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유물로 본 소비양상

        남진주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본 글은 호남지역 45개 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석곽묘 95기, 토광묘 329기의 출토 유물을 대상으로 소비 유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출토된 유물은 청자, 도기, 청동기, 철기, 목기 등 다양한 재질의 구성을 보인다. 각각의 유물은 재질과 상관없이 기능적인 부분에서 서로 보완관계에 있고, 시기별로 선호되거나 소비된 기종, 재질의 빈도 차이를 보인다. 출토된 청자는 일부 기종을 제외하면 매우 조질이다. 생산지는 강진과 부안 이외의 고창, 진안, 해남, 나주, 함평 등 호남지역 곳곳에 분포한다. 따라서 출토된 청자의 대부분은 근거리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유물은 생활용기(반상기), 다기, 주기, 저장용기, 착장용품 등의 소비유형이 보인다. 이들은 시기별로 그 구성의 차이를 보이는데 가장 많이 출토된 청자완, 발, 대접, 접시 등 주요 기종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전기에는 완의 비율이 가장 높고, 중기로 가면서 완의 비율이 줄고, 발이 증가하며, 대접이 조금씩 출토되기 시작한다. 후기에는 접시와 대접의 비율이 증가하여 반상기의 기본 구성을 이룬다. 이러한 변화는 음식의 변화로 청동숟가락과 젓가락의 증가와도 맞물려 있다. 그리고 시기별로 부장된 재질의 차이도 보이는데 전기 분묘에서는 청자, 도기, 청동기의 출토 비율이 비슷하고, 중기 분묘에서는 청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한다. 후기 분묘에서는 청동기가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중기 청자의 증가는 청자공예의 절정을 이루는 시기로 제작양이 많았을 뿐 아니라 강진과 부안이라는 최고의 가마가 위치한 지역이라는 입지가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 후기에 금속기의 비율이 높아지는 원인은 고려후기 청자는 대형화 되는 등 질적인 하락을 가져왔고, 이에 비해 고급기종인 청동기의 선호가 지속된다. 또한 고려후기 지배층의 매장지가 경기가 아닌 다른 지방에 묘지를 정하는 경향이 점차 심화되어 향리 출신 뿐 아니라 중앙귀족 출신 계층 가운데에도 은퇴 후 낙향하여 사망하고 그곳에서 매장되는 현상이 보편화 되는데 이 또한 다소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호남지역 분묘 출토 유물은 생활용기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지만 그 외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 개발/양산 병행 사업(IFF 성능개량)의 사례연구를 통한 품질경영 프로세스 고찰

        남진주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일반적인 무기체계 연구개발 사업은 설계, 시제품 생산 및 시험평가를 거쳐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은 후, 국방규격이 제정되면 양산단계로 진입한다. 양산단계에는 체계개발을 통해 확정된 국방규격을 기준으로 생산하며, 방위사업 품질관리규정 및 관련 업무 지침에 따라 품질보증 활동을 수행한다. 최근 급변하는 전장 환경에 대응을 위해 전력화 시기 단축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개발/양산이 병행되는 사업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피아식별장비 성능개량 사업의 경우 개발과 양산이 동시 계약되어 체계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 양산이 착수되기 때문에, 기존 체계개발사업과는 달리 품질보증 업무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및 기준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 방위사업청/소요군/국방기술품질원/업체 등 유관기관의 이해관계나 입장에 따라 의사 결정되어, 개발 지연 및 사업비용 증가로 사업위험(Risk)이 커지거나 품질보증 활동이 면제 또는 완화되어 품질보증에 대한 위험 요소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규정이 불명확한 피아식별장비 성능개량 사업 사례를 통해, 현 프로세스 실태를 파악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제안하여 규정 정립을 위한 참고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능실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피부 광노화 억제 효능

        남진주 ( Jin-ju Nam ),이경은 ( Kyung-eun Lee ),박지은 ( Ji-eun Park ),문성준 ( Seong-joon Moon ),염종경 ( Jong-kyung Youm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4

        자외선은 피부의 구조적, 생리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외부 환경 인자로서 광노화, 일광화상 및 피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자외선은 외부적인 스트레스 자극 인자로 작용하여 피부 세포 내에서 비활성 코르티손을 활성 코르티솔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 -HSD1)의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VB에 의해 증가된 11β-HSD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에 다양한 천연물을 스크리닝한 결과, 능실 추출물이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능실 추출물을 추가 분획하여 사람 섬유아세포와 3D skin model에서 피부 광노화 억제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능실 추출물 및 분획물은 섬유아세포에서 11β-HSD1의 발현을 억제함과 동시에 자외선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3, 9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IL-6, 8)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 또한, 3D skin model을 이용한 평가에서, 능실 추출물은 UVB에 의한 MMP-1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고, UVB에 의한 표피 두께 감소 및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감소를 회복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능실 추출물 및 분획물은 UVB에 의한 11β-HSD1의 발현 증가와 이에 수반하는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을 확인하였다. Ultraviolet B (UVB) is a primary environmental factor that induces adverse effects on skin such as photoaging, skin burn and cancer. UVB also increases the expression of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 which converts inactive cortisone to active cortisol in response to a variety of stressors in target tissues. Thus, we have screened new herbal extracts that suppress 11β-HSD1 expression induced by UVB in human dermal fibroblasts.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Trapa japonica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inhibit UVB-induced photoaging in Hs68 cells and 3D skin model. Results showed that TJ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of 11β-HSD1 expression in UVB-exposed Hs68 cells significantly.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not only inhibited 11β-HSD1 expression, but also suppressed the increase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1, 3, 9)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8) in UVB-irritated Hs68 cells. TJ extract also inhibited MMP-1 expression in UVB-irritated 3D skin model. In addition, TJ extract recovered UVB-induced decreases of epidermal thickness and PCNA-positive cells in 3D skin mode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inhibit UVB-induced skin photoaging by interfering with 11β-HSD1 and MMPs.

      • KCI등재

        각질형성세포에서 RO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대한 능실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항염 효과

        남진주 ( Jin-ju Nam ),김연준 ( Youn Joon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1 No.1

        자외선은 외부적인 스트레스 자극인자로 작용하여 사람 각질형성세포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비활성 코르티손을 활성 코르티솔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의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ROS가 증가된 피부에서는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과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질형성세포(HaCaT)에서 11β-HSD1 억제제가 ROS 분해효소인 catalase의 생성을 회복시킴에 착안하여, 11β-HSD1의 발현을 저해함과 동시에 ROS로부터 유도되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천연물 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그 중 능실 추출물과 그 분획물은 각각 11β-HSD1의 발현과 ROS 생성 증가를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1α, -1β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매개인자인 cyclooxygenase (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staglandin E<sub>2</sub> (PGE<sub>2</sub>)의 생성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능실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은 11β-HSD1의 발현을 억제함과 동시에 ROS에 의해 유발된 피부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nduces both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glucocorticoids (GCs)-mediated stress responses such as an increase of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 activity in skin. In addition, RO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rigger skin inflammation. In this study, as 11β-HSD1 inhibitor recovered a decrease of catalase expression, we investigated whether Trapa japonica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could inhibit 11β-HSD1/ROS-induced skin inflammation in HaCaT keratinocytes.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inhibited expressions of 11β-HSD1 as well as the increase of ROS in UVB-exposed HaCaT keratinocytes. Moreover,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α, -β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cyclooxygenase (COX)-2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as inflammatory mediators were also inhibited in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Finally, prostaglandin E<sub>2</sub> (PGE<sub>2</sub>) produced by COX-2 was inhibited effectively by TJ extract and its fract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J extract could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ingredient to inhibit UVB-induced inflammation in skin.

      • KCI등재

        Alpinetin의 Dexamethasone으로 유도한 피부 노화 완화 효과

        남진주 ( Jin-ju Nam ),김연준 ( Youn Joon Kim ),강승현 ( Seunghyun Kang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2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glucocorticoid (GC)는 glucocorticoid receptor (GR)와 결합하여 염증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강력한 항염 효과를 준다. 따라서 GR을 활성화하는 GC 제제들이 개발되어 피부염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GC 제제들은 피부 장벽 기능 저하, 진피층 두께 감소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고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특히 GC 성분은 11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에 의해 활성화되어 GR의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테로이드 제제인 dexamethasone에 의해 증가된 11β-HSD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여, 초두구 추출물에서 유래한 alpinetin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lpinetin은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dexamethasone에 의해 발현이 증가한 11β-HSD1를 억제함과 동시에 GR의 활성 및 cortisol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사람 섬유아세포 및 3D skin model을 이용한 평가에서, alpinetin은 dexamethasone에 의한 콜라겐 감소와 진피층 두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alpinetin은 11β-HSD1의 발현 증가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 및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Steroid hormone, glucocorticoid (GC) has strong anti-inflammatory effects by binding to glucocorticoid receptor (GR)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genes. Therefore, agents that activate the GR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dermatitis. However, the agents have side effects such as skin barrier dysfunction and dermal atrophy, inducing skin damage as well as skin aging. It has been reported that GC is activated by 11 beta-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G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natural materials that can effectively inhibit dexamethasone. We found that alpinetin isolated from Alpinia katsumadai extrac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is. Alpinetin not only inhibited 11β-HSD1 expression, but also suppressed the increase of phosphorylated GR and cortisol concentration. Alpinetin also recovered collagen expression in dexamethasone-treated dermal fibroblasts, and the reduction of dermal thickness in dexamethasnone-treated 3D skin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pinetin prevents skin aging induced by the increase of 11β-HSD1 expression.

      • KCI등재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의 편년과 변화 양상

        남진주(Nam jin-ju)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이 글은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중심으로 고려전기 도자의 편년과 양상의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41개 유적의 분묘 166기에서 출토된 청자와 백자 등 자기 274점, 도기 118점이다. 분묘의 형태는 석실묘 2기, 석곽묘 126기, 토광묘 38기로 석곽묘가 80% 정도를 차지하나 석곽묘는 충청권에 집중되는 등 지역적인 편차가 존재한다. 유물은 기종과 특징에 따라 형식 분류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순서배열법을 적용하여 편년과 특징을 좀 더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는 두 시기로 구분되었다. 먼저 1기는 고려 건국에서 전축요가 소멸되는 11세기 초로 편년하였고, 석실을 비롯한 석곽묘와 토광묘 등 다양한 형태의 묘제가 공존한다. 1기 분묘 출토 유물은 선해무리굽완과 과도기식 해무리굽완을 포함한 전축요 단계에서 제작된 접시, 잔, 유병 등 한정적이고 제한된 형태의 초보적인 청자류가 중심이 된다. 도기는 통일신라시대 토기와 금속기의 영향을 받은 병과 발 등 비교적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즉 1기의 도자는 통일신라시대 영향을 받은 도기와 중국 월주요의 영향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자기가 완전한 기능 분화가 되지 않은 채 서로 공존하였고, 비교적 많은 양의 중국 청자류가 수입되어 사용되었다. 2기는 11세기 전반에서 후반까지로 한국식 해무리굽완과 변형 해무리굽완을 중심으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완, 접시, 잔이 제작되었고, 잔탁이나 주자 등 茶具의 생산량도 증가한다. 반면 도기류는 병과 같이 단순한 기종에 제한된다. 이것으로 보아 2기는 도기와 자기의 기능분화가 어느 정도 정립되었고, 자기의 생산량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양이 시문되는 예가 증가하는데 예를 들면 상단에 음각의 반원문을 돌린 후 하단을 깎은 연판문과 단순한 형태의 당초문이나 연판문이 음각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제도의 정비, 수공업의 안정과 함께 다양한 도자의 소비층이 형성된 것에서 기인하였으며, 차문화의 확대 또한 다구의 소비를 촉진시키며 청자 생산의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국산 도자의 생산 증가는 자연스럽게 중국 도자의 수입을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통해 고려전기 도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ceramic in the early Goryeo based on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subjects are 274 pieces of porcelain and 118 pieces of pottery such as celadon and white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166th tomb of 41 ruins in Gyeon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There are 2 stone chamber tombs, 126 stone outer coffin tombs, 126 pit tombs.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showed the local standard deviation, accounting for approx. 80% in Chungcheong area. The artifact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feature, based on which, the sequence revealed by seriation method was applied more specifically to chronological forms and features.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is chronologically estimated between the foundation of Goryeo and the early 11th century, and various types of tombs coexist, including a stone outer coffin tomb and pit tomb along with the stone chamber.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s in the first period are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basic celadons such as plate, cup, and Yu-byeong(oil bottle), all of which were produced at the stage of brick-built kiln including the pre Haemuri-gup and transitional Haemuri-gup. Pottery shows a variety of forms such as bottle and feet affected by the earthenware and metalware of the Unified Shilla era. In other words, the porcelain of the first period coexisted with the pottery influenced by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porcelain by Yuezhouyao in China, not fully divided. Also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hinese celadon were imported and used in such period. In the second period from the early 11th century to late Goryeo, a more variety of ceramics such as bowl, plate and cup were produced in form of Korean style Haemuri-gup and modified Haemuri-gup while the production of tea utensil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pottery is limited to a simple model like bottle. Referring to this trend, during the second period it is found that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pottery and porcelain was established to some extent and the production of porcelain increased. In addition, various patterns increasingly were engraved on the porcelain, e.g., the semicircle pattern engraved on the upper part, and lotus carved on the bottom, simple form of vine pattern or engraved lotus petal pattern. These changes stemmed from establishment of the new manufacturing system and a broad range of consumers, promoting the expansion of the tea culture as well as the consumption of tea utensils, and providing the driving force for celadon production.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domestic ceramics has naturally reduced the import of Chinese ceramics. It was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changes of ceramics in the early Goryeo through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 KCI등재

        朝鮮後期 烏瓷의 개념과 특징

        남진주(Nam Jin-Ju) 호서사학회 2010 역사와 담론 Vol.0 No.56

        Explaining about ‘Ohja’ as it is, it means ‘black-colored pottery’. Therefore, it has extremely extensive range if it is translated literally. Today Ohja is called ‘Ohji Ware’ and is recognized by including Dogi and Onggi. It is often confused with Sokkanju and Chilgi because of its visual features with a black colo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clear concept of Ohja and range of ware called to be Ohja by examining literature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study made a close inquiry into what relations Ohja had with Onggi, Sokkanju and Chilgi that might be confused with Ohja. Finally, the study materialized uses and features of Ohja more through real cases of Ohja. Ohja recorded in literature regarded white clay to be substitute clay in features of material and diluted red ocher thinly or plastered black-colored glaze. There were Jar(ong), Pot(hang) and Bottle in kinds of ware made of Ohja. Although Jar is a relatively large ware in size, relatively small-size wares such as Jungwonyi(中圓伊), Jeonhangyi(田缸伊) and Gorakyi(高?伊) were preferred and regarded to be the highest quality. In use, there were somewha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form. Jar was to put or store wine or paste, pot was to store oil, honey and drinks and bottle played a role of cruet to put liquid such as wine, paste, oil and vinegar. The study examined relations with Onggi, Sokkanju and Chilgi since Ohja was in confusion with them. As a result, Onggi had a distinct difference with Ohja since it was a ware us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used red clay mixing with a lot of sand to be fundamental clay. Sokkanju played a role of pigment to put a picture into ceramic ware, dancheong(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general painting.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Sokkanju means white porcelain with undergraze iron-brown. Chilgi is a concept created after official kiln was privatized and has a distinct difference with Ohja since it includes a lot of iron and impurities in clay.

      • KCI등재

        尙州 靑里 고분 출토 청자 편년 연구

        남진주(Nam Jin-ju) 한국미술사학회 2000 美術史學硏究 Vol.- No.225·226

        Recent excavations of Kory tombs at Locality A of the Chung-ri site in Sangju. Ky ngsangbuk-do Province, unearthed a number of celadons of early type. presumably dated earlier than the 12th century. as well as a variant of celadon with greenish color called nokch ngja (綠靑磁).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ose finds and to establish the proper chronological order of sequence. The materials for this analysis consist of 55 celadons. 1 white porcelain. and 7 pieces of earthenware. Most of them are bottles, dishes, bowls, and basins (wan 碗) with the halo-shaped design on the bottom called haemurigup. They are classified in several types and then arranged in a chronological sequence by applying the seriation method and comparing them with the materials from other sites. The sequence thus revealed consists of: earthenware type Ⅰ: haemurigup wan. bowl type Ⅰ:, celadon bottle type Ⅰ-1. bowl with foliated rim: bowl type Ⅱ-1, dish: bowl type Ⅱ-2, celadon bottle type Ⅰ-2: bowl type Ⅲ-1, bottle with underglaze iron: bowl Ⅲ-2. By comparison with the materials from other sites each of them are dated: earthenware from the mid-9th to the early 10th centuries: haemurigup wan from the late 9th to the early 11th centuries: celadon bottle type Ⅰ-1, bowl with foliated rim from the late 9th to the mid-10th centuries: bowl type Ⅱ and Ⅲ, dish, and celadon bottle type Ⅰ-2 from the late 10th to the late 11th centuries. These dates corresponds well with the result from the ser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