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포털들의 응답시간 비교 및 분류에 관한 연구

        류귀열,Ryu, Gui-Yeol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3

        연구의 목적은 3개 모바일 포털사이트의 응답시간을 분포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Naver, Daum, Nate의 모바일 포털 사이트 접속페이지이며, 실험기간은 모바일 포털들이 활성화되기 시작되던 즈음인 2012년 4월 18일에서 2018년 4월 17일까지 6년간이다. 그리고 실험횟수는 4,060회이다. 분포비교를 위해 히스토그램과 백분율을 이용하였으며 이론적인 비교를 위해 모수적 방법인 카이스케어 검정과 비모수적 방법인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실시하였다. 네가지 방법 모두 Naver가 가장 빨랐고, 다음이 Nate, Daum이 가장 느렸다. 평균 응답시간 면에서도 같은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선 포털의 결과와 정반대로서, Naver는 매체 특성에 맞게 유선에서는 많은 콘텐츠를 무선에서는 응답시간을 높이는 전략이고, Daum은 무선에서 응답시간을 희생하면서 콘텐츠를 중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류에서는 응답시간에 따라 "Comfortable"과 "Tolerable", "Feedback", "Leave"로 나누었으며, 이용자들이 떠날 수 있다는 7초 이상인 "Leave"의 비율이 Naver는 1.18%, Daum이 11.70%, Nate가 1.5%로 Daum이 압도적으로 높아서 Daum의 응답시간은 개선이 매우 절실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분류 결과에 의하면 3개 모바일 포털들이 응답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본 논문의 결과가 모바일 포털들의 응답시간을 줄이는 기술경쟁을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ponse time of three mobile portal sites in Korea using distributions.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mobile portal site of Naver, Daum, and Nate. The experiment period is six years from April 18, 2012 when mobile portals started to activate, to April 17, 2018. The number of experiments is 4,060. Histograms and percentages were used for the distribution comparisons. For the theoretical comparison, Chi-Square test is adopted as a parametric method, and Kolmogorov-Smirnov test is as a nonparametric method. Naver was the fastest of all four methods, the next was Nate, the next was the slowest.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in terms of average response speed. These results are in contradiction to the results of the wired portal. Naver is a strategy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Daum is a strategy to increase the contents at the cost of response speed. As for classification, we divide the response time into "Comfortable", "Tolerable", "Feedback", "Leave" according to response time. The ratio of more than 7 seconds that users leave called as "Leave" is 1.18% for Naver, 11.70% for Daum, and 1.5% for Nate. As Daum is overwhelmingly high, the response time is very much in need of improvement. In addition, we show the response time of three mobile portals needs to be reduced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facilitate technology competition to increase the response speed of mobile portals.

      • KCI등재

        IPTV가입자와 디지털 CATV가입자의 특성비교에 관한 연구

        류귀열,이은준,이현우,Ryu, Gui-Yeol,Rhee, Eun-Jun,Lee, Hyun-Wo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가입자와 디지털 CATV (Community antenna television)가입자의 행동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정된 잔차를 이용해 상대적 우위를 분석했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서 10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갱서베이를 실시하였다. IPTV는 디지털 CATV에 비해 양방향 서비스에 맞는 콘텐츠를 가지고 있으며 요금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나 채널부족에 대한 불만이 높았다. 디지털 CATV는 IPTV에 비해 수동적으로 인지하고 가입하였으며, 요금에서도 IPTV에 비해 적게 내고 있지만 불만이 높았다. 주 이용 콘텐츠도 "스포츠"등으로 단방향 콘텐츠이므로 양방향 콘텐츠 활성화가 요구된다. IPTV는 언제나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로 인식하고 있으나, 디지털 CATV는 CATV의 연장서비스로 인식하고 있어 양방향서비스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비슷한 서비스이지만 인식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The object of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ubscribers and digital CATV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ubscribers. We used the adjusted residuals. We did gang survey for 100 subscribers in Seoul, Kyeonggi or Incheon regions. Compared to digital CATV, IPTV seems to have appropriate contents for interactive services and high satisfaction level for cost, but high dissatisfaction level for channels. Digital CATV subscribers would know and subscribe passively, compared to IPTV subscribers. IPTV subscribers are more satisfied than digital CATV subscribers even though IPTV is higher cost. Main content of digital CATV is sports, which is not interactive contents. People think IPTV is an innovative service which let subscribers see wanted contents always, but digital CATV is an extension of CATV. So digital CATV cannot use advantages of interactive services. Even though two services are almost same, they are very different in recognition.

      • KCI등재

        포털을 이용한 와이브로와 유선인터넷 응답속도 비교에 관한 연구

        류귀열,Ryu, Gui-Yeol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3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이용자 관점에서 유선인터넷 응답속도와 와이브로 응답속도의 비교에 관한 연구로서, 6개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수행되었다. 동일한 장소에서 와이브로 신호세기의 모든 등급을 수신하기 어려워 수신가능한 1~3등급만 비교하였다. 실험 시기는 2010년 11월 8일에서 2011년 5월 18일이며 유선인터넷은 446회 와이브로는 420회 측정하였다. 유선인터넷 응답속도는 와이브로 1~3등급의 응답속도에 유의하게 빨랐으나 와이브로 1~3등급 간의 응답속도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유선인터넷은 평균적으로 와이브로 1등급에 비해 5.05배, 와이브로 2등급에 비해 4.20배, 와이브로 3등급에 비해 4.14배 빨랐다. 이 후 와이브로 4~5등급의 응답속도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여 응답속도를 높이는 방법 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object of study is to compare the response times between WiBro and wired internet in terms of users. We conducted experiments using six portal sites such as Naver, Daum, Google, Paran, Nate, and Yahoo. Because we could not receive all signal levels of WiBro at the same palace, we compared WiBro levels 1~3 and wired internet. We verified wired internet is significantly the fastest among wired internet and than WiBro levels 1~3. We could not find which level is the fastest among WiBro levels 1~3. On average, wired internet is faster than WiBro level 1, 2 and 3 about 5.05, 4.20, and 4.14 time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comparing WiBro levels 4~5 and wired internet, more researches on accelerating the response times are needed.

      • KCI등재

        인터넷 설문조사의 검증에 관한 사례연구

        류귀열,문영수,Ryu, Gui-Yeol,Moon, Young-So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1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설문조사에서 자료의 정확성을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설문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해 검정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NDSL 원문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검증에 이용된 변수는 나이, 소속기관의 인구통계적 변수와 이용빈도, 이용기간의 행동 변수이다 1차 검정결과 불일치 비율은 나이가 7.5%, 소속기관 15%, 이용빈도 92%, 이용기간 55%로 높게 나타났다. 상세검정을 통해 나이에 대한 불일치 비율을 비관적으로 3%, 낙관적으로 1%로, 소속기관에 대한 불일치 비율을 비관적으로 4.5%, 낙관적으로 2%로 추정할 수 있었다. 불일치비율을 1/4 이하로 대폭 축소시켰다. 이용빈도와 이용기간은 측정오차와 응답자의 기억력 문제, 인터넷 이용행태 등으로 불일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적 설문조사에도 간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설문조사가 믿을만한 자료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object of study is to verify the accuracy of internet survey by comparing database data and internet survey.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on August, 2012. Respondents were subscribers of KISTI NDSL. Variables were age, organization as demographic variables, number of use, and period of use as attitude variables. Mismatch rates of age, organization, number of use, and period, are 7.5%, 5%, 92%, and 55% respectively. We could estimate the mismatch rate for age as 3% as a pessimistic point of view, and 1% as an optimistic point of view by detail verification. The mismatch rates of organization are 4.5% as a pessimistic point of view, and 2% as an optimistic point of view. The mismatch rates for the frequency of use, the period of use are very high, because measurement error, problems in memory, and internet attitude, etc.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data of internet survey could be reliable. Many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for verification of internet survey.

      • KCI등재

        초고속 무선인터넷에서 폰형과 모뎀형 단말기의 이용장소에 따르는 선호 콘텐츠에 관한 연구

        류귀열,Ryu, Gui-Yeol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2 No.4

        The object of study is what kinds of contents are preferable depending on regions and terminal types for high speed mobile internet. We consider 10 contents, 9 region2, and 2 terminal types. The methods are the adjusted residuals, the corresponding analysis, and the multiple corresponding analysis. The results are different, which comes from different mathematical models. 50% of results are same between the corresponding analysis and the multiple corresponding analysis. 26.3% are same between the adjusted residuals and the corresponding analysis. 21.1% are same between the adjusted residuals and the multiple corresponding analysis. We recommend the adjusted residuals because it can test hypothesis for preferring contents. The content which is not chosen by three methods is business. 초고속 무선인터넷은 무선 인터넷의 전송속도가 약 1Mbps이상을 말하며, HSDPA, WiBro 등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단말기를 폰형과 모뎀형으로 정의하고, 단말기 형태와 이용하는 장소에 따라 어떤 콘텐츠들을 선호하는 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범주형 자료분석에서 사용하는 수정된 잔차모형과 대응분석, 중대응분석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모형에 의한 결과가 모두 달랐으며 대응분석과 중대응분석의 일치도는 50%, 수정된 잔차와 대응분석의 일치도는 26.3%, 수정된 잔차와 중대응분석의 일치도는 21.1%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수리적 모형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으며, 본 주제에서 추천하는 방법은 수정된 잔차모형이다. 수정된 잔차모형은 선호하는 콘텐츠 뿐 만 아니라 비선호하는 콘텐츠도 알 수 있으며 검정도 가능하다. 분석 대상 10개의 콘텐츠 중 세 방법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콘텐츠는 업무였으며, 나머지 콘텐츠는 적어도 한번은 선택되었다.

      • KCI등재

        주요 포털사이트의 응답패킷분포에 관한 연구

        류귀열,Ryu, Gui-Yeol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3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4 No.3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주요 3개 포털사이트의 응답패킷 분포를 연구하는 것이다. 대상은 Naver, Daum, Nate 등 포털사이트의 대표페이지이며, 실험기간은 2010년 5월 19일에서 2012년 11월 7일까지이며, 실험횟수는 4,642회 실시하였다. 분포 형태는 응답패킷의 양이 많은 Naver, Nate는 양봉분포를 이루고 있으며, Daum은 오른쪽 꼬리가 긴 분포를 이루고 있다. 분포가 동일한가에 대한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 이표본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통하여 3개 포털의 분포가 유의수준 1%하에서 다르다는 사실을 밝혔다. 상대도수와 백분위 수의 비교를 통해 응답패킷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응답패킷의 분포가 Naver가 가장 큰 값을 가졌으며, 다음은 Nate이었으며, Daum은 가장 작은 값을 가졌다.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속도를 높이는 것과 병행하여 페이지를 가볍게 만들어야 한다. 본 논문은 포털들이 페이지를 가볍게 만들게 하는 경쟁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 of study is to verify the distributions of response packets of 3 portal sites such as Naver, Daum, Nate. The period of experiments is from May 19th 2010 to November 7th 2012 and the number of experiments is 4,642. The distributions of Naver, Nate are biomodals. The distribution of Daum has long right tails. 3 distributions are different under 1% significance level using chi-square test and two sample Kolmogorov-Smirnov test. From proportions and percentiles, Naver has a distribution with the largest values. Nate is the second place, and Daum has a distribution with the smallest values. We must make portal pages light to increase response speed including other technologies. We expect our results to activate competition among portal sites.

      • KCI등재

        RFM에서 등급부여 방법에 관한 연구

        류귀열,문영수,Ryu, Gui-Yeol,Moon, Young-So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3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4 No.2

        본 논문은 RFM (recency frequency monetary) 모델에서 등급을 매기는 방법을 정규분포를 이용하여 6등급모델을 제안하고 NDSL (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s)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5등급모델과 10등급모델을 비교하였다. 제안 모델이 5등급모델과 10등급모델에 비해 고객그룹들을 쉽게 세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제안된 모델은 대칭적으로 등급을 부여하고, 고객분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객특성을 잘 반영함으로써 경계값들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등급 값을 보면 쉽게 어느 위치에 속하고 있는 지 알 수 있으며, 고객세분화 후 고객의 RFM값들의 확인으로 고객의 특성을 쉽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군집분석 등의 통계적 등급부여 방법들과 비교연구와 가중치 부여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object of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grouping R, F, and M in RFM model. Our model uses 6 levels using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First level is upper 2.5% and second level next 13.5%, third level next 34%, fourth level next 34%, fifth level next 13.5%, sixth level next 2.5%. Values are symmetric and limits are clear. We compare proposed model with traditional 5 level model and 10 level model using NDSL data of KISTI. Proposed model divides most clearly the distribution of the RFM function for all cases of weights, because it uses the distribution of customers. Comparison studies of our model with grouping using cluster analysis and studies on weights of RFM model are needed.

      • KCI등재

        네이버 무선포털의 패킷량 분석에 관한 연구

        류귀열,Ryu, Gui-Yeol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3

        네이버 무선포털 패킷량을 분석하기 위해 2012년 9월 3일부터 2015년 10월 26일까지 조사하였으며, 한번 접속 시 6회 반복 측정하여 2,004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자기회귀오차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패킷량이며 독립변수는 반복접속 횟수, 접속날짜, 접속시간, 접속요일, 접속월이다. 모형선택 기준은 AIC 기준과 $R^2$기준으로 오차가 AR(36)을 따르는 모형이 선택되었다. 선택 모형으로부터 발견한 점들은 첫째로 날짜가 지남에 따라 평균 0.0752Kbyte 증가하고 있고, 둘째로 첫 번째 접속 시 다운로드되는 패킷량이 평균 156.965Kbye로 재접속 시 다운로드되는 패킷량보다 평균 134.995Kbyte 많으며, 재접속 시 재사용률은 평균 82.76%라고 추정되었다. 셋째로, 시간대별 차이는 없었고, 넷째로 요일별 차이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금요일이 가장 패킷량이 많았으며, 다음은 목요일이었으며, 수요일과 토요일은 비슷하였다. 다음으로 일요일이었으며 월요일이 가장 적었다. 다섯째로 월별 패턴에서는 5월과 8월이 각각 평균 13.98Kbyte, 12.48Kbyte적었으며 그 외 달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2$에 의하면 우리의 모형은 실제 데이터 변동의 81.34%를 설명하고 있다. 연구의 한계는 패킷량에 영향을 많이 주는 데이터를 분석하지 못한 점이고 본 연구의 중요성으로 볼 때 다른 무선 포털을 분석 등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model of packet amount of Naver mobile portal. We collected 2004 cases by measuring the sixth per access from September, 2012 to October, 2015. We use regression model with autoregressive errors, in which predictors incorporated into the model were replication, date, time, week, month. It has been found the model which errors follow AR(36), based on AIC and adjusted $R^2$. We found some characteristics from our model as follows. In addition to model building, we also have discussed some meaningful features yielded from the selected model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is topic, continuous researches are needed.

      • KCI등재

        확률분포를 이용한 포털들의 응답시간 품질에 관한 연구

        류귀열 ( Gui Yeol Ryu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4 품질경영학회지 Vol.42 No.1

        포털의 응답품질 평가에는 응답시간, 콘텐츠, 디자인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으나, 응답시간이외의 요인들은 주관적이며 계량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응답시간은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는 가장 솔직한 방법이다. 또한 포털 이용자들은 요청한 서비스가 얼마나 빨리 제공되는가에 대해서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응답시간은 응답품질을 평가하는 객관적이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응답시간은 서비스의 패킷량과 서버의 성능, 페이지의 성능, 네트워크트래픽, 서버의 위치, 이용자 컴퓨팅 성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은 3년 4개월에 걸쳐 조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상위 3개 포털들의 응답시간을 이용하여 응답품질을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평균비교를 위해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포비교를 위해 모수적 방법으로는 카이스퀘어 검정, 비모수적 방법으로는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 가지 검정 결과 모두 유의수준 1% 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응답시간은 Daum이 가장 빨랐으며, 다음으로 Naver, 마지막으로 Nate 순이었다. 평균응답시간은 Daum이 2.9초, Naver가 3.74초, Nate가 3.94초였다. 이 결과는 웹서비스가 1초 느려지면 매출은 3% 떨어진다는 마이크로소프트(Bing)의 통계를 기준으로 보면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패킷량 효과를 제외하기 위한 비교를 위하여 1Kbyte당 응답시간을 분석하였다. 1Kbyte당 응답시간에 대해서는 세 가지 검정 결과 유의수준 1% 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비교에서 Naver가 Daum과 Nate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났지만 Daum과 Nate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1Kbyte당 평균 응답시간은 Naver가 0.0185초, Daum이 0.0233초, Nate가 0.0294초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응답시간은 Daum이 가장 빨랐지만 1Kbyte당 응답시간은 Naver가 가장 빨랐다. 이는 응답시간에 응답패킷이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응답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포털들의 홈페이지의 패킷을 줄이려는 노력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말하고 있다. 이 문제는 모바일 포털에서는 더욱더 중요한 문제인데, 그 이유는 모바일 서비스는 주로 패킷량에 비례하여 과금을 하는 종량제를 채택하고 있고, 모바일 네트워크가 협대역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한계는 동일한 장소에서 실험한 결과이기 때문에, 향 후 좀 더 다양한 장소에서 실험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응답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추가 연구도 필요하다. 그 외 모바일 포털들에 대한 응답품질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stimate response quality of three major portal in Korea based on the response time. In addition to response time, the response time by 1Kbyte will be analysed.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010 to November 2013 using Firebug. For comparing averages, ANOVA will be used. For comparing distributions, Chisquare test and Kolmogov-Smirnov test will be used for parametric and non parametric test respectively. Results: For response quality based on response time, Daum gets the first place, Naver the second place, and Nate the third place. But the order of the response time per 1Kbyte is different. The order is Naver, Daum and Nate. Conclusion: The response quality may be estimated using various factors. Response tim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aum provides the shortest response time. We could say Daum provides the best response quality. But Naver provides the shortest response time per 1Kbyte. From these results, we know reducing packets is very important thing in respons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