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석주의 『訂老』에 대한 새로운 연구 (1)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8 道敎文化硏究 Vol.49 No.-

        본고는 나카노시마 소장 自然經室藏本 『정로』를 저본으로 하였고, 그 속에 나타난 홍석주의 사유가 경세관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자』를 병가로 오해하는 관점이 있는데, 사람을 죽이지 않는 자애로움을 강조하기 때문에 오해이다. 홍석주의 일생에서 병가에 대한 관심은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많은 재물을 들여 군사통수권을 확보하기보다는 덕으로 감화하는 정치를 통해서 군주권을 확보하는 원칙론을 취하였다. 둘째, 『노자』를 권모술수류의 법가로 오해하는 관점이 있는데, ‘법의 유가화’를 추구하였다. 법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편으로는 관대하면서도 신중하게 집행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거짓과 불의에 맞서서 엄격하게 집행하였다. 셋째, 『노자』를 장생불사술로 오해하는 관점이 있는데, 억지로 장생을 추구하는 것은 위험하지만 마음을 비워서 몸과 마음의 조화를 이루는 수양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권장하였다. 넷째, 『노자』를 神異한 세상의 이야기로 오해하는 관점이 있는데, 인간 세상이 혼란하기 때문에 신령과 사람의 자리가 뒤섞이고 도깨비가 요악한 재앙을 내릴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홍석주는 일생동안 災異의 상황에 직면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直諫을 하는데, 민생을 보호하고 학문에 힘쓰며 인재를 중히 여기고 언로를 열어야 한다는 것이 주된 논점이다. 이렇게 될 때, 알 수 없는 세계에 대한 불안은 해소되고, 덕이 임금에게로 귀의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판본과 관련해서는 “‘利’名權術”(36장)이라는 모호한 개념이 “‘刑’名權術”의 오해임이 밝혀졌다. 그 외 의미가 애매하던 다수의 문장들이 명확해졌다. This paper considers the philosophy of Hong-Seokjoo shown in "Jungro" in connection with his life. Especially, J, which I observed, was newly discovered while being kept in Japan Nakanoshima Library.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int of misinterpreting Laozi as Bingia, which is a misunderstanding because it emphasizes humanity without killing people. In his life, although his interest in B was not clear, he took the principle of securing the monarchy through politics, which affirmed by virtue rather than securing the right of military power through a lot of money. Second, there is a point of misinterpreting Laozi as the fajia of the abnormal ways to gain power, but he pursues confucianization of law. Based on a great deal of knowledge about the law, he was generous and deliberate on the one hand, and strictly on the other side against lies and injustice. Third, there is a point of misinterpreting Laozi as a way of achieving immortality. But he thought that pursuing immortality of body was dangerous. And he actively encouraged the discipline of emancipating the mind and harmonizing the body and mind. Fourth, there is a point of misunderstanding Laozi as a mysterious and ominous story. But he insisted that the ghost came down to man and caused only a nasty disaster because the human world was confused. When confronted with a heavenly punishment, Hong-Seokjoo told the king to protect the lives of the people, to work hard king"s studies, to respect the good servants and to open the criticism. In doing so, he insisted that the anxiety about the unknown world would be resolved and that virtue would return to the king. Regarding the version, it is revealed that the ambiguous concept of “‘利’名權術”(Chapter 36) is a misunderstanding of “‘刑’名權術”. Many other sentences that have ambiguous meanings became clear.

      • KCI등재

        남북조 말기의 도불논쟁과 그 영향

        나우권(Na Woo-gwu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100 No.-

          본고는 남북조 말기의 도불논쟁을 두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하나는 노자의 신화를 둘러싸고 진행된 神話와 事實의 대립이고, 다른 하나는 근본종지를 둘러싸고 진행된 自然과 因緣의 대립이다. ‘도가’의 신화들이 정합적이지 못하다는 불교의 이성적인 비판에, ‘도가’는 제 신화들을 체계화하거나 신화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대응하였다. 신화논쟁에서 도불의 우열이 결정되지 않자, 근본종지를 둘러싼 자연과 인연 논쟁으로 전화되었다. 불교는 외부적으로는 자연을 ‘도가’의 근본종지로 파악하면서 도가와 도교를 분리하기 시작하였고, 내부적으로는 神不滅論의 因果論에서 벗어나 정신의 不常不斷을 주장하는 緣起說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리고 ‘도가’는 운명론적 자연관과 자연을 배워 장생불사하게 된다는 자연관이 공존하다가, 차츰 자연을 배운다는 관점[學自然]으로 옮겨갔다. 그 결과 도가와 도교의 결합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되었고, 이러한 배움의 자연설은 唐代 重玄學으로 계승되었다.   This paper focus on debates among Taoists and Buddhists in two respects. First, Zhenlan(甄鸞) argued Laozi"s myths with reality in Xiaodaolun(笑道論). Second, Taoan(道安) analyzed a tenet of Taoism into nature and a tenet of Buddhism into dependent origination in Erjiaolun(二敎論). In an issue through myths, people of Buddhism criticized that Laozi"s myths were bad-organized, so some people of Taoism revised Laozi"s myths by making them well-organizing. In addition to some people of Taoism deleted Laozi"s myths totally. As a dispute related with myths could not have been concluded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Taoism and Buddhism, it was transformed a dispute related with tenets. I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Buddhism, a notion that subject known to soul was immortal was transformed a notion that soul was neither eternal nor momental. And people of Taoism combined with naturalism and immortality. Therefore, this new naturalism was to be main contents of Chongxuanxue.

      • KCI등재
      • KCI등재

        成玄英『老子義疏』의 道論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성현영은 길장등으로 대표되는 반야학의 도가 비판에 맞서 독특한 도론을 건립하였다. 이것은 반야학의 논리구조와 개념을 선택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가능했다. 이는 세 가지 내용으로 구체화된다. 첫째, 쌍비론을 변형하여 감각되지 않는 본체를 긍정하였다. 둘째, 본적론을 사용하여 본체와 현상의 격절을 해소하였다. 셋째, 無滯로써 스스로 건립한 본적론을 허물고 경계론으로 나아갔다. 이상의 내용으로 미루어볼 때, 성현영의 도론은 두 가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변형된 雙非論과 本迹論으로, 虛幻한 현상 너머에 존재하는 진실한 本體의 세계를 긍정하였다. 그는 연기론에 기반한 妙有의 세계를 넘어, 보다 튼튼하게 현실을 긍정하기 원했고, 마침내 虛幻을 넘어선 本體의 발견이라는 轉回를 이룩하였다. 둘째, 本體의 세계가 긍정되는 순간, 만물의 세계는 본체에 비해 가치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하락하는 모순이 발생하는데, 성현영은 본체에 대한 집착을 버림으로써 이 난관을 돌파한다. 이 경지에 도달하면 현상 세계는 더 이상 도와 구분되지 않게 되고, 현상이 곧 도임을 체득하게 된다. 마침내 도가류는 진실한 현실세계와 만난다.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at Cheng Hsuan-Ying(成玄英, 601-690) accepted Buddhism’s forms and contents selectively, and re-constructed dao theory in his Laoziyichou(老子義疏). He replied Chitsang(吉藏)’ bitterly criticism against daoism’s dao. First, Cheng Hsuan-Ying accepted Buddhism’s neither being nor non-being(非有非無) theory selectively. Second, he converted Buddhism’s reality theory(實相論) into ontology. He interpreted neither being(非有) as the entity’s non-sensibility and nor non-being(非無) as entity’s acting. Therefore he maintained the theory of neither being nor non-being and both being and non-bing(非有非無, 而無而有). In addition to, Wanting to not-blocking ontology which was made by himself, he made a theory of state(境界論) beyond the boundary of ontolgy. When self-cultivator meets dao, phenomenal world is changed into sincere world. Thus, Cheng Hsuan-Ying’s cosmology didn’t close mono story but opened multiple story.

      • KCI등재

        청산(靑山)선사 고경민(高庚民)의 생애와 사상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4 道敎文化硏究 Vol.41 No.-

        청산(靑山)선사는 1967년 하산하여 자신의 수련 체험을 상세히 밝히고 국선도법에 따라 지도하였다. 이러한 그의 활동이 근대 한국 선도가 부활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청산은 국선도를 밝 받는 법, 생명의 길, 삶의 길로 표현했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밝(태양)의 강하고 온화하며 밝고 맑은 모든 덕성을 그대로 받아들여 생활에 실천하여, 도의적 생활을 몸소 체득하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 민족에게 태양의 밝고 따스하고 온화하며 만물을 살리는 덕을 받들고 숭상하는 옛도(古道)가 있었다고 파악하였다. 청산은 바로 그 옛도를 다시 일으키려 한 것이다. 청산은, 현실의 인간이 잘못된 지식과 욕망으로 인하여 하늘 뜻을 거역하여 주어진 수명대로 살지 못하고, 복잡다단한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파악한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산은 밝 받는 법을 제시하였다. 그는 밝 받는 법을 익히기 위해서 자연을 높이고 공경하는 대효大孝의 마음이라고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자연은 아무런 사심도 없이 자기 할 일만(律呂運動) 묵묵히 하면서 무궁한 造化 속에서 지속가능한 형태로 만물을 낳고 살린다. 대효의 마음으로 밝 받는 법을 올바로 닦을 때, 인간은 하늘과 땅의 뜻에 맞아서 천지의 아들이 되고, 하늘 사람(?+天)이 되어 하늘과 땅의 참된 주인이 된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마음을 고르고(調心), 천천히 몸을 움직이면서(調身), 숨을 고르는(調息) 과정 속에서 기를 쌓는 것(蓄氣)이 기초가 된다. 그 과정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밝도를 닦으면, 힘이 증진되는 것을 느끼고 되고, 점차 생각과 결정력이 확장되면서(精充氣壯神明) 자연과 합일하는 경지에 이른다. Kouksundo is an authentic, indigenous Korean national practice method for developing the body and mind. It began 9,700 years ago. I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word of by mouth Grand masters Muun(無雲), Chungwoon(靑雲), and Chungsan(靑山). Since 1967, following the order of his master, Chungsan returned to the world and disseminated the Kouksundo teachings. The goal of Kouksundo is to educate people to become well rounded humans with strength and noble character. It consists in a profound practice system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the body, mind, and breathing. The practice method is demonstrative, systematic, and dynamic. The cultivation of qi(蓄氣) by this method brings peaceful mind and abundance of life to the practitioner. It enables to balance the body and mind, preserving mental and physical health. It improves innate spontaneous healing abilities and helps to prevent diseases. Also, Longevity and peace of heart can be gained. Kouksundo is the way of life seeing the universe as one nation(國) by showing how the human(?) can interact with heaven(天). Sun(?+天) denotes the flow of Heaven and humanity. Beginning practioners obey nature like a child, but later he(she) becomes a host of nature. That is, Kouksundo is a practice of unifying the humanity and nature(heaven).

      • KCI등재

        孫盛의 『老子』 비판 연구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道敎文化硏究 Vol.44 No.-

        위나라의 정시 연간에 유학은 무시되고 도가는 번창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서진 말년 이후 사회질서를 중건하려는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고 사상영역에서도 노장을 비판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손성이 바로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손성은 노자를 중간등급의 현인이라고 평가하고, 노자를 평가하는 주요기준으로 유가의 예교를 중시했다. 그 결과 노자를 평가절하하는 데 성공했다. 손성의 노자관은 정시 이전의 유가 가치관으로 현학이 발전한 동진 이후에 현학이 미친 소극적인 영향을 비판하고, 유가 예법으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것이다. 유가 예법으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바로 이 점이 바로 정시현학과의 결정적 차이점이다. 하안과 왕필 등의 현학자들은 결코 유가 예법을 중시한 적이 없다. 그들에게 그것은 오직 비판의 대상일 뿐이었다. 그러나 손성은 유가의 예법을 바탕으로 세계를 구제하는 것이 성인의 임무라고 파악하였다.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긍정으로 유를 긍정하고, 아울러 상고 시대의 순박한 인간 정신인 무를 동시에 융회하는 입장이 손성의 논의이다. 이는 이후 비유비무설을 재해석한 중현학으로 가는 관절로 해석된다. 왜냐하면 중현학은 반야학의 허탄한 현실 이해를 비판하고, 적극적으로 현실을 긍정하면서 도체인 무를 긍정하기 때문이다. From Zhengshi of the Wei Dynasty, people began to think Confucianism lightly and began to understand importance to Daoism. But From the middle period of the Jin Dynasty, the advocating of reestablishing social order had been gone up. From Zhengshi of the Wei Dynasty, people began to think Confucianism lightly and began to understand importance to Daoism. But From the middle period of the Jin Dynasty, the advocating of reestablishing social order had been gone up. The morales of thinking Laozi and Zhuangzi lightly appeared in public. Sun cheng ranked Laozi on the third grade, which meaned Laozi was not saint. The main standard of the evaluation was Confucian’s custom and system. Moreover, in order to debase Laozi intentionally, Sun cheng criticized the Dao de jing as illogical. Sun cheng’s criticized Laozi that he sticked to Wu. In conclusion, his view of saint is harmony wu and you, and his argue was linked between xuanxue and chongxuanxue.

      • KCI등재

        불교의 도교 비판과 도교의 응답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5 道敎文化硏究 Vol.42 No.-

        양한위진(兩漢魏晉) 시기에 불교와 도교 양측은 상대방의 장점을 수용하면서 비교적 무난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동진(東晋) 무렵 불교가 중국 사상계의 중심으로 등장하고 도교 역시 활발한 창조의 시기를 맞이하면서, 도불 양측은 점차 마찰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후의 도불논쟁은 단순히 이론의 우수성을 논의하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정치적인 맥락에서 고찰해야 한다. 당시 불교측을 대표하는 견란의 노자 비판은 논리적 정합성과 도교 내부 기록을 이용한 모순 폭로라는 방식으로 도교측을 공격하였다. 인간 노자와 신격 노자를 분리함으로써, 도교가 위선에 가득찬 종교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에 비해 성현영을 대표로 한 도교측의 응답은 인간 노자와 신격 노자를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윤리의식에 근거하여 불교를 이등종교로 격하시키고, 國師說에 근거하여 체제 내부로 진입하면서 도교 지파를 통합하며, 천지창조의 근원으로 계시를 내리는 노군상을 건립하였다. 성현영에게서 발견되는 도교측의 응답은, 『노자』를 존숭하고 『老子西昇經』 · 『老子化胡經』 · 『妙眞經』 등을 중시하여 노자를 신격으로 해석한 樓觀道의 전통에 기반해 있다. 이 경전들은 四輔의 하나인 太玄部에 속하고, 태현부가 정립됨으로써 도교계는 비로소 도교의 보편성이 확립된다. 노군의 신격이 긍정될 때, 도교의 삼위일체(trinity)가 완성된다. 洞眞 · 洞玄 · 洞神의 三洞은 알 수 없는 도의 상징인 元始天尊 · 하늘과 인간을 매개하는 진리의 상징인 靈寶天尊 · 도의 구체적인 화현인 道德天尊(=노자)을 뜻한다. 이들이 하나로 갖추어질 때, 도교의 삼위일체는 완성된다. Daoism is in important of reform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Entering Later Jin Dynasty, Disputes between Daoism and Buddhism transformed academic parts to the political parts. When Buddhist criticized Daoism, they separated god Laojun from person Laozi. Buddhist’s criticizing composed of three aspects. First, Cosmogeny of Daoism do not explain evil. Second, Laozi in history and myth got irrational. Third, Laojun who are instructing foreigners is false. Moreover, person Laozi is behind to Kongzi. Daoist Chengxuanying used combining way of person Laozi and god Laojun. Counteracting to the Buddhist’s criticizing, his responding, also, composed of three aspects. First, Laojun created the world. When the world evolved, evil arosed inevitably. Second, Laojun descended in cases of need and relieved the poor. Third, Laojun instructed the barbarians, that called Buddhism. In other words, Buddhism was inferior to Daoisim and did not suitable to be China’s religion.

      • KCI등재

        현학에서 중현학으로 가는 징검다리

        나우권(Na, Woo-Gw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7 道敎文化硏究 Vol.46 No.-

        논자는 현학에서 중현학으로 이어지는 사유의 흐름을 노자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위진현학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晋代의 손성은 『노자』가 무에 치우쳤다는 점을 비판하였고, 이에 대해 고환과 장융은 무를 중시하다 보면 유라는 현실을 풍요롭게 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와 같이 그들은 무와 유를 종합하였다. 둘째, 불교의 노자학 이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5조목으로 구성된 승조의 『노자주』는『寶藏論』과 『肇論』등의 자료로부터 선집한 것이므로, 오늘날 전해지는 『노자주』단편은 승조 본인이 저술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조 시기에 활약하던 구마라집의 문도들이 非有非無의 空 개념을 이용하여 『노자주』를 짓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방증 증거로는 여전히 유효하다. 양무제가 살던 시대는 반야학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던 때였기에, 그는 絶百非와 超四句로『노자』를 해석하였다. 셋째, 성현영 이전의 중현학자를 고찰하였다. 유진희의『노자주』는 一心이 유위법에 집착한다는 점과 眞性이 존재함을 동시에 긍정하였다. 그의 이러한 면모는『본제경』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수많은 불교 개념을 활용하여 도교논리를 엄밀하게 만들었고, 中道와 重玄 개념을 명확하게 사용하였다.『승현경』의 미진한 부분을 극복하여 無得에 이르렀고, 衆生이 곧 참된 도의 모습이고 生死와 道場이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는 지나치게 불교적 논의에 젖어들어 도교의 정체성을 잃기에 이르렀다. 그는 도를 空으로 이해하여 만물의 시원이라는 無 본체를 부정하였다. 이후 성현영은 도가/도교적 관점에 입각하여, 무 본체를 긍정하면서도 無滯의 경지에 도달하였고 우리가 사는 현실이 곧 도의 세계임을 논증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change from xuanxue to chongxuanxue. First, xuanxue is developed. Because Sun-cheng had criticized Laozi due to stress only non-bing, Gu-huan(顧歡) interpreted Laozi by synthesizing being and non-being. He argued that not-blocoking reality is accompanied by stillness. Second, Buddhism interpreted Laozi by conditioned arising theory. Despite Seng-zhao(僧肇) did not write commentary on Laozi, this fragment sources was considered scholars of Prajna"s` thinking. In addition, emperor Wu of the Liang dynasty interpreted Laozi through neither being nor non-being, the middle way. Third, the precursor of chongxuanxue, Liu Jin-xi, utilized various concepts of Buddhism and systemized theories of daoism in Ben-ji Jing. In addition, he used the concepts of the middle way and the double mystery precisely. Ben-ji Jing focused on the notion that all of beings have a dao-nature which is our true reality, "embodied in all conscious beings and even all animals, plants, trees, and rocks". However, he lost identity of daoist because of addicting to buddhism. Considering dao as sunyata, he denied the genesis of all things, non-being. Therefore, Cheng Xuan-ying in the respect of daoist stressed the genesis of all things, non-being, and proved the world in which we live is da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