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료서비스 로봇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사용성 평가 지표 개발 : 병원 안내 로봇, 키즈 로봇 중심으로

        노지혜(Jihye Noh),우승현(Seunghyun Woo),박진영(Jinyeong Park)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코로나19 상황에서 병원 내원객과 대면 접촉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병원에서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서비스 로봇 도입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 도입된 로봇은 사람을 대신하여 내원객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대체하고 있지만 의료서비스 내에서 사용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사용성 평가 기준은 부재하다. 본 연구를 통해 병원 내원객을 대상으로 길 안내 및 병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안내 로봇’과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지원 및 안정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키즈 로봇’의 사용성 평가 항목 및 지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편적 사용성 평가 항목, 의료서비스 로봇 사용성 평가 항목, 의료서비스 대상자의 특징과 사용 맥락을 수집 및 범주화하여 사용성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향후 병원 내 로봇 운영 및 개선을 위한 전용 평가 기준으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 20대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케이블 TV 메뉴 제안

        김용성(Yongseong Kim),노지혜(Jihye Noh),박수빈(Subin Park),안소현(Sohyeon An),연명흠(Myeong-Heum Yeoun)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기존의 수동적인 TV를 보는 방식에서 벗어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골라 볼 수 있는 디지털케이블 TV (DCATV)와 IPTV는 많은 가정에서 호응을 얻고 있고 그 발전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대 사용자들에게 적합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VOD메뉴 구조와 새로운 메뉴 스타일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휴리스틱 분석을 통해 예상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나온 문제점을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해 반복적인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선호도 조사를 통해 메뉴스타일 및 GUI요소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VOD메뉴 구조의 오류를 개선하고 사용자들이 인식하기 쉬운 메타포, 컬러, 아이콘 등을 포함한 새로운 메뉴스타일을 제안하였다. 즉, VOD 카테고리는 의미가 명확한 것끼리 그룹핑 되어야하고 그룹핑이 모호한 것들은 그냥 두어야 한다. 그리고 메뉴스타일은 방식의 새로움 보다는 사용 편리성이 사용 경험자들에게는 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차후 디지털 케이블 방송 메뉴를 개선할 때 기초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메뉴를 설계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Digital cable TV(DCATV) is totally different with a existing TV which is passive, and can pick the contents anytime we want. It is very popular in many houses and we can see bright future with this. This study will show a standard that is a suitable and convenient VOD menu category for 20's through a various usability test. Moreover it will be provided new menu style and GUI through the preferences. For this, we found expected problems first through the heuristic analysis and did iterative usability test to verify and improve these problems. As a result of that, we improved errors of VOD menu structure and suggested new menu style including metaphor, colour and icon users can recognize easily. That is, VOD categories should be grouped among definite meanings. And we found using convenience is more important than new discovery of method on menu style for experienced users. This study can be not only based data when DCATV menu is renewed but also can be used as a reference data when designing other DCATV menu.

      • KCI등재
      • 10-30대 섭식장애 여성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노지혜,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8 No.1

        In this context, further qualitative studies are required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female eating-disorder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patients through collecting, describing and interpreting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experience do the female eating-disorder patients in their 10s to 30s have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it?”The researcher adopt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is flexible and useful for grasping the essence of events. The avoidance of other structured templates was for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as vividly as possible the various experiences of female eating-disorder patients in their 10s to 30s. The research followed four steps of focusing on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exploring phenomenological experienc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These four steps are further specified in eleven procedures. Participants were 6 females in their 10s to 30s who had received group art therapy four times, once a week, star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August. After the therapy schedul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if needed) i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stage to collect and analyze their art therapy experience. Analyzing those data, this study derived eight essential topics, including <Starting the heart-felt journey to find the answers to my illness> <Becoming nervous in the fear of exposing long-hidden illness of myself>, <Finding out that art therapy was contrary to what I had expected>, <Feeling touched by the rapport with the company of same misery>, <Able to get to know about my appetite through the session>, <Reflecting myself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art therapist>, <Finding myself indulged into drawing like I had been while eating>, and <Gradually trying new changes>, which were further divided into twenty-three sub-topics. Based on the results and collected data, the conclusion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patients had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rapy sessions in seeking for the cause and solutions of their disorder and were able to know better about themselves without the pressure of analysis and evaluation, which is on the contrary of their initial expectation. Second, the patients first worried about exposing their illness that they had long concealed from strangers, but then they felt deeply touched by the experience of reflecting themselves and feeling the sense of connectedness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 fellow group members and art therapist. Third, the patients were able to ease their strain while working on the artistic tasks and to feel invigorated. Also, fueled by the hope of overcoming their illness, they have started actively making changes to their everyday lives. 섭식장애란 음식을 먹는데 있어 심리적 불편함을 느껴 비정상적인 식습관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정신과 질환 중 사망률이 제일 높은 질환이다. 섭식장애는 정신 뿐 아니라 육체적 건강도 망가뜨리기 때문에 더욱 위험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섭식장애의 절반 이상 인 10~30대 여성은 장차 어머니가 될 사람들로, 이들의 미래는 출산률 즉 국가의 미래와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현재 섭식장애 환자들을 위해 다양한 치료법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 중 미술심리치료는 언어적, 심리적 방어력이 높은 섭식장애 여성들이 미술매체를 사용함으로서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켜 굳어있던 내면을 표출을 돕는 역할을 하고, 이를 통해 자아성찰, 스트레스 해소, 무력했던 삶의 활력을 얻게 한다는 점에서 섭식장애 환자를 위한 치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게다가 집단미술치료는 고립되어있던 섭식장애 여성들이 서로 만나 미술작업을 하면서 공감 대 형성을 하고, 쌓여있던 감정의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섭식장애 여성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얻은 다양한 체험을 생생하 게 받아들이기 위해 질적연구의 방법 중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10~30대 섭식장애 여성들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심층 면담을 통해 생생한 자료 를 수집하였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총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를 도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