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연 임신의 임상 현황에 대한 국내 조사

        민정애 ( Jung Ae Min ),최석주 ( Suk Joo Choi ),정경란 ( Kyung Lan Jung ),오수영 ( Soo Young Oh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

        목적: 지연 임신의 임상적 처치에 대한 국내의 실제적 현황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대한산부인과학회에 등록된 회원 중 2차 및 3차병원, 여성전문병원에 재직중인 1114명에게 인터넷과 우편을 통해 설문조사에 대한 취지를 밝히고 협조를 요청하였다. 설문 내용은 응답자의 연령, 성별, 지역, 전공 분야, 분만 건수 등의 개인 정보뿐 아니라 지연임신의 정의, 태아 상태 평가를 시작하는 시기 및 방법, 유도 분만의 시기 및 방법 등의 임상적 처치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였다. 1114명 중 23.2%인 258명으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자료 응답을 확보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응답자의 73.6%가 지연 임신을 42주 이후로 정의하였으나 84.5%에서 41주에 유도분만을 고려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68.3%에서 임신 40주부터 정기적인 태아 상태 평가를 시행한다고 답하였고, 평가 방법으로는 85.7%에서 NST를, 39.5%에서 modified BPP를 채택하였으며 1주일 간격으로 검사를 시행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59.3%로 가장 많았다. 유도 분만의 방법에 대해서는 자궁 경부가 숙화되지 않은 경우 응답자의 약 65%가 미산부와 경산부 모두에서 옥시토신을 사용하며 45%가 misoprostol과 dinoprostone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부분의 임상의들이 지연임신을 임신 42주 이후로 정의하고 있으나 실제 유도 분만을 시행하는 시기는 임신 41주가 가장 많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linical practice pattern of postterm pregnancy in Korea. Methods: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1114 physicians who are registered in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SOG) and work in primary and secondary hospital as well as tertiary care center. The questions included information about the practice pattern implicating definition of postterm pregnancy, the time and the method of routine fetal surveillance and induction of labor as well as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age, sex, location, professional part and the number of delivery. We got 23.2% (258/1114) of surveys returned and analyzed the data. Results: Seventy-four percent (73.6%) of the respondents define 42 weeks gestation or greater to be postterm. However, 84.5% consider induction of labor at 41 weeks of gestation. Sixty-eight percent (68.3%) of the respondents start postterm pregnancy fetal testing at 40 weeks and 59.3% of them perform testing every week. For fetal surveillance testing, 85.7% of the respondents use NST and 39.5% of them use modified BPP. As for induction of labor, 65% of practitioners use oxytocin and 45% of them use prostaglandins (misoprostol and dinoprostone) when inducing both nulliparous and multiparous women with unfavorable cervix. Conclusion: Most of the respondents (84.5%) routinely induce low-risk singleton pregnancy at 41 weeks gestation, whereas the majority of them (73.6%) define postterm pregnancy beyond 42 weeks gestation.

      • KCI등재

        임신 중 자궁부속기 종양의 초음파 소견 및 병리학적 진단에 관한 고찰

        민정애 ( Jung Ae Min ),최석주 ( Suk Joo Choi ),정경란 ( Kyung Lan Jung ),오수영 ( Soo Young Oh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nographic findings and tumor markers in predicting malignancy of adnexal masses in pregnancy. Methods: From January 1995 to September 2005, 190 cases of adnexal masses were operated during pregnancy. We reviewed their sonographic findings and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Sonographic features and tumor markers were correlated with malignant pathology. Pregnancy and neonatal outcomes were also studied after treatment of adnexal mass during pregnancy. Results: From 190 cases, there were 10 cases (5.3%) of malignant tumor or tumors of borderline malignancy. In the 180 cases of benign adnexal mass, the most common type was mature cystic teratoma (36.7%). Preoperative sonographic findings were available in 110 cases. The median size was 6.3 cm for benign masses and 7.7 cm for malignant masses (p=0.05). Mixed echogenecity, septa and mural nodule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malignant masses (p=0.003, 0.029, 0.013, respectively). Tumor markers were available in 47 cases. In the 1st trimester, the level of serum CA-125 of the patients with benign masse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with malignant masses. However, in the 2nd and 3rd trimester,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1). Forty-six patients underwent antepartum surgery and the overall pregnancy outcome was similar between the laparoscopic group and the laparotomy group. Conclusion: Mixed echogenecity, septa and mural nodu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lignant adnexal mass in pregnancy.

      • KCI등재

        임신 32주 이전에 발병한 중증 자간전증에서 분만 지연에 따른 주산기 예후

        민정애 ( Jung Ae Min ),이수호 ( Su Ho Lee ),최철훈 ( Chel Hun Choi ),최석주 ( Suk Joo Choi ),김지운 ( Ji Un Kim ),이은실 ( Eun Sil Lee ),손영수 ( Young Soo Son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주산의학회 2004 Perinatology Vol.15 No.4

        목적 : 임신 32주 이전에 발병한 자간전증 산모를 대상으로 입원에서 분만까지의 기간(분만 지연)에 따른 신생아 예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입원 당시 임신 주수가 32주 이전인 자간전증 환자 89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분만 지연 기간이 2일 이하인 즉각 분만군과 2일 초과인 보존적 치료군으로 나누어서 치료 방법의 차이 및 신생아의 예후를 비교하였다. 다태 임신, 당뇨, 만성 고혈압, 전치 태반 등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 즉각 분만군은 40예였고 보존적 치료군은 49예였다. 입원 시 모체 연령, 산과력, 임신 주수, 혈압, 단백뇨 등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입원 후 투여한 약물 중 부신 피질 호르몬은 보존적 치료군에서 현저하게 많이 투여되었다(89.8% vs. 52.5%, p<0.0001). 분만 후 신생아의 저체중, 태아 사망을 비롯한 미숙아 합병증의 빈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보존적 치료군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46.9% vs. 62.5%, p=0.0315). 그러나 분만 시 임신 주수를 보정한 결과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223). 결론 : 임신 32주 이전의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게 있어 분만의 지연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제외한 다른 미숙아 합병증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에 대해서는 부신 피질 호르몬의 사용 여부에 따른 영향보다 분만 시 임신 주수가 가장 중요한 인자로 보인다. Objective : To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pregnancy outcomes of severe preeclampsia before 32 weeks of gestation in relation to the latency between admission and delivery. Methods :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89 pregnant women who were managed in Samsung Medical Center because of severe preeclampsia before 32 weeks of gestation between January 1996 and February 2004. We studied the differences in the management and the neonatal outcomes between the immediate delivery group (admission to delivery ≤2 days) and the expectant management group (admission to delivery>2 days). We excluded maternal renal disease, chronic hypertension, multiple pregnancies, diabetes and placenta previa from this study. Results : 40 women were included in the immediate delivery group and 49 women in the expectant management group. Antenatal corticosteroid was given pregnant women in the expectant management group (89.8% vs. 52.5%, p<0.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and prematurity-related complications including neonatal mortality. There was significantly les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the expectant management group (46.9% vs. 62.5%, p=0.0315). However this difference disappeared when the adjustment was made to the gestational age at delivery (p=0.223). Conclusion : The latency period does not seem to alter the neonatal prognosis in severe preeclampsia before 32 weeks of gestation but the gestational age at the delivery, a reflection of the severity of the preeclampsia, seems to be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KCI등재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Platinum 중심 공고항암요법 (Consolidation Therapy)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관한 예비연구

        이선주 ( Sun Joo Lee ),이정원 ( Jeong Won Lee ),민정애 ( Jung Ae Min ),박창수 ( Chang Soo Park ),김병기 ( Byoung Gie Kim ),이제호 ( Je Ho Lee ),배덕수 ( Duk Soo Ba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목적 : 본 연구는 임상적 완전관해 (clinical complete response)를 보인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게 3회의 공고항암요법 (consolidation therapy)을 시행 후 그 효용성을 보고자 한 예비실험이다. 연구 방법 :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된 상피성 난소암 환자들 중 수술적 병기 Ⅱ-Ⅳ기 환자에 대해 일차적 최대 종양감축술 및 6회의 platinum 중심의 보조적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임상적 완전관해가 온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dditional three cycles of platinum- based chemotherapy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patients with clinical complete response (CR). Methods :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epithelia

      • KCI등재

        자궁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TADG-15 단백의 발현에 관한 연구

        이선주 ( Sun Joo Lee ),이정원 ( Jeong Won Lee ),민정애 ( Jung Ae Min ),박창수 ( Chang Soo Park ),김병기 ( Byoung Gie Kim ),이제호 ( Je Ho Lee ),배덕수 ( Duk Soo Bae ),이지은 ( Ji Eun Lee ),송상용 ( Sang Yong Song ),손영수 ( You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목적 : Tumor-associat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15 (TADG-15)는 상피성 종양의 진행에 관여하는 상피 기원의 막성 serine 단백분해효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 편평세포암에서 TADG-15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른 발현의 차이를 조사함에 있다. 연구 방법 : 표본은 침윤성 자궁경부 편평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또는 없는 환자 각각 20명으로부터 채취 Objective : Tumor-associat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15 (TADG-15/Matriptase/MT-SP1) is an epithelial-derived, integral serine protease which has been implicated in the progression of epithelial tumor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xp

      • KCI등재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이 합병된 임신에서 임신부와 신생아의 예후

        박유나 ( Yu Na Park ),김세은 ( Sei Eun Kim ),정경란 ( Kyung Lan Jung ),민정애 ( Jung Ae Min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목적: 본원에서 분만한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ITP)이 합병된 임신의 주산기 예후 및 신생아 혈소판감소증의 예측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4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본원에서 분만한 임신부 중 ITP가 합병된 32명 임신부 및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ITP는 1,000 분만 당 0.87의 발생률을 보였고 총 32명중에서 임신 중 처음 ITP를 진단 받은 경우는 12예 (37%)였으며 5만/mm3 이하의 혈소판감소증을 보였던 경우가 59%였다. 대상 임신부의 68.7%에서 혈소판 수치의 회복을 위하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분만 시 5만/mm3 이상의 혈소판 수치의 유지를 위하여 20예 (62.5%)에서 혈소판을 수혈 받았다. 치료 방법으로는 스테로이드 투여가 8예 (25%), immunoglobulin 치료 2예 (6.2%), 스테로이드와 immunoglobulin의 병합치료 6예 (18.7%), anti-Rh (anti-D) 1예 (3.1%)로 나타났다. ITP에 대한 치료를 시행받은 군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은 77%에서 나타났다. 출생 후 신생아에게서 5만/mm3 이하의 혈소판감소증이 있었던 경우는 14.2%였으며 이들 모두 immunoglobulin 치료를 받았다. 신생아에서 두개내 출혈 등의 합병증은 1예에서 나타났고 신생아의 혈소판 수치는 분만전의 임신부의 혈소판 수치 및 ITP 진단 시기나 치료 여부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04; P=0.86). 결론: ITP가 합병된 임신의 경우 신생아의 혈소판감소증은 10%에서 나타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예측인자가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in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idiopathic thrombocypenic purpura (ITP) and to identify antenatal factors to predict the neonatal thrombocytopenia.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of the32 pregnant women with ITP who were delivered over a 12-year period. Results: The prevalence incidence of ITP in pregnancy was 0.87 per 1,000 live births in this study population. The diagnosis of ITP was made more before pregnancy than with afterduring during pregnancy (63% vs 37%). Maternal platelet transfusion was done in 62.5 % of pregnancies with ITP. Sixty nine percent of pregnancies with ITP received medical therapies; steroid only in 8 cases (25%), steroid + IVIG (intravenous immunoglobulin) in 6 cases (18.7%), IVIG only in 2 cases (6.2%), and steroid + IVIG + anti-Rh (anti-D) in 1 case (3.1%). Overall response rate (Plt > 50×109/L) to medical treatment was 77%. Neonatal thrombocytopenia (Plt < 50×109/Ll) was observed seen in 4 cases (14.2%) immunoglobuli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and the neonatal platelet count. Moreover medical treatment during pregnancy did not make any difference in neonatal platelet count. There was one case of neonatal ICH (germinal matrix hemorrhage). Conclusion: Although neonatal thrombocytopenia occurred in 140% of pregnancies with ITP, no antenatal factor could predict neonatal thrombocytop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