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의 젠더 역사쓰기의 가능성과 한계

        김훈순(Hoon-Soon Kim),김숙(Suk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1 No.3

        이 연구는 KBS에서 방영되었던 TV 역사다큐멘터리인 〈역사스페셜〉과 〈한국사 傳〉을 대상으로 TV의 역사쓰기방식을 살펴보기 위해 이야기구조와 담화를 중심으로 서사분석하였다. 역사적 사실을 선택과 배제를 통하여 재구성하는 TV의 역사쓰기가 대중매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지배적인 역사인식에 반하는 역사적 해석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짚어 보았다. 분석결과 두 프로그램 모두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반하는 전복적인 역사쓰기에 한계를 드러냈다. 이야기구조에 있어서는 첫째, 여성의 역사를 쓰는데도 불구하고 남성의 영웅 서사 전개방식을 채택하였으며, 또한 공적 인물화하는 과정에서 개인으로서의 여성성을 없애고 탈개인화시키고 있다. 둘째, 두 여성에 대한 역사적 평가에 앞서 전제하고 있는 외모에 대한 평가가 남성적 시선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셋째, 정치적인 여성 인물사를 이야기함에도 불구하고 사적인 남녀 간의 애정관계에 주목하고 있어 여성의 공적 인물화에 실패했다고 할 수 있다. 두 프로그램의 담화방식 역시 역사적 상상력을 주기보다는 다큐멘터리의 역사적 해석을 더욱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튜디오에서 실제의 모습으로 전지적 시각으로 역사를 전달하는 서술자는 담론적 위계구조에서 가장 상위에 위치하고 있는 의미 규정자였다. 영상의 경우 특히 〈한국사 傳〉에서 부족한 영상을 메우기 위해 제작진의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진 극화된 재연 장면에 의존하는 방식은 담화가 오히려 가부장적 서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인물에 대한 전복적해석의 가능성을 제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narrative of 〈History Special〉 and 〈Korean History Biography〉, two history documentary broadcasted on KBS, in terms of story-telling and discourse. And it also examined whether TV as mass media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against the dominant historical awareness. As a result, both programmes showed limitations on representing subversive point of view to the dominant ideology. At the story-telling level, firstly, they represented in a way of male-hero narrative though they were describing the history of woman, and while representing woman as a public figure they eliminated her feminity and individuality. Secondly, before evaluating woman as a historic figure they previously appreciated her appearance in a male-point of view. Thirdly, although they were telling the story of woman in a political view, they focused on love triangle, therefore failed to make her as a public figure. The discourses of both programmes were anchoring the existing historical interpretation instead of offering an alternative historical imagination. The narrator who were telling history at the studio in a omniscient viewpoint took a role as a meaning definer, placed at the highest rank in the hierarchy of discourse structure. Especially in 〈Korean History Biography〉, the dramatized images to cover lack of visual data helped anchor the patriarchal narrative and reduced the possibility of subversive interpretation on historic fig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경합

        김훈순(Hoon-Soon Kim),김은영(Eun-Young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5 No.-

        이 연구는 영화장르의 진화적 특성과 젠더 담론을 끊임없이 생산 유통하는 멜로영화에 주목하여, 원작인 〈미워도 다시 한 번〉(1968)과 이를 리메이크한 〈미워도 다시 한 번 ’80〉, 〈미워도 다시 한 번 2002〉를 대상으로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재현방식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지배적 여성담론의 반복과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워도 다시 한 번〉의 리메이크 과정에서 여성담론이 모성을 넘어 낭만적 사랑으로 점차 확대 재편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인물의 특성과 관계에 주목하는 계열체분석결과에 따르면 리메이크가 진행될수록 여성들의 낭만적 사랑에 대한 추구가 용인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명확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통합체분석결과인 사건전개 과정에서 여전히 여주인공에 가해지는 가부장적인 처벌과 서사적 담화차원에서 뚜렷이 드러나는 남성 주도적인 시선 그리고 남성의 기억 속에만 존재하는 낭만적 사랑의 유약한 존재감은 가부장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낭만적 사랑의 한계를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경합과정에서 낭만적 사랑의 부상은 멜로영화가 여성들의 욕망이 투사되는 장이며 가부장제와의 갈등과 타협이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study is interested in evolution of film genre and production of gender discourse.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First, it analyzes how to the motherhood and romantic love are represented into melodrama.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re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of gender discours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For the study, it has analyzed series of 〈Although is hateful again〉, which has re-made continuously. According to a result, it finds that female discourse is expanded and romantic love is strengthener than motherhood in the process of remaking text. In the paradigmatic analysis to examine main characters and relationship, the more film is re-made, the more it represents women’s pursuit of romantic love and social support for it. However, in the syntagmatic analysis, it shows limits of romantic love not to be free from patriarchy. Because heroine was punished at the end of the story and it was expressed with male-dominated gaze although melodrama is female genre. And the presence of romantic love only in hero’s memories is weak in reality. In conclusion, the melodrama reflects women’s desires. Moreover, it is a dynamic popular text in which the conflicts and negotiations with patriarchy take place through the contest for discourse of the motherhood and romantic lov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1960년대 한국영화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근대적 욕망과 도시 공간

        김훈순 ( Hoon Soon Kim ) 한국기호학회 2009 기호학연구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n desire structures represented in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space in the 1960s Korean films. Films, both as systems of representation and as social practices, are rich sites for ideological analysis. Generally, film narratives set up binary oppositions which are resolved at their end. The oppositions are representations of competing ideological or discoursive positions in contemporary society. And film narratives resolve social contradictions symbolically. In this context, using Greimas`s model and Todorov`s model of narrative, the study analyzes 8 popular Korean film narratives and spaces, and, in particular, focuses on the conflicts of narratives between desires for traditional values and for western modern values. The study finds 3 types of narratives. The first is replacement of traditional patriarchy with new modern generation, the second is treats of modern social order and familism, and the last one is modern desire for class uprising and destruction. The spaces of narratives are segregated and arranged hierarchically between high and low classes, and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s. The high classes and the young generation tend to occupy the westernized, modern and rich places in the films. In conclusion, in the 1960s Korean films family harmony and social integration were reproduced and emphasized, which might contribute to suppress the desires for social mobility as the result of the rapid modernization in 1960s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한국 언론의 젠더 프레임

        김훈순(Hoon-Soo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7 No.-

        이 연구는 한국 언론의 젠더담론을 살펴보기 위해 《조선일보》ㆍ《한겨레신문》 사회면에 실린 여성관련 범죄뉴스의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스트레이트 기사형식을 선호하는 사회면의 범죄기사는 대부분 일화 중심적 뉴스 프레임을 취하고 있었다. 일화 중심프레임의 기사들이 피해 여성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프레이밍 기제들은 가해자 중심의 서술 및 여성 피해자의 타자화, 남성필자의 가부장적인 시선, 선정적 묘사, 여성의 신체적 취약성과 수동성 강조, 피해자 여성 비난하기 등이었다. 주제 중심적 프레임 기사의 특성은 선정성 부각과 함께 사회구조 탓하기와 구체적 대안의 부재로 분석되었다. 후속보도가 이어진 하양피살사건에 대한 사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사건의 내용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건발생 초기에 설정된 흥미위주의 여성에 대한 선정적 프레임은 지속되었으며, 이는 한국언론의 내재된 여성관을 확인시켜주는 대표적 사례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정성을 강조하는 언론의 상업주의적인 태도와 경직된 취재보도체제에 비롯되며, 특히 남성편향적인 프레임들은 경찰발표를 그대로 받아쓰는 관행적인 뉴스제작 관습과, 남성기자와 남성적인 뉴스조직의 가치판단에 의해서 형성된다. 두 신문은 정치적 노선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성을 다루는 방식에서 여성문제에 대한 무관심을 드러내는 동시에 가부장적인 여성관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사회의 보수세력과 진보세력의 담론 모두가 남성적 담론으로서 여성은 담론상의 위치에서 사회적 약자로서 소외되고 있음을 반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scourse of Korean newspapers. For this, the study analyzes the frames of crime news on Chosun Daily and Hangyurae Newspaper for 2 years. The data are collected using KINDS, and include 265 crime articles involving wom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episodic frames are used in the most of crime news. The five frame devices are founded in the episodic frame articles; the male subjectivity and the female objectivity, the male-oriented perspectives which reporters have, the abused sexual details and sensationalism, the emphasis of women body's fragility which imply woman's unavoidability as victims, and finally, blaming women who are victims of crimes. And in the articles of thematic frames, the similar frame devices are found. In particular, they only emphasize the problem of crime and fail to suggest a concrete resolu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findings relating to the patriarchal news making convention and the commercialism of newspaper industry. The two newspapers have been pursuing quite different political lines in Korean society.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Hangyurae newspaper is progressive and Chosun Daily is conservative.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the way dealt with women in the crime news are not different. It is concluded that Korean newspapers still produce the gender discourse based on male-centric perspective and patriarchal ideolog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환상적 사실성 - tvN <삼시세끼 정선편> 시즌1을 중심으로

        김환희 ( Kim Hwan-hee ),김훈순 ( Kim Hoon-soon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오늘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장르적 혼종성과 텍스트의 사실성 추구라는 두 가지 상황적 맥락에서, 보다 정교한 리얼리티를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서사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이때 `사실성`이란, 실재하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 이상으로 텍스트 내외부의 여러 전략을 통해 인위적으로 구축된 것이라는 점에서 `환상적 사실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이것이 프로그램 내에서 어떠한 기제를 통해 구체화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tvN의 <삼시세끼 정선편>의 서사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삼시세끼>는 텍스트의 사실성과 제작진의 의도를 강화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반에서 다양한 전략을 시도하고 있었다. 계절의 순환이라는 원초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사건은 현장감과 사실성을 강조하고, 장소의 일상성을 부각하는 출연진들의 행위 및 생활-연출공간의 경계 허물기는 다소 낯설 수 있는 촬영지를 `현실적인 전원`으로 이미지화 한다. 더불어 실제 인물과 연출된 허구인물 사이를 오가는 등장인물들은 자연인으로 포장되어, 과정의 사실성이 강조된 일상적 행위들을 이어가는 등 장면의 리얼리티를 강화하는 바, 결과적으로 `강원도 정선`은 실현 가능한 이상향으로 치환된다. 그러나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생산한 환상적 사실성에는 단순히 서사적 즐거움 이상으로 낭만적 현실로 은폐된 문제들이 분명하게 자리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질문을 지속할 때 비로소 `리얼리티` 끝에 실재하는 `무언가`를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reality program uses a variety of narrative strategies to produce a lot more sophisticated `reality`, in the context of situational aspects, including genre hybridity and in pursuit of text reality. In this regard, `reality` refers to a kind of `illusion`, in that it is artificially established through various strategies with and within the text, more than just displaying the objective rea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illusion of reality`, and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of tvN`s Three meals a day - Jeongseon se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mechanism that is used to actualize `illusion of reality` within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hree meals a day tried various strategies throughout the program, in order to reinforce the text reality and the purpose of producers. Every event occurred over the primitive time flow, as the circle of the seasons, emphasized the sense of reality. Also, the casts` behaviors and breaking up the boundary between real - fictional space, visualizes `realistic rural areas` that can be regarded as somewhat exotic. Furthermore, `Jeongseon, Gangwon- do` is eventually transferred to the feasible utopia by characters who act both real person and a fictional person, forming pseudo-family, and by strengthening scene reality such as carrying on daily routine behaviors which reinforced the reality of procedure. However, since `illusion of reality` created by reality program does certainly embrace problems camouflaged with romantic reality, more than just showing narrative enjoyment, thus, continuing to pose such questions enables us to confront `something` that lies behind `reality.`

      • KCI등재

        TV드라마와 젠더담론의 균열과 포섭 : 이혼녀와 미혼모의 재현

        김환희(KIM, Hwan Hee),이소윤(LEE, So Yoon),김훈순(KIM, Hoon Soo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0 No.3

        지금까지 TV 드라마에서 이혼녀 · 미혼모는 주로 피해자나 실패자로 묘사되며 주변인으로 위치했다. 그러나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따라 배제되었던 다양한 여성 이미지들이 이야기의 중심부에 등장하면서 TV 드라마가 상반된 젠더담론의 경합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가부장제 질서의 균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이혼녀 · 미혼모를 주요 인물로 등장시킨 네 편의 드라마의 서사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가부장제에서 자발적으로 이탈한 이혼녀 · 미혼모에 대한 긍정적 묘사와 이들의 공적 영역에서의 활약, 다양한 여성등장인물들 간 생산적 연대 묘사는 가부장제의 문제점을 드러냄과 동시에 이를 균열시킬 수 있는 힘으로 포착되었다. 그러나 ‘백마 탄 왕자님’의 현대적 변형인 탈권위적 남성인물과 더욱 공고해진 낭만적 사랑담론의 결합은, 앞서 언급한 가능성들을 충돌하는 담론들 간 타협지점으로 기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또한 사회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된 문제들을 개인의 능력과 같은 지엽적인 영역으로 축소하는 것은 탈가부장제의 환상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뿐만 아니라, 우리사회에서 고학력 · 전문직이 이혼녀 · 미혼모로서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선결조건임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비판적 논의가 가능하다. 그러나 계속되는 타협지점의 생성은 역설적으로 가부장제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반증일 수 있는 바, 앞으로 더욱 가시화 될 담론 간의 충돌 속에서 비판적 텍스트 읽기를 통한 ‘의미의 정치학’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heretofore have been depicted in television drama as victims and failures, and have been thus relegated to passive roles. In light of social demands and changes pulling diverse female characters out from obscurity into the heart of the narrative, TV drama is becoming a battlefield of gender discourse. This study conducted narrative analysis of four drama with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as protagonists in order to explore possibility of disintegration in patriarchal order from a feminist standpoint. Analysis result shows the positive depictions of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who voluntarily break away from patriarchy, as they excel in professional world, and of their constructive alliance shed light on the problems with patriarchy and simultaneously identify the force to disintegrate it. The combination, nevertheless, of male characters that have abandoned patriarchal authority, who are just modern day Prince Charming, and heightened romantic narrative discourse poses limitations in that it turns aforementioned possibility into a compromise between divergent opinions. Another possible critique in attributing problems rising from social imbalance to the lack of individual ability is that it not only strengthens anti-patriarchy propaganda, but assigns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grees as prerequisites for happiness for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Ironically, however, a constant need for compromise could be an evidence to the problems with patriarchy, in which case it would be important to realize “Politics of Meaning” through critical re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