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관계적 윤리와 배려의 도덕교육

        노희정(Noh, Hui-Jeong),홍기대(Hong, Ki-D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3

        본 글은 관계적 윤리와 배려의 도덕교육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관계적 윤리의 본질과 관계적 윤리와 윤리적 행동의 관련성 문제에 대해서 고찰한다. 그동안 우리 도덕교육계는 콜버그의 정의 윤리와 대척점에 서있는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 윤리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본 글은 윤리학적 관점과 더불어 존재론적, 정치학적 관점에서 배려 윤리를 검토한다. 배려 윤리의 가장 큰 특징인 관계적 윤리에 대해 살펴본 다음에 페미니스트들의 배려 윤리에 대해 간략히 검토한다. 특히 트론토의 배려윤리의 단계 및 각 단계에 상응하는 윤리적 요소에 대해 검토한다. 트론토는 배려가 관심 기울이기, 책임감 가지기, 배려 실행하기, 배려 수용하기, 그리고 연대하기라는 5가지 단계로 진행되고 각 단계에 상응하는 윤리적 요소로 관심, 책임, 역량, 반응, 그리고 연대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검토와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교육에서 관계적 윤리와 배려윤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탐색한다. This article explores relational ethics and moral education of consideration. To this end, the essence of relational ethics and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ethics and ethical behavior will be considered first. And after examining Gilligan"s and Noddings"s ethics of consideration, which have been discussed a lot in our moral education world, the stages of Tronto"s ethics of consideration and ethical elements corresponding to each stage are discussed. Tronto proceeds in five stages: paying attention to caring, taking responsibility for caring, practicing caring, accepting caring, and caring in solidarity. And claim that there is solidarity. Finally, based on these reviews and discussions, we explore the meaning of relational ethics and caring ethics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잉카의 신화에 나타난 생태적 세계관과 그 계승

        노희정(Noh, Hui-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7

        본 글은 잉카의 신화에 나타난 생태적 세계관에 대해 탐색한 다음에 그 생태적 세계관이 라틴아메리카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윤리교육적 함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흔히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열대우림 아마존, 환경과 개발에 관한 27개의 원칙을 천명한 브리질의 리우, 그리고 세계 최초로 자연의 생존권을 인정한 신헌법을 제정한 에콰도르와 세계 최초로‘어머니 지구 법’을 제정하여 자연의 권리를 명문화한 볼리비아 등은 잉카의 신화 및 생태친화적 공동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이다. 그리고 본 글에서는 먼저 잉카의 신화에 조화와 협력, 순환론적 세계관, 자연존중, 인간과 동물의 공생이라는 생태적 사고의 원형이 드러나 있음을 밝힌 다음에 에콰도르와 볼리비아의 헌법과 법률 속에 구현된 Sumak Kawsay (좋은 삶)의 생태철학적 의미, 그리고 잉카 신화의 윤리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cological worldview in Inca"s myth and then examines how the worldview is being implemented in Latin America and what its ethic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Rainforest Amazon commonly referred to as the lungs of the Earth, Rio de Janeiro of Brazil which declared 27principles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 world"s first new constitution to recognize the living rights of nature in Ecuador, and the world"s first Mother Earth Law in Bolivia which stipulates the rights of nature,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ca mythology and eco-friendly community. And this paper first revealed the prototype of ecological thinking of harmony and cooperation, circular worldview, natural respect, and symbiosis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Inca mythology. And it argues the ecophilosophical meanings of sumac Kawsay and the implications of Inca myth in ethics education.

      • KCI등재

        인권감수성 신장을 위한 도덕교육

        노희정(Noh Hui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3

        본 글은 인권교육과 도덕교육의 상관성, 인권의식과 인권감수성의 의미, 그리고 도덕과의 인권감수성 신장 교육의 방향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도덕과에서 인권감수성을 신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한다. 도덕과의 인권교육은 인권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인권친화적인 삶을 살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덕과 의 인권교육은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소유한 인권의 가치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것을 존중하며 적극적으로 수호하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을 기르는 데 최종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그래서 인권 수호를 위한 실천적인 책임감을 상실한 사람은 인권을 수호하는 행동을 실천에 옮길 수 없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권 침해 상황을 해결할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 을 자각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할 때 인권 수호 행동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과의 인권감수성 신장 교육에는 추상적인 훈화나 교화의 방식보다는 일상 적으로 인권을 침해받고 있는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소재로 한 학생 참여형 교수학습방법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s that can contribute to cultivat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moral education. It examines the correlation of moral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 meaning of human consciousness, the meaning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cultiva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in moral subject. Human rights education in moral subject is to teach student to live a human rights-friendly life, not simply to transfer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human rights. In other words, human rights education has the ultimate goal of raising human beings who understand the values of human rights that are owned by all as well as oneself, respect the values, and live a life that actively defends the values. Therefore, a person who has lost the practical responsibility for protecting human rights can not take action to defend human rights. It is possible that the action for protecting human rights realizes only when we aware the responsibility for solving situations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 in daily life and are willing to put human rights into action. Therefore, teaching & learning methods of a student participation type based on the lives of the social minority who is routinely infringed on human right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methods of an abstractive admonition and indoctrination.

      • KCI등재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8

        본 글은 사회생물학적 관점에서 자연의 가치와 자연에 대한 도덕적 의무의 문제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환경윤리학의 이론적 토대를 구성하고 있는 도덕 감정에 대한 진화론적 윤리학과 사회생물학의 접근방식은 어떤 성격을 띠고 있는지 규명한다. 그리고 자연의 가치와 자연에 대한 의무의 문제에 대해 사회생물학적 접근방식을 수용하고 있는 환경윤리학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 논의한다. 진화론적 윤리학과 사회생물학에 기초한 캘리콧의 환경윤리학은 생물학적 사실과 도덕적 가치의 결합을 시도하지만 자연주의의 오류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못하고, 혈연이타주의와 호혜적 이타주의, 그리고 감정이나 친밀감에 따른 윤리적 선택을 정당한 것으로 수용한다는 점에서 이기주의나 집단 이기주의를 묵인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회생물학에 기초한 환경윤리학은 사회생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도덕규범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기존의 인간 윤리를 확장하여 자연에 대한 도덕적 의무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으며, 오늘날의 심각한 생태학적 위기를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a sociobiological approaches in environmental eth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olutionary ethics` and sociobiology`s approaches which constitut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allicott`s environmental ethics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Then there is an argument that what stance environmental ethics which accepts the sociobiological approach takes on the issues about the value in and the duty to nature.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overlooking a naturalistic fallacy, egoism or collectivism in that evolutionary ethics accepts the ethical choices - with the kin altruism, the reciprocal altruism, and the emotions or intimacy - as justifiable though evolutionary ethics based on sociobiology attempts to combine biological facts with moral values. Despite this limitation, however, environmental ethics based on sociobiology can serve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l standard with practicality and reasonableness. Furthermore, environmental ethics is persuasive in that it puts emphasis on the moral duty to nature by expanding the existing human ethics, then it might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towards overcoming the ecological crisis today.

      • KCI등재

        도덕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도덕교육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본 글은 도덕적 창의성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도덕적 창의성이란 도덕적 영역에서 새롭고 가치 있는 산출물을 발견하거나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하며, 도덕적으로 불확실하고 긴박한 문제 상황에서 잘 발휘된다. 그리고 도덕적 창의성은 선례들이 거의 없거나 논의의 여지가 많을 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우리가 도덕적 창의성을 도덕과에서 가르치고자 한다면, 일차적으로 도덕적 창의성의 의미를 명확히 밝힌 연후에 그 구성 요소들이 담긴 갈등적이고 논쟁적 사례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도덕적 창의성의 개념을 윤리학적, 심리학적 측면에서 탐색한다. 도덕적 창의성이 도덕적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기술, 도덕적 동기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합당성 및 실천적 지혜의 함양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정서·실천 능력의 함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도덕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도덕교육이 창의적인 도덕적 대안을 창출하고 도덕 규칙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 등을 길러주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함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moral creativity in moral education. Moral creativity consists in discovering or making new and morally valuable products in moral domains. And it tends to display in situations morally uncertain, indeterminate, abnormal and exigent, and where moral precedents are either lacking or contested. If we hope teach moral creativity in moral education subjects, we actively should use morally conflicting and controversial examples as teaching cases of moral creativity, after clearly discovering its meanings primarily. Thus this paper discussed moral creativity in a eth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explored that moral creativity was constituted of moral expertise, creative thinking skill and moral motivation. And it disclosed that moral creativity was closely connected with cultivating a reasonableness and a practical wisdom, and the building a moral emotion and practical competence needed a creative solution about moral conflicts. And I suggested that moral creativity education directly focus on the creative competence making moral alternatives and constructing moral rules, and so forth.

      • KCI등재

        기후변화시대의 생태학적 상상력

        노희정 ( Noh Hui-je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1

        본 글은 인류 생존의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학적 상상력의 신장이 절실히 필요함을 밝힌다. 현재 인류가 겪고 있는 기후위기는 생태적 성찰과 생태학적 상상력 함양을 통해 극복 가능하다. 생태학적 상상력은 생각과 행동의 가능성에 비추어 모든 대상을 구성하는 관계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는 능력이다. 우리는 이러한 생태학적 상상력을 듀이의 도덕적, 미학적 개념과 반성적 사고모델, 극적 시연 이론에 기초한 극적 시연, 즉 생태학적 상상력 6 단계 모델을 통해 효과적으로 신장할 수 있다. This paper reveals that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imagination is desperately needed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which is emerging as a problem for human survival. The climate crisis that humanity is currently experiencing can be overcome through ecological reflection and cultivation of ecological imagination. Ecological imagination is an ability based on relational thinking that constructs all objects in light of the possibilities of thought and action. We can effectively develop this ecological imagination through dramatic rehearsal based on Dewey’s moral and aesthetic concepts, reflective thinking model, and dramatic rehearsal theory, that is, through the 6-step model of ecological imagination.

      • KCI등재

        전체론적 환경윤리와 도덕교육

        노희정(Noh Hui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인간은 공동체 속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이다. 다시 말하면, 공동의 도덕적 가치와 규범을 토대로 하는 도덕공동체의 구성원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상인만이 아니라 어린이, 미친 사람, 혼수상태에 빠진 사람, 심지어 죽은 사람들까지도 도덕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 시대에 모든 인간이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 당시는 자유시민만이 도덕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정되었다. 노예와 여성은 도덕적인 고려를 받지 못했다.

      • KCI등재

        기후변화 문제의 도덕교육적 함의

        노희정(Noh Hui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8

        기후변화는 우리의 삶에 직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시대적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와 관련해서 도덕적 책임, 정의, 존중 등이 윤 리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는 개인적 삶의 수준에서는 자신이 현재 살아가 고 있는 지역사회 속에서 친환경적인 삶을 실천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도덕교육적 수준에 서는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친환경적 가치관과 태도를 함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원칙적으 로 기후변화 교육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지식의 습득이나 환경 감수성의 신장에 그치 는 것이 아니라 환경(생태)친화적인 세계관과 실천 능력의 신장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도덕교과에서의 기후변화 교육은 환경윤리 교육의 차원에서 실행되어야 한 다. 이에 본 글은 기후변화의 실태와 전망, 그리고 기후변화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하여 도덕교과에서의 기후변화 교육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윤리적 탐구 능력과 환 경(생태)친화적 실천 능력의 신장에 있음을 밝힌다.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a global challenge, in that it has a great influence on our lives. Moral responsibility, justice, and respect etc. are becoming ethical issues, with respect to climate change. And climate change requires the level of personal and eco-friendly life in the communities,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environmental dimension of learning which students reflect upon themselves, cultivate eco-friendly viewpoint and attitude. In principle, climate change education should aim to not only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knowledges about climate change and the build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but also the cultivation of environmentally(ecologically) friendly worldview and the extension of the ability in practice. In this viewpoint, education about climate change should be taught on the dimension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us this paper discusses the status and future of climate change, explores its ethical issues, and discovers that climate change education in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cultivate the ethical inquiry capacity and environmental(ecological) friendship, with respect to climate chang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