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出现在蘇軾散文里的治国之道论

        朴魯玹(Park Ro heyn) 한국중어중문학회 2007 中語中文學 Vol.41 No.-

        먼저 蘇東坡散文의 내용을 분석함에 있어 학자요, 정치가로서 그의 治國之道論을 내용별로 분석ㆍ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그의 治國之道論에는 1)君王의 正道, 2)人事.立法政策, 3)財政政策, 4)言路의 活性化, 5)新法反對 등 다양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君王의 正道에서는 天下가 君王의 소유가 아니고 天下가 君王으로 하여금 주인이 되게 하였을 따름이므로, 먼저 君王이 바로 선 후에 밑에 사람들에게 바로 설 것을 주장하였다. 또 천하의 통치권이 君王의 개인적 소유물이 아니라 祖宗과 百姓들과 상의하여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아울러 백성들간의 親睦도 강조하였다. 또 人事. 立法政策에서는 과거제도의 과감한 개선과 올바른 人事 및 立法政策을 펼치는 것이 治國之道의 지름길임을 강조하고 있다. 財政政策 부분에서는 당시 宋의 가장 큰 문제가 國家의 財源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당시 시대적 상황하에 가장 현실적인 治國之道임을 강조하였다. 또 言路의 활성화에 대해서도 강력히 주장하였다. 또 新法反對에서는 蘇東坡이 자신과 정치적으로 반대적 입장에 있던 王安石이 주창한 新法에 대해 그 폐해를 설명하고 新法撤廢를 주장하고 있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治國之道의 최선의 길임을 설파하고 있다. 결국 여기서 주장하는 것이 모두 그의 정치적 주장이라 하겠다. 아울러 그 내용들을 찬찬히 살펴보면 蘇東坡가 얼마나 백성들을 사랑하고 그들의 民生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나 하는 점이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결국 蘇東坡散文중 그 治國之道에 관한 내용들이 거의 모두 기본적으로 儒家的 理想을 실현시킬 수 있는 治國平天下가 도래하기를 바라는 蘇東坡의 國家觀과 社會觀 및 政治的 見解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蘇東坡散文에 나타난 治國之道論은 주관적 감정이 앞서기보다는, 치밀하고 역사적 사실을 기초로 하여 그 위에 견해를 피력함으로써 객관성을 강하게 갖은 문장들이라는 점이 그 특징적 요소라 하겠다.

      • KCI등재

        苏东坡散文硏究

        朴魯玹(Park, Ro hyu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7

        The studies of prose works are very in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prestige of prose part i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s. As the result, in case of Su Dongpo (蘇東坡, 1036-1102) who is well known for his excellent prose works until now, the general and systematical studies about his proses are also small in quantity comparing with the studies of his other literary field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in his proses which can be the most typical case with the purpose of helping the studies on the prose part. This study would particularly seek the effects of his prose writings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by analyzing his lyrical & epic proses in the process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as well. On the basis of these ideas the analysis of his argument proses, literary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forms in those writings will be the subjects for the further studies.<br/> Due to his expression way with which proses are oriented toward the contents, so the styles are accessorial, his proses were classified largely such as three parts: arguments, lyrical and epic prose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his lyrical & epic proses among the writings which have not been mentioned a lot on the basis of them and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ings;<br/> According to contents the lyrical proses can be classified as 1) view of life with modest and integral attitude, 2) fellowship, 3) the emotions of keeping aloof, 4) sorrowful indignation 5) feelings of sorrow. The epic proses can be classified as 1) the histories of persons 2) the rules and customs 3) the records of castles and pavilions. And Su Dongpos’ lyrical and epic proses are not only various, logical, and vivid but also affectionate in their contents. Also his proses have great, peculiar, natural, plain styles which influenced on Chinese proses depressed for a long time with a new vitality and had great effects on later generations.<br/> In short, Su Dongpo should be regarded as a writer who created highly inventive prose works which are rich in content and full of literary value by accepting all over the earlier writers’ merits, harmonizing with his own personality and representing his own original beauties in his works.

      • KCI등재

        외식 프랜차이즈에서의 경험적 가치가 감정반응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호혜성 지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노현 ( Park No-hyun ),전태유 ( Chun Tae-yoo )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경험적 가치와 감정반응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즉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소비자의 감정반응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소비자의 호혜성 지각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이들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소비과정에서 나타나는 경험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속성으로서 유희성, 유익성, 심미성, 서비스 우수성 등 4개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개념들을 인과적으로 수립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외식 프랜차이즈 중에 보쌈정식을 주 메뉴로 취급하는 브랜드를 선정하여 수집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는 감정반응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프랜차이즈 점포에서의 소비과정에서 경험적 가치가 긍정적일수록 좋은 감정반응을 갖는다는 것이다. 둘째, 소비자의 감정반응은 브랜드 충성도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식 프랜차이즈에서의 감정반응이 긍정적일수록 브랜드에 대한 재구매 의도, 타인에게 추천 및 권유 등의 결과적 행동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셋째, 이들 모형의 인과적 관계에서 호혜성 지각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정반응과 브랜드 충성도의 인과관계에서 호혜성 지각이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인과관계에서 소비자가 호혜성을 지각함으로써 결과행동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은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Consumers want to spend an impressive product and service remembered for a long time, not disappear at the same time as consumption. Companies needs to find ways to differentiate their company in a competitive market. We study the behavior of consumers of emotional responses and brand loyalty for the experiential value in foodservice franchise business. Attribute of experiential value is playfulness, usefulness, aesthetics, service excellence. This study attempts to 1)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ential value on emotional responses and 2)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s on brand loyalty and 3)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reciprocity between experiential value and emotional responses, emotional responses and brand loyalty. To achieve the purpose, precedent studies were examined by theoretical background to establish hypotheses for a solution to study problems. And the hypotheses were empirically analyz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was used to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experiential valu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sponses. Second, emotional respons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Third, perceived reciproc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moderating role between emotional responses on brand loyalt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causal relation between the influence factors. And We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reciprocity.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엔딩 컷-미니시리즈 <신의 선물-14일>과 <밀회>를 중심으로-

        박노현 ( Park Noh-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8

        텔레비전 드라마 연속물에서 화면의 정지는 곧 서사의 중지를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일시적 정지와 중지일 뿐이다. 내일 혹은 내주에 화면이 다시 움직이면 자연히 서사는 재개된다. 이처럼 엔딩 컷은 마감이 임박한 현재와 분명히 도래할 미래를 잇는 매개적 화면으로서 기능한다. 그렇기 때문에 연속물의 엔딩은 시청자의 호기심과 기대감을 자극할 수 있는 강렬한 컷으로 마무리되게 마련이다. 대개의 엔딩 컷이 표정의 확대를 통해 감정의 증폭을 유도하는 클로즈업 쇼트로 이루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클로즈업이야말로 회와 회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離隔)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시각적 미장센으로 간주되어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4년에 방영된 미니시리즈 <신의 선물-14일>과 <밀회>는 엔딩 컷의 화면 구성 방식에 있어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다. 그것은 인물을 배제하는 대신 공간을 전경화하거나, 표정에 주목하는 대신 상황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실현되었다. 이를 통해 두 편의 드라마는 연속물의 회차 별 엔딩 컷이 호기심과 기대감의 자극이라는 내용을 충실히 달성하기 위해 굳이 클로즈업이라는 획일적 형식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몸소 보여주었다. 이는 정형화된 엔딩 컷에 대한 고정관념을 전복시킴으로써 엔딩 컷의 스펙트럼이 보다 다채로워지는 데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선구적이다. 부연하자면 <신의 선물-14일>과 <밀회>가 보여준 사뭇 낯선 엔딩 컷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창작 및 연구에 있어서 엔딩 컷의 ‘심미성’이라는 새로운 화두를 던져준다. The stoppage of screen in television drama series or mini-series means the stoppage of narrative. However, it is just a temporary one. If the screen is run again tomorrow or next week, naturally the narrative is re-started. Like this, ending cut acts as mediating screen to connect the present with impending close and the future to come obviously. This is why ending of series finishes with an intense cut to stimulate viewer’s curiosity and expectation. This is why ending cut is usually consisted of close-up shots to induce to amplify feelings by highlighting facial expression. Close-up is regarded as optimal visual mise-en-scéne in minimizing the gap between episode and episode. However, mini-series, broadcast in 2014, < Godsend-14 days > and < Secret Love Affair > showed a new attempt in composition of ending cut screen. It was realized in the way of making space in a foreground instead of excluding any figures or emphasizing situation instead of focusing on facial expression. By doing so, the two dramas demonstrated the fa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epend on the uniform way of close-up for ending cut by episode to attain the purpose of stimulating curiosity and expectation as honestly as possible. This research is pioneering in that it contributes to a varied spectrum of ending cut by subverting our stereotyped image of ending cut. In other words, the unusual ending cut shown in < Godsend-14 days > and < Secret Love Affair > raises a new topic on ‘aesthetics’ of ending cut in creating and studying television dramas.

      • KCI등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환상성-1990년대 이후의 미니시리즈를 중심으로-

        박노현 ( Park Noh-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물은 비현실적 세계의 시청각적 재현으로 성립한다.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이러한 정의에 부합하는 환상물은 크게 1990년대를 기점으로 갈린다. 1980년대까지는 주로 기담괴설에 기댄 <전설의 고향>이 텔레비전을 통해 마주할 수 있는 거의 유일무이한 한국적 환상물이었다. 하지만 이 시기 텔레비전에는 다른 국적의 환상물이 엄존하고 있었다. 그것은 미국으로 대표되는 일련의 외화 시리즈이다. 1980~90년대의 외국 드라마는 현실적인 것과 환상적인 것을 막론하고 한국 드라마의 생산과 소비에 있어서 일종의 참고서와도 같았다. 외국의 드라마가 현란하게 재현하는 극적 사건과 세계에 대한 학습은 곧 한국 드라마 스펙트럼의 확장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물의 추이는 실험(1990년대)과 안착(2000년대)과 확산(2010년대)으로 요약된다. 이는 1980년대까지의 레퍼토리를 저본으로 한 혼융, 즉 <전설의 고향>을 요체로 하는 동양적/고전적 환상의 ‘계승’과 일련의 외화 시리즈에 대한 학습을 거친 서양적/현대적 환상의 ‘모방’이라는 문화적 혼종의 결과였다. 이러한 계승과 모방을 통해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물은 < M >이 방영된 1994년으로부터 <미스터 백>이 방영되고 있는 2014년 현재에 이르는 20여 년 동안 미니시리즈 51편과 단막극 시리즈 8편 등이 제작되고 방영되었다. 총 59편에 달하는 1990년대 이후의 환상물 연표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이 지닌 몇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 ① 지상파와 케이블을 망라한 환상물의 보편화, ② 환상의 화소로서 ‘인간’과 ‘시간’에 대한 유다른 선호, ③ 유형으로서의 ‘초능력’과 ‘타임슬립’의 강세, ④ 현실과 전혀 다른 2차 세계의 부재 등이 그것이다. 한국의 환상물은 창작과 제작 그리고 방영과 시청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난제로 인해 생면부지의 환상이라고 할 수 있는 2차 세계의 창조보다는 현실 세계의 인간과 시간을 통해 발생하는 국지적 환상의 창출에 주력해 온 셈이다. 그럼에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 환영은 현실의 부재와 상실을 치유하는 극적 상상으로서 현실에서 면면히 환영받고 있다. Fantasy creation in television dramas are produced by an audiovisual representation of unrealistic world. Fantasy creation which corresponds to such a definit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is largely divided from the base point of the 1990s. Hometown of legend, which focused on weird stories and strange rumors happened until the 1980s was an almost unique Korean-style fantasy creation that could be watched in television. However, such a creation from other nationalities existed really in television during such a period. It was a set of foreign film serie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Foreign dramas in the 1980s and 1990s were like a sort of reference book in producing and consuming Korean dramas regardless of realistic or fantastic because dramatic events brilliantly reproduced in foreign dramas and learning of the world led to the extended spectrum of Korean drama. The trends in fantasy creat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since the 1990s can be summed up into experiment(1990s), safe arrival(2000s), and spread(2010s). This was a result of mixed-melting of the repertoires created till the 1980s as original script, in other words, cultural mixing of ‘succession’ of oriental/classical fantasy starting with Hometown of legend and ‘imitation’ of western/modern fantasy that went through the learning of a series of foreign film. Through such a succession and imitation, fantasy creat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are manufactured and broadcasted including 51 mini-series and 8 one-act-play series from the year of 1994 when M was broadcast to the year of 2014 when Mr. Back was aired for more than 20 years. The chronological table of fantasy creation since the 1990s amounting to a total of 59 plays shows several characteristics of fantastic things in Korean television dramas:a. universalization of fantasy creation embracing terrestial broadcasting and cable television, b. different signals of ‘human being’ and ‘time’ as fantastic picture elements, c. predominance of ‘supernatural power’ and ‘time slip’ as pattern, and d. lack of the 2nd world totally different from the reality. Fantasy creation in Korea has focused on creating local fantasy occurred through human being and time of the real world rather than creating the 2nd world which can be called as unknown fantasy due to various difficulties accompanied by creation, manufacturing, broadcasting, and watching. Nevertheless, fantastic illusion in Korean television dramas is welcomed ceaselessly as dramatic imagination that heals the lack and loss of reality.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시민(성)

        박노현(Park, Noh-Hy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5

        텔레비전은 어원이 시사하듯 ‘멀리’에서 ‘보는’ 미디어이다. 당연히 텔레비전의 시청은 전파를 이용한 화면의 송수신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화면에 대한 원거리 시청을 가능케 하는 전파는 주로 국가 단위로 관리된다. 그렇기 때문에 텔레비전은 사회의 안정과 안녕이라는 명목으로 공공과 공익을 강조하며 작동되는 이데올로기적 국가 기구의 일환이다. 정치적 공공영역에서 보수적 미디어로서의 텔레비전은 역설적으로 기능한다. 그것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위한 정치적 목적에 부합하는 화면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탈정치 혹은 몰정치의 감각을 주입시키는 수단인 셈이다. 특히 허구의 서사로 이루어진 텔레비전 드라마는 현실에 대한 망각을 한층 더 강력하게 촉발시킨다는 점에서 대중을 탈정치 혹은 몰정치로 이끄는 대표적 콘텐츠로 폄하되어 왔다. 실제로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정치적 의미의 시민(성)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지배적 패러다임으로부터 탈주할 소지가 있는 화면과 소리를 좀처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 화면 안팎에서는 시민(성)의 흔적이 의미 있는 문학적 메타포로서 포착된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시민(성)은 텔레비전 안과 밖, 즉 텍스트 내부와 외부 혹은 드라마 안의 등장인물과 드라마 밖의 시청자로부터 감지된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시민(성)을 언제나 메타포로서만 암시한다. 텔레비전은 드라마의 특정한 화면과 소리가 지금/여기의 사회에 대해 정치적으로 발화하고 있음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려 하지 않는다. 이러한 메타포를 감지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곧 이와 마주하는 시청자의 몫이다. 시청자는 텔레비전 안에서 묘사되는 허구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민(視民, tivizen)으로서, 그러한 세계 속에서 펼쳐지는 인간의 길항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며, 이를 통해 다시 텔레비전 바깥의 현실 세계를 성찰하는 시민(市民, citizen)으로 탈태한다. 이를테면 텔레비전 드라마의 시민(성)은 일종의 숨은 그림 찾기처럼 존재하는 셈이다. 화면 안에 기입된 시민(市民)의 은유가 시민(視民)에 의해 발견되어야지만 비로소 의미를 획득하기 때문이다. Television is the ‘watching’ media ‘from a distance’, as its etymology suggests. Watching television is composed of picture transmission/reception with radio waves under the control of nation. Television is the part of ideological state apparatus, emphasizing public interest for social stability. Television as the conservative media lies paradoxically in the political public domain. It is because television is an effective means infusing postpolitical sense or lack of political sense by showing repeatedly pictures matched up with political purpose for internalization of ruling ideology. Television drama, consisted of fictional narratives, is diminished as representative contents driving the public post-political or apolitical in that it triggers more strongly forgetting about reality. Actually, it is not easy to find citizen(ship) as political meaning in television drama. Television drama does not allow screen and sound, which could escape from ruling paradigm. However, we could grasp marks of citizen(ship) on the television screen as literary metaphors. The citizen(ship) in television drama could be caught from the inside/outside of television or text, from characters of drama/viewers of television. Television drama always suggests citizen(ship) as metaphor. It does not show plainly the fact that particular pictures and sounds in drama tell the ‘now/here’ society politically. Grasping such metaphors and giving them a special meaning depends on television viewers. As a tivizen watching the fictional world represented in drama, television viewer judges right and wrong about human lives. Through this process, reflecting on the real world outside television, tivizen comes to be citizen. The citizen(ship) of television drama is a kind of pictorial puzzle. The metaphor of citizen inscribed in the screen could have meanings only after citizen’s discovery.

      • KCI등재

        박경수 미니시리즈 삼부작 연구-극적 세계의 친연성을 중심으로-

        박노현 ( Park Noh-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극작가 박경수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년마다 발표한 세 편의 미니시리즈는 통상 삼부작으로 불린다. <추적자>와 <황금의 제국>과 <펀치>가 그것인데, 세 개의 텍스트는 각각 정계/재계/법조계와 같은 권력의 공간을 주요한 극적 세계로 삼는다. 이 때문에 언론은 세 편을 흔히 ‘권력 삼부작’이라 부른다. 하지만 이러한 통칭의 정합성은 비단 동일 작가의 유사한 화소라는 데에서만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세 편의 미니시리즈가 ① 정치-자본-법이 긴밀하게 유착된 권력의 기형적 네트워크로 인해, ② 가족의 분열과 해체를 초래하고, ③ 개인의 소박한 욕망마저 억압되면서, ④ 정의의 훼절이 또 다른 부정을 동시다발적으로 잉태하는, ⑤ 한국사회의 쓰라린 치부에 대한 폭로와 고발을, ⑥ 양가적 괴물의 형상화로 연이어 덧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극적 세계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부작은 공히 복수의 플롯을 취한다. 그것은 ① 가족의 상실 → ② 위법한 맹목 → ③ 상호적 파멸이라는 수순을 따른다. <추적자>로부터 <황금의 제국>을 거쳐 <펀치>에 이르는 일련의 상실과 파멸은 현대사회에서 권력에 의해 개인의 삶이 어떻게 파괴되는가를 여실히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삼부작은 ① 다중대립과 시소게임을 통한 갈등의 격화, ② 현대판 서얼을 연상시키는 반동인물의 강조, ③ 권력의 상속과 세습을 육화한 조역의 배치, ④ 정보 전달의 방편으로서 뉴스의 선호, ⑤ 욕망의 상관물로서 ‘문’과 ‘창’을 비롯한 ‘방’에 대한 주목 등을 통해 현대/한국/사회의 편협한 민주주의와 천박한 자본주의 혹은 편협과 천박의 근인인 권력(자)에 대한 비판을 시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삼부작은 일종의 계열체로서 내밀하게 연결된 하나의 통합체, 즉 세 편의 분절된 미니시리즈가 하나로 합쳐져 완성되는 대하드라마에 비견할 수 있다. The three-part mini-series released every year from 2012 to 2014 by dramatist Park Gyeong-su, is usually referred to as the trilogy. They are < The Chaser >, < The Empire of Gold > and < The Punch >, and these three texts take space of power, such as political/financial/legal community respectively as a major dramatic world. For this reason, the journal often referred to the three pieces as the ‘Power Trilogy’. However, the consistency of this title is not only because this trilogy has similar stories by the same author, but because this three part mini-series shares a dramatic world as follows: ① Due to an abnormal power network in which politics-capital-law are tightly adhered to, ② fragmentation and dissolution of the family are caused, ③ even simple personal desire is repressed, ④ forgoing of righteousness simultaneously conceives another corruption, ⑤ the revelations and accusations about the bitter disgrace of Korean society, ⑥ it subsequently overlaps color shaping it as an ambivalent monster. All parts of the trilogy take plot of revenge. It follows the procedure of ① family loss → ② unlawful blindness → ③ mutual destruction. A series of loss and destruction ranging from < The Chaser >, < The Empire of Gold > to < The Punch > clearly shows how personal life gets destroyed by power in modern society. Also, the trilogy tries to criticize the intolerant democracy and vulgar capitalism of modern/Korean/society or power(-holder) which is the cause of intolerance and vulgarity through: ① aggravation of conflicts through a multiple conflict and seesaw game, ② highlighting the antagonist who reminiscent a modern son of a concubine, ③ deployment of supporting actors who is inheritance and succession of power incarnate, ④ favoring the news as a means of conveying information, ⑤ and attention to ‘door’, ‘window’ and ‘room’ as an objective correlative of desire. In this context, the trilogy is a kind of ‘syntagme’ which is a confidentially connected ‘paradigme’. In other words, it is a 59-part epic drama combined and completed in three segments.

      • KCI등재

        韓非子의 法·術·勢治論

        박노현(Park Ro hyu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1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5

        The teaching consideration of Han Feizi (韓非子) was originated from one of the main leading factions of Oriental thoughts in ancient China from the Zhou dynasty to the Chao dynasty (770-403 B.C.E.). His point of view was in suitabilities as well as in realities of life at that time. Especially he rearranged the defects of previous philosophers’ ideas. Also many of his practical alternatives were contributed to the valuable worths. The Zhou dynasty to the Chao dynasty was confronted with each others’ countries to expand their territories At that time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tried to solve the problems themselves by the suggestions for governing and guiding for their countries which were political solutions. The philosophers, Confucius (孔子), Mencius (孟子), Xunzi (荀子), Mozi (墨子), Laozi (老子), Zhuangzi (莊子), etc., they had no ethical norms to solve the problems. Although Han Feizi’s philosophy agreed partly the government and enlightenment over human beings’ natural state, he believed that their philosophy couldn’t be the basic solution against the confused and troubled times. So he insisted that the a new suitable political strategy is to be centered by the law-governed state by political power. Han Feizi criticized Shen Buhai (申不害) who insisted on using only artifices not the application of law and Shang Yang (商鞅) who insisted on using only artifices not the application of law. Therefore he insisted on using jointly the application of artifices and laws. Also he insisted that a state is a monarch’s horse, therefore he could controll by artifice. he believed that if in case of disregarding on the relations of law and artifice and power. As we have examined above, Han Feizi power same time. Also that means that the relation of artifice and power shows unavoidably. According to the above, Han Feizi regarded courtesy as power and use as law and artifice, And he studied and analyzed Xian Qin’s (先秦) lawful idea. And he reorganized Xian Qin’s works, which was described that monarch’s sovereign power was regarded as important means of law and artifice to execute his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