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Hinged Ankle-Foot Orthoses on Standing Balance Control in Children with Bilateral Spastic Cerebral Palsy

        나동욱,김동진,박은숙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0 Yonsei medical journal Vol.51 No.5

        Purpos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tatic standing balance and its postural control mechanisms during quiet side-by-side standing and the changes in these measures whilst wearing hinged ankle-foot orthoses (AFOs) in children with bilateral spastic cerebral palsy (CP).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children with bilateral spastic CP (6.10 ± 1.09 year-old) and 22 typically developing (TD)children (5.64 ± 0.49 year-old) were recruited. Pressure data were recorded while subjects with or without AFOs stood on dual force platforms and net body center of pressure (CoP) coordinates were calculated from this data. Net body CoP was traced for measuring mediolateral (ML) and anteroposterior (AP) displacement and path length per secon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arameters representing ankle,hip, and transverse body rotation strategies were also analyzed. Results: ML and AP displacement and path length per second of the CoP trajectory were higher in children with CP compared to TD children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se parameters whilst wearing hinged AFOs. Compared to TD children, children with CP used less ankle strategy though more hip and transverse rotation strategies for postural control during quiet standing. Whilst wearing hinged AFOs, the contribution of ankle strateg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or ML balance control in children with CP (p < 0.05). Conclusion: Hinged AFOs for children with CP may be helpful in improving the postural control mechanisms but not the postural stability in quiet side-by-side standing.

      • KCI등재

        정안산성의 고고학적 고찰

        나동욱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5

        Jeong-an Mountain Fortress is a stone mountain fortress constructed on the near-summit circumference of the mountain, which is estimated 800m circumference, located in Mt. Jeong-an (448.3m sea level), on the border among Gojeon-myeon Seongcheon-ri,Yangbo-myeonJangam-ri and Hoengcheon-myeon Hak-ri in Hadong-gun, Gyeongnamdo. There are some documents about Mt. Jeong-an and Jeong-an mountain fortress, and they shows that Jeong An(鄭晏), who is known to have led the engraving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second year of Koryo Gojong dynasty, built up the fortress on Mt. Cheolma and took care of his old mother. Also, according to the recent surface investigation about this fortress, it is estimated that it was built and managed by Jeong An and Jeong An's familly in Koryo dynasty. But after the in-site survey, it was discerned that the rampart was built in quadrangle broken stones and was set up in a way that the outer stones of each stairs is positioned backward to some extent, so that the way it was constructed is the same as those of Unified Silla. Furthermore, fragments of the roof tiles, which compose the majority of excavated relics, fits to characteristics of 8-9th century relics, and it is discerned to be built in Unified Silla era for military purposes, taken its geographical condition and viewed environment together. Also, prospecting research materials shows that it was built up as soil depthstone-made fortress about two times after its first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as built in the early time of Koryo dynasty, taken its constructing method and excavated relics. Therefore, it doesn't accor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fortress might have been constructed in 13th century, when Jeong An lived. Meanwhile, it is known to be temporarily used by loyal troops in Japanese invasion to Chosun in 1592, but it needs detailed investigation and examination later on. Therefore, Jeong-an mountain fortress, which is known to be made by Jeong An is worthy of being re-considered, and its trait and precise time of construction are expected to be uncovered through excavation research later on. 정안산성은 경남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양보면 장암리, 횡천면 학리의 경계면인 정안산(해발 448.3m)에 위치한 둘레 약 800m의 테뫼식[山頂式] 석축 산성이다. 고려 고종 2년(1215)에 팔만대장경의 판각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진 정안(鄭晏)이 철마산에 성을 쌓고 노모를 모셨다는 기록과 일치하는 성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실시된 정안산성에 대한 지표조사 결과에도 정안산성은 고려시대 중기에 정안선생과 정안가에 의해 축성․운영되었던 산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을 직접 답사한 결과 초축 성벽은 사각형의 할석을 사용하여 층단식으로 들여쌓기 하여 722년에 축조한 관문성 등 통일신라시대에 축성된 성들과 축조수법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출토유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기와편도 8∼9세기대 유물의 특징과 부합하며, 입지와 조망환경을 통해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축조한 성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굴조사 자료를 보면 초축 이후 2차례 정도 토심석축성(土芯石築城)으로 수축한 사실과 건물지가 확인되었는데, 축조수법과 출토유물 상으로 볼 때 고려 초기에 수축(修築)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3세기 정안의 활동연대에 축성하였다는 사실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임진왜란 때 의병에 의해 일시 사용된 성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관련 유물이 수습되지 않아 차후 정밀 조사와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안이 축성하였다고 하는 정안산성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으며 차후 발굴조사를 통해 그 성격과 정확한 축성 시기가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나동욱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

        조선시대 경상도 남해안지역에서 시・발굴조사 된 읍성의 체성 내벽을 중심으로 한 변화 과정과 부속 시설물로서 등성계단의 축조수법을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읍성은 조선 태종조에서 연산군조에 걸쳐 축조된 것이다. 세종조를 전후한 시기의 읍성은 세종 20년(1438)에반포된 「축성신도」와 세종 25년(1443) 이보흠의 「축성신도」를 보완한내용과 근사한 것으로 조선시대 읍성과 수군진성의 축조에 기본이 된것으로 이해된다. 이보흠의 「축성신도」의 보완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읍성의 석축화과정에서 도성의 축조기법에 의하여 축조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비록세부적인 축성수법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축성신도」반포 이전인 태종 17년(1417) 축성된 하동읍성이나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남벽 조사에서 체성의 면석 내부를 층단식 석축으로 뒤채움 한 것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남해안지역 읍성의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보면 조선초부터 도성의 체성 축조기법과 같이 지방 읍성의 체성 내벽도 「축성신도」의 내용처럼 층단식 석축으로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종년간에 축조한 창원 합포성지・거제 사등성지・창원 웅천읍성 등의 발굴조사 결과 축성신도의 규식에 충실한 층단식 석축 뒤채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천읍성에서는 축성신도의 보완책에 부합하는 층단식 석축뒤채움 안쪽으로 토사를 경사지게 덮은 성벽도 조사되었다. 그리고 웅천읍성(단종 1년(1453) 증축) 동남벽, 거제 고현읍성(문종 원년(1451))북벽, 울산 언양읍성(연산군 6년(1500)) 북벽 등의 발굴조사를 통하여내벽 안쪽을 토사로 경사 내탁하는 기법은 동일하나 체성의 내벽 뒤채움 구조가 기존 층단식 석축에서 수직상의 석축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체성 내벽 축조기법은 동래읍성(영조 7년(1731))이나 통영성지(숙종 4년(1678)) 등을 통하여 체성외벽의 지대석이 시공되지 않고 체성 면석 안쪽에 일정한 너비로 잡석을 채우고 토사로 적심을 채우는 기법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는 체성 축조기법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하동읍성과 거제 사등성지에서는 부산 천성진성등의 내벽에서 성상부로 연결되는 등성계단이 확인되었다.

      • 울산 남목마성에 대한 고찰

        나동욱,이철영 한국성곽학회 2010 한국성곽학보 Vol.17 No.-

        이 논문은 목장성(牧場城) 관련 유적 중 전국에서 가장 먼저 문화재(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된 남목마성의 입지와 공간구성, 체성의 축성법 등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결과 남목마성은 방어진반도를 동-서로 가로질러 축조된 차단성 즉 장성(長城)이며, 내외협축의 석축성(石築城)으로 축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목장 내부는 크게 2개로 구획하였는데 외성은 석축으로 쌓은 반면 내성은 목책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체성의 축조수법을 보면 자연 할석(割石)을 사용하여 외벽과 내벽 모두 막쌓기한 곳도 있고, 내벽의 하단부에 판석으로 비교적 정연하게 허튼층쌓기 한 곳도 있다. 잔존 높이는 외벽의 경우 120~260cm 정도이며 평균 폭은 180~200cm 가량이다. 이 연구는 그간 목장성에 대한 연구나 조사가 매우 미흡한 상황에서 남목마성이 지닌 축조방식과 구조를 밝힘으로서 조선시대 지방의 마정사 및 목장성의 성격 이해에 작은 도움이 되고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Nammok-masung was a ranch which rear horse in chosun dynasty.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tructure of Nammok ranch wall. The detail objectives of the research was ; First, the location of Nammok ranch and the layout of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composition principle was found. Second, Nammok ranch wall were analyzed about dimension, form, constructive method, and structure. Nammok ranch location was selected on the consideration of natural condition such as configuration of the ground, climate, and grass state The height of wall remained until present was about 120~260cm, the depth was about average 180~200cm. The results of these study can give deep understand of physical structure and help to reconstruct future Nammok ranch wall.

      • KCI등재
      • KCI등재

        부산 배산성지 출토 목간 자료 소개

        나동욱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Baesanseong Site is located in Baesan, Yeonandong, Yeonjegu, Busan Metro City, which was a central site of ancient Busan. It is a pogok-styie (包谷式) mountain fortress surrounding seven-part ridges of east and west mountaintops. Near the Baesanseong Site are main sites of Three Kingdon Era of Busan, where many artifacts of that time were found through surface investigation. Therefore it has been speculated from long time ago to be a mountain fortress of Three Kingdom Era. In 2017, Yeonjegu Office commissioned some deliberate excavation surveys of existing well site, newly-found water catchment site and the site expected to be the North Gate Site to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As a result of surveys, additionally installed faculty to reinforce the stereobate, which is also found in stone fortress of Silla, was found at the bottom of the outer wall. Additionally, 2 water catchment sites were located in east-west direction on the northern seven-part ridge slope, which have round surface and are in three-cross sectioned terraced structure. For the first time in Busan, wooden tablets were found in both sites. One found on the bottom of the catchment site no.1 located in west is a fragment of 6㎝ length and 3㎝ width on which only one or two characters are written, therefore is very difficult to figure out the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one found on the bottom of the catchment site no.2 located in east is about 29㎝ length and 6㎝ width,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firm clear characters written in Chinese ink at the center and upper right. As a result of two times of wooden tablets decipher co㎜ittee, main characters deciphered are village(村), date〔年月日〕, and units measuring grains〔石, 斗〕, etc. Of the deciphered characters, the year of Eul-hae (乙亥年) corresponds to one of A.D. 555, 615 and 675, based on excavated artifacts’ chronology. Therefore, the wooden publication is estimated to be the documentary telling the village periodically made a payment to the office. Also, it is similar to Saharinogaban Document (佐波理加盤付屬文書) of the Japanese Shousouin (正倉院),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before A.D.725. Moreover, if characters on 10 wooden tablets fragments found nearby are decoded, clearer contents are expected to be identified. 배산성지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배산(해발 254m)에 위치한다. 배산의 동,서 두 봉우리의 7부 능선을 두르는 포곡식(包谷式) 산성으로, 고대 부산의 중심지에 위치한 산성이다. 배산성지 주변에는 부산의 삼국시대 주요 유적이 분포하고, 지표조사를 통해 삼국시대 유물이 다수 채집되어, 오래 전부터 배산성지가 삼국시대 산성으로 추정되어 왔다. 2017년 연제구청이 배산성지 일원에 대한 정비·복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기존 우물지와 새롭게 확인된 집수지, 추정 북문지 일원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를 부산박물관에 의뢰하였다. 조사 결과 성 외벽 하단부에서 신라 석축산성에서 확인되는 기단보축(基壇補築) 시설이 확인되었다. 또한, 배산의 북쪽 7부 능선 경사면에서 동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평면 원형, 단면 3단의 계단식 구조를 가진 집수지 2기가 확인되었으며, 부산 지역 최초로 2기 모두 목간편이 출토되었다. 서쪽에 위치한 1호 집수지 바닥에서 출토된 목간(木簡)편은 잔존 길이 6㎝, 너비 3㎝의 파편인데다가 글자도 1∼2자 정도여서 내용 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다. 그러나 동쪽의 2호 집수지 바닥에서 발견된 목간은 잔존 길이 29㎝, 너비 6㎝ 정도로, 중앙과 오른쪽 상단 부위에서 묵서(墨書)가 비교적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2차례에 걸친 목간 판독 자문회의 결과 판독된 주요 글자는 촌(村), 날짜〔年月日〕와 곡식을 계량하는 단위〔石, 斗〕 등이다. 판독된 글자 중 을해년(乙亥年)은 출토 유물의 편년상으로 볼 때, 555년·615년·675년 중에 하나로 촌락에서 관청으로 물품을 정기적으로 상납한 기록물로 추정된다. 현재, 725년 이전 문서로 추정하고 있는 일본 정창원(正倉院)의 좌파리가반(佐波理加盤) 부속 문서의 내용과 유사한 것으로 주변에서 수습된 목간 파편 10여 점도 문자가 확인될 경우 보다 명확한 내용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