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모더니즘 회화스타일

        문재철(Moon, Jae-Cheol),김유미(Kim, Yu-M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3

        20세기 초 모더니즘 예술의 다양한 실험은 필름과 카메라의 발명과 함께 애니메이션을 탄생시켰다. 초창기에는 영화, 사진, 미술 등 예술가들에 의해 이미지와 시간을 접목한 다양한 분야의 이미지 실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후 애니메이션이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면서 점차 흥미위주의 작품이 주류로 자리 잡아 갔으며, 초기 애니메이션의 실험적 특성은 소위 비주류 애니메이션으로 명맥이 유지되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역시 상업적인 작품을 제작하면서 초기작품의 실험적 형태, 움직임의 표현, 그리고 초현실주의적 관점이 반영돼 모더니즘 예술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었지만, 점차 영화적 리얼리즘을 표방하여 3차원적 영상 이미지 표현에 몰두하였다. 그 예로 애니메이터들에겐 드로잉과 라이브액션 푸티지(liveaction footage)를 연구하는 클래스를 열어 사람과 동물의 움직임을 재현하는 테크닉을 발전시켜갔다. 또한 2차원 원급법의 표현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기술적으로 멀티플레인 카메라(multiplane camera), 3D컴퓨터그래픽스와의 합성 등 이미지의 입체감을 강화시켜갔다. 더욱이 내용면으로 대중적인 동화 소재의 선택과 월트 디즈니 개인의 실사영화에 대한 관심은 애니메이션 연출에서 헐리우드 영화적 내러티브의 관습과 이미지 재현의 사실성을 강화시켜 초기 작품들이 갖고 있던 고유의 특성이 변질되면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은 하위 영상문화 또는 아동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원인이 됐다. 그러나 사라진 듯 보인 초기 모더니즘의 특성들은 이미지 표현에 있어 현재에도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계승되고 있다. 여전히 장르의 특성상 내러티브의 범주에서 디자인의 대상성은 중요시되지만 그 표현에 있어서는, 모더니즘 회화가 추구했던 이미지의 단순화와 과장으로 형태와 색이 줄 수 있는 심리적작용은 애니메이션 디자인에 활용되어 과거에 비해 그 특성은 더욱 강화됐다. 먼저 간단한 도형의 형태로 단순화된 모더니즘 회화의 특성은 캐릭터 디자인에 차용되고, 색은 대상의 장식이나 고증적 재현의 일차원적 목표를 넘어 카메라와 인물의 움직임으로 한 하면에서 배치가 바뀌면서 충돌 상쇄하여 관객에게 내적 경험을 유도하게 한다. 추상회화에서 색의 해방이 평면성으로 귀결된 것과 같이 캐릭터의 단순화된 개념적 색상의 사용은 캐릭터를 평면적으로 보이게 할뿐더러 이와 대조되는 공간은 더욱 평면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카메라 움직임에 따라 드러나는 배경의 다중시점은 다양한 각도에서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려한 모더니즘 회화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특성들이 초기 모더니즘 회화가 줬던 경험을 환기시킨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현대 작품들 사례를 중심으로 단순화 또는 과장된 형태, 내적표현의 색, 그리고 공간 사건의 배경의 역할을 유지하면서 움직임이 주는 경험을 20세기 초 모더니즘 회화의 특성과 비교 분석한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istory of animation began by modern artists, they produced various experimental images with the newly invented film and cameras. Artists in the field of movie, photography, paintings and others manipulated images in motion. But as some animated movies won industrial success and popularity, they became the trend but experimental style of early animation preserved by so-called non-mainstreamers or experimental animators, counteracting commercialism. Disney animation also followed the trend by applying realistic Hollywood film style, the worse critics placed a low value on the animation and it tarnished the image, although it was profitable investment from a business standpoint. To make images realistic, they opened a drawing class that animators developed skills to imitate motions and forms from subjects in real life. Also some techniques and gizmos were used to mimic and simulate three dimensional objects and spaces, multiplane camera and compositing 3D CG images with 2D drawings. Moreover, they brought animation stories from fairly tales or folk tales, and Walt’s personal interest in live-action movies, they applied Hollywood-film-like narratives and realistic visual, and harsh criticism ensued. On the surface early disney animations’potential seems to be weakened, but in reality it still exists by simplifying and exaggerating forms and color as modern arts. Disney animation employs concepts of the modernism paintings such as simplified shapes and colors to a character design, when their characters are placed together in a scene, that visual elements cause mental reaction. This modification gives a new internal experience to audiences. As conceptual colors in abstract paintings make images appeared to be flat, coloring characters with no shading make them look flat and comparing to them, background images are also appeared to be flat. On top of that, multi-perspective at background images recalls modernist paintings. This essay goes in details with the animation pioneers’works and how Disney animation developed its techniques to emulate real life and analyses color schemes, forms, and spaces in Disney animation compared with modern artists’works, in that the visual language of Disney animation reminds of impression from abstract paintings in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ies.

      • 사용자 시각에서 본 디자인 뇌파반응과 설문 비교 분석

        문재철(Jaecheol Moon),최민영(Minyoung Choi)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디자인이 필요한 것은 단순한 제품을 만드는 것만이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 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자의 편의를 사전에 조사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에 조사한 결과를 뇌파그래프로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설문지 10 장으로 되어 있는 설문 작성과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제작된 설문을 참여자에게 보게 하였으며, 설문 이 끝나면 다음으로 모니터에 나오는 설문 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하면서 참여자 대다수의 의견은 설문지와 동영상의 차이점이 명확하게 있다고 하였다. 또한, 설문지 보다는 동영상이 사실감이 느껴졌다고 참여자의 대부 분 이 대답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융합형 영상교육의 쟁점

        문재철(Jae-Cheol Mo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2 No.-

        In these days, film education is facing an environment where the concept and value of film is changing rapidly and where art is emerging to cultural industries. Thus, we are forced to respond this situatio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education system. A goal of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cultivating artists who can actively meet rapidly changing media condition and society. They should be possessed with well-rounded sensbility, flexibility, creativeness and eyes to read the trend of time in addition to specialized knowledge in their own field. Under the subdivided conventional model of university education students are asked to become a specialist in a specific area and accordingly university education is treated as a technical one. Film education in past was demanded to investment of technical accomplishment.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that Chung-Ang University seem very interesting. The system of Chung-Ang University is new model in which the each discipline maintain their own specialties but, through collaboration and exchange across disciplines and media, raise future artist. This newly launch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in need of study and development in terms of philosophy and methodology. What is important is how to upgrad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how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how to relate it to cultural indus try, how to come up with education that embraces all these and how to reflect these on classes. The succes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depends on establishing clear principles, organizing systematic programs with a long-term perspective, constantly promoting an innovative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더 콩그레스 The Congress〉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패러디

        문재철(Moon, Jae-Cheol),최숙영(Choi, Sook-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9

        아리 폴만 감독의〈더 콩그레스 The Congress〉는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의 하이브리드 영상으로 제작되었으며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핵심에 있는 패러디를 통해서 의미를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를 구축하며 특유의 세계관과 독창적인 미학을 창출해 내었다. 많은 예술가는 고대부터 패러디를 통해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했다. 패러디는 대상을 풍자하고 조롱하면서 관계와 소통의 맥락을 만들어 나가며 발전해 왔고, 오늘날 모든 예술 분야에서 대중적인 표현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예술가들의 실험적인 시도들이 이어지면서 현대의 패러디는 그 개념 또한 실용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확장된 패러디의 현대적 개념이 내포하는 의미들과 유사개념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서 주요 창조 전략으로 사용되면서 나타난 포스트모던 패러디의 네 가지 특징을 1) 상호텍스트성, 2) 장르의 해체와 융합, 3) 아이러니의 강화, 4) 패스티쉬로 도출해 내었다. 첫째, 배우 로빈 라이트가 실명으로 등장하며 자기 반영적인 상호텍스트성을 보여주고 있다. 복제의 세계, 환각의 세계를 창조해 내기 위해 수많은 유명인, 상징, 이미지 등을 차용하고 패러디하면서 상호텍스트적 세계를 창조해 내고 디지털 시대의 폐해를 비판한다. 둘째, 장르의식의 붕괴만이 아니라 모든 형식을 해체하고 융합하면서 독특한 새로운 미학을 창조하고 시간적 동시성과 공간적 상호성을 갖게 했다. 셋째, 패러디를 통하여 아이러니를 극적으로 강화해 내며 주제를 비판적으로 강조해 낸다. 넷째, 허구 세계를 만들어 내기 위해 사용한 각각의 많은 차용은 비판성이 없는 공허한 패러디인 패스티쉬이며 이것은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에서 패러디의 심화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패러디의 특징들이 이 작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함으로써 실용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현대적 패러디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한다. 나아가 <더 콩그레스 The Congress> 분석을 통하여 패러디를 사용하여 실험적인 예술을 창조해내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세계관과 창작방법을 논의한다. Mr. Folman, an Israeli director, used a highly stylized form of animation in a decidedly adult way to make his documentary about the 1982 war in Lebanon, “Waltz With Bashir,” in 2008. After 5 years, he has used another distinctive approach, fusing animation with live action in his latest film, a trippy and surreal undertaking called “The Congress.”He dismantled the means through parodies, the core of post-modernism art and built a new meaning to create a unique world view and unique aesthetics. In this study, parodies of the modern concept of post-modernism being used as a major strategy in the creation of art have appeared the four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parody: 1) intertextuality, 2) dissolution and fusion of genres, and 3) strengthening of irony, and 4) pastiche. This study is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parody that discusses the relevance of contemporary parody and postmodernism being developed by analyzing how they appear on the practical work. Furthermore, through analysis of "The Congress", this study discusses the post-modernist world view and the creative way of creating an experimental art with parody.

      • KCI등재

        1950년대 ‘상하이 애니메이션스튜디오’가 민족화를 추구한 역사적 배경

        문재철(Moon Jaecheol),Yang Liang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6

        2015년 이후 상영된 중국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살펴보면, 애니메이션의 민족화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예컨대 <몽키킹: 영웅의귀환(大聖歸來)>, <나의 붉은 고래(大魚海棠)>, <백사:연기(白蛇: 緣起)>, <소문신(小門神)>, <나타지마동강세(哪咤之魔童降世)>, <강자아(薑子牙)>를 비롯한 애니메이션들은 중국의 고전 신화와 우화 등에서 이야기 소재를 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술적 스타일 면에서도 미국과 일본 애니메이션 등 글로벌적 영향에서 벗어나고 있다. 한편,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화 발전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일찍이 상하이영화스튜디오 애니메이션 팀이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애니메이션 민족화 운동을 이끌면서 ‘중국 애니메이션 학파’가 탄생한 것이 시초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상하이영화 스튜디오가 이끌었던 애니메이션 민족화의 시대적 배경에 관한 고찰은 오늘날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애니메이션 민족화 운동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은 상하이영화스튜디오 애니메이션 제작의 민족화 전향의 시대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전향’이 발생한 배경과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상하이영화스튜디오가 왜 소련의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모방하여 중국의 민족적 스타일로 발전시켰는가를 기점으로, 반소 반미의 외교정세 그리고 글로벌 민족독립운동의 발흥이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화에 객관적인 외부 환경을 제공했다고 보았으며, 중국의 ‘3대 개조 사업’의 완성 또한 애니메이션 민족화에 이상적인 사회경제적 기반과 사상적 공감대를 제공하였다고 보았다. 이밖에도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애니메이션 민족화에 대한 정치적 소구가 있었으며, 지도층의 여러 지시와 정책들이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화에 합법적 근거를 제공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영화제작 체제의 개혁 그리고 상하이애니메이션스튜디오의 설립이 애니메이션 민족화의 물질적 기반을 다져주었다고 보았으며, 예술가들의 고국 정서와 예술적 이상 또한 애니메이션 민족화의 동력이 되었다고 보았다. Through the observation of Chinese animation films released after 2015, we can clearly perceive an aesthetic trend of the nationalization of animation works. For example, “Monkey King: Hero Is Back”, “Big Fish & Begonia”, “White Snake”, “Little Door Gods”, “Ne Zha”, and “Legend of Deification”, etc., not only draw materials from Chinese classical myths and fables in terms of story topics. In terms of art style, it is also abandoning the influence of American and Japanese animation which accepted since China entered the era of globalization. However, the nationalization of Chinese animation is not new. As early as the 20th century, the Shanghai Film Studio’s animation group (expanded into Shanghai Animation Studio in 1957) led a world-renowned animation nationalization movement, and it was born “Chinese Animation School”. An investigation of the background of the animation nationalization led by the Shanghai Film Studio in the 20th century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us to fully understand the animation nationalization movement taking place in China today. This thesis mainly use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he interview research method to investigate the era background of the 20th century Shanghai film studio’s animation creation to nationalization practice,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reasons for this “turn”. After explaining the connotation of “nationalization”, this article uses the development trend of Chinese animation aesthetics in recent years as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ts forward the question of why the Shanghai film studio in the 20th century changed from imitating Soviet animation style to developing Chinese national style. This article advocates that the anti-Soviet and anti-American diplomatic situation and the rise of the global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provide an objective external environment for the nationalization of Chinese animation. The completion of China’s “three major transformations” provides a good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and ideological consensus for the nationalization of animation; Secondly, this article believes that there are political demands for the nationalization of animation in China from the aspect of ideology. At the same time, the multiple instructions and policies of the leadership have provided a legal basis for the nationalization of Chinese animation; Finally,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reform of the production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hanghai Animation Studio have provided material guarantee for the nationalization of animation. The artist’s own family and national feelings and artistic ideals have become the endogenous driving force of the nationalization of animation.

      • KCI등재

        미셀 오슬로의 〈밤의 이야기〉를 통해 본 디지털 실루엣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특성 연구

        문재철(Moon, Jae-cheol),김영옥(Kim, YoungO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2

        실루엣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의 시작을 알린 20세기 초반부터 애니메이션의 한 장르로 인정받아왔으며, 특유의 움직임과 조형성은 다양한 의미론적 해석과 조형적 활용을 가능케 해왔다. 특히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감독 미셀 오슬로는 실루엣 애니메이션에 디지털을 접목하여 실루엣 애니메이션의 확장 가능성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고 있다. 최근작인 〈밤의 이야기〉는 3차원 입체로 실루엣 애니메이션을 제작함으로써 실루엣 애니메이션이 가지고 있던 고질적 한계들을 그만의 방식과 스타일로 진화시켰다. 오슬로 감독은 점점 더 사실적인 움직임을 지향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흐름 속에서도 선택된 움직임과 대안적 요소들을 통해 느림의 미학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정서, 감정 등의 무의식적 요소들을 강조하는 색채, 구도, 패턴 등을 그만의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써 이미지 범람의 시대에 절제되면서도 오히려 디지털로 강화된 회화적 인상과 이미지를 선사한다. 이와 함께 디지털의 획득으로 가능해진 3차원적 공간 활용은 관객들에게 더욱 폭넓은 조형적 상상력을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움직임, 이미지, 공간의 세 가지 범주에서 미셀 오슬로의 디지털 실루엣 애니메이션인 〈밤의 이야기 Tales of the Night〉(2011)의 진화된 미학적 특성들을 기존 전통적 기법의 실루엣 애니메이션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밤의 이야기〉가 기존 실루엣 애니메이션 특유의 환영적 특징들을 새롭게 환기시키는 동시에, 여러 가지 제약으로 침체되었던 실루엣 애니메이션 제작에 디지털 접목을 통한 새로운 활기와 가능성을 모색하게 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점점 더 획일화되어가는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현 시점에서 이와 같은 디지털을 접목한 실루엣 애니메이션은 기존 아날로그 방식 특유의 정적 매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디지털로 새로운 조형적 상상력을 극대화시킨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이 향후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다양성 획득과 발전적 진화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충분한 연구 가치와 그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미셀 오슬로의 새로운 실험과 작품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Silhouette Anim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genre of animation since the very beginning of the animation history, and also Its segmental movement and Aesthetic expression has led a variety of semantic interpretations. Especially the French animation director, Michel Ocelot, recently integrated 3-dimensional digital to the silhouettes animation, and it extended the possibility of the silhouettes animation in many aspects. In his latest animation feature, 〈Tales of the night〉, he showed how he made changes in 3-dimension by creating and evolving his own way and style of silhouette animation. Although mainstream digital animations preferably to show realistic images and motion, Michel Ocelot used very selective movement, subjective digital colors and extended space which couldn"t be expressed in the way of creating traditional style of silhouette animation. This alternative slow movement and the unique aesthetics in 3-dimension emphasize the unconscious elements of color, composition, patterns, and it provides digitally enhanced images and pictorial impression. In addition, the acquisition of digital three-dimensional use of space made possible to provides the wider formative imagination to the audience. In this paper, we analyze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ilhouette animation,〈Tales of the Night〉(2011), specially focusing on the aspects of Movement, Image, Space, which could not be found in the traditional silhouette animation. It is significant to obtain diversity of the future digital animation and its positive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provides opportunity to explore Michel Ocelot"s new experiments and animation philosophy.

      • KCI등재

        〈셜리에 관한 모든 것〉(2013)에 나타난 움직임 분석

        문재철(Jae-Cheol Moon),이진영(Jin-Yo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논문은 구스타프 도이치(Gustav Deutsch) 감독의 영화 〈셜리에 관한 모든 것〉(2013)에 대한 연구이다. 이 영화는 화가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회화를 오마주 해 영화로 변환하였는데. 회화 작품을 있는 그대로 활용하면서 움직임을 가미였기 때문에 마치 그림이 움직이는 것 같은 효과를 준다. 그런 점에서 영화와 회화간의 재매개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이 호퍼의 그림을 영화로 전환함에 있어 어떤 방식으로 움직임을 다루었는가를 배우의 움직임과 화면의 움직임이라는 두 측면에서 살펴본다. 조르조 아감벤의 몸짓(gesture) 개념이 이 과정에서 분석의 틀로 사용되었다. 이 영화에서 배우의 움직임은 사건을 만들고 전개하는 일반적인 액팅(action)이라기보다는 인물의 동작과 표정 그 자체를 드러내는 몸짓이다. 스토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기가 아닌 조르조 아감벤이 영화의 가능성으로 말했던 물화된 이미지를 해방하는 몸짓인 것이다. 편집과 카메라 움직임은 정면성을 유지한 채 사용된다. 이는 화면의 움직임이 관객 시선임을 말해주며 언뜻 보기엔 원작의 관음증적 시선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관객은 주류 허구 영화에서와 같이 이미지 대상을 일방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 또한 보여지고 있다. 또한 화면의 디테일을 자세히 보려는 카메라 움직임은 세부를 드러내는 수단이라기보다는 움직임 그 자체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의 현실감은 움직임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이 영화는 회화와 영화 사이에서, 말과 이미지 사이에서 현실의 비전을 질문하고 있다. 움직임은 현실을 매개하는 수단이지만, 이 영화는 그 매개성을 드러냄으로써 아감벤이 말했던 잃어버린 몸짓을 다시 되찾고 있다. 이는 현실의 비전이 그러한 매개성을 가렸을때 출현함을 말해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Gustav Deutsch"s film 〈Shirley-Visions of Reality〉(2013). The film transformed the painting of Edward Hopper into an homage film. So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picture is moving. In this regard, it raises the issue of ‘remediation’ between film and pictures. In this study, We ask how 〈Shirley-Visions of Reality〉(2013) dealt with the movement in turning Hopper"s paintings into movies. To that end, To this end, we look at two aspects of movement: the actor"s movement and the screen"s movement. The concepts of “tableau vivant,” Agamben"s gesture and mediation were used in the process. The actor"s movement in the film is not an act of making and developing events. It is a gesture that moves a person"s body and expression itself. It is not a story-oriented acting, but a gesture that Giorgio Agamben said. Editing and camera movements are used while maintaining frontality. This suggests that the movement of the screen is the eye of the audience. At first glance, it embodies the voyeuristic gaze of the original work. However, But the audience isn"t looking at the image unilaterally, as in mainstream fiction films, but they are also being seen by that image. Also, the camera"s movement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details of the screen shows the movement itself rather than the means to reveal the details. The ‘vision of reality’ in a film is made through movement. The film questions the vision of reality between painting and film, between words and images. The move is a means of mediating reality, but the film is regaining the “lost gesture” that Giorgio Agamben once said by revealing its mediated nature. This tells us that the vision of reality appears when it obscures its mediated nature.

      • KCI등재

        디지털 특수효과 영상의 타블로 효과

        문재철(Moon, Jaecheol)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8

        움직이는 이미지로서 영화는 사진에 기반하고 있어 지표의 예술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해 영화는 더 이상 사진적 리얼리티의 관점에서만 파악되지 않는다. 오히려 영화가 지닌 회화적 특성이 주목받게 되었다. 영화의 회화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개념은 타블로이다. 평면적인 그림을 의미하는 타블로는 정면성과 정지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타블로는 움직임을 본질적 특성으로 하는 영화에 대해 반(反)영화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영화미학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고 오히려 극복의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영화는 정지와 움직임의 대립적이고 모순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그런 의미에서 회화는 영화의 억압된 또 다른 자아로 언캐니한 것이다. 느린 움직임, 정지된 화면 등을 중요한 특성으로 하는 모더니즘 영화는 시간에 대한 탐구 과정에서 타블로를 자기반영적으로 고찰했다. 하지만 이들 모더니즘 영화에 있어 타블로는 정지와 움직임, 정면성과 깊이라는 모순을 드러내었다. 그 결과 이 시기 영화는 영화매체가 지닌 하이브리드적 특성만을 확인했다고 평가된다. 디지털 영화에 있어 타블로는 테크놀로지에 보다 의존하면서 회화적인 경향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전의 경우 타블로가 미장센으로 동화되는 경향이 있었다면, 촬영과 합성과 같은 기술적 처리가 두드러진다. 하지만 화면에 풍부한 볼륨과 운동감을 제공하고 있어 단순히 회화적 타블로로 축소되지 않는다. 움직임과 정지의 관계역시 모순적 대립이 아닌 둘 간의 차이를 해소하려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영화에서 디지털 특수효과에 기반한 타블로적 효과는 단순히 회화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으로만 보기는 어렵다. 기존의 모순적 대립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미지로의 전환을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As a moving image, cinema is based on photography. So it has been regarded as the art of index.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film is no longer only seen from a photo-realistic perspective. On the contrary,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the cinema have come to the spotlight. The concept that helps us understand the pictorial nature of the cinema is the tableau. Tableau, which means a flat picture, features frontality and stillness. Therefore, when the essential nature of a film is motion, the tableau has been considered the anti-filmic. As a result, it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film aesthetics, but rather was considered an object of overcoming it. But the film is based on the conflict and contradictions between movement and still. In that sense, painting is another repressed ego of the film and uncanny. Many modernist film, whos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clude slow movement and stillness, used the tableau as a means of self-reflection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ime. However, in these modernistic films, the tableau showed a contradiction between stop and motion, frontality and depth. As a result, films of this time identified the hybrid nature of the itself.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digital films, the tableau tends to emphasize the more pictorial tableau, depending on technology. The tableau deviates from being assimilated into a mise-en-scene, technical processing such as cinematography and composition is prominent. Above all the tableau image have a rich volum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on and stop tends to resol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this regard, the tableau effect seen in recent digital cinema is not just about highlighting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It is attempting to move on to new moving image.

      • KCI등재

        한국 영화비평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한 연구

        문재철(Moon Jae Cheol) 한국영화학회 2008 영화연구 Vol.0 No.37

        Achieving the modernity was a long time ardent wish for the Korean cinema. Due to the backgrou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it was difficult for Korean film to establish a systematical condition as Hollywood or attaining aesthetic achievement as European cinema. Since Korean film didn't have reasonable industrial system nor aesthetic achievement, it was logical to be situated as the other's position, and for that reason, it was natural to crave for new films with modernity and new system. Although it was initiated by the nation, the late 1950s to 1970s was a period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which also functioned as a sort of ideology. Film also couldn't be independently free from this mood in a sense of social, cultural, political ways that it resulted in a form of film promotion policy. There were new film policies adapted so called, the 'Well-made film compensation program', 'Screenquota system' etc, and these were all one of the Korean film industrialization policy, which was bench-marked from the Hollywood system. But policies with protection and fostering layed many side effects and became the core reason of downward of Korean film in the late 70s. In summary, the Korean film industry in this period shows the typical contradictions of developing countries when fast shifting to modernization socie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that these logic of modernization is forced only by the nation. The hope of modernization in film was also an internal desire from the community and it wasn't only limited to the film industry. Film criticism were unconsciously also seeking for this kind of ideology with an aim of achieving the modernity, and these symptoms were seen in many aspects. Criticism, which in a way anti to modernization ideology were mostly contradicted and disintegrated. One of the expample is the idealism tendency, which was the biggest distinctive feature of Korean film criticism in this period. In a lacking condition of industry,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an earnest auteurism by the director to acknowledge as a good film. The reason why the European art films (especially Neorealism) were more attracted than Hollywood films or such types of films that had more audience tendency, has been originated by these emphasis on auteurism and not by the materialism. Anyhow, this idealism was sort of a symptom. Basically, it was emphasizing the art itself but on the other aspect, it was also regarded as a way of break out for Korean films from the backwardness and moving toward the center. In other words, it was a critical decision that overcoming the other's position and achieving the modernity in Korean films were believed possible by the spiritual aspects rather than the materials. The Korean realism and art film theories in this period could be appreciated in the same context. This is also similar to the attitude on the technology. Valuing the contents rather than technic part was another distinctive feature for Korean film criticism, and so the Hollywood technic were less regarded. But the critics praised and valued a great amount of it in a matter of Korean films' technical achievement, and this was quite a contradictory attitude. This kind of dualism, which has also derived from the other' position to the Hollywood films, can also be regarded as showing the hidden desire of modernization. In conclusion, the unconscious desire that defined the Korean cinema criticism in this period was the modernization of Korean films. Although in the surface, this kind of desire was shown to be critical to the industrialization's contradictions, unconsciously it was colluded together. Therefore the desire of the Korean cinema criticism was linked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