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지식과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노진형(Roh Jin Hyung),이정희(Lee Jung 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1

          본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구성하고 실행하는데 시사점을 주고, 유아를 지도하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올바른 건강교육이 실시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건강지식의 정도와 행위를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해보는 것이다. P시와 C시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윤현희(2004)의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지식은 20점 만점에 14.21점이었으며, 학력, 건강상태에 대한 자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일수록, 자신이 건강하지 않은 편이라고 인식할수록 건강지식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건강행위는 4점 만점에 3.19점이었으며, 건강에 대해 관심이 많을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건강지식 점수 수준에 따라 건강행위를 알아본 결과 건강지식 점수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행위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centrates on ascertain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actice. Questions asked in this study are:What kind of knowledge d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bout health? What a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form health practice? And D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knowledge affect health practice? Subjects were 197 in P, C city. They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In processing the collection data, the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BR>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 score for health knowledge were 14.21. Those who were in junior college and with negative recognition on self healt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 score for health practice were 3.19, and those who were positive recognition on self health and higher concer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health and health practice; those who had higher marks in health knowledge showed higher scores in health practice.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Roh, Jin H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4

        현대 유아과학교육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세계를 살아가는 유아들이 첨단 과학과 기술적 변화에 대처하고 준비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에 유아를 가르치게 될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과학적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한 3개의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점수가 낮고, 과학의 사회적 가치에 대해 어느 정도 인정하나 과학에 대한 흥미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이 역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과학적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을 높이는 것에 대해 제언하였다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many early childhood teachers do not have adequate knowledge of science and possesss an anxiety. Teachers must understand science concepts themselves and therefore should be formally trained during their science courses especiall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investigate the scientific knowledg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ubjects were 220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in science education course fo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get 41.75 points out of a possible total of 64 points. In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especially social value of science were higher than interests in science and perception of science and scientists. And they do not possess positive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ignificant different were according to the scientific knowledge level.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gained higher scores in scientific knowledge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this study possessed somewhat limited knowledge, low interests in science and some anxieties toward teaching science. It is needed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 courses that would b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teachers’ ability in regards to teaching science.

      • KCI등재

        부모역할에 대한 자기반성의 부모교육을 위한 함의

        정계숙(Chung Kai Sook),노진형(Roh Jin-H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 실태에 나타난 문제점과 부모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점 등에 관한 문헌의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는 양육자로서 또한 지역사회 리더로서 부모의 역할과 자질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방향의 부모교육을 위하여 부모의 상위양육과 보다 포괄적인 반성적 사고 능력의 육성을 강조하는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실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앞으로의 부모교육 실제에서는 그동안 부모교육에서 간과해온 부모의 자아인식과 문제해결 활동의 비중을 강화하여, 상위양육과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내용을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 다루어줌으로써 부모역할에 대한 반성적, 인지적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field evaluation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revealed that the program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have been focused typically on information transmission about child rearing and education and skill building. An assumption underlying such programs was that more skilled, knowledgeable and supported parents will be better able to foster their child's development. However, it is now recognized that parenting is dynamic and ever-changing according to thedevelopment of parents and children. Both play moderator roles and are equal agents of their interdependent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hat parent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in their parenting to be more efficient and positive paren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On the basis of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first, the study suggested that future parent education programs would emphasize parental awareness and reflection on their dynamic and complex parenting roles. Concepts like meta-parenting and reflective thinking would be the key themes of the programs. Second, the contents and the implementing methods for such programs were discussed in terms of developing meta-parenting and reflective thinking ability of parents.

      • KCI우수등재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모-자 상호작용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정계숙(Kai Sook Chung),노진형(Jin Hyung Roh) 한국아동학회 2004 兒童學會誌 Vol.25 No.5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The program consisted of three main activities, lectures for good parenting, video-feedback of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consultation for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4 mothers of 5-6 years 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were referred to a social competence program of a child counseling center. The mothers were identified to have problematic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through clinical interviews. The program ran for 16 sessions, one parent group leader implemented each session for 90-120 minutes once a week. The videotaped data of mother-child interactions for 10 minutes every 4 sessions were estimated by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MBRS) and qualitatively analyzed by transcription of communica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It conclud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enhanced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를 위한 게임활동 중심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정계숙(Chung Kai Sook),노진형(Roh Jin H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는 게임활동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학부설 상담실에 사회ㆍ정서적 문제로 의뢰된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발달적 요구와 1-3회기까지 관찰된 행동을 바탕으로 2개의 중재목표행동을 선정하고 프로그램 사전ㆍ사후 정서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형게임, 편게임, 협동게임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총 12주 동안 매회 1시간 20분에 걸쳐 중재교사 3인이 운영하였다. 연구결과, 게임활동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각 유아의 ‘또래에게 자발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 시도하기’와 ‘또래의 상호작용에 자발적이고 긍정적으로 반응하기’의 중재목표행동과 유아의 정서능력(개인내, 개인간)은 유아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바람직하게 변화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group games for young children with social developmental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5-year-old children (2 boys and 1 girl). The program emphasized the emotional ability of social competence.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0 minutes a week over 12 weeks by.) intervention teachers. Each session consisted of 3 group games such as the group circle game, the competition game and the cooperative game. The target behaviors of children were to initiate and react to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positively and spontaneously. The target behaviors were observed at every session by the event sampling method and anecdotal record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rated pre- and post-program by thei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program enhanced the social competence of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정계숙(Chung Kai Sook),이정희(Lee Jung Hee),이은하(Lee Eun Ha),노진형(Roh Jin H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대학 부속 어린이상담실에 또래관계 문제로 의뢰된 유아 3명의 발달적 요구와 1~4회기까지 관찰된 행동 및 어머니와의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별로 각 3개의 중재목표행동을 선정하였다. 동화듣기 및 토의하기 노래극 만들기와 노래극하기, 작업, 음률, 게임, 신체 활동 등의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통합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총 16주 동안 매회 1시간 20분씩 총 16회기에 걸쳐 중재교사 2인이 운영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각 유아들의 상호작용 시도하기 및 반응하기, 문제 상황에서 자기 주장하기, 집단 활동에 참여하기 등의 중재목표행동은 대체로 바람직하게 변화되었다. 개인차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singing fairy tale on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with social developmental difficulties. The subjects were three 5-6 year old children (2 boys and girl) referred to a university affiliated child counseling center. The target behaviors of children were to initiate and react to interactions with peers, assert themselves to peers 10 problem situations, and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The program activities focused on singing fairy tale and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fairy tales, singing fairy tales, occupations, rhythmic movements, physical activities, and games etc.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0 minutes once a week over 16 weeks by 2 intervention teachers. The target behaviors were observed at every session by an event sampling and an anecdotal observation method. Children's emotional comprehension and regulation, and peer relations were rated pre- and post-program by their early childhood teachers. It concluded the program enhanced almost all behaviors of social compet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부모교육을 위한 반성적 사고의 적용 연구

        노진형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2005 영유아보육연구 Vol.11 No.-

        Typical goals of parent education include information sharing, skill building, self-awareness, problem solving. But Most program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has been focused on information transmissions about child rearing and education and skill building. By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It needs that parent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on their parenting to be more efficient. That is, reflection is the essential process in parenting to alter their mistaken role performance and imperative process to try self-directed and critical practitioner about the amount information of the world. The concepts like reflective thinking would be the key themes of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