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민주홍 ( Min Jooh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늘어난 노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활동적 노년, 그리고 성공적 노화와 같은 담론을 중심으로 노년기 활발한 사회참여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주목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참여와 건강은 상호간에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이자 결과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사회참여와 주관적 건강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2006, 2008, 2010 의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를 이용, 60세 이상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참여와 주관적 건강의 초기값과의 상관은 사회참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주요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영향을 통제한 경우, 직업참여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사회참여가 6년간의 주관적 건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비록 짧은 기간의 변화이긴 하나, 노인의 다양한 종류의 사회 참여가 주관적 건강의 향상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사회참여가 노인의 주관적건강의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선 가정하기 보다는, 노인이 처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맥락과, 사회참여의 다양성을 고려한 사회참여 관련 정책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Social engagement has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outcome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examined the association using cross-sectional data; thus the causal relationship is uncle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engagement predicted change in self-rated health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older adults. Using three waves of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growth curve modeling was performed to examine change of self-rated health over time among 4,250 older adults age 60 and older. Older adults reported significant decrease of self-rated health within 6 years. The study foun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health and social engagement, but social engagement did not predict change in self-rated health. Results suggest good health status is important for social engagement but social engagement is not necessarily a leading factor to maintain better health outcom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고령부모와 노인자녀의 세대관계의 질과 우울감 간의 관계 : 쌍자료를 이용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탐색

        민주홍(Joohong Min),김주현(Joohyun Kim),김경민(Kyungmin Kim),Kathrin Boerner,한경혜(Gyounghae Han)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해 초고령부모-노인자녀로 이루어진 노(老)-노(老) 세대조합이 증가하고 있지만, 연장된 세대관계에 대해별로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과 자녀에 대한 기대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가 지각한관계의 질과 이것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실증연구가 부모 혹은 자녀, 한쪽의 보고에만의존해왔기 때문에 노년기의 세대관계의 역동과 이것이 서로의 삶에 갖는 의미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의 목적은노년기 자녀와 초고령부모가 서로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지각이 노인자녀와 초고령부모의 우울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자녀와 그들의 초고령부모(배우자의 부모 포함) 105쌍에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세대관계의 질은 노인자녀와 초고령부모가 서로 간의 관계에 대해 인지하는 긍정적 측면(지원)과 부정적측면(갈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관계의 질에대해 초고령부모와 노인자녀 모두 부정적 측면인 갈등보다 긍정적 측면인 지원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경향은 특히 초고령부모에게서 두드러졌다. 둘째, 세대관계의 질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노인자녀는 초고령부모와의관계에서 지원을 높게 지각할수록 우울감이 낮았고, 부모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우울감이 높게 나타나, 관계의질에 대한 지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과’가 관찰되었다. 셋째, 자녀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지원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모의우울 수준이 낮고,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지원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녀의 우울 수준이 낮아, ‘상대방효과’ 또한 관찰되었다. 이상의연구결과는 초고령부모의 의존성 증가 및 이로 인한 자녀의 부양부담 증가가 이들 세대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와는 달리, 초고령부모와 노인자녀 모두가 세대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세대관계에 대해 자신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뿐 아니라, 상대방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가 부모와 자녀의 우울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자녀 삶의 상호의존성을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한국사회에서 노인자녀-초고령부모의 세대관계와 이들의삶의 질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esearch has consistently repor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quality and mental health outcomes in later life.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link among oldest-old parents and their old children, and even fewer studies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quality matters similarly to parents and children. Employing a dyadic approach, this study examined how one’s own and partner s perceptions of relationship quality a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very old parents(81+) and their old children(65+). Data from 105 dyad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parents tended to repor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and lower level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compared to their children. Regarding the actor effects of relationship quality, one’s own perception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for parents, whereas intergenerational suppor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for children. In terms of the partner effect, intergenerational support reported by parents and by children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for children and for parents, respectively. The findings highlight the centrality of perception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in understanding well-being in later life. Further,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were more susceptible to how their parents view the relationship.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line of the intergenerational stake theory.

      • KCI등재

        Parental influence on children’s tobacco use using parent-child dyadic data: Does relationship quality matters?

        민주홍 ( Min Jooho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9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3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쌍(dyads)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의 흡연행동과 흡연에 대한 태도가 자녀의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세대관계의 질의 중재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세대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 of Generations)자료로부터 추출된 713 부모-자녀 쌍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흡연과 흡연에 대한 태도 모두 자녀의 흡연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또한 부모의 현재 흡연과 자녀의 흡연경험 간의 관계에서 부모와 자녀사이의 세대관계의 질(세대 간 결속도)는 유의한 중재효과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흡연을 하는 경우 자녀의 흡연행동에 대한 훈육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 관계의 질이 중요한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흡연에 대한 세대 간 개입과 예방 프로그램 계획에 있어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이 청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조부모와의 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김현정(Hyeonjeong Kim),민주홍(Joohong Min)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5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나 돌봄 문제와 관련하여 세대 간 갈등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사회 진출과 함께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은 자녀 돌봄의 문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이에 따라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돌봄은 조부모의 측면에서는 손자녀 돌봄에 따른 생산감 혹은 부담감 증가와 관련 될 수 있고, 돌봄을 제공받는 손자녀 측면에서는 손자녀가 노인과 직접 상호작용하고 접촉하는 기회를 갖게하며, 이는 노인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손자녀 측면의 경험에 주목하여, 청년 남녀를 대상으로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경험의 유무, 시기, 기간)이 청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돌봄 경험과 노인에 대한 태도(이미지, 수용성, 위협인식, 정책지원)의 관계에 있어 돌봄 당시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정서적 결속 및 갈등)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39세의 제주 및 부산에 거주하는 청년 남녀를 대상으로 한 363부의 설문조사자료를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이 있는 집단이 돌봄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노인에 대한 국가의 정책지원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이 이루어진 시기가 생의 발달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빠를수록 노인에 대한 수용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돌봄 시기가 이르지만 조부모와 갈등이 높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노인에 대한 수용성이 낮았다. 생애발달 관점에서 돌봄 경험을 경험 유무(occurrence), 시기(timing), 기간(duration)등으로 세분화해 노인에 대한 태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핀 이 연구의 결과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세대 간 갈등에 대한 논의와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andparents caregiving on their young adults grandchildren’s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on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parents’ caregiving and young adult grandchildren’s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The study used a sample of 363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group who experienced care from grandparents reported positive attitude toward older adults for the policy support. Second, those who experienced care from their grandparents earlier in their live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lder adults for acceptabilit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emotional cohesion and confli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timing and duration of care and attitudes toward the older ad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aring experiences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occurrence, timing and duration of car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자녀 쌍(dyad)자료를 활용한 가족가치관과 미혼성인자녀의 결혼의향과의 관련성: 세대관계의 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태실 ( Yun Tae Shil ),민주홍 ( Min Jooho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3

        Objectives: Using parent-child dyadic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oth unmarried adult childrents’ and their parents’ family values(attitude towards marriage, familism) on marital intention of adult childre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reported by adult children) on the above associations. Method: Logistic regressions were performed using a sample of 198 parent-unmarried adult child(unmarried adults aged 20 to 40 years) dyads collected from Jeju Province. Results: First, the family values of unmarried adult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marital intention. Second, parental family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adult children’s marital intention. However, we foun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their adult children’s marital inten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married older adults’ family value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one’s marital intention and influence of parental family value on their adult children’s marital intention may be conditioned by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Our results will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can help design counseling and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families.

      • KCI등재

        노년기 세대 간 대면접촉빈도로 살펴본 자녀관계망 변화

        홍영의(Youngeui Hong),한경혜(Gyounghae Han),민주홍(Joohong Min)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2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부모와 성인자녀 간의 관계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한편, 세대 간동거는 꾸준히 감소하는 등 한국가족의 세대관계 지형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부모 세대가 성인자녀로부터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는지 여부가 중요한 학문적, 사회적 관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지원교환의 토대가 되는 대면접촉(접촉자녀 수 및 빈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노인부모와 성인자녀의 주요 생애 전이에 따라 대면접촉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전체로서의 자녀관계망을 분석단위로 하여자녀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이 대면접촉 변화양상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고령화연구패널 1~6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모형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주 만나는 자녀로 구성된 관계망은 전반적으로 변화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0년간의 변화율을 살펴본 결과,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만나는 자녀의 수는 시간의 경과에따라 감소하였다. 셋째, 생애전이 경험에 따라 대면접촉빈도의 변화양상이 관찰되었다. 생애전이가 노부모와 성인자녀가 처한 상황, 세대 간 지원의 필요도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넷째, 생애전이와 대면접촉빈도 변화와의 관련성에 있어 젠더차이가 관찰되었다. 성인자녀가 배우자 상실을 경험하는 경우 어머니와의 대면접촉빈도가 높아지고, 첫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 아버지와의 대면접촉 빈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어머니가 배우자를 상실하는경우 자주 만나는 자녀 수의 감소폭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작았다. 아버지에게서는 이러한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넷째, 전체 자녀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은 대면접촉변화와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그 관련성의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는 어느 세대를 축으로 하여 분석하느냐 하는 세대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아버지의 관점에서 보면 자녀수가 많을수록 대면접촉 자녀수가 많았던 반면, 자녀 입장에서 형제자매가 많은 경우 대면접촉의 빈도는 오히려낮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세대 간 대면접촉은 지원의 필요성과 긴밀히 연관되는 생애 전이와 자녀관계망의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세대 간대면접촉의 시간성을 고려하고, 자녀관계망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세대관계의생애과정에 따른 역동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intergenerational contact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over time. In addition, relying on life-course perspectiv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mpacts of life transition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on the frequency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1-6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collected from 2006 to 2016. The sample included 1,851 older parents with information on their 6,575 adult children. Multi-level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In additi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 transition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changes in the frequency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life transition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anges in intergenerational contact. When adult children experienced spouse loss due to widowhood or divorce, they were likely to maintain low-frequency contact with their fathers. In addition, when adult children experienced the transition to being a paren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ir fathers was likely to change from low-frequency to high-frequency. Second, when fathers had more children, they were likely to have more children who meet more than once a week. On the other hand, when adult children have more siblings, they were less likely to maintain low-frequency of contact with their older par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tergenerational contact fluctuates over the life course according to major life transitions responding to the needs and available resource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