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련추출액의 항균활성과 항균성물질의 동정

        도은수 한국자원식물학회 199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2 No.4

        황련(Coptis japonica)의 추출액을 공시하여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dematium, C. truncatum,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과 Alternaria porri에 대해 항균 활성 검정, 몇가지 작물에 대한 병해 방제 효과를 조사하고 항균 활성 물질을 동정하였다. 황련 추출액은 P. capsici, F. oxysporum, C. dematium, B. cinerea, B. dothidea 및 A. porri에 대해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Methanol을 용매로 추출하여 분리된 물질과 berberine-Cl 표준품의 항균활성을 비교할 때, 황련추출액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은 표준품 berberine-Cl과 비슷하게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련 추출액은 고추 역병(83.3%), 참깨 모잘록병 (92.0%) 및 파 검은무늬병(87.5%)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고추 잎과 과실, 파 잎 및 딸기 과실에는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농도에서는 고추 및 참깨의 발아를 억제하거나 유근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anol로 추출한 황련 추출액으로부터 황색 분말 4.24g/100g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물질을 HPLC로 분석한 결과 항균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berberine-Cl로 동정되었다. Crude extract of Coptis japonica root-stem was evaluated fo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dematium, Colletotrichum truncatum,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 and Alternaria porri, and antifungal active compound from the extract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usefulness of the extract for some plants disease control was investigated. Crude extract of C. japonica root-stem exhibit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 capsici, F. oxysporum, C. dematium, B. cinerea, B. dothidea and A. porri. Antifungal activity of the substance isolated from C. japonica root-stem was similar to a standard chemical berberine-Cl. Red-pepper fruit rot, sesame stem rot and welsh-onion alternaria leaf spot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the crude extract of C. japonica root-stem. Phytotoxicity was not observed in the red-pepper and welsh-onion leaves and red-pepper and strawberry fruits with exogenous foliage application of the crude extract. Seeds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of red-pepper and sesame were inhibited by the crude extract of C. japonica root-stem. 4.24g of yellowish compound per 100g of C. japonica root-stem was obtained. The compound was identified as berberine-Cl by HPLC.

      • KCI등재

        인삼 탄저병에 대한 항균성식물의 탐색과 이용

        도은수,길기정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4 No.3

        16과 20종의 공시 식물체 중 양파(Allium cepa), 대황(Rheum undulatum) 및 황련(Coptis japonica) 등의 추출액이 인삼 탄저병균(C. gloeosporioides)에 대해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양파와 대황은 배지내의 추출액 농도가 1.0% 이상일 때 균사 생장억제 효과가 인정 되었고, 황련의 추출액은 배지 내의 농도가 0.5% 이상일 때에도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50% 이상으로 나타나 공시된 식물체 추출액 중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파의 추출액은 10.0% 희석농도에서는 60% 이상의 발아 억제 효과가 있었고, 대황의 추출액은 2.0% 그리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 농도에서도 포자 발아억제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나 황련추출액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양파와 대황의 추출액은 2.0%의 희석농도에서는 어느 정도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1.0% 이하의 희석 농도에서는 효과가 많이 떨어졌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농도에서도 50%이상의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3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대조약제인 Mancozebwp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경향이 었다. 세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10.0%의 희석농도에서는 인삼 잎의 엽육이나 엽맥이 갈변하는 등의 약해의 징후가 나타났고, 황련의 추출액은 2.0%의 희석 농도에서도 약간의 약해 징후가 관찰되었다. Crude extracts from 20 species of plants 16 familie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three plant extracts of them were applied to Ginse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for Ginseng anthracnose control. Among the crude extracts from 20 species being tested, it of A. cepa, R. undulatum and C. japonica showed considerably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of C. gloeosporioides.. Ginseng anthranose was controlled at 2% concentration of A. cepa and R. undulatum and 1% C. japonica extract, but control value of three plant extracts was inferior to Mancozeb WP. Phytotoxic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leaves of ginseng with exogenous foliage application of 10% concentration of three plant extracts and 2% concentration C. japonica extract but not observed at 1% concentration.

      • KCI등재

        산마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세포독성

        도은수,장준복,길기정,최명석,양재경,윤충원,정선미,정윤혜,이건희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llium victorialis extra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A. victorialis extract was 2.63 mg/g, and that of fermented A. victorialis extract was 1.65 mg/g which decreased a little by fermentation.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A. victorialis extract was 57.77 mg/g, and that of fermented A. victorialis extract was 62.27 mg/g, and this could increase a little from fermentation.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A. victorialis extract was lower than vitamin C(97.71%), but before fermentation it was 82.29% and after fermentation it became 82.40%.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 victorialis extract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showed lower numerical value than that of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t pH 2.5 but that of A. victorialis extract expressed higher than that of BHT.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showed relatively low level, 15%. Nitrite production increased by A. victorialis extract but was inhibited after fermentation. Methyl diamphetamine (MDA) content was inhibited with increased concentration of A. victorialis extract compared with H2O2 treatment bu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refor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LPO) was inhibited by A. victorialis extract. Cell viability of fibroblast cell was tend to slightly decrease with increased concentration of A. victorialis extract, but not different with control. 산마늘 잎 에탄올추출물을 Steptococcus thermophilu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항산화활성 및 세포독성을 검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전에는 2.63 mg/g, 발효 후에는 1.65 mg/g이었으며 발효 후 함량이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전에는 57.77 mg/g, 발효 후에는 62.27 mg/g으로 발효 후에 증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발효 전에는 82.29%, 발효 후에는 81.40%로 vitamin C (97.71%) 보다 낮았으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아질산염소거능은 발효전 후 추출물 모두 pH 2.5에서는 BHT보다는 낮지만 활성이 우수하였고, pH 4.2에서는 발효하지 않았을 때 BHT보다 더 좋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15% 정도로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NO 생성능은 발효 전에 오히려 더 많은 NO를 생성하였고 발효 후에는 생성이 억제되었다. 산마늘 추출물이 LP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H2O2 처리군에 비하여 발효 여부와 관련 없이 산마늘 추출물처리에 따라 농도가 증가할수록 MDA 함량이 감소하여 LP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산마늘 추출물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 몇가지 약용식물 추출액에 의한 참깨 시들음병의 방제

        도은수 中部大學校 農業生命資源科學硏究所 1998 農業生命資源科學硏究論文集 Vol.6 No.-

        3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을 공시하여 Fusarium oxysporum에 대해 항균 활성 검정, 참깨에 대한 병해 방제 효과 및 약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japonica P.amurense 추출액은 배지내의 희석농도가 1%일 때 균사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0.2%의 희석농도에서도 50% 이상의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이하의 희석농도에서는 억제효과가 낮았다. A.asphodeloides 추출액은 1%의 희석농도에서 균사생장을 약간 억제하였다. 2. C.japonica 추출액은 1%의 희석농도로 처리하여도 90% 이상의 Fusarium oxysporum 분생포자의 발아 억제효과가 있었으나, A.asphodeloides와 P.amurense 추출액 처리에 의한 발아 억제효과는 매우 낮았다. 반면에 3가지 추출액의 저농도처리에서도 후막포자 발아가 억제되었다. 3. A.asphodeloides와 C.japonica 추출액의 경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항균력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P.amurense 추출액은 저장기간이 길어져도 항균력에는 차이가 없었다. 4. Methanol에 의한 추출액은 1%의 희석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A.asphodeloides 추출액은 87.9%, C.japonica 및 P.amurense 추출액은 각각 97.6% 및 92.0%의 발병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C.japonica 추출액은 저농도에서도 방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5. 유묘에 대해서 수경재배법으로 검정했을 때에는 어느 정도의 약해가 유발되나, pot시험으로 토양에 처리 할 때는 약해가 없거나 아주 경미하였다. 또한 참깨 종자에 추출액을 처리하였을 경우 A.asphodeloides와 C.japonica 추출액의 100%액 처리에 의해 발아가 상당히 억제되었으나, P.amurense 추출액은 어느 희석농도에서도 발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세가지 추출액 모두 어느 희석농도에서나 유근의 신장을 억제시켰으며, 특히 C.japonica 추출액 처리시 유근의 신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s of Anernarrhena asphodeloides, Coptis japonica and Phellodendron amurense were tested against Fusarium oxysporum, and the control effect to sesame stem-rot and phytotoxity to sesam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Mycelial growth of F.oxysporum was inhibited by methanol extracts of C. japonica and P. amurense strongly but it of A. asphodeloides weekly. Conidial germination of F.oxysporum was inhibited above 90% by 1% concentration application of water extract of C.japonica, but wes very weekly inhibited by the extracts of A.asphodeloides and P.amurense, but germination of chlamydospores was effectively inhibited at the low concentration of 3 medicinal plant extracts. Antifungal activity of 3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F.oxysporum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prolonged storage period. Sesame stem-rot was effectively controled by the methanol extracts of 3 medicinal plants. Of these, the extract of C.japonica was most effective to the control of sesame stem-rot caused by F.oxysporum, even at a 0.2% concentration. Sesame seedling was showed a phytotoxicity by water cultural method, but was not by pot test. Seed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of sesame were inhibited by the application of water extracts of 3 medicinal plants.

      • 지모추출액의 항균활성과 항균성물질의 동정

        도은수 中部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1999 自然科學硏究論文集 Vol.8 No.1

        A.asphodeloides 추출액을 공시하여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truncatum과 Alternaria porri에 대해 항균 활성 검정, 몇가지 작물에 대한 병해 방제 효과를 조사 그리고 항균 활성 물질을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모의 추출액은 P.capsici, C.gloeosporioides 및 B.dothidea에 대해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2. Methanol을 용매로 추출하여 분리된 물질과 saponin의 항균활성을 비교할 때, 분리된 물질은 균주에 따라서는 saponin표준품 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이 있었다. 3. 고추 역병, 참깨 시들음병 및 고추 탄저병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4. 고추와 참깨는 수경재배형식의 유묘검정에서는 약해가 있었으나, pot시험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또한 고추 및 참깨의 종자에 조추출액을 처리했을 때 발아가 저해되거나 유근의 신장이 억제되는등 약해가 유발되었으나, 고추 및 파의 입과 고추 과실에 조추출액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지모의 조추출액으로부터 연한 갈색분말 5.67g/100g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물질을 HPLC로 분석한 결과 항균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saponin으로 동정되었다. Crude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was evaluat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truncatum,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 and Alternaria porri and antifungal active compound from the extract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usefulness of the extract for some plants disease control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Crude extract of A.asphodeloides exhibit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capsici, F.oxysporum, C.dematium and B.dothidea. Antifungal activity of the substance isolated from A.asphodeloides was similar to a standard saponin, but was superior to it of a standard saponin against some pathogens. Red-peper fruit rot, sesame stem rot and red-peper anthracnose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the crude extract of A.asphodeloides. Phytotoxicity was not observed in the red-pepper and welsh-onion leaves and red-pepper fruits with exogenous foliage application of the crude extract. Seed germination and radicle growth of red-pepper and sesame were inhibited by the crude extract of A.asphodeloides. 5.67g of light brownish compound per 100g of A.asphodeloides was obtained and it was identified as saponin by HPLC.

      • KCI등재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도은수,이선미,서영숙,Do, Eun-Su,Lee, Sun-Mi,Seo, Young-Soo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은 병원에서 외래치료를 받는 1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자의무기록지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은 48.16점/100점이었으며, 불안과 우울, 증상경험, 건강지각, 질병상태와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은 삶의 질을 68.6% 설명하였다. 결론은 중년기 남성 만성 간 질환자의 삶의 질은 불안과 우울의 정서적 요인이 주요 요인이므로,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의 개발을 제안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ed factors of quality of life (QOL) among middle-male with chronic liver disease.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0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who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 clinic of hospital. Between March and May 2014,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medical record review.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SW (SPSS) 19.0 program, and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QOL of this study was 48.16/100. The significant correlates of QOL were anxiety-depression (${\beta}$=.33, p<.001), symptom experience (${\beta}$=.15, p=.001), health perception(${\beta}$=.31, p<.001), disease status(${\beta}$=.17, p=.022), spouse (${\beta}$=.23, p=.001),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68.6% of variance in QOL.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aspects are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QOL of the middle-male with chronic liver disease. Screening and minimizing anxiety-depression could be effective strategies in enhancing QOL of middle-male with chronic liver disease.

      • KCI등재
      • TIBA 處理가 大豆의 生育과 收量에 미치는 影響

        都銀洙,梁啓鎭,金應吉 中部大學校 農業開發硏究所 1994 農業開發硏究論文集 Vol.3 No.-

        無限伸育形인 無限콩과 有限伸育形인 普光콩을 試驗 材料로하여 摘芯과 TIBA(2, 3, 5-triiodobenzoic acid) 處理가 生育과 收量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자 本 試驗을 實施하였던 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摘芯과 TIBA 處理에 依하여 莖長과 主莖節數가 모두 減少되었고 減少의 폭은 無限콩이 普光콩보다 컸다. 節間長은 摘芯으로 길어졌으나 第 5葉期의 TIBA 處理에서는 7~10번째 節間長이 特히 짧아져 莖長이 단축되었다. 摘芯과 TIBA 處理는 主莖節數와 粒數를 減少시킨 반면에 分枝莢數와 粒數는 增加되었다. 收量은 普光콩에서는 增收되지 않았으나 無限콩에서는 摘芯區에서 9%, TIBA 處理區에서 13% 增收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ching off the terminal bud and TIBA(2, 3, 5-triiodobenzoic acid) on growth and yield characters of soybea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Number of nodes and length of main stem were decreased by pinching and TIBA and degree of reduction was larger for Muhankong, a Indeterminate variety, than Bokwangkong, a determinate variety. Internode length was increased by pinching, but decreased by TIBA treatment. Especially, the lengths of the 7th~l0th internod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IBA at V_6 stage. Numbers of pods and seeds on main stem were decreased, but numbers of pods and of seeds on branches were increased by pinching and TIBA treatment. Yield was not affected by pinching and TIBA in Bokwangkong, but soybean yield was increased by pinching and TIBA treatment, 9% and 13%, respectively, in Muhankong.

      • 파검은무늬병균에 대한 지모, 황백나무 및 황련추출액의 항균활성

        도은수 中部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1998 自然科學硏究論文集 Vol.7 No.1

        3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을 공시하여 Alternaria porri에 대해 항균 활성 검정 및 파 검은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asphodeloides의 물추출액은 추출원액처리시에도 거의 항균활성은 없었고, C.japonica와 P.amurense의 물추출액은 50%의 희석농도까지는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asphodeloides의 MeOH 추출액은 배지내의 희석농도가 1%일때 42.9% P.amurense의 MeOH 추출액은 0.2%의 희석농도에서 66.1%의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C.japonica의 추출액은 0.01%의 희석농도에서도 59.2%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2. 3가지 추출액 모두 A.porri의 분생포자발아에 대한 억제효과는 매우 낮았으나, 추출액 처리시에 발아관의 신장은 상당히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Methyl alcohol로 추출한 식물체의 조추출액이 물을 용매로 하여 상온 추출하거나, 끓여서 추출한 조추출액 보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A.asphodeloides 추출액의 경우 저장기간과 관계없이 항균활성이 낮았고, P.amurense와 C.japonica의 추출액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항균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A.asphodeloides의 추출액은 방제효과가 낮았으나, P.amurense 및 C.japonica는 추출원액을 처리했을 때 100%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0.2%의 희석농도에서도 각각 75.0% 및 87.5%의 방제효과가 있었고, 특히 C.japonica의 추출액은 0.05%의 희석농도에서도 50.0%의 방제효과가 있어 3가지 추출액 중 가장 효과가 있었다. 6. 파잎에는 추출액에 의한 어떠한 약해의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Crude extracts from three medicinal plant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lternaria porri. In addition, the extracts were applied to welsh-onion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for welsh-onion alternaria leaf spot contro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Of the crude extracts, three medicinal plants it of A. asphodeloides was not showed antifungal activity, but them of C.japonica and P.amurense exhibit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porri. Conidiosporial germination of A.porri was not inhibited but elongation of germ tube was inhibited by the application of three medicinal plant extracts. Methyl alcohol extract had better antifungal activity than water extract at either room temperature or boiling condition. Antifungal activity of three medicinal plant crude extracts against A.porri gradually was decreased with prolonged storage. Control effect of crude extract of P.amurense and C.japonica was excellent, they indicated perfect conrol value at 1.0% concentration, and P.amurense showed 75.0%, and C.japonica 87.5% control value at 0.2% concentration, respectively, and C.japonica showed 50.0% control value at 0.05% concentration against welsh-onion alternaria leaf spot(A.porri). Extract of C.japonica of to the three medicinal plants was superior the others in control effect against welsh-onion altenaria leaf spot. Phytotoxic symptoms were not observed in welsh-onion leaves with exogenou foliage application of the three medicinal plants crude extr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