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TO DDA 수산보조금 규범협상 논의 동향 및 시사점

        류예리(Ryu, Yeri) 한양법학회 2017 漢陽法學 Vol.28 No.3

        Discussion on fisheries subsidies has began to negotiate actively since tenth WTO ministerial conference in 2015. This paper analyzes the EU proposal on fisheries subsidies before eleventh WTO ministerial conference taking place in 2017. The reason that EU submitted the proposal is to prohibit capacity-enhancing subsidies which contribute to overcapacity and overfishing and establish transparency scheme of special and different treatment based on international law. EU proposal clearly provides that regulations of fisheries subsidies prohibited shall not apply to fuel-detaxation schemes. Henc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refer to the EU proposal about fuel-detaxation which can be the most effective issue to the Korea. It is also worth to note that EU proposal presents 3 types of fisheries subsidies prohibited, and has no catch all provision. The future Korean proposal also needs to consider the articl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cope and conditions of application. Additionally, EU proposal implies strong arguments about establishment of transparency schemes and special and differentiate treatment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the priorities of the fisheries subsidies to negotiate referring proposals by WTO member countries including EU.

      • KCI등재후보

        중국 WTO 가입의정서의 효력종료에 관한 연구

        류예리(Ryu Yeri)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16 통상법률 Vol.- No.130

        Paragraph 15 of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contains that China accepts Non-Market Economy Status during 15 years since its entry into WTO. According to the expiry of subparagraph (a)(ii), the expiration of subparagraph 15(a)(ii) bestows Market Economy Status on China on December 11 2016. EU parliament, however, has started to argue that the provision does not mean China’s automatic Market Economy Status and needs a legal review. On the other hand, China argues that paragraph (d) of China’s Accession Protocol provides that the provisions of subparagraph 15(a)(ii) shall expire in 2016. While there is a sharp conflict of opinion between China and EU,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Appellate Body of EC-Fasteners case interpreted that extends the termination to the entire paragraph of 15(a).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requirements and scope of the expiration of Non-Market Economy Status through legal analysis of subparagraph 15(a) and (d). Chapter II of the article, basically, explain discipline of Market Economy Status under GATT/WTO. Chapter III analyzes requirements and scope of the expiration of Non-Market Economy Status of Paragraph 15 of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Chapter IV shows interpretation regarding subparagraph 15 of the Appellate Body of EC-Fasteners case. And finally Chapter V demonstrates legal effect in 2016, the expiration year of Non-Market Economy Status of China.

      • KCI등재

        국제협약에서 유전자원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에 대한 논의 동향 및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류예리 ( Ryu Yeri ),신병철 ( Shin Byongchul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1

        생물다양성협약과 그 부속의정서인 나고야의정서에 따르면, 유전자원을 이용할 때는 유전자원 제공국으로부터 접근허가를 취득해야 하고, 유전자원 제공자와 이익공유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그렇다면 유전자원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를 이용할 때에도 나고야의정서 상의 접근 및 이익공유 절차를 준수해야 하는가? 이는 현재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오늘날 많은 연구자와 과학자들은 유전자원 DSI를 연구·개발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DNA 염기서열 분석기술이 개발되면서 유전자원 DSI는 빠르게 DB에 축적되고 있고, 연구 및 상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자유롭게 이용되던 유전자원 DSI가 나고야의정서의 적용 대상이 될 경우,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개발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전자원 DSI의 나고야의정서 접근 및 이익공유 대상 여부가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가운데,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유전자원 DSI 용어의 적절성, 유형 및 범위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먼저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에서 유전자원 DSI가 논의되기 시작한 배경 및 지금까지의 논의 동향, 주요 합의사항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유전자원 DSI의 용어, 유형 및 범위, 나고야의정서 적용대상 여부 등 유전자원 DSI에 대한 주요 쟁점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바이오산업계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which is an annexed protocol, when using genetic resources, access permits shoul be obtained from the country providing genetic resources, and a benefit-sharing contract should be concluded with the genetic resource providers. If so, should the access and benefit-sharing procedures of the Nagoya Protocol be followed even when using genetic resource digital sequence information(DSI)? This is curr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Today, many researchers and scientists mainly use the genetic resource DSI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the genetic resource itself. In addition,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NA sequencing technology, genetic resource DSI is rapidly accumulating in DBs, and is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search and commerce. Therefore, if the genetic resource DSI, which has been freely used so far, is subject to the Nagoya Protocol, it is likely to have a devastating effect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For this reas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ppropriateness, type, and scope of the gene source DSI terminology are being discussed in the biodiversity agreement, while the access and profit sharing of the Nagoya Protocol are sharply opposed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response, the main office first want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start of discussion of genetic source DSI in the biodiversity agreement and Nagoya Protocol, trends in discussions so far, and major agreements. Next,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main issues of genetic source DSI, such as the term, type and scope of genetic source DSI, and whether it is subject to Nagoya Protocol. Finally, based on these contents, I would like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domestic bio industry.

      • KCI등재

        2020년에 살펴보는 생물다양성협약의 동향과 과제

        류예리(Ryu, Yeri)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환경법과 정책 Vol.24 No.-

        본고는 2010년에 수립된 2011-2020 생물다양성전략계획과 아이치 타겟의 내용 및 성과를 간략히 살펴보고, 2020년에 논의되어야 할 협약상의 주요 과제의 동향 및 쟁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2020년에 살펴봐야 할 생물다양성협약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바로 Post-2020 글로벌생물다양성 체계(GBF)를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이 체계의 구조와 범위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정도에 대해서만 합의를 이룬 상태다. 향후 Post-2020 GBF에 디지털염기서열정보(DSI) 접근 및 이익 공유의 포함 여부가 Post-2020 GBF 개발 및 채택에 핵심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는 1998년부터 토착민족 및 지역공동체(IPLC)의 전통지식권리 보호 및 강화를 위한 작업프로그램과 일련의 자발적 지침들을 채택해왔다. 비록 작업프로그램과 자발적 지침들의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전통지식의 권리를 보호하고 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19년 제11차 협약 제8(j)조 및 관련조항 전통지식작업반 회의에서는 Post-2020 GBF 취지에 맞는 새로운 작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행 전통지식작업반을 대체하고 승격하기 위한 상설보조기구 설립 여부를 논의하였다. 그러나 브라질 등 일부 국가의 반대로 이번 작업반회의에서 합의하는 데 실패하였다. 2010년 제14차 SBSTTA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합성생물학은 2020년에 살펴봐야할 생물다양성협약의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COP은 합성생물학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기체, 구성성분, 제품이 생물다양성에 끼칠 잠재적 악영향에 대해 사전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그 규제방안을 모색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현재 합성생물학의 개념과 범위조차 불명확한 상황에서 합성생물학의 법적지위, 즉 카르타헤나의정서와 생물다양성협약의 적용대상 여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합성생물학이 생물다양성협약 상의 생명공학의 일부인지 또는 카르타헤나의정서 상의 현대생명공학에 포함되는지 아니면 오히려 새로운 차원의 기술인지가 논의의 쟁점으로 보인다. 합성생물학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유전자원에 대한 DSI의 접근 및 이익 공유 대상 여부는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의 공통(cross-cutting) 이슈이다. 그런데 DSI의 개념과 범위를 확정하는 것 역시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첨예한 대립으로 합의가 쉽게 도출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DSI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이후에 유전자원에 대한 DSI의 나고야의정의 적용대상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briefly reviews the contents and achievements of the 2011-2020 Biodiversity Strategic Plan and the Aichi Targets established in 2010, and introduces the trends and issues of the major issues under the Convention to be discussed in 2020.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of the Convention in 2020 is the development of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GBF). At present, only consensus is reached on the extent of the elements that need to be included in the structure and scope of the Framework. The inclusion of digital base sequence information(DSI) access and benefit sharing in the Post-2020 GBF will be a key issue in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the Post-2020 GBF. Since 1998, the COP has adopted a work program and a series of voluntary guidelines to protect and strengthen the rights of traditional knowledge of indigenous peoples and communities(IPLC). Although work programs and voluntary guidelines are not legally binding, they play a large role in protecting and strengthening the rights of traditional knowledge. 11th Meeting of the Ad Hoc Open-ended Working Group on Article 8(j) and Related Provisions discussed a new work program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Post-2020 GBF and a permanent subsidiary body to replace and promote the existing traditional knowledge working group. But there was a failure to agree. The regulation of synthetic biology and the acces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of the Convention to be examined in 2020. COP decided to seek regulatory measures based on a precautionary approach to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organisms, components and products from synthetic biology. However,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synthetic biology, even when the concept and scope of synthetic biology are unclear. Benefit sharing of DSI is a cross-cutting issue of the Convention. It is also premature to determine whether the Nagoya Protocol is applicable to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DSI raised during the discussion of synthetic biology. Curr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concepts and scope of synthetic biology and DSI.

      • KCI등재

        토착민족 및 지역공동체(IPLC)의 전통지식 권리 보호와 강화를 위한 국제적 합의 내용 및 주요 쟁점

        류예리(Ryu, Yeri) 대한국제법학회 2019 國際法學會論叢 Vol.64 No.3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IPLC가 없다는 이유로 IPLC의 전통지식 권리 보호 및 강화에 관한 국제적 논의와 합의에 무관심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전통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인 중국과 이웃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은 이미 국내법을 통하여 전통지식 중에서도 경제적으로 가장 가치가 높은 중의약전통지식을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지식의 권리 보호와 강화에 관한 국제적 합의가 결국에는 우리나라와 중국이 공유하는 전통지식의 이용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전통지식의 국제적 논의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기존의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들어가 COP에서 채택된 전통지식 관련 여러 지침들과 WIPO IGC의 전통지식보호 협상 문안을 분석하여, 현재 전통지식 보호 강화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어떤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쟁점은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COP에서 채택된 전통지식 관련 지침들인 아그웨이구 지침, 티가리와이에리 윤리행동규범, 모쯔쿠스탈 자발적 지침과 류쪼리히리사씩 자발적 지침 그리고 협약 제8(j)조와 관련 조항에서의 용어집의 주요 내용 및 쟁점은 어떤 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Until now, Korea has had to be indifferent to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agreements on the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rights on Traditional Knowledge of IPLC because there is no IPLC in Korea. But the problem is that Korea is neighbors to China,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richest traditional knowledge in the world. China has already protected traditional knowled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hich is the most economically valuable, through domestic law. Therefore, international consensus on the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the rights on traditional knowledge of IPLC may affect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shared by Korea and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national discussion of traditional knowledg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is going to take a step further in the existing research and analyzing the WIPO IGC’s negotiation text for the traditional knowledge that has been adopted at the COP and the WIPO IGC’s negotiation text for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it will look closely at what the issue is. Especially this paper will examine in detail the legal meaning of the main contents and issues Akwé:Kon Guidelines, Tkarihwaié:ri Code of Ethical Conduct, Mo’otz kuxtal voluntary guidelines, Rutzolijirisaxik Voluntary Guidelines.

      • KCI등재

        합성생물학 전수조사,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수립에 대한 국제적 논의 동향 및 국내 대응 방안 연구

        류예리(Ryu, Yeri),구경아(Koo, Kyung Ah)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환경법과 정책 Vol.26 No.-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은 현재 생물다양성협약과 그 부속의정서인 카르타헤나의정서와 나고야의정서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교차영역의제(cross-cutting issues) 중의 하나이다. 국제협약에서 합성생물학이 중요한 주제로 논의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생물다양성협약의 전문과 카르타헤나의정서 제10(6)조에 명시된 사전주의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이다. 사전주의 원칙에 따라 합성생물학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할지라도 그 위험성에 대한 우려의 제기로 합성생물학 규율을 논의할 수 있다. 2021년에 개최될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합성생물학에 대한 제도적 규율의 일환으로, 합성생물학 기술개발에 대한 전수조사, 모니터링 및 평가(horizon scanning, monitoring and assessment) 절차 수립 및 이를 지원할 다분야기술전문가그룹(multidisciplinary technical expert group) 설치에 대한 합의를 앞두고 있다. 이는 제14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합성생물학의 잠재적 긍정적 영향과 잠재적 부정적 영향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검토하기 위해서 가장 최신 기술개발에 대한 광범위하고 정기적인 전수조사, 모니터링 및 평가가 필요하다는데 당사국들이 동의한 결과이다. 한편 국제자연연맹(IUCN)과 같은 국제기구들과 선진국들 또한 합성생물학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연구 및 대응 방안을 서두르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합성유기체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현재의 규제 시스템으로 규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 매우 많은 수의 합성유기체가 만들어질 것이고, 이것이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영국과 독일도 합성유기체는 자연을 기반으로 발생한 생물들과 전혀 다르므로 합성유기체만을 규제하는 새로운 규제제도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처럼 합성생물학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선진국과 국제기구는 대응방안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기초 조사는 물론 기존 유전자변형생물체와 차원이 다른 새로운 모니터링과 평가체계 수립이 필요하다는 인식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우리나라도 합성생물학 적용 생성물이 인간, 환경에 끼칠 잠재적 부작용에 대해 주목할 시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국제협약에서 합성생물학 최신 기술발전에 대한 전수조사,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가 논의되기 시작한 배경 및 과정, 그리고 지금까지 국제적으로 합의된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합성생물학 전수조사,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수립을 두고 제시되고 있는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제도적 측면에서 국내 대응 방안 및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Synthetic biology is one of the cross-cutting issues currently receiving the most attention i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and the two supplementary agreements of CBD, the Cartagena Protocol and Nagoya Protocol. The legal basis for such attention i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specified in the preamble of CBD and Article 10(6) of the Cartagena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cautionary principle, despite in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for the potential risks of synthetic biology, the potential risks currently raised provid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 basis of discussion for regulating synthetic biology. The 15th Conference of the Parties(COP15) to the CBD, which will be held in 2021, is going to 1) set up horizon scanning,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synthetic biology, as a part of institutional discipline in synthetic biology, and 2) establish a multi-disciplinary technical expert group to support it. This is the result of the 14th Conference of Parties(COP14) to the Convention on Biodiversity. Parties in the COP14 agreed on a broad examination and regulation on the potential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most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ynthetic biolog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IUCN), and developed countries are also rushing to study and respond to potential side effects of synthetic biology. Recently, the United States report the limitation of current regulatory systems on regulating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synthetic organisms. Numerous synthetic organisms will be created in the future and will possibly have a huge impact on the environment. Britain and Germany also raise the need to establish a new regulatory regime for only synthetic organisms because synthetic organisms cannot be characterized by any existing organisms. Despite increasing international concerns over the potential side effects of synthetic biology and rushing to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Korea has not yet recognized the need of new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ystem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t is time for our country to pay attention to the potential side effects of synthetic biology-applied products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process behind the start of discussing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synthetic biology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what has been agreed internationally. Then, we look at the main contents that are presen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horizon scanning,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the development of synthetic biology. Finally, based o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present domestic countermeasures and policy tasks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 KCI등재

        FTA 생물다양성 관련 최선노력조항(best efforts clause)의 해석에 관한 연구

        류예리 ( Ryu Yeri ) 한국환경법학회 2018 環境法 硏究 Vol.40 No.2

        최근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체결되는 FTA에서 생물다양성 보호와 관련하여 최선노력조항이 자주 활용되고 있다. 최선노력조항은 추상적이고 모호하여, 생물 다양성 보호에 관한 의지와 능력이 서로 다른 FTA 당사국들 간에 쉽게 합의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막상 합의가 이루어진 뒤에는 통상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즉 FTA에서의 생물다양성 관련 최선노력조항의 활용 형태, 법적 구속력과 법적 의무의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FTA 생물다양성 관련 최선노력조항의 법적 구속력 여부를 획일적으로 판단하기는 쉽지 않지만, 적어도 유형별로 법적 구속력을 판단하는 최소한의 기준은 있어야 향후 관련 분쟁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영미법계 국가들의 계약서에서 자주 활용되는 최선노력조항의 해석을 참조하고, 다른 국제조약에서의 최선노력조항에 관한 해석 사례를 살펴, FTA에서의 생물다양성 관련 최선노력조항을 합리적으로 해석하는데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FTAs concluded between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often use a best efforts clause related to biodiversity. Because of abstract and vague characteristics, a best efforts clause easily enables to reach agreements on protection of biodiversity, however, it could leave grounds for trade disput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legal binding force and scope of obligations of a best efforts clause related to biodiversity in FTAs. Although it is not easy to judge uniformly legal binding force of a best efforts clause related to biodiversity, at least it is needed to present standards judging legal effects as types to prepare for future disputes. For this, the paper describes types of best efforts clauses related to biodiversity in FTAs, and analyzes legal binding force according to types, and then shows legal scope of them.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present rational interpretation of a best efforts clause related to biodiversity agreed in FTAs referring to interpretation of contracts in Anglo-American law countries and international treaties.

      • KCI등재

        중국 WTO 가입의정서에 관한 일고찰

        류예리(Ryu, Yeri)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6 국제경제법연구 Vol.14 No.2

        중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여러 유형의 수출제한조치를 채택한다. 수출제한조치 가운데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광물 자원과 주요 에너지원인 원유와 천연가스에 대한 수출제한조치로 에너지 안보와 국제무역질서의 왜곡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광물 자원을 포함한 지하자원은 다양한 산업에서 주요 원료로 사용됨에 반하여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일부 지역에 집중하여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과 같은 국가들이 수출제한조치를 취하는 경우 세계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되어 통상 분쟁의 소지가 될 우려가 크다. 중국은 2001년 WTO에 가입하면서 가입의정서를 체결하였다. 중국의 가입의정서는 총 3개의 파트와 9개의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가입의정서 제1.2항과 마라케쉬협정 제12.1조에 따르면, 이들 내용은 모두 WTO 협정의 불가분의 일부로서 중국은 가입의정서와 작업반 보고서에 명시된 WTO 추가적 합의사항을 이행하고 준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중국이 가입의정서에서 수출제한과 관련하여 어떠한 WTO 추가적인 약속을 하였으며, 특히 수출제한 관련 WTO 분쟁 사건에 대한 WTO 재판부의 판결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수출제한조치와 관련하여 중국의 가입의정서와 작업반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원자재 사건과 중국-희토류 사건에서 실체적 쟁점이었던 수출세와 수출수량제한조치에 대한 가입의정서상의 약속이 WTO규범과 차이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정부가 중국-원자재 사건 및 중국-희토류 사건에서 패소한 이후 주요 원자재 및 자원품목에 대해 취하고 있는 중국의 대체조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중국 정부 조치의 강제성 유무를 떠나서 수출을 제한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이고, 그 결과가 사실상 수출제한 효과를 발생시켰을 경우에는 GATT 제11조 제1항의 위반일 수 있는 만큼 수출제한조치에 상응하는 대체조치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Many countries including China have taken kinds of export restrictions for various purposes. Especially export restrictions on natural resources and raw materials can have an effect on energy security and distort international trade order. Natural resources are now increasingly used as critical industrial materials because of limited reserves and areas. Therefore, when mineral rich countries such as China take export restrictions, there could be a high possibility of trade disputes. China adopted the WTO accession protocol when she entered into the WTO in 2001.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consists of 3 parts of main text, 9 annexes. According to Paragraph 1.2 of the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and article 12.1 of the WTO establishment Agreement,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and working party report are an integral part of WTO agreement. It means that China should perform and observe WTO plus obligations of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and working party report.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analyze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and working party report regarding commitments of export restrictions and related WTO cases and their rulings. This article, first of all, analyzes export restrictions of discipline of WTO. Then, it explains China’s WTO accession protocol and working party report regarding commitments of export restrictions. And then it describes substantive issues of related WTO cases such as China-raw materials case and China-rare earths case and their WTO’s rulings. And finally this article describes China’s alternative measures of export restrictions, and its inconsistency with WTO.

      • KCI등재

        합성생물학 적용 LMO에 부합하는 새로운 위해성평가 및 위해성관리 체계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류예리 ( Ryu Yeri ),박문숙 ( Park Moonsook )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2

        현대생명공학기술의 새로운 차원으로 알려진 합성생물학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합성생물학 적용 LMO에 부합하는 새로운 위해성평가 및 위해성관리 체계도입을 두고 국제적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합성생물학 적용 LMO는 기존 LMO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환경에 위해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커서 기존의 LMO 위해성평가 및 관리를 합성생물학 적용 LMO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식용 GMO 수입 1위국으로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는 반면 합성생물학을 이용하는 바이오산업을 육성해야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합성생물학 적용 LMO에 부합하는 새로운 위해성평가 및 관리 체계 도입의 필요성 문제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성생물학이 무엇이며, 합성생물학을 규율하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어떤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국내에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고는 먼저 생물다양성협약에서 논의되고 있는 합성생물학의 개념과 범위부터 간략히 살펴본 후 합성생물학 적용 LMO에 대한 위해성평가와 위해성관리에 관한 국제적 논의 동향 및 주요 쟁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고는 카르타헤나의정서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현행 LMO법상의 위해성평가 및 위해성관리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합성생물학 적용 LMO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는 국제사회에서의 합성생물학 규율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을 점검해보고, 궁극적으로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적 이용을 위해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강조하고자 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ynthetic biology, known as new dimension of modern biotechnology, international discussions are actively underway on the necessity of new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corresponding to the synthetic biology-applied LMO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ynthetic biology-applied LMOs are incomparably more likely to cause environmental risks than existing LMOs, and it has been argu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application of existing LMO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to synthetic biology-applied LMO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need for a new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synthetic biology-applied LMOs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Korea. This is because Korea needs to secure food safety as an import country of LMOs, while addressing the task of fostering bio-industry based on synthetic biology. Nevertheless, what synthetic biology is, and what discussions are being held internationally to regulate synthetic biology, are not even well known in Korea. Therefore,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cepts and scope of synthetic biology discussed in the CBD first, and then looks at the trends and main issues of international discussion on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synthetic biology applied-LMOs. Next, this article covers the contents of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under the current LMO Act, which faithfully reflects the Cartagena Protocol, and examines whether it can be applied to the synthetic biology-applied LMOs. Based on that, this article checks the position of Kor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suggests response strategies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