 평균 3.41±0.27점(5점 만점)이었다. 교육요구도는 평균 3.48±0.41점(4점 만점)이었고, 역할준비도는 평균 2.65±0.57점(4점 만점)으로, 교육요구도가 역할준비도보다 높았다. IPA matrix 로 분석한 결과, 강화해야 할 부분은 ‘가족관계나 부모역할’이었으며, 이 영역을 위해 투입될 노력을 다른 영역에 투입하도록 권장하는 영역은 ‘자기이해’로 나타났다. 더 이상의 노력 투입이 불필요하며 앞으로 개선을 요하는 영역은 ‘배우자의 선택 및 결혼’이었으며, 향후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영역은 ‘임신과 출산’ 그리고 ‘자녀양육’ 영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구도와 준비도가 높은 A 영역은 계속적으로 잘 유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으며, 요구도와 준비도가 낮은 C 영역을 더 이상의 노력투입이 불필요한 영역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준비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 by grasping parent role recognition, educational needs and readiness of unmarried men and women. The subjects were 196 unmarried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K-do.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st to 20th, 2018, and analyzed using IBM SPSS WIN/21.0 to ge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heffe-test, paired t-test, and IPA matrix. The average score of recognition of social pre-parent role was 3.41 ± 0.27 (out of 5 points), educational needs was 3.48 ± 0.41 points (out of 4 points), and educational readiness was 2.65 ± 0.57 points (out of 4 points). educational needs being higher than educational readiness. Through IPA matrix analysis, the area to be strengthened was ‘family relation or parent role’, and self understanding was the area to encourage putting effort into other evaluation attributes. The area where no further effort is needed and needs improvement in the future was spouse selection and marriage, and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were the areas to intensively improv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a standardized strategy in the area A, which has high degree of readiness and needs. Also, it is necessary to take strategies and countermeasures to raise the readiness of area C with low degree of readiness and needs, rather than accepting it as an unnecessary area of further effort input.

      • KCI등재

        대학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윤지원(Yoon Jiwon),박미라(Park Meer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2020년에 운영된 대학 교양 글쓰기 교과목의 비실시간온라인 수업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온라인 글쓰기수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경남 창원 소재의 C대학교에의 글쓰기 수업 수강생을 대상으로 1학기와 2학기에걸쳐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글쓰기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는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비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 내용, 교수자, 수업 환경, 글쓰기 역량 네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보았을 때 수업 환경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수업 영상의 품질에대한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셋째, 전체 항목 중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것은 상호작용과관련된 것으로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다양하게이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온라인 글쓰기 수업은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보다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온라인 글쓰기 수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위해서는 글쓰기 피드백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이에 대한 실제적 방안 및 실천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nding out better ways for future online writing classes by identifying learners’ perception regarding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classes in 2020 which were organized due to COVID-19. The survey was conducted two tim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by the writing class learners at C University in Changwon-si.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synchronous online class. Second, the learn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setting, especially, class video quality. Lastly, the learners though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professor was noticeably satisfying in 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es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asynchronous online writing ones. In order to improve online writing classes, it necessarily takes a variety of efforts 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professors and writing feedback. Also, more practical measures and further research should proceed in more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