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경북지방 오구굿의 무구(巫具)에 관한 연구 -2012년 울진 후포 정씨의 수망오구굿 사례를 중심으로-

        문혜진 ( Hea Jin Mu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8

        본고는 2012년 울진 수망오구굿을 사례로 경북지방의 오구굿의 무구의 상징성을 속의 공간에서 성의 공간으로의 이행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즉, 그 연구대상을 본격적인 제의로 들어가기 전의 준비과정인 < 청혼(넋건지기) >·< 안비나리 >·< 망자자리말기 >·< 부정굿 >·< 골매기굿 > 중에서 < 청혼 >·< 망자자리말기 >의 무구로 한정하였다. 무속의 무구는 장엄구와 의례구로 나뉘는데, 장엄구는 무속 의례의 공간을 가시적으로 속(俗)과 분리시키고, 보호구로서 굿당을 잡귀잡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성과 속의 공간을 잇는 역할을 한다. 본고에서는 세습무들이 의례구를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엄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본 굿의 장엄구로는 굿상·(굿당 밖의) 사자상인 제단과 초롱등·오방번·인로왕번·삼신번·시왕번, 반야용선·탑등의 장식구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제의의 측면에서 속에서 성의로의 이행은 < 청혼 >으로 망자의 혼을 바다에서 건져내고, < 안비나리 >로 망자의 혼을 청한다고 조상·가신에게 알리고, < 망자자리말기 >로 망자의 육신을 표현하여 굿당에 모심으로써 망자를 굿당에 좌정시켰다. 이후 < 부정굿 >으로 굿당에 모셔질 신들을 위해 굿당을 정화하였으며, < 골매기굿 >으로 마을의 출입을 관장하는 골매기신에게 청해이승과 저승의 문을 열었다. 이로써 본격적인 망자천도굿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무속은 흔히 미신으로 치부되어 굿을 그릇된 의례행위로 보는 시선이 강하다. 무속은 한국의 전통종교로서 그 신은 조상신이거나 한국의 땅에서 신성성을 현현한 신들이다. 따라서 무속의 의례공간은 성스러운 공간이다. 그러므로 본고의 무구의 신성성에 관한 연구가 무속의 종교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paper is Oguguk(Gut to send the dead to the heaven) of Kyongbuk Province as the case study of Uljin-gun Sumang Ogugut in 2012, and its purpose is to examine how Shamanic tools make to transform the profane space into sacred space.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research subject is restricted as shamanic tools of ritual stages like < Cheonghon > and < Mangzazarimalgi > among those of ritual stages such as < Cheonghon >, < Anbinari >, < Mangzazarimalgi >, < Bujeongguk > and < Golmaegiguk >. Shamanic tools is divided into the ornament and ritual tool. The shamanic ornaments separate the sacred space from the profane space, protect shamanic ritual space from mischievous spirits as a kind of charm and connect the sacred space with the profane space. This paper treated only shamanic ornament because hereditary shaman do not generally use ritual tools. In this Sumang Ogugut, shamanic alter such as table for Guk and table for the death angel and shamanic ornaments such as a green paper-covered lantern, charms of the direction of the horse, a charm of Inro Bodhisattva, charms of three Bodhisattvas, charms of ten kings in the heaven, a Buddhistic dragon ship, a Buddhistic pagoda lantern were used.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ritual, the profane was transformed into the sacred through following rituals: < Cheonghon > saves the spirit of the dead from a sea, < Anbinari > informs the ritual of the dead to ancestor and house gods, and < Mangzazarimalgi > incarnates the dead as a mat. In addition, < Bujeongguk > purifies shamanic ritual space and then < Golmaegiguk > opens the door of the otherworld as asking Golmaegi god who controls a gate of the otherworld. Through these shamanic rituals, the sacred space for Oguguk is ready. Korean Shamanism is usually considered as superstition; as a result, Guk is considered as a false ritual. However, Korean shamanism is a traditional religion, and its gods are ancestors or hierophany occurred in Korean earth. So, Korean shamanic ritual space is sacred. Finally, I hope that this paper w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sacred of shsmanic tools and rituals.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 교파신도(敎派神道)의 현황과 활동양상

        문혜진 ( Mun Hea-ji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8 No.-

        교파신도는 일제의 종사(宗祀)인 국가신도를 대신하여 해외에서 신도의 포교의 임무를 부여받고 대만을 비롯하여 일제의 제식민지에 진출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경우 한일병합 이전 부산에 1893년 천리교, 그리고 금광교가 진출하였다. 한일병합 이후로는 부산에 1911년 신리교, 1913년 대사교, 1929년 신도본국, 1930년 부상교, 1941년 흑주교가 진출하였다. 일제강점기 전후로 부산에는 7개 종파의 교파신도가 진출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교파신도 중 부산의 교파신도가 전국으로 확대되는데 있어 교두보의 역할을 한 점에서 교파신도의 지역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부산의 교파신도를 연구대상으로 그 진출양상 및 포교활동을 고찰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조선총독부관보』를 주요자료로 하여, 『조선총독부통계연보』, 근대 신문 등을 참조하여 분석하였다. 해방 후에도 이들 교파신도 중 천리교는 서울에 남아, 금광교는 다시 들어와 포교활동을 지속하였으며, 대한천리교는 서울, 경기지부를 중심으로, 한국천리교연합회는 부산, 김해지부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교파신도의 한국에서의 활동에 대한 사적(史的)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고 일제강점기 종교문화 현상을 이해하는데 향후 교파신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부산에서의 교파신도의 진출 및 활동양상을 사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Kyoha shinto advanced into all colonies of the Japanese empire to propagate Japanese shinto instead of State Shinto, memorial service system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Tenrikyo in 1893 and Konkokyo before 1910 entered in Busan. After Japan's annexation of Korea, Sinrikyo in 1911, Izumotaisyakyo in 1913, Shintohonkoku in 1929, Fusokyo in 1930 and Guromizukyo in 1941 entered in Busan.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7 sects of Kyoha shinto advanced in Busan. Churches of Kyoha shinto in Busan played a key role in advancing into Jose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Kyoha shinto had entered in Busan and had been active in propagation. Objects of this research is Japanese General Government's official gazette, referring Japanese General Government's statistical yearbook, newspapers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etc. After Korean independence, Tenrikyo and Konkokyo have been continued mission activity and are having nationwide churches in South Korea. Nevertheless, historial researches of these sects in both South Korea and Busan are rare. Therefore, this paper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history of Kyoha shinto in Busan and religious cultures in colonized Joseon.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국폐소사(國幣小社)에 관한 일고찰

        문혜진(Mun, Hea-Ji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5

        국폐소사는 명치유신 이후 재편된 일본의 사격 관국폐사-부현사-향촌사 중 관폐사 다음으로 지위가 높은 신사로, 그 제전은 황실제사를 모태로 천황 중심의 우주적 질서로 재편되었다. 식민지 조선에 있어서 국가신도 체제의 이식은 1915년 「신사사원규칙」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식민정권의 국가제의 기관은 1925년 관폐대사 조선신궁을 필두로 1936년 ‘일도일열격사의 설치 방침’을 포고하여 국폐소사 8사를 승격시킴으로써 지방제사 기관이 갖추어졌다. 국폐소사의 승격 시기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이, 국폐소사는 전시체제하 조선인의 인적․물적․심적 동원의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국폐소사의 연구는 전시체제하 조선인의 동원과 국가제의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학계에서 국폐소사 8사의 제전이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그 외의 개별적인 국폐소사에 관한 연구도 경성신사와 용두산신사를 제외하고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시체제하 조선인의 인적․물적․심적 동원과 국폐소사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폐소사의 연혁, 제의적 특징 및 그 역할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Japanese shrine’s rank, which had been reorganized since Meiji Restoration, was Kankokukeisha(官國幣社) – Kensha(縣社) – Kyousha (鄕社). As shinto shrine of second rank, Kokuhei-shosha(minor shrines under the control of provincial governors) had been performed national rites in both Japan and Korea. Since 1870, rites of State Shinto had been reorganized based on imperial family rites and some rites had been made with the birth myth of Japanese imperial house; as a result, rites of States Shinto symbolized cosmic order of Japanese emperor. Therefore, the Japanese Empire had to transplant State Shinto system into colonies in order to justify the rule of Japanese emperor. During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State Shinto system began to be implanted by ‘Sinsasawongyuchik(the rule of Shinto shrine and temple)’ in 1915. National ritual building of colonial powers, Chōsen Jingū, was constructed in 1915. And then, national ritual system in each provinces of Korea was established as Shinto shrines in the eight provinces of Korea were elevated to Kokuhei-shosha by ‘the policy of Ildoilyelgyeoksa(elevation of one shinto shrine in a province)’ in 1936. The year of elevation of Kokuhei-shosha, 1936 signifies that Kokuhei-shosha plays important roles in logistics and army mobilization through inspiring the loyalty. Thus the research of Kokuhei-shosha might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mobilization and national rites. In spite of importance of the research related to Kokuhei-shosha, previous studies of Kokuhei-shosha are not yet performed, and researches related to Kokuhei-shosha in each province also are rare except for studies of Keijo(Seoul) shinto shrine and Yongdusan Shinto shrin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mobilization and national rites, considering the history, ritual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Kokuhei-shosha.

      • KCI등재

        부산별신굿의 해신(海神)과 해신제(海神祭)-2018년 두모포별신굿 사례연구-

        문혜진 ( Mun Hea-ji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6 No.-

        부산시 기장 두호 마을은 조선시대 수군만호가 지키는 두모포영이 있었던 해양 군사 요충지로서, 두모포별신굿 또한 기장에서 ‘막장모’·‘굿장모’라고 불리는 제관이 가장 엄숙하게 제의를 올리는 마을로 유명하다. 이 외에도 두호 마을은 조선시대의 해양 군사 요충지답게 부산의 다른 별신굿에서 보기 힘든 ‘길놀이’, ‘매방우굿’, ‘꾸러미 띄우기’, ‘후리’ 등 해신에게 올리는 지역 특유의 전통적인 의례의 형태가 남아있는 편이다. 기장별신굿을 비롯한 부산별신굿은 어촌마을에서 연행되는 마을굿으로 어촌의 생업적 특성상 풍어제라고도 부른다. 즉, 예전의 반농반어의 생계에서 현재는 어업 및 상업이 중시되면서, 부산별신굿에 있어서 점점 선주들과 해녀들의 풍어와 안전을 기원하는 해신을 모시는 제의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어촌마을을 중심으로 연행되는 부산별신굿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해신이나 해신제의 특징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부산의 바다를 관장하는 해신과 해신에게 올리는 제의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부산별신굿에 있어서 전통적 제의방식이 다소 강하게 남아있는 2018년 두모포별신굿을 연구대상으로, 매방우굿·후리·물국제석굿·용왕굿의 현지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부산의 해신과 해신제의 지역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종교의 세속화로 동해안별신굿의 각 지역적 특성이 사라져가며 동일화되어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 두모포별신굿의 사례연구를 통해 부산 지역의 해신과 제의 방식에 대한 민족지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Dumopo Byeolsingut is performed sexennially, and it had performed in front of off the coast of Duho-dong from February 17 to 22 in 2018. Those who prepare and participate in rituals of Dumopo Byeolsingut are called as ‘Makgangmo’ and ‘Gutgangmo’, which signifies the ritual tradition of Busan Byeolsingut. In addition, traditional rituals of Busan such as ‘Gilnoli’, ‘Meibangugut’, ‘setting Guryemi(a ship made by the straw) afloat’, ‘Huri’ and so on are being performed in Dumopo Byeolsingut. Busan Byeolsingut including Gijang Byeolsingut is also called as Pungoeje(ritual for a big catch of fish) because Busan Byeolsingut is generally performed in fishing village. In other words, rituals for safety and heavy catch of fishermen and female divers are important in Busan Byeolsingut of fishing village; as a result, in order to identify regionality of Busan Byeolsingut, rituals for sea gods should be studi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gionality of sea gods and rituals for sea gods in Busan Byeolsingut, analyzing fieldwork of ‘Meibangugut’, ‘Huri’, MulgukJeseokgut and Yongwanggut in 2018 Dumopo Byeolsingut. This study might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distinct rituals for sea gods and regionality of Busan Byeolsingut under situation of identification of Dongheian Byeolsingut(Byeolsingut of eastern coast of Korea) and be useful for affording ethnography in Dumopo Byeolsingut.

      • KCI등재

        일제의 혼합민족설과 관폐대사 제신에 관한 연구 - 부여신궁(扶餘神宮)을 중심으로 -

        문혜진 ( Mun Hea-ji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1925년 관폐대사 조선신궁에는 일본의 ‘혼합민족설’에 근거한 천황 중심의 일대 가족국가의 구현으로 황조신 아마테라스가 봉제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두 번째 관폐대사인 부여신궁은 1939년 기원(紀元) 2600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충청남도 부여에 진구황후(神功皇后)·오진(應神)·사이메이(齊明)·덴치(天智) 천황 4주(柱)를 봉제하여 창건 계획을 공표하였다. 이는 일제가 동아시아에 창건한 관폐대사에 있어 개척삼신 혹은 아마테라스가 아닌 제신을 봉제한 유일한 사례이다.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에서는 천황을 조상으로 하는 단일하고 순수한 기원(혈통)을 가진 일대가족국가라는 국체론이 지배이데올로기였다. 한일병합 이후로는 식민지의 이민족의 포섭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며, 일본 민족이 복합 민족으로 구성되었다는 혼합민족설이 힘을 얻게 되었다. 이에 국체론자의 단일민족설에서 혼합민족설로의 전향이 이어졌고, 국체론자의 도쿄제국대학 신도강좌에서 국가신도를 잘 봉행하는 이민족[피식민지인]은 일본 국민이 될 수 있다는 논리는 식민지 관폐대사에 황조신 아마테라스의 봉제를 통해 동아시아 피식민지인들을 천황의 일대가족국가 안으로 포섭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일제의 관폐대사 중 가장 마지막에 창건된 부여신궁에는 식민지 조선과 일제 간의 ‘피의 친연성’을 역사화하는 천황가의 신들이 일제의 관폐대사 중 유일하게 봉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동화이데올로기로서 혼합민족설이 식민지 관폐대사의 제신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또한 혼합민족설의 한 지류인 일선동조론이 조선의 특수한 맥락에서 부여신궁의 제신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또한 이들 제신을 통해 내선일체의 역사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Joseon shinto shrine enshrined Amateras in 1925 to realize Japanese emperor’s one big family state based on theory of mixing races. Buyeo shinto shrine, the second highest shinto shrine in Joseon, was decided to construct in 1939 and to enshrine Jingu empress, Ojin emperor, Saimei emperor and Denchi emperor, as a part of the project commemorating the 2600th anniversary of Imperial House of Japan. It was the only case that enshrined ancestors of Japanese emperor in Japanese colonies. In Japan, national body theory(國體論), which Japan had a single and pure origin (blood) with the emperor as its ancestor, had been a dominant ideology since the Meiji Restoration. After colonization of Joseon, the problem of assimilation of the colonized people was highlighted, and theory of mixing races, which Japanese was made up of a complex ethnic group, gained strength; this led to the shift of national body theorists from theory of single race to theory of mixing races. Therefore, in the Shinto lecture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national body theorists argued that colonized people who believed and followed State Shinto could be Japanese, it made Amateras be enshrined in the highest shinto shrines of East Asia to realize Japanese emperor’s one big family state. Then, why the last highest shinto shrine in Japanese colonies, Buyeo shinto shrine only enshrined ancestors of Japanese emperor as a symbol of Korean and Japanese’s homogeneous theory? In this paper, how gods of the highest shinto shrines in Japanese colonies were related to theory of mixing races as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will be examined. In addition, this paper will identify how one of theories of mixing races, Korean and Japanese’s homogeneous theory, might be related to gods of Buyeo shinto shrine in special historical context of both Korea and Japan, and how such gods’s history would be made in Buyeo province.

      • KCI등재

        (연구논문) 근대 대변별신굿의 변천사-일제강점기 및 새마을운동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문혜진 ( Hea Jin Mu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5 항도부산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기장별신굿 중 가장 규모가 큰 대변별신굿을 그 연구대상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새마을운동을 거쳐 현재까지의 다변성을 내포한 대변이라는 장소에서 별신굿의 제의 공간·전승주체·제의에 있어서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승주체의 경험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 별신굿을 경험한 주민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제의 공간 및 제의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7일간의 대변별신굿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첫째 일제강점기의 대변별신굿은 지소에 신고를 하면 일제의 별 제재 없이 연행할 수 있었으며, 3년에 한번씩 마을에서 제비추렴을 하여 이장단의 주최로 제를 올렸다. 제관선정은 무당이나 마을 인근의 점바치(점쟁이)가 대를 잡아 선정했다. 이렇게 선정된 제주는 별신굿을 지내기 전에 굿장문이라는 치성을 드리고 굿이 끝날 때까지 아무리 추워도 냇가에서 목욕재계를 했다. 그 당시 대변의 마을제당은 대변에 두 곳(현재의 할매당,주사당), 무양리에 한 곳(무양당산), 연화리에 한 곳(현재의 할배당)이 있었다. 둘째, 해방 후 새마을운동기에 대변별신굿은‘미신’이라는 시대적 풍조에 의해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단절되었지만, 별신굿에 비해 적은 경비로 마을수호신을 제사지내는 1월제만·6월제만·10월제만을 지냈다. 즉, 반농반어로 생계를 이어가는 대변주민들은 마을굿이 ‘미신’이라고 생각했지만, 농사와 관련된 산신이나 조업과 관련된 용신에 대한 신앙심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었으며, 이는 1976년의 산신당과 1982년 용신당의 건립으로 이어졌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별신굿의 재원인 어업 자원에 대한 소유권이 어촌계로 넘어가면서 별신굿에서 풍어제의 성격이 강화되고 풍농과 관련된 사설과 축원이 감소되고 산신이 풍어신적 성격으로 변화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 이후 대변별신굿은 연이은 인명사고로 별신에 대한 신앙심에서 별신굿이 재개되었으며, 동해안별신굿이 1985년 2월 1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로 지정되어 1996년부터 기장군에서 문화재지원금이 지급되자 그 지원금이 나오는 해에 맞추어 별신굿의 주기가 늘어났다. 반면 지원금이 나오지 않는 제만들은 소멸·축소되었으며, 근대화의 개발에 맞추어 마을제당들이 소실되어 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금기에 대한 부담으로 마을제관을 꺼려하여 기존의 대를 잡아 선정하는 기준에서 마을회의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과학·의료·위생의 발달에 의해 세미제(우물제)와 여제(전염병 방지제)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how Daebyun Byeolsingut, the biggest village festival in Gijang, has been chang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o today, especially in the aspect of ritual place, ritual performancers and ritual itself.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Byeolsingut, while having an interview with ritual performancers and participants of Daebyun Byeolsingut in order to identify how residents in Daebyun has experienced Byeolsingut and participating and observing Daebyun Byeolsingut in 2013 in oder to identify how ritual places and ritual have been changed.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ree points. First, Daebyun Byeolsingut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permitted with notification to the police and was performed every three years by heads of a village. The masters of religious rite were selected by the direction of bamboo that a fortune teller near a village grabbed. Ones selected like this offered a devout prayer, so-called Gutgangmun, before opening Byeolsingut and should bathe one``s body and purify oneself in a stream until the closing day of Byeolsingut. At that time, there were two village shrines in Daebyun and one village shrine in both Muyang-ri and Yeonwha-ri. Second, Daebyun Byeolsingut in the period of Saemaul Movement was halted from the mid of 1970s to the end of 1980s by tendency toward breaking of superstition. Instead, people in Daebyun performed the community rites, Jeman, which costed cheaper than Byeolsingut, in January, June and October. In other words, residents in Daebyun, who were employed in subsistence farming and fishing, considered the village gut as ‘superstition’ but still believed in mountain god of agriculture and sea god of fishing; it made people build the shrine for mountain god in 1976 and the shrine for sea god in 1982.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 for a big catch of fish in Byeolsingut strengthened because the ownership of fishery resource was transferred to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For example, praying related to good harvest was reduced and mountain spirit revealed character of sea spirit. Finally, Daebyun Byeolsingut has been performed again since 1980s because of an iliad of a drowning accident. 1 February 1985, Donghaean Byeolsingut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no. 82, as a result, cultural properties aid was offered; villages, which performed Byeolsingut, became to hold it only at the year that cultural properties aid was offered. It caused increasing the cycle of Byeolsingu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ty rites, Jeman, without cultural properties aid decreased or disappeared, and village shrines also showed tendency of disappearance. In addition, the method of selection of masters of religious rite changed from the house that bamboo pointed to panchayat because taboo of masters of religious rite was burdensome.

      • KCI등재

        동해안 기장 별신굿의 제신(祭神)에 관한 고찰 -2013년~2017년 기장 별신굿의 사례 연구-

        문혜진 ( Mun Hea-jin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7 항도부산 Vol.34 No.-

        동해안 별신굿은 동해안 북부지역의 별신굿, 동해안 중부지역의 별신굿, 동해안 남부지역의 별신굿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동해안 남부지역에서만 별신굿이 안굿과 밖굿으로 나누어 5~7일 동안 연행된다. 왜 부산을 포함한 동해안 남부지역에서만 별신굿을 안굿과 밖굿으로 나누어 제의를 올리는 것일까? 이에 대해 동해안 별신굿 무형문화재 보유자 고(故) 김석출씨는 안굿과 밖굿으로 별신굿을 연행하는 것이 여 성황신인 골매기할매와 남 성황신인 골매기할배를 위해 각각 제의를 올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기존의 동해안 별신굿 제신에 대한 선행연구는 동해안 북부지역 혹은 동해안 남부지역으로 나누어 굿거리별로 제신의 분석이 이루어져 왔지만, 부산 별신굿의 제신을 안굿과 밖굿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렇다면 동해안 남부지역 별신굿의 안굿과 밖굿은 여성 제의적 특성과 남성 제의적 특성으로 이원화될 수 있는가?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부산 기장에서 연행된 기장 별신굿을 연구대상으로, 안굿과 밖굿에서 중복되어 연행되는 굿거리의 제신, 안굿에서만 연행되는 굿거리의 제신, 밖굿에서만 연행되는 굿거리의 제신으로 분류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기장 별신굿의 참여관찰자료 및 무가 사설을 중심으로 안굿의 여성 제의적 특성과 밖굿의 남성 제의적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동해안 중북부 지역에 비해 현재까지 부산에 강하게 남아있는 별신굿의 안굿의 여성신을 구명(究明)하여, 부산의 전통적인 여신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Donghaean Pyolshingut(shaman`s ritual of the eastern coast in south Korea) can be divided into Pyolshingut in nor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Pyolshingut in central region of the eastern coast and Pyolshingut in sou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especially, Pyolshingut in sou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is performed for five to seven days as Angut(meaning inner shaman`s ritual) and Pakgut(meaning outer shaman`s ritual). Why Pyolshingut in only sou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including Busan is performed as Angut and Pakgut? The late Seokchul Kim,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Donghaean Pyolshingut, explained it as Angut is a ritual for a goddess, Golmeagihalme who is a village guardian deity and Pakgut is a ritual for a god, Golmeagihalbe who is a village guardian deity.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gods of Donghaean Pyolshingut have been focused on gods of Pyolshingut in nor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and Pyolshingut in sou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as a result, researches about characteristics of goddess of Angut and gods of Pakgut are rare. Then, Angut and Pakgut of Pyolshingut in sou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can be dualized as female rituals and male rituals? In order to ask for these answers, this paper might inquir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rituals in Angut and male rituals in Pakgut, dividing the research object into gods of Angut and Pakgut, gods of Angut and gods of Pakgut. Research objects of this paper are shaman songs and materials of participant-observation of Pyolshingut of Gijang-gun from 2013 to 2017. This paper might be meaningful for identifying goddesses of Angut in Busa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middle and northern region of the eastern coast an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raditional goddesses in Busan.

      • KCI등재

        연구논문 4 : 1930년대 심전개발운동과 마을굿 -무라야마 지준의 『부락제』와 경성부 마을굿 사례를 중심으로

        문혜진 ( Hea Jin Mun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일본공간 Vol.15 No.-

        1930년대 전시체제 하의 신사신앙을 통한 조선인의 동화정책은 1936년의 심전 개발운동 및 신사 확충에 따른 신사참배의 강제를 통해 전면적으로 실시되었다. 심전개발운동은 교파신도를 제외한 조선의 제(諸)종교·교화단체의 협력을 끌어내어 조선인에게 신사 신앙을 심으려는 것이다. 그 중 무속과 관련된 것으로는 무녀에게 신사신앙을 교육시켜 조선인에게 신사신앙을 고취시키고자 한 것, 조선의 민족 정체성과 관련된 무속의 신과 굿을 배제한 농신단제를 일부 농촌진흥운동이 실시되는 마을에서 시범삼아 시행한 것, 황조신 아마테라스를 모시는 신도계 숭신단체를 통해 무격들을 동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반면, 무속을 이용한일제의 심전개발운동은 경찰력이 독립운동의 탄압과 전시동원체제에 동원되어 무속의 단속 및 통제 인력이 부족했으며, 이에 1930년대의 강화된 무속 탄압정책 및 심전개발운동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마을굿을 비롯한 무속을 철저히 통제·억압하여 신사신앙으로 동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The policy of assimilation of Koreans using State shinto under the war basis of 1930s was completely implemented by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at 1936 and coercion of shinto worship.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is to make Koreans have a devotion of Shinto through collaboration of Korean religions and reformation organizations except for Gyopa Shinto. Especially, in regard to Korean shamanism, next things were implemented: making Koreans have a devotion of Shinto through Korean shamans who were educated by Shinto belief, carrying out trial Nongshindanje(village gut for god of agriculture), in which gut and Korean gods were excluded, in several villages of agricultural areas promotion movement and assimilation of Korean shamans by associations related to Shinto which were served to Amateras. On the other hand, such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was ineffective because Korean shamans were not well controled by lack of police 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