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본의 민주주의와 1960년

        노병호(Row Byoung H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2

        미일간에 1951년에 체결된 안전보장조약을 개정하려는 일본정부의 움직임에 반대하는 대중운동이 1960년에 정점에 달했다. 이때의 대중운동에 참여한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시미즈 이쿠타로와 마루야마 마사오가 있다. 패전이후 시미즈는 마루야마로부터 ‘오야붕’이라고 인식될 정도로 둘의 관계는 친밀했고 사상적인 거리도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안보투쟁의 과정에서 둘의 괴리는 점점 커져간다. 마루야마는 이념과 규범으로서의 〈민주주의〉가 안보 투쟁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신안보조약이 체결됨으로 인해서 운동자체는 실패하였지만, 민중이 스스로의 행동을 통해서 국민주권의 문제를 스스로 혈육화해 갔다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운동은 성공적이었다라고 보고있다. 이에 반해 시미즈는 안보반대운동은 추상적인 민주주의에 매몰되어 구체적인 운동의 목표를 상실하였기 때문에 결국 실패로 끝났다고 생각한다. 시미즈에 있어서 안보투쟁은 끝까지 ‘안보조약반대’를 관철했어야 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축적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주의의 진정한 의미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대립에도 불구하고 안보투쟁이후의 양자의 행적은 한쪽이 ‘일본정치사상사’의 특수성으로 매몰되었고, 다른 한쪽은 민주주의 혹은 근대 그 자체를 상대화 하는 방향으로 기울었다. 이러한 결과에 이르는 원점으로서 안보투쟁당시의 민주주의론을 검토하는 작업은, 1)일본의 민주주의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2)민주주의 자체의 보편성을 묻기 위한. 3)민주주의의 필요충분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In 1960, the mass movement, which opposed the negotiation to revise Treaty of Mutual Cooperation and Secur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1951, rose to a height. Two representative inetellectuals, who had leaded this mass movement, were Shimizu Ikutaro and Maruyama Masao. The two was so familiar in the human and intellectual relation that Shimizu had been thought as 'oyabun' by Maruyama until the 1950s after the war.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had been enlarged in the midst of the anti-treaty movement. Maruyama thought that 'democracy' as idea and principle should be the main in the anti-treaty movement. Therefore, Maruyama thought that, though the movement itself ended in failure with the conclusion of a new treaty, it was a success in materializing soverign power by the people themselves' action. On the other hand, Shimizu thought that it was failure because the anti-treaty movement was buried under the abstract democracy and lost concrete goal of the movement. Shimizu thought that the anti-treaty movement should have accomplished 'the setback of the anti-treaty'. The real democracy to him was the attainment and accumulation of one's goal. Regardless of this oppositive views, the two's works after the anti-treaty movement were the similar. That is to say, the one was entombed in 'the history of Japanese thoughts' and the other was inclined to relativize democracy or modem itself. I think that it is so meaningful to analyze the dicourses of democracy in the anti-treaty movement as the origin of the oppositive views. 1)In interpretating democracy in Japan, 2)in asking the universalty of democracy itself, and 3)in confirming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democracy.

      • KCI등재

        오모토교와 천황제, 유일신의 쟁투 - 근대 일본 종교문화·정치문화의 일체화와 정통과 이단 -

        노병호 ( Row Byoung-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日本硏究 Vol.- No.92

        天照を独占し、O正統とL正統を主張する天皇制システム。これに対して天皇制の下、すなわちO正統とL正統から異端と規定された大本教。 両者のどちらが多神教的な日本の宗教文化と政治文化を独占しており、日本の伝統あるいは正統性を否定しているのであろう? これに対する解答はそれほど容易ではない。 しかし、2022年現在も依然として象徴天皇制の下でも、相変わらず日本人の大多数はO正統とL正統で天皇制に固執しようとしていることだけは明らかである。 正統派としての天皇制の問題である。 そして神道文化との調和である。 この問題は日本の政治、文化、宗教などありとあらゆる領域にわたる細心の分析の対象であり、以後も継続して宿題として残りそうである。 The Emperor’s system, which monopolizes Amateras and claims O orthodoxy and L orthodoxy. In this regard, the Omotogyo, which is heretical from O orthodoxy and L orthodoxy. Which of the two monopolizes the polytheistic Japanese religious and political culture and denies the tradition or legitimacy of Japan? The answer to this is not so easy. However, as of 2022, it seems clear that the majority of Japanese still want to insist the Emperor’s system.

      • KCI등재

        현대일본의 아이덴티티와 미국 -반미보수주의의 숙명-

        노병호 ( Byoung Ho Row ) 현대일본학회 2010 日本硏究論叢 Vol.32 No.-

        전후 일본의 반미 보수주의 지식인들은 공통적으로 현대 일본의 상실감과 폐색감(閉塞感)의 원흉으로 ‘미국’을 지목하고 있다. 미국이 전후 일본인의 일상생활과 문화의 차원에 있어서, 정치·사회·제도의 차원에 있어서, 그리고 국제정치적인 제약과 한계로써 항상 일본을 규정해 왔다는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 이념적·사상적인 차원에 있어서의 미국은 ‘근대’ 그 자체였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리즘’이었다. 따라서 미국이라는 근대와 글로벌리즘의 극복이야말로 현대 일본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비결이라고 보고 있다. 본고의 관심은 이들 일본의 보수주의 지식인, 특히 ‘미국’이라는 전후적인 질곡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반미적’ 지식인의 사상과 논리를 검토해 보는 것이다. After WWⅡ, the anti-America conservative in Japan have regarded America as a factor in contemporary Japanese senses of loss. They think that America provides every day life and culture, politics and society and system, and international politics in Japan. By the way, America was `the modern` and globalism itself in ideological and intellectual dimension. So they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America as the modern and globalism for recovering Japanese activ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thoughts and logics of the anti-America intellectuals in Japan, who have tried to free themselves from the postwar fetters by America.

      • KCI등재후보

        전전 일본의 ‘초근대주의’의 도전

        노병호(Row Byoung H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9 No.2

        본고는 미키 키요시, ‘세계사적 입장과 일본’, ‘근대의 초극론’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전전‘근대’ 및 ‘초근대’에 관한 언설을 검토함으로써, 당시의 시국에 있어서 ‘근대’ 및 ‘초근대’가 갖는 사상적인 함의를 도출하려는 시도이다. 또한 미키와 교토학파에 공통적으로 전제되고 있는 니시다 키타로의 위상을 확인해 본 후, 이러한 일련의 ‘초근대주의’의 현재에 있어서의 부활이 갖는 학문적ㆍ정치적 의의를 고찰하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미노다 무네키등의 일본주의자에 의한 미키 및 교토학파에 대한 비판, 그리고 학문적 자유의 억압을 인정할 수 있을 지라도, 미키와 교토학파를 중심으로 한‘초근대주의’의 사상이 동아시아 각국의 자립, 근대적인 주체의 각성과 책임이라는 문제로 연결되었다고 해석하기는 힘들 것 같다. 그들의 사상에서 여전히 주목해야 할 점은 ‘내셔널리즘’이 아닐까 한다. ‘근대’의 상대화를 위해 노력했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미키의 죽음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사상이 일본의 내셔널리즘이라는 틀을 벗어났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본격화되고 있는 교토학파의 복권과 부활의 움직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전전의 문제가 아닌 현재의 정치적ㆍ학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Miki Kiyoshi, ‘World History and Japan’, and ‘Kindai no Choukoku’ as ‘Modern’ and ‘Choukindaisyugi’ in prewar Japan. So to speak, I investigated an implicature of Modern and Choukindai in political situation of those days. In conclusion, I think that we have to recognize criticism to Miki & the Kyoto School, and suppression of academic freedom by Minoda Muneki, and so on. But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me tha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at Miki and the Kyoto School’s Chokindaisyugi are connected with East Asia’s independence or modern subject’s awakening and responsibility. Still, we must notice their nationalism. They did not free themselves from nationlism. In relation to these, we should keep eyes on the current trends of Chokindaisyugi’s reinstatement, including the Kyoto School. These are not only prewar matters, but also political, academic, and existential ones of today.

      • KCI등재

        마루야마 마사오와 2·26사건 - 2·26사건에 대한 이해와 오해, 그리고 동경대 -

        노병호 ( Row Byoung H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4 No.-

        I think that we never can separate Maruyama Masao’s thoughts formation and Japanese Militarism. But the relation between Maruyama Masao and February 26th Incident, so to speak especially the part of the military had given all Japanese shocks, had not been paid attention until now. In this paper I want to complement the research situation critically. I watch matters as belows. 1. Maruyama Masao’s academic advisors 2. Youth officers of Imperial Way Faction had the theory of the emperor's organ 3. Both was influenced by Yoshino Sakuzo 4. February 26th Incident’s main actors may be more progressive about the Emperor system, and so on

      • KCI등재

        현대 일본의 국가 중심적 역사인식의 원형ㆍ비판ㆍ재현 : 미노다 무네키ㆍ난바라 시게루ㆍ시미즈 이쿠타로의 <국가>와 <역사>

        노병호(ROW Byoung Ho)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In this paper, I want to look into three people's cognition and meaning about Japan and Japanese history. At first, I examine Minoda Muneki's thought. He is famous for unifying Tenno, Japan, and Japanese history into Japan as a principle before the Pacific War. The reference about Minoda is important, for Minoda is denied by Nambara Shigeru as defender of the thoughts as democracy and liberty after the War. Finally I deal with Shimizu Ikutaro's thought, who is sociologist. Shimizu had advocated western democracy and liberty as well as Nambara Shigeru in the first half of his thought career. But he had converted to the right thought and the conservative in the second half of his thought history. He had spoken with the emphasis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history and Japan as Nation. Shimizu's thought is connected to many right-wing people until the present of 2015 year.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 일본의 국가 중심적 역사인식과 관련하여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명의 사상가들이 국가와 역사에 대해 어떻게 인식했으며 그 의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먼저 전전 일본에서 천황제 국가주의 사상을 전형적으로 대표하는 미노다 무네키가 천황과 국가와 역사를 어떻게 일체화했는지를 검토한다. 제2장에서는 전후의 자유와 민주주의 사상의 페이트런(patron)이라고 할 수 있는 난바라 시게루가 전전의 국가주의를 어떻게 극복하고 상대화하려 했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회학자인 시미즈 이쿠타로의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난바라로 대표될 수 있는 근대적인 국가관과 역사관이 우익적ㆍ보수적 혹은 일본적으로 다시 어떻게 재편성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현대 일본의 국가 중심적 역사인식의 사상적인 배경에 대한 힌트를 얻고자 한다. 이 세 명의 사상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은 필자에 의해 이미 독립적으로 시도된 적이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특히 이들의 국가론과 역사관에 초점을 맞추어 종합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현대 일본의 국가 중심적 역사인식에 관한 언설의 도출과정과 내용에 대한 단서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쇼와유신과 니치렌슈 - 1930년대 일본의 정념·궐기·좌절의 사상사적 배경 -

        노병호 ( Row Byoung-ho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日本硏究 Vol.0 No.72

        In this paper, I want to review the Showaisin`s contents and methods in relation with Nichirensyu(日蓮宗) in Japan of the1930s. Preceding researches take a unilinear position that Syowaisin had been influenced by Nichirensyu. But in this paper I examine whether every doers of the 1930s have separate colors about Showaisin and Nichirensyu, or not. That is to say, I hope to keep off the monotonous view(such as Nichirensyu=patriotism). My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Showaisin had not been able to come into being without knowledge and across knowledge. Therefore Nichirensyu had been necessary to the 1930s.

      • KCI등재
      • KCI등재

        마르크스 국가론의 일본적 변용 -『자본론』 완역가 다카바타케 모토유기의 ‘국가사회주의’와 천황제 -

        노병호 ( Row Byoung 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8

        韓国でのマルキシズム研究は、日帝下の弾圧、冷戦の最前線で政敵を除去する目的、そして独裁政権が政権延長するための反共イデオロギーによって、2021年現在でも依然として投資対比補償が少ない分野に属しており、学問の辺境と言える。 このような状況は、我が技術による人工衛生発射が中国․日本に50年以上立ち後れているという例を挙げれば理解しやすいと思う。 一方、日本におけるマルキシズムの本格的な研究は、1900年代初期に始まり、マルキシズム研究が実を結んだことを象徴的に示す出来事が、高畠基之の資本論完訳だ。1920年に始まった資本論の翻訳は1926年に完成した。 しかし資本論完訳とは別に、高畠氏のマルキシズム理解は主に国家観と関連しています。彼は、マルクス主義国家観の「国家死滅論」を批判し、「国家」の解放、「国家」の時空間の普遍性、「日本」における「国家」は「日本的な内容」(端的に天皇制)で満たさ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論理を説いている。 何らかの側面から見れば、高畠氏の「国家社会主義」の「転向」は、(1)日本の思想家あるいは普遍主義思想の天皇制への収斂あるいは回帰、(2)左翼と右翼の概念を再確立すべきという課題、(3)運動圏出身の韓国政治家に見られる思想の遍歴を理解するための良い事例になりえる。 マルキシズム研究および高畠の事例は、韓国政治及び、過度に資本主義に偏った研究の是正、現在と未来の韓国社会をより丈夫にする礎になると期待する。 Marxist research in Korea is still a low-investment area and a periphery of learning as of 2021, due to oppress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aim of removing political opponents in the Cold War, and anti-communist ideology for dictatorship extension. This situation would be easy to understand, given that artificial launches by our technology lag behind China and Japan by more than 50 years. Meanwhile, the full-fledged study of Marxism in Japan began in the early 1900s, and a symbolic event that shows that Marxism research paid off was completed by Motoyuki Takabatake. Das Kapital translation, which began in 1920, was completed in 1926. Apart from Das Kapital translation, however, Takabatake’s understanding of Marxism is largely related to the view of the state. He criticizes Marxism’s view of ‘national apocalypse’, providing the logic that the liberation of ‘state’, the spatio-temporal universality of ‘tate’ and the ‘state’ in ‘Japan’ should be filled with ‘Japanese content’ (Emperor System). In a way, Takabatake’s “transition” as national socialist could be a good example of (1) convergence or return of Japanese thinkers or universalist ideas to the emperor system, (2) redefining concepts of left and right, and (3) understanding the bias of ideas common in Korean politicians. Marxist research and Takabatake’s case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correcting Korean politics, overly capitalism research, and strengthening Korean society now an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