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교장리더십의 연구동향 분석

        문영주(Moon You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토픽모델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최근 20년 동안 수행된 교장리더십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장리더십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KCI와 RISS를 활용하여 200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교장리더십 관련 학술논문을 전수 조사한 결과, 104편 논문의 서지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리더십 연구의 상위 주제어는 교장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조직효과성, 교장, 교사, 직무만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7개의 토픽 비중을 살펴본 결과, ‘교사협력에 기반을 둔 전문적 학습공동체’, ‘여성리더십, 여성주의 리더십에 기반을 둔 여교장의 리더십 유형과 특성’, ‘학교구성원의 긍정적 조직행동 함양을 위한 교장리더십’, ‘교장공모제 학교의 조직효과성과 리더십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동향’, ‘교장과 교감의 역할수행과 교육리더십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조직몰입, 조직효과성 향상을 위한 교사리더십’,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수업리더십과 도덕적 리더십’ 순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상승세를 보이는 토픽은 ‘교사협력에 기반을 둔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장공모제 학교의 조직효과성과 리더십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동향’이었으며, 연도별 하강 추세를 보이는 토픽은 ‘교장과 교감의 역할수행과 교육리더십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토픽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향후 교장리더십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on principal leadership for the last 20 years by applying the topic modeling analysis technique, figuring out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on principal leadership, and searching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investigator examined research papers on principal leadership published in journals registered at the NRF between January 1, 2000 and November 30, 2020 based on KCI and RISS, collecting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a total of 104 papers.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p keywords include princip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rincipal,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seven topics for their importance and found the biggest importance placed 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eachers collaboration, which was followed b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principals leadership based on female leadership and feminist leadership, principal leadership to promote the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of members of school, trends in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chools running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leadership,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the rol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teacher leadership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and instructional and moral leadership to increa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that order; finally, hot topics wer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eachers collaboration and trends in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chools running an open recruitment system for principal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leadership, whereas a cold topic was development of programs to promote the rol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하브루타 연구동향 분석

        문영주(Moon You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LDA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이용하여 그동안의 하브루타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하브루타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KCI와 RISS를 활용하여 2019년 12월 31일까지 게재된 하브루타 관련 국내 논문을 전수 조사한 결과, 학술논문 57편, 학위논문 51편의 총 108편 논문의 477개 키워드를 확보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연구에서 상위 10개 주제어는 토론수업, 질문, 수학,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력, 학업성취도, 플립드러닝, 초등, 학습자, 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8개의 토픽 비중을 살펴본 결과, ‘학생 참여형 하브루타 수학 수업의 효과성’, ‘하브루타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질문 생성과 이해 능력 강화’, ‘영재 대상 사회과 하브루타 토론의 효과성’, ‘범교과 교육에서 하브루타 토론수업의 효과성’, ‘하브루타를 활용한 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하브루타, 플립드러닝, 토의, 질문 등을 활용한 학습자중심교육’, ‘기독교 기반의 일대일 하브루타 토론수업의 효과성’, ‘질문 중심 하브루타 과학 수업의 효과성’ 순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상승세를 보이는 상승 토픽(Hot Topic)은 ‘영재 대상 사회과 하브루타 토론의 효과성’ 토픽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하브루타와 관련한 학습자중심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havruta with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LDA and search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havruta. The investigator examined all the domestic papers about havruta published in KCI and RISS until December 31, 2019 and identified 477 keywords in total 108 papers including 57 scientific treatises and 51 dissertations. The major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op 10 key words in the research of havruta were discussion lessons, questions, math,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abilitie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cademic achievement, flipped learning, elementary, and learners. Secondly, the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s identified eight topic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ffectiveness of student-participatory havruta math classes was the highest, and it was followed by reinfor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generation and understanding through havruta, effectiveness of havruta discussions for gifted students, effectiveness of havruta discussion lessons in cross-curricular edu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avruta-based learning model, learner-centered education based on havruta, flipped learning, discussions, and questions, effectiveness of one-on-one havruta discussion lessons based on Christian, and effectiveness of question-centric havruta science lessons in the order. Finally, the progres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topic of effectiveness of havruta discussions for gifted students was on the rise by the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related to havruta.

      • KCI등재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학습동기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영주(Moon You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학습동기가 학습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학습몰입을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같은 이러닝 교과목을 수강하는 3개 대학의 수강생 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최종 수집된 506명의 자료로 구조방정식모형의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분석을 시행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은 학습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을 위한 운영지원, 이러닝 시스템, 학습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뛰어날수록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 지속의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학습동기는 학습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내적동기와 자기조절학습동기가 높다고 해서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 지속의향이 높아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학습효과, 그리고 학습동기와 학습효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닝 학습환경이 잘 조성되고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이바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효과분해 결과,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학습환경의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적극적인 운영지원, 정보전산원의 시스템 보강, 교수자의 충실한 교과내용 구성 및 학습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learning environment and motiv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effect of e-learning students through learning flow.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600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who had been taking the same e-learning course.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 analyses of the SEM were conducted for the final data of 506 survey respon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bootstrapping. Result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operational support for learning, the e-learning system,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the higher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On the other hand, learning motivation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effect, indicating that a high-level internal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do not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effect, and between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a well-created e-learning environment and a high learning motivation lead to an increase in the learning flow, resulting i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effect. In particular, the effect decomposition revealed that a learning environment has the greatest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learning effect. Conclusions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active operational support from the CTL, the reinforcement of the systems at centers for information and computing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smooth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essential.

      • KCI등재

        연령대와 지형경사를 고려한 근린생활권 도시녹지 보행 접근성 평가 - 청주시 원도심지를 대상으로 -

        김종환(Kim, Jonghwan),김종윤(Kim, Jongyun),윤성수(Yoon, Sungsoo),문영주(Moon, Youngjoo),강완모(Kang, Wanmo) 한국지적정보학회 2021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3 No.3

        녹지에 대한 보행 접근성은 도시민의 육체적·정신적 건강 향상에 중요하다. 하지만 거주 환경이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시민들이 접근 가능한 도시녹지 서비스의 수준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주시 원도심 지역을 대상으로 보행로의 경사도와 연령 그룹별(10세 이상 49세 이하의 청·장년층, 50세 이상 69세 이하의 중년층, 70세 이상의 노년층)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도시녹지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접근성 분석에서 경사도가 고려되지 않았을 때 일부 노년층 거주자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은 도시녹지에 10분 내로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사도를 고려했을 때 도시녹지에 10분 내로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이 중년층에서도 드러났다. 또한, 산지형태의 면적이 큰 임목지가 분포하는 행정구역은 경사도가 높은 보행로가 임목지뿐만 아니라 주변 공원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행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도시녹지 보행 접근성 평가 및 향상에 있어 보행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경사도와 시민의 연령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of urban green spaces is crucial in terms of improving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citizens. The level of services from green spaces accessible to citizens may vary depending on their residential locations or physical status. This study analyzes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of green spaces in the old town area of Cheongju-si considering the slope of pedestrian roads and walking speed of different age groups (the young: 10-49 years, the senior: 50-69 years, and the elderly: over 70 years). All age groups except for a few elderly residents can access to urban green spaces in 10 minutes when the slope is not considered in the accessibility analysis. However, people, who cannot access to urban green spaces in 10 mins by walking, were also revealed in the senior group when considering the slope. In addition, administrative districts accounted for large mountainous areas can have relatively low pedestrian accessibility, because the high-slope pedestrian paths were connected to urban green spaces. Our results suggest that for assessing and improving the pedestrian accessibility of urban green spaces, the slope and ages, which affect on walking performance,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내용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복지행정 연구동향 분석

        문영주 ( Moon¸ Young-jo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이 연구는 내용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적용하여 지난 15년간 복지행정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15년간 복지행정 관련 국내 논문을 조사한 결과, 총 474편의 학술논문을 확보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분석 결과,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에 비해 양적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되고, 연구대상 지역에서는 국내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었으며, 공동연구에 비해 단독연구가 더 많이 수행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제어의 빈도분석 결과, 상위 주제어(키워드)는 사회복지사, 직무만족, 사회서비스,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일반행정, 사회적 기업, 조직몰입,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 사례관리, 복지행정, 소진, 질적 연구, 자원봉사, 이직의도, 비영리조직, 매개효과, 감정노동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도출된 13개의 토픽 비중을 살펴본 결과, ‘직무태도와 조직행동’, ‘사회복지 조직관리’,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척도개발과 타당화’, ‘노인복지’, ‘사례관리실천’, ‘사회서비스’, ‘자원봉사와 기부’, ‘사회적기업의 성과’, ‘지역사회복지’, ‘휴먼서비스 종사자의 업무 수행경험’, ‘신공공관리와 정책집행’, ‘노인일자리사업’순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복지행정 연구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e last 15 years throughout content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The investigator examined all the domestic papers about welfare administration published and identified 474 papers. The major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more quantitative studies were performed than qualitative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domestic studies were performed the most in the study area, and more independent studies were performed than joint studies.; secondly,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keywords show that the top keywords includ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social service, public social workers, public administration, social enterpris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ocial work, case management, welfare administration, burnout, qualitative research, volunteering, turnover intention, NPO, mediating effects, and emotional labor.; and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13 topics identified after topic modeling analysis and found the greatest importance placed on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behavior, which was followed b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job stress and burnou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s, elderly welfare, case management practice, social service, volunteering and donation, achievements of social enterprises, community welfare, job performance experiences of practitioners, new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implementation, and employment promo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at ord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research of welfare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