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lia platura로부터 분리된 Entomophthora muscae의 특성

        민경구,김정헌,박태민,홍의용,박유빈,박윤진,장명준 한국균학회 2023 韓國菌學會誌 Vol.51 No.4

        In June 2023, at the oat field on Kongju National University’s Yesan Campus, flies infected withan entomopathogenic fungus were discovered. The flies were hanging with their wings foldedbackward. Fungal mycelia had sprouted on the abdomens of the flies. An analysis of the 28Sribosomal RNA sequence confirmed that the fungus was Entomophthora muscae. Moreover,cytochrome oxidase sequence analysis of the host insect identified it as Delia platura.

      • KCI등재

        토라의 수용 및 재해석 – 신명기 23장 ‘총회법’을 중심으로

        민경구 한국구약학회 2017 구약논단 Vol.23 No.2

        Für den Diskurs über die alttestamentliche Rezeption und Revision dient die Forschung der Tora bedeutsam, weil die Rolle der Tora im Alten Testament unverkennbar ist und die von Mose verschriftete Tora durch den Mosetod unüberbietbar geworden ist. Wird diese Tora wegen der Situation korrigiert, sind die Gründe der Tora-Revision und ihre Spindeln zu fragen. Dazu wird die Rezeption und Revision der Tora in diesem Aufsatz durch die historisch-kritische Methode untersucht. Dieser Aufsatz geht von Dtn 23, wo das Gemeindegesetz das Thema bildet, aus. Vom Eintreten in die Gemeinde werden hier einige Gruppen dauerhaft ausgeschlossen (2. 1). Dieses Gesetz sollte unaufhörlich gültig sein (Neh 13; vgl. Klgl 1), weil es durch Mose übergeben wird. Jedoch erheben einige Texte einen Einwand gegen dieses Gesetz. Im Jesaja 56 befindet sich mit der Botenformel, was den Text als Wort Jahwes verstehen lässt, wobei die Zulassung des Eintreten derjenigen, die das Eintreten in die Gemeinde nicht erlaubt werden, zum Thema wird (2. 2). Somit wird Dtn 23 durch Jes 56 korrigiert. Ein ähnliches Phänomen findet sich im Buch Ruth wieder, wo es um das Verhältnis zu Moab geht (2. 3). Eine Voraussetzung für die Tora-Revision wird hier beobachtet, dass man einen Bund mit Jahwe schließen bzw. das Bekenntnis zu Jahwe ablegen soll, was als Tora-Gehorsam zu verstehen ist. Dadurch wird das Konzept ‚das ethnische Volk Israel‘ zum Konzept ‚das das Tora-Gehorsam haltende Volk Jahwes‘ bedeuten soll. Diese Untersuchung hat zu folgenden Ergebnissen geführt: 1) Die Tora bildet ein Schlüssel zur Interpretation von Nebiim und Ketubim. 2) Konkurrenz zwischen Nationalisten und denjenigen, die die Tora-Revision erwogen. Beachtenswert ist, dass am Toragehorsam festgehalten werden muss. 3) Das Kriterium der Tora-Revision ist der Toragehorsam, was durch das Bundesbekenntnis formuliert wird. Daher zielt diese Revision nicht auf die Überwindung der Tora, sondern ist eine neue Interpretation der Tora, die auch auf den Toragehorsam abzielt.

      • KCI등재

        대화인가, 독백인가? - 출애굽기 3:4의 새로운 이해

        민경구 한국구약학회 2022 구약논단 Vol.28 No.1

        Dieser Artikel untersucht die Subjektzuschreibung des Ausdrucks “Hier bin ich” (הִנֵּנִי) in der Berufungsgeschichte Mose durch linguistische Analyse. Die Formulierung gilt oft als die rasche Antwort des Mose auf den Anruf Gottes. Exemplarisch ist die Übersetzung der “New Korean Revised Version”, hier folgt auf den göttlichen Anruf “Mose, Mose” dessen Antwort, da das “Hier bin ich” (הִנֵּנִי) Mose zugeschrieben wird. Seine Antwort gilt als Höflichkeitsgeste, wodurch Mose als ihr Subjekt verstanden ist. Diesem Verständnis folgen viele Bibelübersetzungenn (“New Standard Version”, “Korean Catholic Bible”, “Korean New Revised Version”, LUT, ELB), gelegentlich taucht zudem zur Betonung der Personennamen “Mose” auf, wodurch die Übersetzer zeigen, dass Mose Subjekt von הִנֵּנִי ist. Der Ausdruck וַיֹּאמֶר in Ex 3:4 ist sehr auffällig. Er ist eine Narrativ-Form als PKו und erscheint in der Passage viermal. Mit Ausnahme des strittigen zweiten Belegs ist Gott immer dessen Subjekt. Theoretisch wäre es möglich, dass sowohl Mose als auch Gott als Subjekt dieser Stelle zu verstehen ist, da die Verbform 3. m. sg. beide Zuschreibungen ermöglicht. Allerdings findet sich im Kontext jedoch kein Hinweis über einen Subjektwechsel, weswegen Gott auch hier Subjekt des Verbs sein müsste. Aus diesem Grund ist Ex 3,4-6 anders als bisher zu interpretieren. Ex 3,4-6 ist eben kein Dialog zwischen Gott und Mose, sondern einzig Wiedergabe der Selbstoffenbarung Gottes. Diese Auslegung ergibt sich sowohl aus der Textlogik als auch aus dem Stil ähnlicher Texten wie z.B. Gen 22; 46. 본 소논고는 출애굽기 3장에 나타난 모세 소명 이야기에 나타난 주어 변화를 언어학적으로 연구했다. 이 이야기에서 הִנֵּנִי(힌네니, 내가 여기 있다)의 주어는 모세로 인식되었고, 본문은 하나님의 부름과 그에 대한 모세의 즉각적인 응답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개역개정』은 모세를 부르는 하나님과 그에 대한 모세의 응답 “내가 여기 있나이다”를 서술하고 있다. 『개역개정』은 경어체를 사용함으로써 모세가 주어임을 암시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다른 번역서들(『새번역』, 『공동개정』, 『성경』, LUT, ELB) 역시 경어체를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때로는 “모세”라는 명칭이 등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맛소라 본문에는 모세라는 인명이 확인되지 않을 뿐 아니라, 히브리어에는 경어체가 없다. 만약 히브리 성경이 한글로 번역되면서 그것이 경어체로 사용된다면, 그것을 통하여 번역자는 화자를 암시하게 된다. 출애굽기 3:4에서 부각되는 것은 “그리고 그가 말했다”로 번역될 수 있는 단어(וַיֹּאמֶר, 봐요메르) 이다. 이것은 대화체를 감싸는 내러티브 형태로서 3인칭 남성 단수로 표현되었다. 이 단어는 출애굽기 3:4-6에서 총 4회 등장하는데, 4절의 두 번째 동사를 제외한다면 이 동사의 주어는 모두 ‘하나님’으로 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이 단어의 주어는 ‘하나님’과 ‘모세’가 될 수 있다. 본문의 맥락은 주어가 바뀌는 것에 대하여 어떠한 암시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4절에 기록된 두 번째 וַיֹּאמֶר(봐요메르)의 주어는 하나님이 간주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해는 출애굽기 3:4-6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요구한다. 출애굽기 3:4-6은 하나님과 모세의 대화가 아니라, 하나님이 전적으로 인간에게 자신을 계시하는 신현현 사건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석은 출애굽기 3:4-6뿐만 아니라, 다른 유사한 형태로 기록된 본문들(창 22; 46)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과 토라의 관계: 토라 중재자를 통한 율법 순종에 있어서 영의 기능

        민경구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6 영산신학저널 Vol.36 No.-

        This essay examines the function of the Spirit for the Torah-obedience. According to Deuteronomy 31:9 the Torah-responsbility is transferred to the Priest and the elders, who takes responsbility for the Torah-obedience of the people with the death of Moses. The qualification for the task of Torah-teaching is determined based on two documents, namely Isaiah 61 (59:21) and Num 11. According to Deuteronomy 31.9 Moses is depicted as unsurpassable, because he is portrayed as the subject of lexemes bt;K’ (write) and !t;n (give) while Yahweh is in other place of their subject (Ex 24:12b, 31:18; Deut 5,22b). The anointed in Isaiah 61 is to be understood as high priest, because there is no king in the postexilic period. The Torah-teaching by the inspirational high-priest as a necessary intermediator between Torah and Israelite is the theme of Isaiah 61, and in Num 11 the role of the 70 elders who have been qualified by the spirit that is on Mose. The investigation of the Text has shown that both traditions have in common, because the Spirit as a guarantee of Torah-obedience is their connection point. Furthermore, the Torah-obedience is not individualized, but is done by teaching the person who is outpoured with the spirit. In this respect, the function of both the Torah-intermediators as well as the Spirit is stressed. If these spiritual intermediators have taught the people to obedience to the Torah, which was written by Moses, they are presented as the successor of Moses. In this conception, the privileged either an individual or a group, Num 11:29 reacts by wish of Mose “Would that all the LORD’s people were prophets” critical. The hope of a Torah-obedience which no longer requires an intermediator, makes a possible correlation to the book of Jeremiah visible, because the concept of the spirit is negatively portrayed in the book of Jeremiah. 본 논문은 토라 순종을 위한 영의 기능을 주제로 삼고 있다. 신명기 31:9에 따르면 모세의 죽음과 함께 토라는 제사장과 장로들에게 교부됐으며, 그들은 백성들로 하여금 토라에 순종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하는 책임자로 등장한다. 토라 교육의 자격을 언급하는 것으로 여러 본문들 가운데 두 본문, 즉 이사야 61장과 민수기 11장이 선별되었다. 신명기 31:9에 따르면 모세는 더 이상 능가할 수없는 인물로 묘사되는데, 왜냐하면 그는 bt;K와 !t;n 동사의 주어로 등장하며, 이두 동사는 다른 곳에서는 하나님을 주어로 삼기 때문이다(출 24:12b, 31:18; 신5:22b). 포로기 이후 시대에는 왕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사야 61장에 등장하는 기름 부음 받은 자는 대제사장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사야 61(59:21)장은 영 부음을 받은 대제사장을 통하여 나타나는 토라 교육은 토라와 백성 사이에 필연적으로 중재자가 있어야 함을 중심 주제로 삼고 있다. 그것을 위해서 토라 중재자는 영 부음을 받아야 한다. 그와 달리 민수기 11장에는 70인 장로들의 역할을 다루고 있는데, 그들은 독특하게 모세 위에 있던 영으로 자격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본문들을 연구함으로써 두 전통적인 방향성에서 동일성이 관찰되는데, 다시 말하면 영이 토라 순종을 위하여 연결점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나아가 토라 순종은 개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것은 영 부음 받은 자의 중재를 통해 이뤄진다. 그런 점에서 토라 중재자뿐만 아니라, 영의 역할이 강조된다. 만약 이러한 영 부음 받은 자가 백성들에게 모세에 의해 작성된 토라 순종을 가르친다면, 따라서 그들은 모세의 계승자로 서술되고 있다고 평가된다. 민수기 11:29에 기록된 모세의 바람, 즉 “그의 모든 백성에게 주사 다 선지자가 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는 개인 혹은 특정 그룹에 특권을 부여하는 사고에 비판적이다. 더 이상 중재자 없이 이뤄지는 토라 순종에 대한 희망은 예레미야서와 상관성을 갖는데, 왜냐하면 예레미야 31장에서는 하나님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토라 순종을 약속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므낫세와 요시야의 평가를 통해서 보는 역대기

        민경구 한국구약학회 2023 구약논단 Vol.29 No.3

        필자는 본 소논고를 통해 역대기 역사서에 언급된 므낫세와 요시야의 기록을 살피고, 이를 통해 역대기 저자의 모습을 관찰했다. 두 인물에 대한 평가가 역대기 역사서와 신명기 역사서에서 상반되게 나온다는 너무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므낫세와 요시야에 대한 상반된 평가 기준은 역사가의 관점을 알려준다. 오랫동안 이것은 ‘개인 책임’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역대기 역사가는 이미 발생한 역사로부터 재구성 한다(descriptio ex eventu)는 점에서 ‘결과론적 관점’을 가지고 므낫세를 해석한다. 므낫세는 가장 악한 왕인 동시에 가장 오랜 기간 통치한 왕이다. 신명기에서는 종종 ‘율법 순종’과 ‘장수’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역대기 역사가는 결과론적 관점에서 므낫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므낫세는 포로 귀환 공동체의 모범적 인물로 묘사되었다. 역대기 저자는 포로로 끌려간 그리고 디아스포라로 살아가는 모든 이스라엘 백성에게 구원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역대기 역사가가 므낫세와 상반되는 경우로 제시하는 인물이 바로 요시야이다. 요시야는 야웨의 마음에 가장 합한 인물이었으며, 토라에 철저하게 순종하는 인물로서 전무후무한 자라는 평가를 받았다(왕하 23:25). 그러나 가장 모범적인 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갑작스런 죽음은 많은 사람에게 의문을 던졌다. 역대기 역사가는 ‘신실한 요시야는 왜 전사해야 했는가?’라는 질문에 직면하여 요시야를 새롭게 평가한다. 즉, 평가의 출발점은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알고 있는 결과론적 시점이다. 이 역사가는 요시야에 대해 ‘하나님의 입에서 나온 말을 듣지 아니하고’ 그리고 ‘변장하고’라는 표현을 추가로 언급하며, 요시야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우리는 역대기 역사서의 요시야 평가에서 ‘정경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역대기 사가는 모세 토라를 중심으로 개혁을 진행했다는 열왕기서와 달리 ‘다윗의 명령, 규례’를 강조한다. 정경화는 한 ‘순간’에 발생하지 않았고, 오히려 ‘오랜 기간’ 과정을 통해 결정되었다. 일례로 신명기 역사서에서 예레미야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역대기 역사서는 예레미야가 하나님의 예언자로 인정받았음을 전제한다. 역대기 사가가 신명기 역사서의 기록을 의존하지만, 그것에 메이지 않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역대기 사가는 과거의 신학을 답습하지 않는다. 이 역사가는 변화하는 시대를 감지한다. 역대기 역사가의 저술 목적은 과거 시대 자체를 재조명 하기 위함이 아니다. 오히려 역사적 사료를 활용하여 당면한 ‘시대’의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역대기 사가가 위치한 ‘서술하는 시대’에 대해 탐구해야 한다. Die Analyse der Berichte über die Könige Manasse und Josia in 2. Chr. kann Erkenntnisse über den Autor der Chronik und seine Intention ermöglichen. Es ist Forschungskonsens, dass das die Urteile über diese zwei Könige im chronistischen und deuteronomistischen Geschichtswerk in Widerspruch zueinander stehen. Diese konträre Beurteilung eröffnet uns jedoch einen Zugang, um die jeweilige Perspektive und das Interesse der Autoren zu erschließen. Die Chronisten interpretieren Manasse aus einer „konsequenzialistischen Perspektive“, indem sie die Geschichte rekonstruieren, die bereits stattgefunden hat (descriptio ex eventu). Manasse ist der bösartigste König, aber zugleich derjenige, der am längsten regiert hat. Im Deuteronomium wird der „Gehorsam gegenüber dem Gesetz“ häufig mit „Langlebigkeit“ in Verbindung gebracht, was ihn aus konsequenzialistischer Perspektive zu einer positiv zu verstehenden Figur machen würde. Manasse wird aber nicht deswegen zu einer vorbildhaften Figur, da auch die Chronik all seine Vergehen darstellt. Zum Vorbild wird er jedoch durch seine durch das assyrische Exil angestoßene Umkehr zu JHWH, die ihn in der chronistischen Darstellung zu einem konsequenten Vertreter der Kultreinheit werden lässt. Dies wiederum macht ihn gewissermaßen zum Prototypen für die zurückkehrende Gemeinschaft der in Babylon Exilierten. Josia stellen die Geschichtsschreiber der Chronik hingegen als Gegenbild zu Manasse dar. Nach 2. Kön 23,25 war er ein Mann nach dem Herzen Jahwes und wurde für seinen strikten Gehorsam gegenüber der Tora gelobt. Doch obwohl er der vorbildlichste aller Könige war, warf sein plötzlicher Tod viele Fragen auf. Konfrontiert mit der Frage: „Warum ist der treue Josia getötet werden?“, nimmt der Chronikautor eine Neubewertung Josias vor, deren Ausgangspunkt folgerichtig ist, da er von seinem vorzeitigen Tod weiß. Der Historiker fällt ein negatives Urteil, indem er im Gegensatz zur deuteronomistischen Tradition von ihm berichtet, dass er „nicht auf das Wort, das aus dem Mund Gottes kam, gehört habe“. Außerdem können wir in der Beurteilung Josias durch die Chronisten einen „Prozess der Kanonisierung“ beobachten. Im Gegensatz zum Buch der Könige, das die mosaische Tora in den Mittelpunkt seiner Reformen gestellt hat, betonen die Chronisten die „Gebote und Vorschriften Davids“. Die Kanonisierung geschah nicht in einem „Augenblick“, sondern über einen „langen Zeitraum“ hinweg. Der Prophet Jeremia wird zum Beispiel in der deuteronomistischen Überlieferung gar nicht erwähnt, aber in den Chronikbüchern wird vorausgesetzt, dass Jeremia als Prophet Gottes anerkannt war. Es ist eine historische Tatsache, dass sich die Chronisten auf den Bericht der deuteronomistischen Überlieferung gestützt haben, aber sie folgen ihm dennoch nicht in ihren Urteilen über die Vergangenheit, da sie sich nicht an deren Theologie orientieren. Das Ziel der Chronisten ist es nicht, eine vergangene Epoche als solche zu beschreiben, denn vielmehr ist es ihr Ziel, anhand historischer Quellen Antworten auf die Fragen der eigenen Gegenwart zu finden. Daher müssen wir die „Erzählzeit“, in der die Chronisten zu verorten sind, erforschen, um ihre Intention angemessen zu erfassen.

      • KCI등재

        토라를 둘러싼 율법학자의 논쟁 -포로기 이후 신학-

        민경구 한국구약학회 2014 구약논단 Vol.20 No.3

        This paper examines the debate over the Torah-obedience between priesthood and prophethood by literary-critical analysis in the Post-Exilic Period, being shown that it is about the competition between two Torah-concepts. However, there is no substantive difference between the Torah-perceptions and interest, as both groups seek to Torah-obedience. According to Deut 31:9-11 the reading of the Torah is a priestly task, since the written Torah after the death of Moses, the priesthood has been handed over. This wins a crucial function, as its mediation role is essential to the Torah-obedience. In contrast, a prophetic school, because after Jer 31:31-34, the Torah will be written by Yahweh himself on the heart. This aims at the direct Torah-obedience of the people and so revises the idea of ​​Deut 31:9-13. This counter-position of the prophetic Torah is concretized in two aspects, firstly, by the materials of stone (Deut 31:9-13) and heart blackboard (Jer 31:31-34)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on the other hand Heart-Torah has a new quality, because in contrast to the breakable Torah of Deut 31:9-13 is by Jer 31:31-34 now unbreakable. Consequently, Jer 31:31-34 designed a novel Torah-concept which is connected to Deut 30:11-14. With which groups the representatives of these two concepts are to be identified? Their common feature is the pronounced Torah-interest, so they are probably better understood not as a scribe but as a Schriftgelehrte. At this group includes priests, prophets and scribes who preach not just verbally, but in writing. Through their respective updating of different traditions to develop new modes of Torah-obedience, a literary connection between the Pentateuch and the prophetic books is also generated, which is why, for example, there is a Pentateuch-editorial processing of the prophetic books. 본 소논문은 문학-비평적 분석을 통하여 포로기 이후 시대에 율법 순종을 주제로 나타나는 제사장과 예언자들의 대립을 서술하고 있다. 우리는 여기에서 두 가지 상이한 토라의 개념이 대립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토라의 내용적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왜냐하면 두 그룹들은 동일하게 토라 순종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신명기 31장 9-11절에 따르면 토라 낭독은 제사장의 임무였고, 모세가 기록한 토라는 그의 죽음 이후에 제사장에게 위임되었다. 그로 인해 제사장적 중재 역할은 토라 순종을 위하여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예언자 그룹은 그와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예레미야 31장 31-34절에 따르면 토라는 야웨에 의해 직접적으로 마음에 기록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백성들의 직접 순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신명기 31장 9-13절을 수정하고 있다고 이해된다. 제사장적 토라의 반대 개념으로 이해되는 예언자적 토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구체화 되고 있다: 첫째로 재료적인 측면에서 돌(신 31:9-13)과 비교할 때 마음판(렘 31:31-34)에 기록되었고, 둘째로 마음의 토라는 질적으로 새로운 것이다. 왜냐하면 신명기 31장 9-13절에서 기록된 토라는 파손될 수 있는 것이지만, 그와 달리 예레미야 31장 31-34절에 묘사된 토라는 파손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예레미야 31장 31-34절은 새로운 토라 개념을 고안하고 있으며, 이 개념은 신명기 30장 11-14절의 주요 사상과 연결되어 있다. 이 두 가지 토라 개념을 대표하는 자들을 어떤 그룹들로 정의할 수 있을까? 그들은 공통적으로 두드러진 토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자들이며, 따라서 그들은 서기관이 아니라 오히려 율법 학자들로 이해된다. 제사장, 예언자 그리고 서기관 등이 그들에 속한 자들로 보이며, 그들은 구두가 아니라 문서로 선포한 자들이다. ‘어떻게 토라 순종을 할 수 있는가’ 하는 방법을 각각의 상이한 전통에 맞게 이어쓰기 함으로써 동시에 오경과 예언서의 문학적 연결성이 생성되었으며, 따라서 예언서에서 오경편집자적 개정이 나타나게 되었다.

      • KCI등재

        Podosphaera xanthii에 의한 좀돌팥 흰가루병 발생

        민경구,박태민,박윤진,장명준 한국식물병리학회 2022 식물병연구 Vol.28 No.4

        In October 2022, common Asian cowpea (Vigna nakashimae) powdery mildew disease was investigated at Yesan-gun, Chungcheongnam-do, Korea (36°40’12.7"N,126°51’36.4"E). The disease mainly occurred on the front of the leaves, and weak powdery mildew disease occurred on the back side of leaf. The chasmothecia was identified on the back side of the leaf.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sequence and 28S large subunit sequence, along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morph and teleomorph of the causal fungus identified as Podosphaera xanthii. This is the first time in Korea to report common Asian cowpea (Vigna nakashimae) powdery mildew disease caused by Podospaera xanthii.

      • KCI등재

        민수기 11장, 요엘 3장과 사도행전 2장에 나타난 영 부음: 영산의 오순절 설교

        민경구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4 영산신학저널 Vol.32 No.-

        성령은 영산 사역의 핵심이며, 한국교회는 그를 통하여 성령에 대해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성령강림에 대한 영산의 이해는 주로 사도행전 2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사도행전 2장 성령강림 사건은 요엘 3[2:28-32]장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요엘 3장 그리고 민수기 11장에 대한 연구는 사도행전 2장 이해를 위한 필수적인 것이다. 사도행전 2장의 성령강림 사건은 그곳에 인용된 요엘 3장 사건을 재조명하므로 그리고 요엘 3장과 연결된 민수기 11장의 영 부음 사건을 통해서 명확해질수 있다. 그러한 영 부음의 사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사도행전 2장의 사건은 구약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사도행전 2장에 대한 뿌리를 밝히면 확인할 수있다.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역사-비평적 방법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수기 11장에 기록된 영 부음 사건은 모세의 직무를 대신하는 율법 순종과 연결되었고, 그것은 민수기 11:29에서 보편적 영 부음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영 부음과 율법 순종의 관계는 신구약 중간기뿐 아니라 신약시대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사도행전 2장에서 요엘 3장을 인용하고 있으므로 사도행전 2장에 기록된 성령 사건 역시 일차적으로는 말씀(토라) 순종과 연결되어 이해되어야 한다. 더나아가 사도행전 2장의 영 부음 사건은 일시적인 사건인 동시에 오랜 기간의 역사를가진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늘날 교회의 성령에 대한 이해와도 결부될 수 있다. 교회에서 설교되는 성령충만은 일차적으로 카리스마적인 능력을 위한 것이 아니라, 말씀/토라 순종과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concept of the Holy Spirit is the essence of the sermon by Rev. Yonggi Cho. The Korean churches have become influenced by his teachings regarding the Holy Spirit. The understanding by Pastor Cho Yonggi about the gift of the Spirit is based on the exposition of Acts 2. But the Pentecost event in Acts 2 refers literally to Joel 3, which is why the research on Joel 3 is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Acts 2. Because Joel 3* also refers to Num 11:29, one needs to present the Pentecost event of Acts 2 in light of Joel 3 in connection with Num 11. In regard to the presentation of the Pentecost event, Acts 2 refers to Joel3 in its literal fulfillment. As such, the gift of the Spirit of Acts 2 is to be clarified through the historical-critical study of Joel 3 and Num 11, because Joel 3* also refers to Num 11:29. The gift of the Spirit in Num11 builds on the obedience to the Law, the Mosaic task of obedience to the Law transferred to the Elders, which is generalized by the desire of Moses in Num 11:29. Here, the relation between the gift of the Spirit and the Tora-obedience can also be found in the 3rd or 2nd century BC. In this context, the intention of the outpouring of the Spirit of Acts2 is primarily to be understood as Tora-obedience. Furthermore, the Pentecost event is not presented as something temporary, but it needs to be understood as a promise with a long dur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troduces the idea of the Spirit to the church, because the infilling of the Spirit is not primarily a charismatic fact, but rather constitutes the obedience to the Law.

      • KCI등재후보

        시편 23편에 나타난 슈브 이해

        민경구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2

        Fur Psalm 23 greifen alle koreanische Bibelbersetzungen auf den hebarischen Masora-Text zurck. Allerdings gibt es auch einige Bibelausgaben, welche sich auf die griechische bersetzung (LXX) beziehen, was besonders fur das Verstandnis von Vers 6 relevant ist. Auffallig ist es aber, dass fast alle Exegeten Ps 23,6 im Sinne der LXX-Tradition interpretieren, was fur die Auslegung viele Unterschiede gegenuber dem Masora-Text bewirkt, z. B. im Verstandnis der Form und des Verfassers des Psalms. Darum hat die Forschung den Masora-Text als Grundlage zu nehmen, wenn sie der historisch-kritischen Methode folgen will; und sodann hat sich - allerdings erst als zweiter Schritt! - die Frage anzuschließen, welche Motive und Interessen hinter der LXX-Variante stehen. Daraus folgt, dass das letzte Lexem von Ps 23,6 mit dem Masora-Text (yTib.v;w>) als “zuruckkehren” zu lesen ist, wahrend es die LXX mit “bleiben, leben” (to. katoikei/n me) wiedergibt. Aus diesem Grund ist Ps 23 als ein nachexilischer Wallfahrt-Psalm zu verstehen, und ferner bleibt der Psalmbeter nicht im Haus Jahwes, sondern außerhalb des Tempels, da er hofft ins Haus Jahwes zuruckzukehren. Die Umkehr ist kein Werk des Beters, sondern einzig dem Wirken Jahwes zu verdanken, da das zur Ruhe fuhren (v. 2), das Erquicken der Seele (v. 3) und die Nahe Jahwes (v. 4), dem Beter die Umkehr ermoglicht. Die Gnade Jahwes bewirkt das bwv des Psalmisten. Folgt man entgegen der koreanischen Tradition bei Ps 23 dem Masora-Text, resultiert daraus eine neue Interpretation, die auch neue Predigtperspektiven fur die Gemeinde eroffnet. 본 소논고는 시편 23편을 주제로 다루었다. 모든 한글 성서는 내용에 있어서 근본적으로는 히브리 성서 본문에 소급된다. 물론 시종일관되게 70인역본의 전승을 수용하고 있는 본문들이 한글 성서에서 발견되기도 하는데, 우리는 그것을 시편 23편 6절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것은 시편 23편 6절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더 나아가 적지 않은 구약 주석가들이 70인역 전통을 중심으로 해서 시편 23편 6절 본문을 해석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이 70인역을 기반으로 하는 시편 23편의 주석은 그것의 양식, 저자, 시대를 분류함에 있어서 히브리 성서를 기반으로 하는 주석과 차이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히브리 성서를 중심으로 시편 23편을 연구하는 필요성이 제기되며, 본 소논문은 역사-비평적 방법으로 히브리 성서의 시편 23편 6절을 분석하고, 그로 인해 제기될 수 있는 신학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논문의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 70인역을 근거로 ‘거하다/머문다’로 해석된 역본들과 구별되게 히브리 성서를 기반으로 시편 23편 6절을 ‘돌아가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성전으로 ‘돌아간다’고 고백하는 시편 기자를 근거로 시편 23편은 포로기 이후의 순례시로 이해될 수 있으며, 시편 기자는 성소에 거주하는 자가 아니라 오히려 성소로 돌아가기 고대하는 자로 볼 수 있다. 시편 기자는 자신의 힘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야웨의 은혜로운 행위들(인도함, 소생시킴, 함께하심, 위로)이 시편 기자가 야웨의 집으로 bwv 하게 만드는 동인이 된다. 시편 기자는 스스로 야웨에게로 bwv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야웨의 은혜가 시편 기자를 bwv 하게 만든다. 우리가 본 소논문은 지금까지 70인역 본문을 중심으로 주석되고 설교되어 왔던 시편 23편을 히브리 성서 본문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시편 23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확인되며, 이러한 연구는 성서 이해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교회 현장에서 메시지의 다양성으로 나타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