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순천만으로 (順天滿) 유입되는 동천과 (東川) 이사천의 (伊沙川)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群集) 종조성과 (種組成) 동태

        노경희,김종홍,정영철 ( Kyung Hee Noh,Jong Hong Kim,Young Cheul Chung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1 생태와 환경 Vol.24 No.3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on Dong Cheon and Isa Cheon flowed into in Suncheon Bay during the periods from May, 1990 to May, 1991. As a result, 128 taxa were identified, comprising of 5 phyla, 6 classes, 10 orders, 23 families, 54 genera, 117 species, 6 varieties, 1 form and 3 unidentified species. The composition of occurrence species were as follows: diatoms are 78%, green algae are 11%, blue green algae are 7% and etc. Dominant species were Melosira grenulata, Melos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Melosira varians, Fragilaria capucina, Navicula cryptocephala, Cymbella tumida, Cymbella ventricosa, and Nitzschia palea.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mmunity varied from 55,000 to 8,015,000 cells/l. Seasonal variation of standing crops appeared increase in spring and peak in summer.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 특성

        노경희,성찬용,Noh, Kyung-Hee,Sung, Chan-Yong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6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flow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high flow concrete. Test results were showed that the slump, slump flow and L-type compacting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But, the Box-type passing and air conte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The slump was $25.5{\sim}27.5cm$, the slump flow was $60{\sim}65cm$, the Box-type passing was $2{\sim}6cm$, the L-type compacting was excellent and air content was $2.7{\sim}3.2cm%$ by the polypropylene fiber content 0.2%, respectively. This concrete can be used for high flow concrete.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 고유동 콘크리트의 역학적 및 건조수축 특성

        노경희,성찬용,Noh , Kyung-Hee,Sung , Chan-Yong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6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te mechanical and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high flow concret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ratio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binder volume ratio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The splitting tensile strengt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binder volume ratio and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The flexural strength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binder volume ratio and increased by the polypropylene fiber content 0.4%, but above the polypropylene fiber content 0.6% was decreased. This concrete can be used for high flow concrete.

      • SCOPUSKCI등재

        난소절제 흰쥐에서 신령버섯의 β-Glucan과 난각 Ca 복합체가 골 대사에 미치는 효과

        노경희,장지현,김진주,박철우,김정옥,김재철,송영선,Noh, Kyung-Hee,Jang, Ji-Hyun,Kim, Jin-Ju,Park, Cherl-Woo,Kim, Jeong-Ok,Kim, Jae-Cherl,Song, Young-S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10

        본 연구는 칼슘 급원으로서 $\beta-glucan-egg$ shell calcium complex($\beta-glucan-Ca$ 복합체)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칼슘 보충제 개발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신령버섯에서 추출한 $\beta-glucan$과 난각의 Ca을 결합시켜 $\beta-glucan-Ca$ 복합체로 제조하여 골다공증 실험동물에서 $\beta-glucan$ 및 $\beta-glucan-Ca$ 복합체가 골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0주령의 Sprague-Dewley 암컷 흰쥐의 양쪽 난소를 절제(OVX)한 후 실험식 이를 급여하였으며 Sham-대조군(Sham-C)은 실험군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개복수술만 실시한 후 실험하였다. 식이조성은 Sham-C, OVX-대조군(OVX-C)와 $OVX-\beta-glucan$군(OVX-G)은 $CaCO_3$로 Ca 함량이 0.5%가 되도록 조정하였으며, OYX-G군은 $\beta-glucan$을 첨가하여 제공하였다. $OVX-\beta-glucan-Ca$ 복합체군(OVX-GE)은 $\beta-glucan-Ca$ 복합체의 Ca 농도가 0.5% 함유하도록 조정하여 실험식이를 각각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체중 100 g당 건조시킨 대퇴골의 무게는 Sham-C>OVX-GE>OVX-C와 OVX-G의 순으로 나타나 $\beta-glucan-Ca$ 복합체를 제공한 OVX-GE에서 다른 OVX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골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Sham-C에 비해 $\beta-glucan$을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특히 OVX-GE에서 가장 높은 골밀도를 보였다. Ca체내 흡수율과 보유량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OVX-C가 Sham-C에 비해 높았으며 OVX군에서는 $\beta-glucan$를 첨가한 군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ALP의 활성은 OVX군에서는 $\beta-glucan$을 첨가한 군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요 중의 골 흡수 지표인 DPD crosslink value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OVX군의 DPD crosslink value가 Sham-C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OVX군의 골 흡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VX군에서 $\beta-glucan$을 첨가한 식이를 제공한 OVX-G와 OYX-GE의 DPD crosslink value가 OVX-C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beta-glucan$이 난소 절제 흰쥐 모델에서 골 대사에 영향을 미쳐 골 흡수율을 낮추어 골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비록 $\beta-glucan$을 제공한 군과 $\beta-glucan-Ca$ 복합체를 제공한 두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소절제 흰쥐모델의 골 대사에서 $\beta-glucan-Ca$복합체 형태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beta-glucan-Ca$ 복합체 형태의 효과적인 농도는 계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garicus blazei $\beta-glucan$ and egg shell calcium complex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OVX) rats. Forty Sprague-Dewley female rats, 10 weeks of age $(248{\pm}1.7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on the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sham operated control treated with normal diet containing 0.5% calcium (Sham-C), OVX-control treated with normal diet containing 0.5% calcium (OVX-C), $OVX-\beta-glucan$ group treated with $\beta-glucan$ diet containing 0.5% calcium (OVX-G), and $OVX-\beta-glucan$ egg shell calcium complex treated with $OVX-\beta-glucan$ egg shell calcium complex containing 0.5% calcium (OVX-GE). Bone weight of femur was higher in the OVX-GE group than in the other OVX groups. Bone mineral density of femu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nd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OVX-GE group. Calcium absorption rate and retention were higher in the $\beta-glucan$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and osteocalcin levels of serum showed lower in the $\beta-glucan$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OVX-C group. Deoxypyridinoline crosslink values of urine, indicator of bone absorption, showed the lowest in the OVX-GE group. The $\beta-glucan$ supplemented groups had a lower bone resorption ratio than in the OVX-C group. We concluded that bioavailability of calcium is higher in $\beta-glucan$ supplement groups compared to those in OVX rats. From the above res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beta-glucan$ egg shell calcium complex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related to bone metabolism, even 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beta-glucan$ and $\beta-glucan-egg$ shell calcium complex supplementation.

      • SCOPUSKCI등재

        식품섭취빈도조사법에 의한 부산지역 여자고등학생의 trans 지방산 섭취 수준

        노경희(Kyung-Hee Noh),송영선(Young-Sun Song),문정원(Jung-Won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5

        부산지역 여고생의 1일 trans 지방산의 섭취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식사력조사와 식품섭취 빈도조사를 여름과 겨울 2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간식빈도는 1일 2회가38.0%로 가장 높았고, 간식시 선호하는 식품으로는 아이스크림이 46.4%로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비교적 우유와 유제품의 선호도가 높았다. 외식의 경우, 외식빈도는 1개월에 1번 외식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43.4%). 외식시 선호하는 식품으로 돼지고기구이, 햄버거, 쇠고기구이가 각각 39.1%, 36.9%, 26.6%로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 외에 패스트푸드는 여고생들이 선호하는 식품이며, 빵을 먹는 경우 마가린을 버터보다 더 선호하였다. Trans 지방산 섭취수준은 소득수준(p<0.05), 간식(p<0.001) 및 외식(p<0.05)의 빈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1일 평균 trans 지방산 섭취수준은 평균 4.24±0.18g이다. 우유와 유제품, 육류 및 가공품 등에 포함되어 있는 N-tFAs 섭취수준은 0.86±0.00 g으로 1일 총 trans 지방산 섭취수준의 20.3%이며, H-tFAs 섭취 수준은 1일 총 trans 지방산 섭취수준의 79.7%에 해당하는 평균 3.38±0.14 g이다. H-tFAs의 섭취수준이 NtFAs의 수준보다 높았다(p=0.000). 본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국민 전체의 trans 지방산 섭취수준은 외국에 비해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여고생들의 섭취수준은 다른 계층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리고 현재의 식생활 패턴과 변화 추이를 볼 때 앞으로 trans지방산 섭취수준은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가공식품을 비롯한 각종 식품중의 trans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여 기초 자료화하는 한편 여고생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trans 지방산 섭취수준을 확립ㆍ제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o assess trans fatty acids (tFAs) intake of a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dietary history and 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were surveyed and analyzed with a total subjects of 274, 268 in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38.0% of subjects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had snack twice a day in frequency of snack intake. The most favorite snack of subjects was ice cream (46.4%), the preference for milk and dairy products was considerably high. 43.4% of subjects responded to once a month in frequency of dining out. They preferred grilled pork (39.1%), hamburger (36.9%), grilled beef (26.6%) in order. It was also appeared that they preferred fast food. In the case of eating bread, 8.0% of subjects ate bread and margarine, 7.1% butter. Generally, the subjects preferred margarine to butter. tFAs intake for each person per day was 4.24±0.18 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FAs intake according to parents income (p<0.05), frequency of snack intake (p<0.001) and that of dining out (p<0.05). tFAs intake produced naturally (N-tFAs) was 0.86± 0.00 g which corresponded to 20.3% of total tFAs intake per day. tFAs intake produced artificially (H-tFAs) in the process of hardening oil was 3.38±0.14 g, equaled to 79.7% of total tFAs intake per da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tFAs and N-tFAs intake for each person per day (p=0.000)

      • KCI등재

        건강한 남자 대학생에서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

        노경희(Kyung-Hee Noh),장지현(Ji-Hyun Jang),김진주(Jin-Ju Kim),신진혁(Jin-Hyuk Shin),김동규(Dong-Kyoo Kim),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6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는 건강한 20대 식품전공 남자 대학생 9명을 선정하여 개인차를 없애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금주를 시켰으며 시험에 앞서 임상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에 대해 충분히 숙지시킨 후 안정된 분위기에서 시험을 cross over design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매일 민들레즙 220 mL씩 1주일간 보충시킨 후 각각 20% 에탄올을 함유한 소주 360 mL씩(에탄올 함량 72 g)을 섭취시켰다. 술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1시간 내에 다 마시게 하였으며 두 번의 실험 사이에는 2주간의 wash-out period를 가졌다.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 섭취 후 혈중 HDL-C 농도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하였으며 LDL-C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DH와 ALDH 활성을 향상시켜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능과 지질과산화 정도는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는 알코올 섭취 후 다소 지질과산화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GSH-red와 catalase 활성이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코올 섭취로 인한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는 민들레즙의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에 의한 임파구 DNA 손상을 다소 억제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동안과 술 마신 다음날에 나타나는 숙취증상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각 문항에서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 섭취 후 HDL-C 농도를 증가시켰고 ALDH 활성을 향상시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며 GSH-red와 catalase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과정이나 지질과산화 생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민들레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물질이 숙취해소와 간 기능 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민들레즙이 알코올에 의한 간 기능 보호, 숙취해소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ttenu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after drinking alcohol in healthy college male students. This human trial was conducted by two phase cross over design with two weeks wash out period. The subjects (age 24~28 years) were volunteers who had more than 72 g of ethanol drinking capacity. Dandelion group was given dandelion juice 220 mL daily for 7 days. Biochemical markers were determined in blood samples taken at 0 and 15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72 g of alcohol. The levels of plasma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lactate dehydrogenase and bilirubin, the indicators of liver cell dam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ymphocyte DNA damage level between groups was observed. However, plasma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in dandelion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Furthermore, activities and protein expressions of glutathione-reductase and catalase of erythrocyt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dandelion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can reduce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syndrome through the elevation of ALDH and antioxidative enzyme system in healthy male adults.

      • KCI등재

        Trans 지방을 첨가한 찹쌀보리빵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혈장 지질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노경희(Kyung-Hee Noh),이영은(Young Huh),장지현(Ji-Hyun Jang),신진혁(Jin Hyuk Shin),이미옥(Mi-Ock Lee),이경식(Kyung-Sik Lee),이승환(Seong-Hwan Lee),김도훈(Do-Hoon Kim),박용규(Yong-Kyu Park),조경환(Kyung-Hwan Cho),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녀(남자 29명, 여자 10명) 39명을 대상으로 trans 지방산 3.75 g을 각각 첨가한 찹쌀보리빵과 밀빵의 섭취가 혈중 지방산 조성과 지질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밀빵 군(19명)과 찹쌀보리빵 군(20명)의 2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장기(6주) 임상시험으로 시행하였다. 밀빵 군은 밀가루 80 g에 trans 지방산 3.75 g을 첨가한 밀빵을, 찹쌀 보리빵 군은 β-glucan 5%를 함유한 찹쌀보리가루 40 g과 밀가루 40 g에 trans 지방산 3.75 g 첨가하여 찹쌀보리빵을 조제하여 제공하였다. 찹쌀보리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3c,n-9 지방산을 제외한 지방산들의 농도가 낮아졌으며 특히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C16:0, C18:1t, C18:1c, C18:2t와 C18:2c의 농도는 밀빵을 섭취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밀빵을 섭취한 군에서 섭취기간이 증가할수록 C18:1t, C18:2c, C18:2t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18:0, C18:1c, C18:3c,n-9과 C18:3c,n-3의 농도는 감소하였고 C16:0와 C18:2c의 농도는 증가 후 일정수준을 유지하여 6주경과 후에서는 섭취 전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P/M/S 비를 보면 섭취 4주까지 두 군 모두에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가 증가한 반면 섭취 6주경과 후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는 찹쌀보리빵 군에서는 감소하는 추세이나 밀빵 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혈중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 농도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또한 찹쌀보리빵의 섭취는 밀빵의 섭취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TG/HDL-C의 비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찹쌀보리에 함유된 β-glucan이 trans 지방의 체내 흡수율을 저하시키거나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에서 가공식품으로부터 공급되는 trans 지방의 체내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밀가루 보다는 찹쌀보리를 활용한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axy barley on the incorporation trans fat (tFA) into plasma lipid and lipid profile through 6 weeks trial. 39 health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fed waxy barley bread (WBG) or wheat bread (WG) containing equivalent amounts of tFA (elaidic acid rich, 3.75 g/day), respectively. Plasma lipi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at 0, 2, 4, 6 weeks after a respective bread were studied. Plasma lipid was extracted by the method of Folch, esterified by acid transmethylation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The fatty acid composition reflected the fatty acid proportion of the test fat. However, consumption of waxy barley bread with tFA for 6 weeks affected plasma fatty acid composition including tFA. Incorporation of tFA into plasma lipid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WBG than in WG after 6 weeks of consumption. Furthermore,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C16:0 and C18:0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ed in WBG than in WG. Furthermore,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and TG/HDL-cholesterol ratio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ed in WBG compared to WG at 2, 4 and 6 wee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xy barley bread with high β-glucan lowered plasma trans, saturated fatty acid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though the inhibition of lipid absorption.

      • KCI등재

        Trans 지방과 쌀, 콩을 첨가한 빵의 섭취가 건강한 성인 남녀의 혈장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노경희(Kyung-Hee Noh),허영(Young Huh),장지현(Ji-Hyun Jang),김소희(Soo-Hee Kim),신진혁(Jin Hyuk Shin),김도훈(Do-Hoon Kim),이승환(Seong-Hwan Lee),이경식(Kyung-Sik Lee),박용규(Yong-Kyu Park),조경환(Kyung-Hwan Cho),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8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녀(남자 23명, 여자 10명) 33명을 대상으로 trans 지방 3.75 g을 첨가한 쌀 빵, 콩 빵과 밀 빵의 섭취가 식후 혈장에서의 지방산과 지질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각 군 당 11명씩 3군으로 분류하였다. 쌀 빵은 밀가루 40 g과 쌀가루 40 g에 trans 지방 3.75 g을, 콩 빵은 콩가루 30 g과 밀가루 50 g에 trans 지방 3.75 g을 첨가하였고, 밀빵은 밀가루 80 g에 trans 지방 3.75 g을 첨가하여 식빵 형태로 각각 조제하였다. 대상자들은 8시간 공복 후 각각의 빵을 섭취하고 0, 1, 2, 3, 4시간 후 채혈하였고, 이는 혈중 지방산과 trans 지방산의 농도 및 지질 수준 분석에 이용되었다. 포화지방산인 C16:0과 C18:0의 수준은 밀 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콩 빵과 쌀 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 후 유사한 수준이었다. C16:0은 콩 빵과 밀 빵을 섭취한 군에서는 섭취 1시간 후에 peak에 도달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섭취 4시간 후 밀 빵 군에서는 변화량은 섭취 전의 수준과 유사하였으나 콩 빵 군에서는 섭취하기 전보다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18:0은 섭취 1시간 후 콩 빵과 쌀 빵을 섭취한 군이 밀 빵을 섭취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콩 빵과 쌀 빵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rans 지방산인 C18:1t과 18:2t는 세 군 모두에서는 섭취 2시간 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섭취 4시간 후에는 콩 빵 섭취한 군에서의 C18:1t의 혈중 농도가 가장 낮았다. C18:1c은 섭취 4시간 후 콩 빵 군에서 가장 낮았고 쌀 빵 군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콩 빵의 섭취는 TG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콩 빵의 섭취는 밀 빵을 섭취했을 때보다 혈중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 농도와 TG의 수준을 저하하였으며 이것은 콩에 함유된 식이섬유와 생리활성물질들이 지방산과 지방의 체내 흡수율을 저하시키거나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는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trans 지방산을 비롯한 포화지방산과 TG의 체내 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밀 빵보다 콩 빵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rans fat (tFA) may have adverse or beneficial effect depending upon the position and number of double bonds. The presence of tFA in human tissues and fluids is related to dietary intake, intestinal absorption, metabolism and storage, exchanges among compart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reads containing tFA, soybean or rice on postprandial plasma fatty acid and lipid composition. 33 health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fed soybean bread, rice bread or wheat bread groups containing equivalent amounts of tFA (elaidic acid rich, 3.75 g/day), respectively. Postprandial lipid profiles at 0, 1, 2, 3 and 4 hours after a respective meal were studied. Plasma fatty acid was extracted by the method of Folch and methyl ester of fatty and prepared by acid transmethylation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Peaks were identified using pure reference compounds and quantified. Postprandial data indicated that consumption of soybean and rice breads with 3.75 g tFA retarded the appearance of C18:1 and C18:2 tFA in plasma lipid compared to that of wheat bread. Futhermore, soybean and rice bread groups showed lower plasma saturated fatty acid levels than wheat bread group. Postprandial TG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soybean bread group compared to that of rice and wheat bread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soybean bread with high dietary fiber content and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may inhibit or delay lipid absorption.

      • KCI등재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난소절제 흰쥐에서 녹차가공품이 골 대사 지표에 미치는 효과

        노경희(Kyung-Hee Noh),장지현(Ji-Hyun Jang),조미경(Mi-Kyung Cho),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2

        본 연구는 폐경 후 녹차잎 함유 건강기능성 제품으로 녹차가루(15%)와 녹차잎 추출물(35%), 두충추출물(15%), 감잎 추출물(15%), 검정콩 가루(18%) 및 찹쌀 풀과 꿀(2%) 등을 배합하여 조제된 녹차가공품(이하 GTP)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시킨 난소절제 흰쥐의 골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10주령의 Sprague-Dewley 암컷 흰쥐(평균 체중 279±2 g)로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으며 양쪽 난소를 절제(ovariectomy: OVX)하였다. Sham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개복수술만 실시한 후 2주간 배합사료를 급여한 후 Sham-대조군 (Sham-C)과 OVX-대조군(OVX-C)은 AIN' 76에 기초해서 제조한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를, OVX 실험군은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에 GTP 5%(OVX-G5)와 20%(OVX-G20)를 함유한 실험 식이를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식이 조제 시 Ca 함량은 총 식이의 0.4% 수준으로 조정하였으며 Sham-C, OVX-C와 OVX-G5는 CaCO₃를 첨가하여 조정하였고 OVX-G20은 Ca 함량이 0.4%였으므로 별도의 CaCO₃를 첨가하지 않았다. OVX군에서의 식이효율은 OVX-G5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Sham-C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Sham-C>OVX-G5와 OVX-G20> OVX-대조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골격 형성의 생화학적 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OVX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Estradiol의 농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ham-C> OVX-G20> OVX-G5> OVX-C의 순으로 나타나 GTP 20%를 첨가한 군과 Sham-C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Osteocalcin 농도는 OVX-C에 비해 GTP를 첨가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GTP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혈청 osteocalcin 수준이 감소하였고 OVX-G20에서는 Sham-C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ALP 활성이 증가될수록 osteocalcin의 농도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DPD crosslink value는 OVX-G20이 OVX-C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폐경기에 ALP 활성과 osteocalcin의 농도가 높은 것은 골 교체율이 빠른 것을 나타내므로 난소절제 흰쥐에서 GTP가 골 교체율을 감소시켜 골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골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GTP 5%와 20%의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난소절제 흰쥐모델의 골 대사 지표에 다소 유리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녹차가공품이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녹차가공품의 효과적인 섭취량은 계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reen tea products (GTP) on bone metabolism marker in ovariectomized (OVX)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Forty Sprague-Dawley female rats, 10 weeks of age (279±2 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on the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sham operated control (Sham-C) and OVX-control (OVX-C) groups treated high cholesterol diet. OVX-GTP 5% (OVX-G5) and OVX-GTP 20% (OVX-G20) groups were treated with high cholesterol diet containing 5% GTP and 20% GTP, respectively. Food efficient ratio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OVX-G20 than in the other OVX groups. Bone mineral density of femu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the order of Sham-C>OVX-G5 and OVX-G20>OVX-C.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on serum was lower in the GTP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OVX-C. Estradiol levels of serum were higher in the GTP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OVX-C. Osteocalcin levels of serum was the lowest in the OVX-G20. Deoxypyridinoline crosslink values of urine, indicator of bone absorption, was the lowest in the OVX-G20 group. The GTP supplemented groups had a lower bone resorption ratio than in the OVX-C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GTP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s related to bone metabolism in menopause.

      • KCI등재

        한국인 상용 가공식품의 trans 지방산 이성체

        노경희(Kyung-Hee Noh),원미숙(Mee-Sook Won),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3

        한국인의 상용 가공식품 중 trans 지방산 함량이 많고 섭취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41종을 선정하여, trans 지방산 이성체의 종류 및 함량을 GC/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23cis/trans FAME capillary column을 사용하였으며, 검출된 peak의 동정은 GC/MS spectrum을 검색하여 동일분자량 여부로 확인하였다. 마가린류는 trans 지방산 함량이 지방 100g당 4.75~25.21 g으로 다양한 수준을 보였다. 마가린의 주요 trans 지방산 이성체는 C18:1△9t로 모든 마가린에서 검출되었으며 1.10~14.53%의 범위였다. C18:2t의 총 함량은 2.02~7.91%의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C18:3t는 0.33~1.39%의 수준이었다. 유지류의 trans 지방산 함량은 지방 100 g당 5.40~16.55 g의 범위였으며, 대두유에서는 C18:1△9t가 0.95%로 가장 높았으나, 옥수수유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쇼트닝은 3.1~5.1%로 1.6~4.3%인 라드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에서는 C16:1△9t, C18:1△9t, C18:2t 및 C18:3t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양념류인 마요네즈에서는 C16:1△9t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4.93%의 trans 지방산이 검출되었다. 과자류 중 trans 지방산 함량이 현저하게 높은 팝콘(48%)에서 C16:1△9t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C18:1△9t는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빵류에서는 C18:1△9t가 trans 지방산 이성체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냉동피자의 C18:1△9t 함량은 30%를 초과하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슈크림빵은 높은 C18:2t 함량을 보였으며(8.26%), 불고기버거와 피쉬버거의 C18:2t trans 지방산 함량은 3.26%와 3.3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육 가공품 및 튀김류 중 냉동 닭튀김과 냉동 감자튀김의 trans 지방산 함량이 15%~19%의 수준으로 높았으며, C18:1△9t과 C18:2t가 그 주된 성분이었다. 돼지고기구이(목살)에서는 C18:1△9t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냉동감자튀김에서는 C16:1△9t이 검출되지 않았다. 1회 분량 당 trans 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품은 팝콘, 냉동피자, 감자튀김과 닭튀김, 빵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rans fatty acids (tFAs) isomers of processed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The tFAs positional isomers were analyzed using GC/MS spectrometer with HP-23 cis/trans FAME, capillary column (50 m×0.20 ㎜, id., 0.2 μm film thickness) for 41 food samples. TFAs isomer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retention time with standards and GC/MS spectrum. In margarines, the content of tFAs ranged from 4.0% to 25.16% and the most abundant positional isomer of tFAs was C18:1△9t. In oils and fats, lards contained higher levels of tFAs (5.70~16.54%) than shortenings (6.77~10.55%). Shortenings contained higher levels of C18:1△9t (3.1~5.1%) than lard (1.6~4.3%), but corn oils had no tFAs. In seasonings, mayonnaise had no C16:1△9t, whereas C18:3t was detected. The content of tFAs in confectioneries was wide (16.20~52.16%). Among them, instant popcorns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tFAs. Milk and dairy products showed even distribution of tFAS such as C18:1t, C18:2t, and C18:3t. Predominant tFAS isomer of condensed milk and ice cream was C16:1△9t. Frozen french fries and fried chicken contained higher levels of C18:1△9t (9.4%), whereas grilled pork (jowl) had no C18:1△9t. The amount of tFAs per serving size was the highest in popcorn, followed by frozen pizza, frozen french fries, fried chicken, and bak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