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재정배분의 쟁점과 방향

        나민주(Rah, Min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3

        이 연구는 대학재정배분에 관한 선행문헌들을 검토하면서 이론적 논의와 제안된 정책방안에 포함된 합의점과 논쟁점을 정리하고 대학재정배분의 중 장기적인 정책방향을 탐색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학재정배분이 본격화되면서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려는 다양한 논의들이 있었다. 그 가운데 상당수는 이미 정책에 반영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제안들은 검토중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식형 재정지원방식, 개인단위 재정지원, 사립대 재정지원, 재정배분의 이념과 가치 등과 관련된 대학재정배분의 쟁점들을 분석하고, 대학재정배분의 중장기적 방향으로 대학교육재정에 관한 정 부의 역할 정립, 수식형 재정배분방식의 정착, 개인단위 지원방식의 지속적 확대, 재정배분의 안정성 확보, 재정활용의 책무성 제고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on resource allocation for higher education, rearranged points of issue, and suggested some long-term measures for improving Korean higher education finance system. Since the mid-1990s as Korean government began to launch full-fledged higher education finance policies, policy reports diagnose problems and propose alternative plans from diverse perspectives. Many proposals have already been reflected in government policies, but not a few of them still remains in dispute. This paper analyzed issues such as formula funding, funding for individuals, funding for private universities, and ideology and values of allocation policy, and also made suggestions such as redefining the role of government in higher education finance, settlement of formula funding, continued expansion of individual support, securing the stability of resource allocation, and greater responsibility in resource utilization.

      • KCI등재

        지방교육재정분권의 현황과 과제

        나민주(Rah, Min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1

        이 논문에서는 지방교육재정분권의 개념을 정리하고, 세입과 세출 측면에서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본 뒤, 지방교육재정분권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재정분권화는 지방교육자치제도 발전을 위한 핵심요소로서 권한 및 재원의 지방 이양, 지방의 자율성 제고와 더불어 이에 상응하는 책임성이 요구된다. 한국의 지방교육재정은 세입분권 측면에서 이전재원중심의 불안정한 세입구 조를 보이고 있고, 세출분권 측면에서는 중앙의 통제권한과 국가사업수행을 위한 재정지출 과다, 재정운용의 자율성 취약의 특징을 보여준다. 앞으로 지방교육재정의 세입분권 강화를 위해서는 지방교육발전을 위해 필요한 재정 확충, 안정성 강화, 과세자주권 확보가 필요하다. 세출분권 강화를 위해서는 관련정책 결정 및 법령 제·개정시 참여 보장, 재정운용의 자율성 확대, 지방교육자치 제도의 강화가 요청된다. 그리고 책무성 확보를 위해서는 재정관리 역량의 강화와 협력적 거버넌 스의 확대가 병행되어야 한다.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local education finance decentralization was summarized, and the present situation was briefly reviewed in terms of revenue and expenditure, and the future task for decentralization of local education was proposed. Fiscal decentralization is a key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which requires the delegation of authority and financial resources, the improvement of local autonomy, and the corresponding accountability. In Korea, the local education financ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cy of transferring resources and the unstable revenue structure in terms of revenue decentralization. And in terms of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there is excessive central government control and fiscal expenditure for national projects, and fiscal autonomy is weak. In order to strengthen the decentralization of local education finances, it is necessary to secure stabl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to secure its own resources, to simplify the tax structure and to secure taxation autonomy. In order to strengthen the decentralization of expenditure, it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the autonomy of financial manage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local education autonomy. In order to secure accountabil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cooperative governance and enhance financial management capacity.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 발전을 위한 교육재정의 역할과 과제

        나민주(Rah, Min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3

        이 논문에서는 지방교육자치 발전을 위한 교육재정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지방교육자치의 동향과 교육재정의 역할 및 운영방향을 정책과 제도 변화, 그리고 관련문헌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교육재정은 지방교육자치를 실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이고, 지방교육자치의 발전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재정권은 조직권, 인사권과 더불어 자치권의 핵심요소이다. 자주적인 재정권은 지역주민에 대한 공공서비스의 규모와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필요재원이 반드시 확보되어 적절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지방자치가 강화되고 재정분권이 확대되면서 재정의 건전성과 책무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왔다. 다음으로 이 글에서는 교육재정의 확보와 배분 측면에서 안정성, 적정성, 공평성, 그리고 교육재정의 운영과 평가 측면에서 자율성, 효율성, 건전성 및 책무성을 중심으로 지방교육자치 발전을 위한 교육재정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role and tasks of education finance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autonomy were explored. To this end, the trend of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the role and operation direction of education finance were summarized focusing on policy and system changes and related literature. Education finance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Financial power is a key element of autonomy, along with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rights. Independent fiscal authority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scale and level of public services to local residents, and necessary financial resources must be secured and operated appropriately for regional development. As local autonomy has been strengthened and fiscal decentralization has expanded, interest in fiscal soundness and accountability has also increased. Next, educational finance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autonomy were presented focusing on stability, appropriateness, fairness in terms of securing and distributing education finance, and autonomy, efficiency, soundness and accountability in terms of operation and evaluation of education finance.

      • KCI등재

        일반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나민주(Rah, Minjoo),김민희(Kim, Minh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2

        이 연구에서는 대학진학관련 교육성과를 중심으로 전국 일반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에듀데이터(EDuData)를 활용하여 DEA 및 토빗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고간 효율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고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모든 투입 및 산출 변수들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투입변수 중에서는 비정규직 교원비율과 총세출 대비 장학금 비율을, 산출변수 중에서는 수학능력시험 수학과목과 4년제 대학진학 비율을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학교특성변인과 정책변인의 효율성에 대한 영향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평준화 지역보다는 비평준화 지역의 일반고가 효율성이 더 높았다. 일반고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차원의 적극적인 운영전략의 수립ㆍ시행이 필요하고, 학교의 효율성과 교육역량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학교평가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고등학교의 효율성 분석모형을 더욱 정교화하고, 국가차원에서 학교ㆍ교원ㆍ학생 관련자료를 좀더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ㆍ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hool-based relative efficiency with the application of diverse input variables and output variables focusing on educational outcomes among general high schools nationwide. DEA and Tobit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tilizing EDuData.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considerable difference in school-based efficiency. There is a need of regulating all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inefficiency of general high schools. However, Seeing value available for improvement by variable, it was indicated to be necessary preferentially for improving ratio of temporary teachers, and scholarship ratio compared to total annual expenditure as input variables, and math subject in scholastic ability test, and ratio of 4-year university entrance as output variables. Also, the influence of school-characteristic variable and policy variable wasn't indicated to be big. The general high school in leveled region was indicated to have higher efficiency than non-levelled region. To increase educational outcomes related to university entran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nd enforcing a positive operating strategy, improving school assessment system and elaborating a model of analyzing relative efficiency of high school in the direction of reflecting educational competency in school as the school dimension and for collecting and offering data related to schools, teachers, and students more systematically as the national dimens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생의 강의 만족 및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 A대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하정윤 ( Ha Jungyoun ),나민주 ( Rah Minjo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3

        본 연구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을 분석하여 수업의 질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최근 대학에서는 정량적인 강의평가 점수보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요구사항을 내포하고 있는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분석하여 활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강의평가의 주체인 학생들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실제 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형 강의평가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강의 만족 요인과 불만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에 나타난 학생들의 강의의 질 개선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A대학에서 2016학년도 1학기에 두 차례 실시한 학생들의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질적 연구분석도구인 NVivo 1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수자의 내용 설명력이 높을 때 학생들은 강의에 만족하고, 수업내용 난이도가 적절하지 않을 때 불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개별 교수뿐 아니라 유관부서에서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수행해야 하는지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ontributes to th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class lectures with priority given to the students` descriptive evaluation of lectures in a universit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ttempts in Korean universities to analyze and utilize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 materials that contain the diverse opinions of students on class lectures and their academic needs. That would be a significant change in that i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s by reflecting on opinions of students. The authors utilized the NVivo 11analysis tool for qualitative research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descriptive lecture evaluation materials were written by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collected twice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6 and were subsequently analyz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ectures they attended when the teachers gave better explanations of the content of the lectures. The students were more dissatisfied whe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lectures was not appropriate. Also, this study suggests efforts professors and related departments should make to enhance the quality of instruction.

      • KCI등재

        중국 고등학생의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관한 탐색적 분석

        강가려(Jiali Jiang),나민주(Minjoo Ra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고등학생의 고등교육의 수익에 대한 기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등교육수익은 금전적·투자적 수익, 비금전적·투자적 수익, 소비적 수익으로 구분하였고, 학생개인변인 및 가정배경변인에 따른 기대 차이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 연태시의 2개 고등학교에서 각각 300명 학생과 그들 학부모 300명, 총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등을 통해 집단 간, 항목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고등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고등교육의 수익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둘째, 성별, 학년, 성적 등 학생개인변인에 따라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다. 셋째, 가정배경변인에 따라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다. 넷째, 학부모와 학생 간에 고등교육수익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다. 앞으로 고등교육정책이나 대학운영에서 이러한 다양한 기대와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expectation of Chinese high-school students on the benefits of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benefits were categorized into monetary-investment benefit, non monetary-investment benefit and consumptive benefit. The differences in expectation according to independent student factors and family background were analyzed. The survey data on every high school’s 300 students and 300 their parents total 1200 in 2 high schools in YanTai was put into the analysis.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items were analyzed using Cross tabulation, ANOVA, etc with SPS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high-school students’ overall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was high. Second,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differed according to independent student factors, such as gender, academic year, grade, etc. Third,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differed according to factors of family background. Fourth, level of expectation on higher education benefits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differed.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such various expectations and differences when dealing with higher education policies and university operation.

      • KCI등재

        DEA를 활용한 대학의 연구생산성 제고방안 탐색

        김민희(Kim, Minhee),나민주(Rah, Min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대학의 연구생산성에 초점을 두고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9개 대학의 연구생산성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밝힌 후, 대학의 연구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DEA) 및 토빗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의 연구생산성은 대학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고, 전체적으로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설립유형간 차이가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 대학은 기술적인문제보다는 적정한 규모를 유지하지 못해 연구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토빗분석에서는 대학 외적 배경특성보다는 대학내 연구관리 운영상의특성들이 대학의 연구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별 발전전략의 차별화, 대학평가 및 재정지원제도 전환, 교수업적평가제도 보완 등의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empirical analysis by utilizing the university information posting data with focusing on research productivity at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productivity at totally 129 universities, clarified relevant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this, and then performed with the aim of exploring a plan for reinforc ingresearch productivity at university. For this, this study used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Tobit model. As a result of research, the research productivity at university was indicated to be low level as a whole, and had difference between foundation types. Especially, our country’s universities were indicated to be low in research productivity due to failing to maintain appropriate scale, rather than technical problem. In the tobit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in light of research, management, and operation within university, rather than exter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t university, were indicated to have influence upon research productivity at university.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roposed the plans for intensification such as differentiation of a developmental strategy by university, a change in university evaluation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supplementation of Professor Evalu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