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의 법 사상에 대한 일 고찰 ― 다산의 흠흠신서 에 나타난 법과 도덕률의 균형을 중심으로 ―

        나우권 동양철학연구회 2022 東洋哲學硏究 Vol.111 No.-

        Confucians have once been identified as valuing morality and ignoring punishment. But what the Confucians argued was the rule of law based on the moral code. Criticizing the harsh rule of law of the Chin Dynasty, the Han Dynasty abolished the punishment on the body and collective punishment. This is because if you leave a punishment on your body, you will be stigmatized by society, and even if you reflect on your mistakes, you will b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pursue a new life. This was because if collective punishment was enforced and only punishment was emphasized, another aspect of the law, the corrective function, would be crippled. Furthermore, the concept that the law should be derived from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the notion that the law must conform to righteousness and humanity, etc., appeared. In other words, a kind of concept of natural law has emerged. Therefore the 'Confucianization of the law' is achieved. In this article, two key contents were found in the book of Tasan‘s Heumheum sinseo. First, the law was systematically operated on the basis of evidence. In the first case, on-site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and both human and material evidence were obtained. By securing a coherent statement of high credibility, he sought to secure human evidence, and at the same time to find material evidence so as not to produce resentful criminals. In the second case, the evidence that was identified as definitive physical evidence was refuted, proving that it was nothing more than unclear circumstantial evidence. He also stated that when the victim's statement is changed, the initial statem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last statement. In the third case, it is argued that the victim's statement, the coronial report, and the fair testimony must be consistent. Second, it examined the higher-order equations for achieving the 'Confucianization of the law'. The fourth case re-examined the case of young girls who committed suicide in conflict with their stepmother. No matter how much a parent is directly or indirectly responsible for forcing their daughter to choose death, she should be punished with the death penalty. However, the case accurately stated that the stepmother did not engage in any causal acts that led to the suicide of her two daughters. In today's legal system, stepmothers will be acquitted. But Tasan did not stop there. He punished the daughters lightly, pointing out that they had insulted and ineffectualized their stepmothers. Although suicide is unfortunate, a slight punishment was imposed to make us aware of the shame of failing to keep filial piety. In the fifth case, he criticized the reality that morality is emphasized and the law is ignored. The case was a retaliatory murder of the wrong person for misunderstanding the death of her husband, and the judge praised the murderer as a the woman who keeps fidelity and acquitted her. He argued that since the unlimited expansion of the moral code leads to the collapse of the law and produces a pervasive counter-effect of false moral consciousness, the 'Confucianization of the law' must be kept in check under a certain degree of legal sanctions. In the sixth case, he sought a balance between law and morality, insisting that the law should be strictly enforced and morality should be commended. 유가는 도덕을 중시하면서 형벌을 무시하였다고 파악한 적도 있다. 그러나 유가가 주장한 바는 도덕률에 의거한 법치였다. 진秦나라의 가혹한 법치를 비판하면서 한문제漢文帝는 신체에 가해지는 형벌(肉刑)과 연좌죄를 폐지하였다. 신체에 형벌을 남길 경우, 사회적 낙인이 찍혀서 잘못을 반성하더라도 새로운 삶을 추구할 기회가 박탈되기 때문이다. 연좌죄를 시행하여 처벌만 강조할 경우, 법이 가진 또 다른 측면인 교정矯正 기능이 무력화되기 때문이었다. 나아가 법이 자연의 원리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는 道生法 개념, 법이 올바름(義)과 인심人心에 부합해야 한다는 일종의 자연법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흐름의 연장선에서 ‘법의 유가화’가 이루어지는데, 본고에서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다산茶山의 흠흠신서欽欽新書 에서 찾았다. 그 내용은 두 가지이다. 첫째, 증거에 입각하여 법을 체계적으로 운용하였다. ‘3.곡산부 김대득 사건’에서는 현장 검증을 반드시 실시하고, 인적 증거와 물적 증거 모두를 확보하였다. 신빙성이 높은 일관된 진술을 확보함으로써 인적 증거를 확보하고, 동시에 물적 증거를 찾아서 억울한 범죄자를 양산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다. ‘1.수안군 김일택 옥안’에서는 확실한 물증이라고 파악되던 증거들을 논파하여 명확하지 않은 정황 증거에 불과함을 입증하였고, 피해자 진술이 변경될 때 최후 진술보다 최초 진술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5.북부 함봉련 옥사’에서는 피해자의 진술․검시 보고서․공증公證이 일치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여, 거짓 증언을 무력화시켰다. 이상의 세가지 내용이 일치되지 못할 경우, 사건이 명확하게 해결되지 못한 것이므로 수사 기록 이면의 권력관계까지도 고려하였다. 둘째, ‘법의 유가화’를 이루기 위한 고차방정식을 고찰하였다. ‘8.강진현 백필랑 백필애 사건’에서는 계모와의 갈등 속에서 자살한 어린 소녀들의 사건을 재조사하였다. 아무리 부모라도 딸이 죽음을 선택하도록 직간접적인 책임이 있다면 사형죄로 처벌해야 한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는 계모가 두 딸이 자살하게 된 인과관계가 있는 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정확하게 밝혔다. 오늘날의 경우 계모는 무죄로 방면될 것이다. 그런데 다산은 이에 그치지 않고, 자식들이 계모에게 욕을 하면서 불효를 일삼았다는 점을 지적하여 신장 30대로 처벌하였다. 가족 구성원이 자살하였다는 점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효를 지키지 못한 부끄러움을 알게 하기 위해 경미한 처벌을 내린 것이다. ‘4.수안군 최주변 복검안’에서는 도덕이 강조되면서 법질서가 무시되는 현실을 비판하였다. 이 사건은 남편의 죽음을 오해해서 엉뚱한 사람에게 보복 살인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열녀로 칭송하고 무죄방면하였다. 다산은 도덕률의 무제한적인 확대가 법질서의 붕괴로 이어지고 거짓된 도덕의식으로 가득차는 역작용을 낳기 때문에, ‘법의 유가화’는 일정한 정도의 법적 제재 속에서 견제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1.강진현 정절부 사건’에서는 법을 엄정하게 집행하고 도덕을 표창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법과 도덕의 균형을 추구하였다. 법의 측면에서는 살인 계획을 주도한 사람을 정범으로 처리한다는 법 조문을 정확하게 이해시키고, 가해자의 입장을 옹호하여 사건을 은폐하고 축소하려는 잘못된 재판관을 비판하였다. 도덕의 측면에서는...

      • KCI등재

        곽점 편장순으로 해석한 노자(1) -갑본 제1간~제10간의 視素保樸을 중심으로-

        나우권,빈동철,성시훈 한국도교문화학회 2020 道敎文化硏究 Vol.53 No.-

        This article is the first result of study from the seminar of Chu manuscripts that is designed to understand archaeologically excavated tex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terms of thought and paleography. With a paleographic approach to the Guodian and later Laozi texts, and by critically investigating earlier understandings and arguments on the texts, this study is to give a new interpretation on the Guodian version in an attempt to reconstruct an intellectual history of pre-Qin China. Given the philosophical stratification between the Guodian and later Laozi texts, those who supported main ideas in the former text did not seem to make a sharp criticism about Confucius and his followers. This suggests that early Daoist thought was not antagonistic to Confucianism. Although the Guodian Laozi text remained fluid in its textual formation and unsophisticated in its language, the textual content is more coherent in philosophical meaning than the current Wang Bi version. In this respect, it is hard to see the Guodian version as an anthology or summary of the later Laozi texts. Rather, it is reasonable to see the Guodian Laozi text as an early model of the different Laozi versions that were later formed. 이 글은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문헌인 『郭店楚墓竹簡』의 <노자> 텍스트를 그 사상과 문헌학적 방면의 이해를 목적으로 구성된 세미나의 첫 번째 결실이다. <곽점노자> 텍스트를 대상으로 전국시대 楚 나라 문자를 이해하여 문자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기존의 이해와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새롭게 원문을 번역하고 해석하여 선진 사상을 철학적으로 재구성하려는 노력을 포함하고 있다. <곽점노자>를 이후의 판본들과 문자학적으로 비교 분석한 것을 토대로, 철학적 의미의 서로 다른 지층을 재구성한 이 연구는 초기 도가적 사유가 유가에 대하여 선명한 비판을 전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곽점본 <노자>의 언어적 표현이 다소 세련되지 못하고 여전히 유동적이고 형성되고 있는 과정에 있는 텍스트이지만, 논의의 일관성이 있고 통행본에 비해 보다 정합적이라는 측면에서, 이 텍스트를 통행본의 요약본으로 보는 견해에 대하여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연구의 성과는 곽점본 <노자> 텍스트가 초기 도가적 사유가 잘 드러나고 있는 통행본의 초기 모델로 보는 견해가 보다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 KCI등재

        갈홍 연구의 회고와 전망 - 연구 목록 첨부 -

        나우권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6 No.1

        History of Gehong's study is composed of four part: First, lifetime; second, thought; third, nurturing life; forth, literature and aesthetics. First, his lifetime is mostly understood 284-363, and his voluminous works were comprised with Baopuzi, Shenxianzhuan, Zhouhoubeijifang etc. Studies on this part contains little issue to be discussed in Korea. Second, thought is divided into two parts, that is argument of dao and rel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daoiam. Third, ways of longevity include shenxian, methods of yangsaeng, oriental medicine. Forth is literature and aesthetics.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daoism, it need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translate precisely classics such as baopuzi etc. Second, we must study more systematically in Gehong's philosophy. Third, we need to expand into chinese philosophy. 세계 도교학계의 갈홍에 대한 연구는 총류, 사상, 방술, 그리고 문학과 미학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생애는 61세설과 81세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61세설이 합리적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저작은 갈홍 연구의 기초이면서 총결이라 할 수 있는데, 『포박자』・『신선전』・『주후비급방』 등이 대표적이다. 이 부분에 대한 한국학계의 연구 성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중국도교학계는 과거 갈홍을 상층도교를 전개한 대표적인 인물로 파악하였지만, 최근 도교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점차 사대부의 수요에 적응하기 시작한 것으로, 하층도교에서 상층도교로 변화한 것이 아니라는 관점이 등장하였다. 사상은 도론, 유도관계론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도론은 갈홍의 사상을 도가철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하려는 시도이고, 유도관계론은 갈홍 사상의 다양한 층차를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문제이다. 방술은 신선론, 금단과 양생술, 한의학 세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포박자의 양생론과 관련하여 『포박자양생론』이 갈홍의 저서인지 여부가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학과 미학을 고찰하였다. 한국학계의 경우 세계의 갈홍 연구 성과와 흐름을 같이 하는 부분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연구 성과가 미흡하다. 한국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갈홍 연구가 제 위상을 찾기 위해서는 그 토대가 될 수 있는 『포박자』등 원전의 번역이 시급하다. 둘째, 갈홍의 개별 분야 연구가 고립되지 않고, 갈홍 철학 안에서 체계적으로 고찰되어야 한다. 셋째, 갈홍 연구가 중국철학사의 관점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 KCI등재

        張融의 도불조화론-亦有亦無論을 중심으로-

        나우권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6 철학연구 Vol.0 No.32

        This paper focus on disclosing theory of synthesis between Taoism and Buddhism during the Nan-Ch'ao. According to this paper, Buddhism had been advantages over Taoism after Kumārajīva and Seng-chao. Ku-Huan(顧歡) disputed that Taoism was identical with Buddhism from the view point of immortality. Because Buddhists objected to that point, a group of pursuing synthesis between Taoism and Buddhism had to change methodology from theory of immortality to Xuanxue. It was Chang Jung(張融) that leaded to change it. First, Chang Jung insisted the theory of original beingless. Against that, Chou-Yung(周顒) objected that Chang Jung didn't understand not-beingless(非無). Second, Chang Jung insisted that Taoism's tao had both being and beingless(亦有亦無). That is, searching after beingless(無) aimed at being(有). Again, Chou-Yung objected that Chang Jung didn't understand both not-being and not-beingless(非有非無). As a result, both not-being and not-beingless was accepted Chongxuanxue(重玄學) in Sui-Tan period. 본고는 남조의 도불조화론을 고찰한 것이다. 논자의 고찰에 의하면, 승조와 구마라집 이후 불교측은 도교측에 대해 이론적정치적 우세를 점하게 되었고, 이에 대해 도교도인 고환은 ‘不死’라는 틀을 가지고 ‘無死’와 ‘無生’이 같다고 주장하면서 불교를 공격한다. 고환의 주장을 불교측은 적극 비판하는데, 그 비판의 핵심 논점 가운데 하나가 바로 도가와 도교를 분리 대응하는 것이었다. 불교측의 도교 부정을 張融은 도불조화론으로 응대하고, 이에 대해 삼론학자인 周이 논변을 이어간다. 장융은 우선 ‘本無論’을 주장하여 도불의 근본종지가 같다고 주장하고, 주옹은 도교는 ‘非無’를 알지 못한다고 반박한다. 장융은 다시 ‘亦有亦無論’을 주장하여, 무에 대한 추구는 유로 나아가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주장하고, 주옹은 ‘非有非無’라는 한 경지만은 도교측이 보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논쟁은 이후 隋唐重玄學으로 이어지면서 ‘비유비무’의 도론으로 전개되는 한 계기로 작용한다.

      • KCI등재

        불교 전래 이후 도교의 정체성 찾기 - 唐代 『전기傳奇』를 중심으로

        나우권 한국도교문화학회 2023 道敎文化硏究 Vol.58 No.-

        In this paper, various aspects of Chuanqi(傳奇) were considered. Chapter 1 pointed out the prejudice that negatively describes Taoist intellectuals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intellectuals. Chapter 2 examines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on Chinese society in terms of exclusion, acceptance, and reinvention. Chapter 3 examines the movement of East Asia toward humanity by reviewing the '杜子春故事群'. It was found that the qingli(情理)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an East Asian context was a natural emotion that should never be misunderstood as obsession. Chapter 4 emphasized altruism as a criticism of Buddhism, and paid attention to the emphasis on spiritual cultivation in terms of accepting the advantages of Buddhism. In Chapter 5, it was noted that emphasizing altruism does not fall into Confucian etiquette, but instead insists on the wuwei-ziran(無爲自然) and xingming-shuangxiu(性命雙修). 본고에서는 『전기』의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였다. 1장에서는 유가 지식인의 관점에서 도가도교적 지식인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편견을 지적하였다. 2장에서는 불교의 전래가 중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배척, 수용, 재창조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杜子春故事群’을 검토함으로써, 인간성에 대한 동아시의 번용 움직임을 고찰하였다. 고변의 「위자동전」과 허균의 『남궁선생전』, 그리고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두자춘전』의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부모자식 사이의 정리情理는 결코 집착으로 오해해서는 안되는 자연스러운 감정임을 발견하였다. 이후 당대 도교의 전형성을 4장과 5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4장에서는 불교에 대한 비판으로 이타행을 강조하였고, 불교의 장점을 수용한다는 측면에서 심성수양의 강조에 주목하였다. 5장에서는 이타행을 강조한다고 해서 유가의 예교주의에 빠지지 않고 무위자연을 추구하는 모습과 불교의 심성수행의 강조에만 머물지 않고 성명쌍수의 수행론을 주장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 KCI등재

        남북조 말기의 도불논쟁과 그 영향

        나우권(Na Woo-gwu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100 No.-

          본고는 남북조 말기의 도불논쟁을 두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하나는 노자의 신화를 둘러싸고 진행된 神話와 事實의 대립이고, 다른 하나는 근본종지를 둘러싸고 진행된 自然과 因緣의 대립이다. ‘도가’의 신화들이 정합적이지 못하다는 불교의 이성적인 비판에, ‘도가’는 제 신화들을 체계화하거나 신화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대응하였다. 신화논쟁에서 도불의 우열이 결정되지 않자, 근본종지를 둘러싼 자연과 인연 논쟁으로 전화되었다. 불교는 외부적으로는 자연을 ‘도가’의 근본종지로 파악하면서 도가와 도교를 분리하기 시작하였고, 내부적으로는 神不滅論의 因果論에서 벗어나 정신의 不常不斷을 주장하는 緣起說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리고 ‘도가’는 운명론적 자연관과 자연을 배워 장생불사하게 된다는 자연관이 공존하다가, 차츰 자연을 배운다는 관점[學自然]으로 옮겨갔다. 그 결과 도가와 도교의 결합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되었고, 이러한 배움의 자연설은 唐代 重玄學으로 계승되었다.   This paper focus on debates among Taoists and Buddhists in two respects. First, Zhenlan(甄鸞) argued Laozi"s myths with reality in Xiaodaolun(笑道論). Second, Taoan(道安) analyzed a tenet of Taoism into nature and a tenet of Buddhism into dependent origination in Erjiaolun(二敎論). In an issue through myths, people of Buddhism criticized that Laozi"s myths were bad-organized, so some people of Taoism revised Laozi"s myths by making them well-organizing. In addition to some people of Taoism deleted Laozi"s myths totally. As a dispute related with myths could not have been concluded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Taoism and Buddhism, it was transformed a dispute related with tenets. I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Buddhism, a notion that subject known to soul was immortal was transformed a notion that soul was neither eternal nor momental. And people of Taoism combined with naturalism and immortality. Therefore, this new naturalism was to be main contents of Chongxuanxue.

      • KCI등재

        불교의 도교 비판과 도교의 응답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5 道敎文化硏究 Vol.42 No.-

        양한위진(兩漢魏晉) 시기에 불교와 도교 양측은 상대방의 장점을 수용하면서 비교적 무난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동진(東晋) 무렵 불교가 중국 사상계의 중심으로 등장하고 도교 역시 활발한 창조의 시기를 맞이하면서, 도불 양측은 점차 마찰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후의 도불논쟁은 단순히 이론의 우수성을 논의하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정치적인 맥락에서 고찰해야 한다. 당시 불교측을 대표하는 견란의 노자 비판은 논리적 정합성과 도교 내부 기록을 이용한 모순 폭로라는 방식으로 도교측을 공격하였다. 인간 노자와 신격 노자를 분리함으로써, 도교가 위선에 가득찬 종교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에 비해 성현영을 대표로 한 도교측의 응답은 인간 노자와 신격 노자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윤리의식에 근거하여 불교를 이등종교로 격하시키고, 國師說에 근거하여 체제 내부로 진입하면서 도교 지파를 통합하며, 천지창조의 근원으로 계시를 내리는 노군상을 건립하였다. 성현영에게서 발견되는 도교측의 응답은, 『노자』를 존숭하고 『老子西昇經』 · 『老子化胡經』 · 『妙眞經』 등을 중시하여 노자를 신격으로 해석한 樓觀道의 전통에 기반해 있다. 이 경전들은 四輔의 하나인 太玄部에 속하고, 태현부가 정립됨으로써 도교계는 비로소 도교의 보편성이 확립된다. 노군의 신격이 긍정될 때, 도교의 삼위일체(trinity)가 완성된다. 洞眞 · 洞玄 · 洞神의 三洞은 알 수 없는 도의 상징인 元始天尊 · 하늘과 인간을 매개하는 진리의 상징인 靈寶天尊 · 도의 구체적인 화현인 道德天尊(=노자)을 뜻한다. 이들이 하나로 갖추어질 때, 도교의 삼위일체는 완성된다. Daoism is in important of reform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Entering Later Jin Dynasty, Disputes between Daoism and Buddhism transformed academic parts to the political parts. When Buddhist criticized Daoism, they separated god Laojun from person Laozi. Buddhist’s criticizing composed of three aspects. First, Cosmogeny of Daoism do not explain evil. Second, Laozi in history and myth got irrational. Third, Laojun who are instructing foreigners is false. Moreover, person Laozi is behind to Kongzi. Daoist Chengxuanying used combining way of person Laozi and god Laojun. Counteracting to the Buddhist’s criticizing, his responding, also, composed of three aspects. First, Laojun created the world. When the world evolved, evil arosed inevitably. Second, Laojun descended in cases of need and relieved the poor. Third, Laojun instructed the barbarians, that called Buddhism. In other words, Buddhism was inferior to Daoisim and did not suitable to be China’s religion.

      • KCI등재

        현학에서 중현학으로 가는 징검다리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7 道敎文化硏究 Vol.46 No.-

        논자는 현학에서 중현학으로 이어지는 사유의 흐름을 노자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위진현학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晋代의 손성은 『노자』가 무에 치우쳤다는 점을 비판하였고, 이에 대해 고환과 장융은 무를 중시하다 보면 유라는 현실을 풍요롭게 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와 같이 그들은 무와 유를 종합하였다. 둘째, 불교의 노자학 이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5조목으로 구성된 승조의 『노자주』는『寶藏論』과 『肇論』등의 자료로부터 선집한 것이므로, 오늘날 전해지는 『노자주』단편은 승조 본인이 저술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조 시기에 활약하던 구마라집의 문도들이 非有非無의 空 개념을 이용하여 『노자주』를 짓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방증 증거로는 여전히 유효하다. 양무제가 살던 시대는 반야학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던 때였기에, 그는 絶百非와 超四句로『노자』를 해석하였다. 셋째, 성현영 이전의 중현학자를 고찰하였다. 유진희의『노자주』는 一心이 유위법에 집착한다는 점과 眞性이 존재함을 동시에 긍정하였다. 그의 이러한 면모는『본제경』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수많은 불교 개념을 활용하여 도교논리를 엄밀하게 만들었고, 中道와 重玄 개념을 명확하게 사용하였다.『승현경』의 미진한 부분을 극복하여 無得에 이르렀고, 衆生이 곧 참된 도의 모습이고 生死와 道場이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는 지나치게 불교적 논의에 젖어들어 도교의 정체성을 잃기에 이르렀다. 그는 도를 空으로 이해하여 만물의 시원이라는 無 본체를 부정하였다. 이후 성현영은 도가/도교적 관점에 입각하여, 무 본체를 긍정하면서도 無滯의 경지에 도달하였고 우리가 사는 현실이 곧 도의 세계임을 논증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change from xuanxue to chongxuanxue. First, xuanxue is developed. Because Sun-cheng had criticized Laozi due to stress only non-bing, Gu-huan(顧歡) interpreted Laozi by synthesizing being and non-being. He argued that not-blocoking reality is accompanied by stillness. Second, Buddhism interpreted Laozi by conditioned arising theory. Despite Seng-zhao(僧肇) did not write commentary on Laozi, this fragment sources was considered scholars of Prajna"s` thinking. In addition, emperor Wu of the Liang dynasty interpreted Laozi through neither being nor non-being, the middle way. Third, the precursor of chongxuanxue, Liu Jin-xi, utilized various concepts of Buddhism and systemized theories of daoism in Ben-ji Jing. In addition, he used the concepts of the middle way and the double mystery precisely. Ben-ji Jing focused on the notion that all of beings have a dao-nature which is our true reality, "embodied in all conscious beings and even all animals, plants, trees, and rocks". However, he lost identity of daoist because of addicting to buddhism. Considering dao as sunyata, he denied the genesis of all things, non-being. Therefore, Cheng Xuan-ying in the respect of daoist stressed the genesis of all things, non-being, and proved the world in which we live is dao.

      • KCI등재
      • KCI등재

        청산(靑山)선사 고경민(高庚民)의 생애와 사상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4 道敎文化硏究 Vol.41 No.-

        청산(靑山)선사는 1967년 하산하여 자신의 수련 체험을 상세히 밝히고 국선도법에 따라 지도하였다. 이러한 그의 활동이 근대 한국 선도가 부활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청산은 국선도를 밝 받는 법, 생명의 길, 삶의 길로 표현했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밝(태양)의 강하고 온화하며 밝고 맑은 모든 덕성을 그대로 받아들여 생활에 실천하여, 도의적 생활을 몸소 체득하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 민족에게 태양의 밝고 따스하고 온화하며 만물을 살리는 덕을 받들고 숭상하는 옛도(古道)가 있었다고 파악하였다. 청산은 바로 그 옛도를 다시 일으키려 한 것이다. 청산은, 현실의 인간이 잘못된 지식과 욕망으로 인하여 하늘 뜻을 거역하여 주어진 수명대로 살지 못하고, 복잡다단한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파악한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산은 밝 받는 법을 제시하였다. 그는 밝 받는 법을 익히기 위해서 자연을 높이고 공경하는 대효大孝의 마음이라고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자연은 아무런 사심도 없이 자기 할 일만(律呂運動) 묵묵히 하면서 무궁한 造化 속에서 지속가능한 형태로 만물을 낳고 살린다. 대효의 마음으로 밝 받는 법을 올바로 닦을 때, 인간은 하늘과 땅의 뜻에 맞아서 천지의 아들이 되고, 하늘 사람(?+天)이 되어 하늘과 땅의 참된 주인이 된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마음을 고르고(調心), 천천히 몸을 움직이면서(調身), 숨을 고르는(調息) 과정 속에서 기를 쌓는 것(蓄氣)이 기초가 된다. 그 과정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밝도를 닦으면, 힘이 증진되는 것을 느끼고 되고, 점차 생각과 결정력이 확장되면서(精充氣壯神明) 자연과 합일하는 경지에 이른다. Kouksundo is an authentic, indigenous Korean national practice method for developing the body and mind. It began 9,700 years ago. I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word of by mouth Grand masters Muun(無雲), Chungwoon(靑雲), and Chungsan(靑山). Since 1967, following the order of his master, Chungsan returned to the world and disseminated the Kouksundo teachings. The goal of Kouksundo is to educate people to become well rounded humans with strength and noble character. It consists in a profound practice system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the body, mind, and breathing. The practice method is demonstrative, systematic, and dynamic. The cultivation of qi(蓄氣) by this method brings peaceful mind and abundance of life to the practitioner. It enables to balance the body and mind, preserving mental and physical health. It improves innate spontaneous healing abilities and helps to prevent diseases. Also, Longevity and peace of heart can be gained. Kouksundo is the way of life seeing the universe as one nation(國) by showing how the human(?) can interact with heaven(天). Sun(?+天) denotes the flow of Heaven and humanity. Beginning practioners obey nature like a child, but later he(she) becomes a host of nature. That is, Kouksundo is a practice of unifying the humanity and nature(hea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