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 대상 전략교양 교과 콘텐츠의 팀티칭 운영 효과

        류숙열(Sook-Ryeol Rhyou),박혜성(Hye-S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새로운 대학생활과 학습 환경의 적응 및 교우 · 교수자와의 관계 형성에 부담을 가져야 하는 대학 신입생들을 돕기 위하여 많은 대학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 등을 돕기 위한 하나의 방안인 지역 대학 전략교양 교과(‘의사소통과 대인관계’)의 팀티칭 운영(지도 교수 별 팀티칭 시행, 표준 교재 중심 지도 vs. 자율 멘토링 지도)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신입생 대상 수강인원 31명과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대학 전략교양 교과개발팀이 제공한 ‘의사소통능력 평가지’ 및 ‘교과 만족도, 대학 적응감, 친밀도’ 그리고 관련 의견에 대한 간단한 설문을 제작 ·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 분석은 대응 및 독립 표본 T-검정과 평정척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이 전략교양 교과의 수업목표측면(의사소통능력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지도 중심 운영 팀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둘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운영에 따라 전략 교양 교과를 이수한 수강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생활 적응 측면(대학 적응감, 친밀감)에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중심 운영 팀’이 각 각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나타내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교양 교과의 이러한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학습자(수강생)들과 교수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반적인 교과의 만족도와 관련 의견이나 인식(강 · 약점, 개선 의견)그리고 기타 변화 상황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중심 팀티칭의 교수 형태와 표준 콘텐츠 운영 방안의 교육적 함의점을 고찰하고 제안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 lot of colleges have made continued efforts to help freshmen adapt themselves to a new school life and environment and build a decent relationship with faculty and othe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team teaching(team teaching by academic advisor, standard textbook-centered guidance vs. autonomous mentoring) on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as a way to help freshmen adapt themselves to a school life. For research subjects, 31 enrolled freshmen and 5 professors from a college in Chungbuk were selected. In terms of research tools, ‘Communication Competence Assessment Sheet’ provided by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Team and a simple questionnaire on ‘curriculum satisfaction, adaptation to school and intimacy’ were applied.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rating scale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team teaching on the goal of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improvemen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a standard curriculum(textbook)-centered team. Second, when adaptation to a school life(school adaptation, intimacy) perceived by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according to two different types of team teaching curriculum was analyzed,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at standard textbook-centered guidance team. Third, this study has examined other changes, satisfaction, opinions and perception strength, weakness, opinions for improvement) on the curriculum perceived by the students(learners) and faculty regarding about team teaching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reviewed. And a suggestion and limi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세종 · 정조 영재성의 실증적 고찰 및 비교

        최선일(Sun Ill Choi),이은영(Eun Young Lee),류숙열(Sook Ryeol Rhyo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뛰어난 군주이자 영재로 보편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세종대왕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한 실증적 자료들을 분석하여 영재로써의 세종과 정조를 비교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현대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함이다. 연구를 위하여 조선왕조실록, 홍재전서, 악학궤범, 보한재집, 훈민정음 등 1차 사료를 직접 번역한 번역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되, 세종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자료를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Renzulli(1978)와 Gardner(1999)의 영재성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종과 정조 모두 일반 지적 능력, 과제집착력, 언어 지능, 음악 지능, 창의성, 대인 관계 지능 등에서 우수한 영재성을 나타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비교 · 고찰해 볼 때, 언어 지능에서 세종은 언어학적으로, 정조는 언어 활용과 창작에서 우수하였고, 음악 지능에서 세종은 음악 창작에서, 정조는 음악 시스템 구축에서 우수한 영재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세종이 우수한 발명을 위한 창의성을 소유하고 있었다면, 정조는 빼어난 신체 운동지능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사회적 · 문화적 ·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한 영재교육의 다각적인 방향성 모색을 위하여 세종과 정조의 양육방식의 차이, 민족에 따른 가정에서의 양육방식의 차이, 세종의 창의성 및 정조의 회복탄력성, 평범한 환경에서 살았던 영재들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 data in order to compare the natural giftednes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both of whom have been universally recognized as respected kings and figures of natural intelligence. Additional objectives considered the implications and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for gifted education today. The primary data for this research was collected through ancient literary works written during the dynastie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HongjaeJeonSeo, the AkHakGweBeom, the BoHanJaeJip and the HunMinJeongEum. From these works, the focus was narrowed down to specific data that directly mentioned the natural giftednes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The aforemention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definition of giftedness inspired by a combination of definitions from Renzulli (1978) and Gardner(1999).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both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demonstrated outstanding giftedness in general intellectual ability, task commitment,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King Sejong excelled linguistically, while King Jeongjo demonstrated specific excellence in the use and creation of language. In the area of musical intelligence, King Sejong excelled specifically in musical creation, while King Jeongjo excelled in the construction of musical systems. The biggest difference, however, between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is that King Sejong demonstrated brilliant creativity as an inventor, while King Jeongjo demonstrated superb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in order to seek a multilateral directional approach to gifted education considering our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specificity, as in the parenting style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the difference in parenting styles in different families based on ethnicity, King Sejong’s creativity, King Jeongjo’s resilience, and the gifted people that lived in a normal environment.

      • KCI등재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및 교직적응탄력성간의 구조적 관계

        추헌택,류숙열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관련 변인들 간의 이론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동기유형에 따른 관련 변인의 심리적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 158명의 자료를 통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이론적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을 적용하여 상황적 동기유형에 대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교직적응탄력성 변인들 간에는 정적 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상황적 동기의 한 유형인 자율동기는 기본심리욕구 및 교직적응탄력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인반면, 타율동기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선행연구들로부터 설정된 상황적 동기의 부분매개모형은 경험적 자료들로부터 양호한 적합도 수준을 보여 이론적 모형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자율동기와 타율동기의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 모두 기본심리욕구와 교직적응탄력성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로부터 특수교사가 어떠한 동기유형을 지니는가에 따라 교직적응탄력성에 대한 상반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특수교사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 때 자율동기가 높아지고 타율동기가 낮아지는 결과로부터 자율동기 형성을 위한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에 대한 학교차원의 전략적 접근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theoretical mod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ituational motivation(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daptive resilience. For this purpose, we hypothesized a partial mediation model predicting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ve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effect o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via situational motivation(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Method: 158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and bootstrapping to test moderating effect significance. Results: First, two components of situational motivation,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were correlat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utonomous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needs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hereas controlled motiv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factors. Second, both types of situational motivation type were partially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ive resilience.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fit by empirical data.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 teachers’ situational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ive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autonomous motivation and to reduce controlled motivation in schoo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