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연예술조직 운영을 위한 예술경영인의 리더십 연구

        문혜정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Leadership has been continuously handled with desired various studies following the types and cases of the age in all human management ranges. To fulfill the goal and outcom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vertical leadership of control simply existing as a strict manager inside an organization, but various types of leadership such as horizontal leadership of communication respecting value and characteristic of people are becoming diversified. Also, the status of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study inside the harmony with creativity at the contact of humanities and economics is showing that leadership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business administration. After performing arts has had the history as an industry, arts managers also realized the rapid flow of social change, were required to have the attitude to actively, developmentally cope to situations, and have been putting focus on application of leadership inside each arts organizations until now in which performing arts is being realized as the growth power of national development creating high-value. However despite of this phenomenon, tendency to taboo the commercial viability of arts exists until today. Also, the role of leadership inside art organizations is being neglected because of urgent first-priority tasks such as unsystematic management patterns and pettiness of art organizations of most performing arts due to rich-get-richer phenomenon followed by winner monopoly in the market exist. Especially because managers without the clear concept of leadership operate private performing organization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ositive factors of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re slow in drawing out. As performing industry develops, the main agent of art organizations should intrinsically renovate and have opportunities of self-regulating development to develop the capability of concerned art organizations, and should realize that overall stagnation of performing industry can result if this isn't thoroughly fulfilled. Leadership of an arts manager should become a tool to bear fruit of profit pursue through reinforcement of sense of duty and organization capability as an artist creating art as well as training manpower in the organization. By that, this study is subject not only on production agencies among private art organizations with pursuit of profit. It says that leadership education leading change of organizations should take place through delegation of authority to middle managers and overall art organization manpower. Various leaderships are being applied for training talent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rules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various modern companies, and company development and stabilization is being promoted through the teamwork inside organizations and sharing of roles, responsibility of teamwork and individual teamwork through CEO, middle manager level leadership programs. Clear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graft pure management theory exists at the fact that artist groups with weak organizational power put the fundamental of industry into art. However, increase of value and capability of organization by each improvement of duty capability of each individual and equating organization value and individual value under the structure of art management organiza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large frame of management can be seen through appropriate application of leadership. Companies or organizations expecting and respecting capability of employees with companion-like management values are such kinds. Ripple effect of value pursue of managers which can effect the organization is handled by referring to leadership which emphasizes the communication and trust aspects of art managers. By analyzing various leadership management cases of art organizations and ordinary companies, the direction and supplement points of leadership fitting our current situation of art organization operation were sought. 인간의 모든 경영(經營)의 범주에서 리더십(leadership)은 시대의 유형과 사례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연구와 더불어 계속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산업혁명 이후 목표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단순히 조직 내 엄격한 관리자로서 존재한 통제의 수직적 리더십뿐만 아니라 이제는 인간중심의 가치와 개성을 존중하는 소통의 수평적 리더십에 이르기까지 리더십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또한 인문학과 경제학의 접점에서 창의성과의 조화 속에 리더십이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위상을 차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경영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연예술이 산업으로서의 역사를 가지게 된 이후로부터 시작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가발전의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예술경영인들 역시나 사회변화의 급격한 흐름을 인식하고 상황에 능동적이고 발전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세를 요구받으며 각각의 예술조직 내 리더십의 적용에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예술의 상업성을 터부시 하는 경향이나 체계적이지 못한 경영패턴, 시장에서의 승자독식에 따른 빈익빈 부익부 현상에 의한 대다수 공연예술단체들의 조직의 영세성 등 해결되어야 할 시급한 선결과제에 가려져 예술조직 내 리더십의 역할이 다소 등한시되고 있다. 특히 리더십이란 명확한 개념이 부재한 경영자는 민간공연조직 운영에 있어 생산성과 효율성의 긍정적 요인을 이끌어 내기에 더딘 경우가 많다. 공연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이에 관여하는 예술조직의 역량이 동반성장하기 위해서는 예술조직의 주체가 내부적으로 쇄신하고 자체적인 발전의 기회를 가져야 하며 그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결과적으로는 공연산업 전반의 정체로 이어질 수도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예술경영인의 리더십은 조직 내의 인력양성과 더불어 예술을 창조하는 예술가로서의 사명감과 조직역량 강화를 통한 이윤추구의 결실을 맺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예술조직 중 공연기획사를 대상으로 하여 대표자뿐만 아니라 중간관리자와 예술조직 인력 전반에 걸쳐 권한 위양을 통한 조직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리더십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다룬다. 현대의 수많은 기업에서도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인 인재양성을 위해 다양한 리더십이 적용되고 있으며, CEO와 중간관리자급의 리더십을 포함, 리더십 프로그램을 통한 조직 내 팀워크와 직원 개개인의 역할과 책임의 공유를 통해 기업의 성장과 안정을 도모한다. 예술조직은 특성상 조직력에 취약한 예술가 집단이 산업의 기본을 예술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순수경영학적 이론을 접목시키기 어려운 한계가 분명 존재한다. 그러나 경영의 큰 틀에 포함되는 예술경영조직이라는 구조 하에서 집단의 가치를 개인의 가치와 동일시하여 각 개인의 업무역량 향상에서 비롯된 조직의 가치와 역량 상승의 효과를 적절한 리더십의 적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직원의 역량을 기대하고 존중하며 동반자적 경영 가치관을 가지는 회사 또는 조직이 바로 그러하다. 아울러 예술경영자의 소통과 신뢰의 측면을 강조하는 리더십을 언급하여 경영자의 가치 추구가 조직 내에 미칠 수 있는 파급효과를 다루고자 하며, 예술조직과 일반 기업의 다양한 리더십 경영사례 등을 분석하여 현재 우리의 예술조직 운영실정에 맞는 리더십의 방향과 보완점 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문혜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Effects of job searching efficacy on satisfaction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for job discontinued wome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ye-jeong Mo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Advisor: Su-ran Kim Recently, our society structure changed because of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lack of human in production and slow economic development are raised as a social problem on account of a decrease in main population in production. Women resour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s demanded as a solution of social problems. In reality, our women's activity rate are steadily increased by support of government's diverse policy and changing of social perception. However it is still lower than men's activity and is fall short of OECD's women's activity rate. Invigorating women's participation of economic activity contributes national economy and support individuals’ self-realization. In this point of view, we have to find to utilize after marriage woman who discontinue a job. To achieve this, national and social effort is needed. In response of this demand, Ministry of Gender and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re operating re-employment program for job discontinued women through designating newly working center in all over the country. This program is object to incubate job searching efficacy than teaching specific skills. Meanwhile, many of study to prov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re preceded. However, most of study has only researched about factors' effectiveness so that they have critical point that the relation of effectiveness are not figured out which affect to re-employment among satisfaction of program, job searching efficacy and other facto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 this study, we regard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a main factor which affect to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and job searching efficacy and we will prove its mediating effect. We designed following study problems. First, what relation has among corelation among re-employment program, job search 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Second, does corelation between re-employment program and job search efficacy have mediating effect? Third, does social support have mediating effect on relation of satisfaction of re-employment program and job search efficacy? To prove this study we go through this following process. Firstly, we use data in analysis which is collected 81 to 94 samples from surveying a job discontinued women who is graduated employment support program in women working center in Iksan city and Gimje city in Jeollabuk-do. We use surveys which is separated with 5 dimensions(satisfaction of employment program, job search 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We researched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18.0 program for Windows and to prove mediating effect, we use verification which is suggested by Sobel. Research is followed by these results. First, relation of satisfaction of re-employment program and job search efficacy are proved as positive relationship and relation of self-esteem and job search efficacy, also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job search efficacy.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re-employment program and job search efficacy, self-esteem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Furthermore, satisfaction of re-employment program is statistically signified as a result of influenc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ffecting job search efficacy through self-esteem.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re-employment program and job search efficacy, social suppor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fluence satisfaction of re-employment program through social support through job search efficacy is proved. In conclusion of this study, in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for job discontinued women and job search efficacy which are Psychological variables in importantly influence to enter job marke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s important in mediating effect. So in case of designing to develop programs for job discontinued women, to improve satisfaction of program and job search efficacy, above all things factor of restoring self-esteem and acquiring social support has to be considered importantly.

      • 劉熙載《藝槪

        문혜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29616;代社&#20250;在科&#23398;技&#26415;與物&#36136;文明的高度&#21457;&#36798;下,人&#31867;的生活更加便利、&#20869;容也更&#36235;豊富。然而,此種&#23545;個人幸福的高度追求,同&#26102;也造成了環境&#20005;重&#27745;染、致命武器大量生&#20135;、人與人之&#38388;冷淡疏離等反效果。&#38543;着&#36825;些&#38382;&#39064;的日&#36235;&#20005;重,人&#20204;&#24320;始&#20851;注到'自然'&#19982;'人&#31867;'的&#35843;和相生&#20851;系,以及&#26102;空&#38388;&#28176;&#36827;性&#21464;化的重要性。而此,正是&#19996;方思考方式,&#21363;中&#22269;&#20256;&#32479;的思&#32500;方式。本&#35770;文&#23545;&#21016;熙&#36733;的《&#33402;&#27010;》的&#30740;究就是在此種&#35270;角下展&#24320;的。《&#33402;&#27010;》成&#20070;于&#24635;集中&#22269;古典文&#23398;大成之&#28165;末,是一本高度强&#35843;中&#22269;&#20256;&#32479;&#24182;&#24635;&#32467;了中&#22269;古典文&#33402;的文&#33402;理&#35770;&#19987;著。&#31508;者&#35748;&#20026;,重&#35270;'自然'與'人&#31867;'相生&#20851;系的《&#33402;&#27010;》可以提供一&#20010;&#20851;照&#29616;代社&#20250;&#38382;&#39064;的&#23853;新&#35270;角,&#36825;也正是本&#30740;究的基本出&#21457;點。 本&#35770;文第一章&#32490;&#35770;&#38138;&#38472;本&#30740;究的基本&#30740;究架構,第二章&#35770;述了&#21016;熙&#36733;生平&#19982;當&#26102;社&#20250;的整體&#27675;&#22260;,第三章&#23545;&#21016;熙&#36733;的《&#33402;&#27010;》做了整體的&#27010;述。第四章、五、六章分&#21035;考察了《&#33402;&#27010;》中呈&#29616;的文&#33402;本&#36136;&#35266;、&#21019;作&#35266;和&#37492;&#36175;&#35266;。 &#21016;熙&#36733;(1813-1881)所&#22788;的&#28165;末,在西方&#35832;强政治與&#32463;&#27982;的大&#20030;入侵,本土反抗&#36816;&#21160;&#32439;起的情&#20917;下,中&#22269;&#36827;入史无前例的混&#20081;。如何才能&#35753;中&#22269;&#25670;&#33073;此&#31181;困境?身&#20026;&#23398;者的&#21016;熙&#36733;陷入了&#38271;考。其苦思後所提出的根本&#23545;策是&#25945;育,而《&#33402;&#27010;》正是其&#25945;育思想相&#20851;的重要著作。《&#33402;&#27010;》是一文&#33402;理&#35770;&#19987;著,由<文槪>、<詩槪>、<賦槪>、<詞曲槪>、<書槪>、<經義槪>等六卷&#32452;成。《&#33402;&#27010;》中的"&#33402;"是一&#27010;括了‘文’、 ‘詩’、 ‘賦’、 ‘詞曲’、 ‘書’、 ‘經義’的&#27010;念,但&#24182;不包括&#25103;&#21095;、小&#35828;、音&#20048;、&#32472;&#30011;和舞蹈。我&#20204;可以&#23558;之理解成是&#21016;熙&#36733;有意&#35782;地排除了不具有中&#22269;&#20256;&#32479;精神的&#33402;&#26415;形&#24577;,因此,&#36825;里的"&#33402;"乃指文&#33402;而非&#33402;&#26415;。而《&#33402;&#27010;》中的‘槪’乃指槪略、槪要、槪括,&#21016;熙&#36733;所提出的'&#27010;'是&#31616;&#27905;而&#31616;&#21333;的形&#24577;,&#21363;‘簡’的形&#24577;。&#36825;里的‘槪’和‘簡’可以&#35828;是以整體&#20851;照&#20026;基本精神的中&#22269;式&#20070;&#20889;形&#24577;。正因此,《&#33402;&#27010;》被&#35465;&#20026;是繼《文心雕龍》之後的文&#33402;理&#35770;名著。同&#26102;期的《人間詞話》明確地反映出當&#26102;中&#22269;受西方文明&#20914;&#20987;的文化走向,&#24182;&#23558;&#19996;西方文明&#36827;行了巧妙的&#32467;合,因而在當&#26102;受到了相當的重&#35270;。相反的,《&#33402;&#27010;》&#23545;當&#26102;被&#35270;&#20026;&#38472;腐文化而受到&#25682;&#24323;的中&#22269;&#20256;&#32479;文化精神做了高度的&#35780;價,因此其在成&#20070;當&#26102;&#24182;未受到&#24212;有的重&#35270;。1970年以后,"&#20122;洲文明價&#20540;"&#24320;始受到&#20851;注,&#19996;方思考方式重新受到重&#35270;,&#24635;括了中&#22269;&#20256;&#32479;文&#33402;理&#35770;的《&#33402;&#27010;》也因而&#24320;始受到&#30740;究者的注目。 &#21016;熙&#36733;文&#33402;理&#35770;的核心'本&#36136;&#35770;'可&#21306;分&#20026;二,一&#20026;追求天人之合,二&#20026;追求自然。其所主&#24352;的'天人之合'中的'天'乃指'天道',人指人心。在天道&#19982;人心之中,&#21016;熙&#36733;&#23558;重點放在人心,在人心的主宰下,天道可&#36716;&#25442;成'&#33402;'。因此,其文&#33402;理&#35770;也就呈&#29616;了重&#35270;心&#23398;的&#20542;向。他&#36824;强&#35843;,在'天人之合'之境界,作品中的'我'必&#39035;提升到'無我'的境界。其次,&#21016;熙&#36733;着力追求'自然',其所追求的自然涵括了眞、野、醜三種意&#20041;。此種自然的美在作品中形象化地呈&#29616;出&#26469;就形成了第二自然。&#21016;熙&#36733;&#35748;&#20026;,在景致的&#23618;面呈&#29616;&#20026;‘由人復天’;在技巧的&#23618;面&#21017;呈&#29616;&#20026;‘大巧若拙’。 &#21016;熙&#36733;所主&#24352;的&#21019;作&#35770;,其前提&#20026;‘觀物’&#19982; ‘觀我’。他&#35748;&#20026;必&#39035;具&#22791;'&#21035;眼'方能&#30495;正做到'&#35266;物'。他&#24182;且强&#35843;&#24212;&#35813;追求'窮盡事理'的最&#32456;境界。而‘觀我’&#21017;必&#39035;是在精神、&#23398;&#38382;和技巧都&#36798;到完美的境界&#26102;才成&#20026;可能。&#24182;且,&#21016;熙&#36733;&#35748;&#20026;必&#39035;&#32463;&#36807;&#20869;化的&#36807;程,在深&#24191;的思考之後,&#23558;&#33402;&#26415;想象力做最大的&#21457;&#25381;,&#32435;入必&#39035;的部分&#24182;去除不必要的部分,&#21363;&#32463;&#36807;'厚而&#28165;'的&#36807;程。其次,&#21016;熙&#36733;追求意境。他&#35748;&#20026;,借助&#35799;眼,以一表万、寄托法、借景言情等方法可以&#36798;成無&#31351;的意境,&#32463;&#36807;此&#36807;程,作品可以&#36798;到&#21019;新的境地。&#21478;外,他主&#24352;必&#39035;在繼承&#19982;&#21464;化中最求&#28165;新的境地,&#24182;且他也强&#35843;文&#33402;&#21019;作的&#26102;代性和個性。 最後,本文分析了&#21016;熙&#36733;的&#37492;&#36175;&#35770;。他&#35748;&#20026;,'識力'、'眼力'和中立客&#35266;的&#24577;度是&#37492;&#36175;文&#33402;作品&#26102;必&#39035;具&#22791;的基本要件。'識力'指&#23545;&#37492;&#36175;&#23545;象必&#39035;具&#22791;相當的知&#35782;,此&#20026;分辨與掌握作品&#30495;正價&#20540;的能力。而所&#35859;'眼力'&#21017;是分辨作品水準的能力,是在具&#22791;了'&#35782;力'的基礎下所形成的高&#23618;次的&#23457;美能力。所&#35859;中立的&#24577;度指不持偏&#35265;,准&#30830;地掌握作品的&#30495;正&#20869;涵。&#21016;熙&#36733;提示了&#37492;&#36175;的三種方法。其一是&#23545;作品展&#24320;直&#35266;的&#35748;&#35782;,其二&#20026;具&#22791;與作品相&#20851;的知&#35782;而展&#24320;的&#35748;知性的&#37492;&#36175;,最後是&#37492;&#36175;者&#23545;作品展&#24320;再&#21019;作性的&#38416;&#37322;性&#37492;&#36175;。而&#20851;于&#37492;&#36175;所能&#36798;成的作用,&#21016;熙&#36733;&#35748;&#20026;有三,其一&#20026;&#35835;者在&#38405;&#35835;&#36807;程中受作品的感染而喜而悲,因而&#20135;生心靈&#20928;化的作用。其二&#20026;政治、社&#20250;、文化上的&#25945;化作用。其三&#20026;&#38405;&#35835;之後&#38271;存在&#35835;者心中的共享感&#35273;,&#21363;文&#33402;作品可以&#32473;予&#35835;者無窮的吟&#36175;空&#38388;。 &#32463;&#36807;本文的探析,&#31508;者&#35748;&#20026;,&#21016;熙&#36733;的《&#33402;&#27010;》是一本&#24635;&#32467;了中&#22269;古典精神精&#21326;的文&#33402;理&#35770;&#19987;著。在西方文明大&#20030;入侵的&#28165;末,他體&#35748;到中&#22269;文化的珍&#36149;,&#36827;而&#22362;持惟有&#32500;持中&#22269;自身的文化&#20256;&#32479;,中&#22269;才能有未&#26469;。他&#24182;且&#35748;&#20026;,&#23558;此&#35748;&#35782;&#20256;&#36798;&#32473;後&#36827;&#23398;者是自己的任&#21153;。在當&#26102;,&#21016;熙&#36733;的此種立&#22330;被&#35270;&#20026;不符合&#26102;代潮流,因而其《&#33402;&#27010;》&#38271;期以&#26469;也就未受到&#24212;有的重&#35270;。如今,西方文明的缺陷&#28176;次暴露,&#21016;熙&#36733;&#20174;中&#22269;&#20256;&#32479;文化精神出&#21457;之文&#33402;&#35265;解的杰出性也&#33719;得了再&#30830;&#35748;。到目前&#20026;止,&#21016;熙&#36733;思想的相&#20851;&#30740;究&#36824;相當薄弱,本&#30740;究作&#20026;此範&#30068;&#30740;究的一個起步,希望能起到抛&#30742;引玉的作用。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ade the human living condition better than before. But human progress also led to various pollutions, extreme individualism, alienation. Harmony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is increasingly valued. it is the core of oriental ideas and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The study of 《藝槪(Yigai)》 is due to those perspectives.《Yigai》is the theory of literature that apprehend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containing the essence of chinese tradition. Consequently this paper intended to recognize importance of harmony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by studying 劉熙載(Liuxizai)’s theory of literature. In chapter Ⅰ is the introduction, in chapter Ⅱ are the age which he lived in and his life and his ideas mentioned, in chapter Ⅲ the meaning of 「藝(Yi)」 and 「槪(Gai)」, in chapter Ⅳ essence theory of literature, in chapter Ⅴ creativity theory, in chapter Ⅵ literature appreciation theory . In chapter Ⅱ, Nineteenth century in which Liuxizai lived was the period that european nations invaded kingdom 「淸(Ching)」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moreover, civil protests were brought out . it was the education that was chosen to overcome those difficult problems by Liuxizai. 《Yigai》 had the purpose of teaching students following Liuxizai. In chapter Ⅲ, 《Yigai》 consists of <文槪(Wengai)>·<詩槪(Shigai)>·<賦槪(Fugai)>·<詞曲槪(Ciqugai)>·<書槪(Shugai)>·<經義槪(Jingyigai)>. 「藝(Yi)」 out of 《Yigai》 contains 「文」·「詩」·「賦」·「詞曲」·「書」·「經義」. It doesn't contain scenario, fiction, music, painting, dance. Liuxizai excluded genres which don’t contain chinese traditional values. Consequently the meaning of 「藝(Yi)」is not art but literature. 「槪(Gai)」 out of 《Yigai》 is something like outline, or simplicity in a word. Liuxizai thought that 「槪(Gai)」 should express the form of briefness. Chinese writing is said to be more or less comprehensive by using the concept of 「槪(Gai)」 or 「簡(Jian)」. 《Yigai》 is evaluated to succeed to the book 《文心雕龍(Wenxindiaolong)》 written by 劉?(Liuxie). When we compare 《Yigai》 with 《人間詞話(Renjiancihua)》 written by 王國維(wangguowei), 《Renjiancihua》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stream in the late of Ching dynasty well, integrating theory of oriental literature with that of occidental literature, but 《Yigai》 was not taken note of in those days because it reviewed only traditional theory of literature thought to be obsolete by contemporary people at that time. But importance of oriental ideas in the late of 1970s emerging, the world begins to pay attention to orient and then 《Yigai》 comprehending traditional theory of chinese literature was also illuminated by scholars. In chapter Ⅳ, core of his theory is, what is called, essence theory. It consists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 and pursuit of nature. heaven is 「天道(the reason of heaven)」 and human being is 「人心(human heart)」 in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 Liuxizai thought that human heart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ason of heaven」. 「the reason of heaven」 is transformed with 「藝(Yi)」 by human heart. His theory made much of 「心學(science of mind)」. He also valued 「無我之境(the circumstance in which he forgets even himself)」 that self was internalized but not found out. He thought much of nature. nature largely contains truth, wildness and ugliness. If beauty of nature is embodied by works of literary art, it shows the second appearance of nature. He thought that it led to the degree of 「由人復天(only starting from human being, nature can be recovered.)」 in the aspect of prestige and to the degree of 「大巧若拙(the best skill is paradoxically artless)」 in the aspect of technique. In the chapter Ⅴ, theory of creativity is mentioned. The premise of creativity he emphasized was 「觀物(seeing the material)」and 「觀我(seeing oneself)」. He thought that people should have a special eye for things to create works of literature and that people should search for deepest part of thing. And he maintained that people could not reach the degree of 'seeing the material' until people achieved self-culture. He also thought that creating the works of literary art was something like internalization. First, artistic imagination is important, Second, what is called, 「厚而淸(to fill something that should be filled, but pour out other thing that should be poured out)」is also important. He pursued what is called 「意境(meaning border)」. The methods creating 'meaning border' are to have eye of poet, have the ability of replacing the whole with the part, have the ability of describing that thing to explain this thing, especially the ability of describing scenary to explain heart. and then Literary works reach the extent of freshness by this internalization. Liuxizai had an idea that works of literature should inherit intelligence of ancestors, modulate them and elicit point of freshness. He also thought that literary works should have contemporary mi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chapter Ⅵ, his theory of appreciation is reviewed in the last. He had an idea that people appreciating the works of literature should have appreciation power, having an special eyes for them, having the neutral attitude. First, appreciation power is to arrange knowledge about works of literature. The power is to know the true value of work. Second, special eye for work is the ability to see the level of works. It means high level ability based on appreciation power. Lastly, neutral attitude is not to have prejudice. He maintained in his book that there were intuitive method, cognitive method and interpretive method about appreciation method. He also maintained that there should be actions of catharsis, lesson and flagrance left after reading about effects of appreciation. First, laughing and weeping with characters in the book, readers have catharsis in their hearts. Second, there are political, social, cultural lessons in the works of literature. Third, readers can feel the flagrance left after reading. At the result of studying Liuxizai’s theory of literature, it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He had the viewpoint that chinese classical things should be cherished and could be the way people overcame difficulties of china. In his age his idea was regarded as an anachronism, being made light of by contemporary scholars. But as occidental ideas have many problems at this point in time, his theory of literature containing chinese traditional things can be paid more attention to finally. 각종 과학·의학기술과 물질문명의 발달은 사람들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해주었다. 그러나 ‘사람’(개인)의 행복만을 위한 편안함은 오히려 환경오염, 살상무기의 발명, 극단적 개인주의, 인간소외 등 그에 반하는 역기능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에 사람들은 ‘자연’과 ‘사람’의 ‘조화’와 ‘相生’, 그리고 시·공간 속에서의 점진적 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조화’와 ‘相生’을 중시하는 것이 바로 동양적 사고이며 중국 고전의 사고방식인데, 劉熙載의 《藝槪》 문예이론 연구는 이런 시각에서 비롯되었다. 유희재의 《예개》는 고전문학이 집결되는 청대 말기에 온전히 중국적인 것은 간직하고서 중국의 전통 문예를 정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문예이론서이다. 따라서 필자는 ‘자연’과 ‘사람’을 중시하는 유희재의 문예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조화’와 ‘상생’의 중요성을 재인식시키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제Ⅰ장의 서론을 시작으로 제Ⅱ장에서는 유희재가 살았던 청대 시대상황과 그에 대한 인적 사항과 학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유희재의 저술인 《예개》의 서지사항 등을 槪述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유희재 문예이론 중의 본질론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제Ⅴ장에서는 창작론을, 제Ⅵ장에서는 감상론을 살펴보았다. 유희재(1813-1881)가 살았던 19세기는 당시 서양 열강이 청제국에 대해서 정치·경제적 침략을 행하고, 각종 저항운동이 일어났던 혼란한 시기였다. 그러한 시기에 유희재는 그 시대를 살아가는 순수한 학자로서 그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해결책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고, 그런 고민의 대한 해답으로 그가 선택한 것은 바로 ‘교육’이었다. 《예개》는 그런 교육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예개》는 <文槪>·<詩槪>·<賦槪>·<詞曲槪>·<書槪>·<經義槪> 6권으로 이루어져 있는 문예이론서이다. 따라서 《예개》의 ‘藝’란 ‘文’, ‘詩’, ‘賦’, ‘詞曲’, ‘書’, ‘經義’를 포괄하는 개념이고, 여기에는 희곡이나 소설·음악·그림·무용 등과 같은 양식이 포함되어있지 않다. 이는 유희재가 중국의 전통적 가치를 내재하지 않은 양식은 배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예술’이라는 표현보다 ‘문예’라는 표현이 적합하다. 《예개》의 ‘槪’에는 槪略, 槪要, 槪括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유희재는 이러한 ‘槪’는 간결하고 간단한 형태, 즉 ‘簡’으로 나타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槪’, ‘簡’이 바로 전체를 관망하여 써내는 중국적인 글쓰기라 할 수 있다. 이 《예개》는 劉&#21232;의 《文心雕龍》의 뒤를 잇는 문예이론서라 평가된다. 또한 동시대의 저작인 《人間詞話》에 비교해 보았을 때, 《인간사화》는 서양 문물이 밀려들어오기 시작했던 당시의 흐름을 잘 반영하여 “동양과 서양을 접목”하였으나 《예개》는 이미 과거의 것으로 치부되어진 옛것을 돌이켜보았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로 소위 ‘아시아적 가치’가 인식되면서 세계는 동양을 돌아보기 시작하였고, 전통 문예 이론을 총결하고 있는 《예개》 역시 연구자들에 의해 다시 돌아보아야 할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유희재의 문예이론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본질론’은 크게 ①‘天人之合’의 추구, ②‘自然’의 추구로 나누어진다. 그가 말한 “天人之合”에서 天이란 天道를 의미하며, 人이란 人心을 뜻한다. 이 天道와 人心 중에서도 유희재는 人心에 중점을 두어 天道는 人心의 主宰에 의해 藝로 전환이 된다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문예이론에서는 당연히 心學을 중시하는 경향이 보인다. 이런 天人之合의 경지에서도 유희재는 ‘我’가 작품에 내재되어 있으면서도 그 ‘我’를 발견할 수 없는 ‘無我之境’의 경지를 높이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유희재는 ‘自然’의 추구에 힘썼다. 그가 말하는 ‘자연’은 크게 眞, 野, 醜의 의미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런 자연의 아름다움이 작품으로 형상화되면 ‘제2의 자연’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유희재는 그것이 풍격적 측면에서는 ‘由人復天’의 경지로, 기교적 측면에서는 ‘大巧若拙’의 경지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유희재가 견지한 ‘창작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가 강조하는 창작의 전제는 바로 ‘觀物’과 ‘觀我’였다. 유희재는 ‘觀物’을 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눈인 ‘別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이것은 최종적으로 ‘窮盡事理’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觀我’란 정신적으로, 학문적으로, 기법적으로 원만한 수양을 성취했을 때 비로소 가능한 경지이다. 유희재는 이를 자기화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먼저 깊고 멀리 생각하여 예술적 상상력을 최대한 발휘하여야 하고, 다음으로 채울 것은 다 채우고 비울 것은 다 비워버려야 하는 ‘厚而淸’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다음으로 유희재는 意境을 추구하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詩眼’의 창출, ‘以一顯萬’, ‘寄托’, ‘借景言情’의 방법으로 무궁한 의경이 형성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고 나면 작품은 創新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유희재는 계승과 변화를 통해 淸新한 경지를 이끌어 내야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또한 시대성과 개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끝으로 유희재의 ‘감상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유희재는 작품을 감상하는 감상자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識力과 眼力, 그리고 중립적인 태도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먼저 식력이란 감상 대상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는 견해이다. 이것은 작품의 진가를 알아보는 힘이며 그것을 분별하는 능력이다. 다음으로 眼力이란 작품의 수준을 제대로 볼 줄 아는 안목을 말한다. 이것은 첫 번째 요건인 식력을 갖춘 후에 그 식력을 바탕으로 형성된 고차원적인 심미안을 뜻한다. 끝으로 중립적인 태도란 편견에 치우치지 않고 실체를 제대로 인지하는 태도이다. 다음으로 유희재는 감상하는 방법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감상자가 작품을 접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직관적 감상이다. 둘째, 작품에 대해서 사전 지식을 가지고 대하는 인지적 감상이다. 셋째, 감상자에 의해 재창조되는 감상인 해석적 감상이다. 다음으로 감상 효과에 대한 유희재의 견해는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작품 속에서 독자는 함께 울고 웃으면서 마음이 정화된다는 것이다. 둘째, 문학 작품에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교화 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작품을 뒤로 하고 있어도 아련히 전해지는 향유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으로 유희재 《예개》 문예이론을 살펴본 결과, 유희재와 그의 작품은 한마디로 ‘중국 고전의 집약’이라 할 만했다. 유희재는 서구 문물이 유입되기 시작했던 청대 말기에 자신들의 것이 오히려 소중한 것임을 깨닫고 그것을 지키는 것이 미래 중국의 활로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을 후학들에게 전하는 것이 자신의 임무라고 생각하였다. 당시로서는 그것이 시대착오적인 사고로 비추어졌고, 그래서 연구자들에 의해 홀시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서구 사상의 문제점들이 드러나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보았을 때 이렇게 온전히 중국적인 것을 간직한 유희재의 문예이론이야말로 오히려 훌륭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 이혼가정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간의 관계

        문혜정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이혼가정 환경에서도 자녀들이 건강하게 성장, 발달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하여 일반가정과 이혼가정 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우울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혼가정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있는 2개의 초등학교와 종합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이혼가정 아동 82명과 일반가정 아동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 v12.0 for Windows을 활용하여 다변량 분산분석, t-test, 상관분석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은 일반가정과 이혼가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가정이 일반가정에 비해 의사소통의 개방성이 낮았고, 폐쇄성은 높았다. 이혼가정 아동의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게 나타나, 일반가정 아동들에 비해 이혼가정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생리적 증상, 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의 우울요인에서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수준이 높았다. 둘째, 이혼가정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부, 편모가정 모두 의사소통 개방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총체적· 사회적·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또, 편부가정의 경우 아버지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할 경우 자녀의 흥미상실이 낮아지고, 폐쇄적인 의사소통을 할 경우에는 자기비하와 흥미상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모가정의 경우 흥미상실만이 어머니 의사소통 개방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 이혼가정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간에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은 일반가정과 이혼가정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나 일반가정과 이혼가정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가족구조의 결손보다는 가족기능상의 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각 결과의 의미,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elpful data which can contribute to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t finds out what the differences are upon factors including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their self-esteem and their depression disposition, between ordinary family and divorced family. In addition, it inquires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ir self-esteem and depression, upon who live in divorced family. It conducted survey on 82 children from divorced family and 201 ordinary children, who use after school programs in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welfare facilities. SPSS v12.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based on MANOVA,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esteem level, depression of children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tween the divorce family and ordinary family. The divorce family showed the lower level of open communication in compared with the ordinary homes, but showed high level of closeness. Integrated self-esteem and family self-esteem level of the children from divorce family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rdinary families, and it showed the lower self-esteem of children from divorce family. Also, the ones of divorce family experienc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in terms of factors such as physiological symptoms, depression sense, behavioral disorder, interest loss and self-blaming. Secon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divorced parents and their self-esteem as well as their depression disposition. The children with one parent have higher integrated, social and family self-esteem when they have higher open communication level with their father or mother. In case of father-only family, open communication with the father lowered the interest loss level of the children; on the other hand, closed communication generated high level of self-blaming and interest loss. Besides, only interest los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in terms of mother-only fami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der the divorce family environment, the communication with parents, children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partly cor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level of each factor was different from the one of ordinary families. The communication with parents affected a lot to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children, bu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divorced family and ordinary family. It suggests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family is more important than loss of family members. At last, it analyzed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each result, and made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 Functional SNP Database의 구현

        문혜정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dentifying the causative relationships between many disease predisposing alleles and the corresponding disorders will be a major challenge. Most genetic variation comprises single base changes in the DNA sequence, known a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ccurring approximately once every 1000 nucleotides. Assaying the functional effect of polymorphisms occurring in non-coding DNA is more problematic. Here, most attention has focused on SNPs occurring in putative regulatory regions in which a base change in the DNA sequence may affect the process of gene expression.[2] The number of protein encoding genes in the human genome has been found to be unexpectedly low, while complexity and variation in mechanisms of the control of gene expression has been shown to be large. This has led to the hypothesis that variations in the expression of genes, rather than the expression of different genes, underlie the complexity and variation of human phenotypes; thus regulatory(functional) polymorphisms may be the main source of human variation. Promoter or enhancer sequences are potential sources of polymorphism affecting gene expression, although there are no large-scale systematic studies that have determined how frequently such variants occur. SNPs or haplotypes that are validated functionally can be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and presented in a uniform way that are suitable for querying. As the volume of these kinds of articles grow, probably it is difficult to keep up with the publication. A wiki-based self-supported system might be an alternative. Voluntary inputs by the authors just like wiki might be great. For the best result, we prepared and made The Functional SNP Databases in wiki supporting form-based input. 변화된 allele와 질병과의 원인 관계를 찾아내는 것은 아주 중요한 도전 과제이다. 대부분의 유전적인 다양성은 SNPs로 알려진 DNA 시퀀스의 한 개의 염기 변화에 의해 일어난다. SNP는 약 1,0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마다 있다고 한다. Non-coding DNA의 Polymorphism의 기능적인 영향이 coding DNA의 Polymorphism보다 더 크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조절 지역의 SNPs에 주로 관심을 두고 있다. 인간의 지놈에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의 수는 생각보다 훨씬 작은 편이다. 그에 반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작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이를 보면 인간의 표현형의 복잡성과 다양성은 다른 유전자들간의 문제라기 보다는 regulatory(functional) Polymorphism이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런 다양성을 빈번하게 일으키는 것에 비해 큰 규모의 시스템적인 연구는 아니지만, 프로모터나 인헨서 시퀀스들은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된 다형성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SNPs나 Haplotypes은 function쪽으로 아주 증명된 정보이다. 하지만, 정보를 구하는 방법은 문헌을 통해서뿐이다. 그마저도 논문을 찾기 위한 적절한 query를 찾는다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런 논문들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이 논문들의 출판을 데이터베이스에서 따라 잡는다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Wiki와 Google spread-sheet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가 대안이 될 수 있다. Wiki를 통해 논문 저자들이 자발적으로 정보를 입력한다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상의 결과로, 우리는 위키의 도움과 함께 Functional SNP Database를 준비하고 만들 수 있었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 연구

        문혜정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ason I decided to study on this subject is that I found out ‘A-MA’ and ‘HOKSI’make foreign students confused because they recognized both words have the same meaning reffering to a guess. People before me have found out the reasons for this problem which are the complex of korean, an influence on chinese and the inappropriate curriculum. I have tried to teach chinese students korean more efficiently with this study by working on the reason for this problem. I showed the object for this study, a need for this job and how I did this mission in the first section. I did the difference and the similarity between ‘A-MA’ and ‘HOKSI’ by studying the meaning and grammar of those two words in the second section. I present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korean adverb of manner and chinese adverb of manner in the third section. I analyzed TV scripts and spoken corpus to find out how korean people use ‘A-MA’ and ‘HOKSI’ in their practical life in the fourth section. In fifth section, I tried to find out how korean text books say ‘A-MA’ and ‘HOKSI’. Finally, I explain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like what I found out and advice for foreign students on this subject in the sixth section. These are what I found out. First, not only ‘A-MA’ and ‘HOKSI’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referring to a guess but also have a difference that ‘A-MA’ is more surer than ‘HOKSI’ is. Also they are difficult to be with various words. So I realized it will be a problem if korean teachers continue to teach those two words as just synonym and tell them just the meaning of them instead of adding the grammar. Second, korean adverb of manner and chinese adverb of manner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show psycological things but chinese adverb of manner can be used with more words than korean adverb of manner can. Korean adverb of manner must be with the ending for a guess but chinese adverb of manner can make the complete sentense on its own without any limitation. So I predicted that chinese students would get in troble with the use for guessing if they didn't learn that those two words have some limitation grammatically. Finally, some korean text books say just meaning of those two words, not various expressions connected to them, And the practical expressions are not as much as the ones that korean people actually use in their real life, I guess that chinese students wouldn’t get the right information. I think the students will learn korean words efficiently and the problem will go away if we show the right meaning and the limitation in grammar for those two words in korean text books. *Key words: Korean education, adverb of manner, chinese korean learners.

      • 한국 복권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의제설정과정을 중심으로

        문혜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Public interest in lotteries has been increased over recent years, as evidenced by the growth in sales volume and in the number of lottery funds. Previously, scholars in this area paid very little attention to lottery policy but recently it has became one of the major policy issues for all stakeholder of government and society in South Korea. However, accidents and negative public opinion has been increased in lottery policy. The history of lottery would be summarized to the quantitative growth and the qualitative weakness since 1967 when the housing lottery appeared.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of quantitative growth accompanied by qualitative shortcomings which lotteries face,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agenda setting processes of lottery policy based on historical facts. A particular point was the definition of agenda setting as the first step in the policy process by the lead group, as well as public interest in the agenda setting proces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reveal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agenda setting processes in Korean lottery policy. The law(Act No 1940 of 1967) including housing lottery was established in mobilization model of agenda setting by member of National Assembly. The law(Act No. 4268 of 1990) including sports lottery was renewed in inside-initiation model of agenda setting by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e issuing of online lottery was decided in outside-initiation model of agenda setting without any legislation. The issuing of union lottery was decided in consolidation model of agenda setting with all stakeholder including policy provider and publics based on lottery act(Act No. 7195 of 2004). In this fact, the changes of lottery policy were made simultaneously in the type of agenda-setting process, the control system, and regulation of the lottery market. In the agenda-setting process, issue initiator has been affected by the political environment, and public interest has been influenced by the results of the previous lottery policy. The most important step toward choosing an alternative lottery policy is the agenda setting stage. Being built the agenda, there have been hardly changes and the agenda has been reflected in the formulation of lottery policy. This study could be emphasized follows in theoretical contribution. First, I introduced the history of agenda setting theory include consolidation model since study by Cobb, et al.(1976). Next, I explained the difference between agenda setting model by Howlett & Ramesh(2003) and policy type by May(1991).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genda setting process of lottery policy has been changed consolidation model with issue initiator as a policy provider and publics as a policy target. However the content of lottery policy was defined by the perspectives of policy maker without publics. Therefore policy-making need to be conducted by both provider and target in lottery policy for solving qualitative weakness. Finally I would like to propose to demonstrate which the value of 'justice' and the procedural standard of 'consolidation' are necessary in order to set the goal of the lottery policy agenda through this study. 우리나라 복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은 매우 높다. 2012년 초 국내 취업정보지가 대학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새해 가장 듣고 싶은 소식 1위는 복권당첨(43.1%)으로 취업(32.4%)보다 높았다(주간한국, 2012). 복권매출과 국민의 관심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복권에 관련한 사고나 부정적인 여론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주택복권 발행 이래 지난 40여년간의 역사는 복권정책의 양적성장과 질적빈곤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외형적 성장과 내면적 빈곤의 기본적인 원인은 정부의 복권정책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지금까지 복권정책은 정책제공자의 입장에서 정치적 환경에 따라 결정되고 집행되어 왔다. 반면 선진국의 경우 정책대상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복권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한다. 정치적‧사회적 환경이 복잡하고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클수록 정책결정은 가능한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정책결정과정은 공개되어야 하며 그 절차는 제도화되어야 한다. 과연 복권정책에 있어서 정책제공자와 정책대상자가 모두 참여하여 양측의 입장에서 의사결정을 하여 왔는지 복권발행이 결정된 의제설정과정을 사례로 하여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분석한다. 복권정책의 양적성장과 질적빈곤의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주택복권 발행 이후 지난 40여년간 역사적으로 어떠한 일이 있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복권정책의 내용파악과 복권정책의 변화 분석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함으로서 우리나라의 복권시장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왜 국민의 사회문화적인 입장에서 질적으로 빈곤한지 원인 규명하겠다. 원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복권정책이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 논문의 연구질문은 크게 이론부문과 정책부문으로 구분한다. 이론적 연구질문에 대해서는 Howlett & Ramesh(2003)의 의제설정모형을 중심으로 복권정책이 결정된 의제설정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분석하였다. 정책변화에 대한 연구질문에 대해서는 사례분석 결과 주도집단, 공중의 관여도, 의제설정과정, 정부의제가 복권정책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의제설정이론에 관한 사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택복권의 발행은 1967년 군사정부 출신의 공화당 국회의원에 의해 한국주택금고법을 제정하면서 동원형 의제설정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 체육복권의 발행은 해체된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의 남은 조직에 의해 내부주도형 의제설정으로 결정되었다. 의제설정방법은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이었다. 로또복권의 발행은 기존의 복권을 발행하던 민간의 10개 운영사업자가 연합하여 법제정 없이 외부주도형으로 의제가 설정되었다. 로또복권의 발행은 2000년부터 2002년말까지 진행되었으며 이에 관여한 정부부처는 건설교통부의 실무진 수준이었다. 연합복권의 발행은 2006년 복권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복권법에 근거하여 공고화 유형으로 의제를 설정하였다. 복권정책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의제설정에 대한 정책대상자인 공중의 관여도도 함께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복권정책에 대한 의제설정도 외부주도형, 공고화형 등의 정책대상자가 참여하는 모형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정작 의제설정결과로 채택된 정부의제의 내용에는 정책제공자 입장의 제도, 조직, 상품에 대한 내용만 있었다. 복권홍보, 당첨자복지, 기금제안 등의 정책대상자 입장의 정책내용은 부재하였다. 복권정책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복권정책이 주택복권 발매이후 40여년간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제공자인 주도집단에서 보면 이슈제기자는 정치환경이 바뀜에 따라 달라졌다. 반면 정책기업가는 민간의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등장하였다. 첫 번째 국민의 정부에서 인터넷이 활성화되었고, 두 번째 이를 바탕으로 해외에서 도입해온 온라인 단말기를 이용한 기술이 복권발행에 사용되었다. 사회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고 복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자 정책기업가의 노력이 정책에 반영되었다. 2000년 초기 온라인 복권을 국내에 도입한 당사자는 KLS로 당시 우리나라 복권 매출을 기존의 10배 이상 올리는 성과를 가져오는 데 기술적으로 기여하였다. 의제설정과정에 대한 공중의 관여도는 복권정책의 대상자 입장에서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았다. 로또복권 발매 이후 복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자 복권정책의 결정에 정책대상자인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복권법 제정, 연합복권 발행 등 모든 복권정책에 대한 정책의제는 공고화형으로 설정되었으며 복권이 중요한 정책으로 대두되었다. 이 논문은 이론소개, 이론확증, 의제설정경로, 자료 부문에서 이론적으로 의의가 있다. 이론소개 부분에서는 공고화형을 포함한 의제설정모형이 만들어지게 된 경위를 설명하고, 정책유형과 의제설정모형의 개념적 차이를 보완하였다. 이론확증 부분에서는 네 가지 의제설정모형을 연구모형으로 하여 사례를 분석하고, 장기간의 다양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