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선수들의 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진단

        정영미(Young Mi Jung),김회용(Hoy Yong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학생선수들의 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진단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통해 분노표현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는 Q방법론의 연구과정으로 진행되었고, P-표본은K시 체육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5명을 목적표집 하였다. Q-분류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QUANL 1.2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Q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총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은 분노를 느꼈을 때에도 자신의 감정상태를 자각하고 인내심을 갖고 냉정함을 유지하며 스스로 조절하려는 분노조절형이다. 그들 대부분은 비교적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제 2유형은 분노를 느끼면서도 타인에게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속에 쌓아 두며 상대를 비난하거나 자신의 감정과 사고를 억제하는 분노억제형이다. 이 유형의 특성은 자신의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를 가지고는 있지만 주변인들과의 관계를 지키기 위해 분노를 억누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제 3유형은 화가 났을 때 겉으로 표현하며 욕을 하거나 과격한 공격행동을 취하는 분노표출형이다. 이 유형의 특징은 자신의 처지나 주변 상황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으며, 주변인들과의 관계 또한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생선수들을 지도함에 있어 기능향상이나 승리보다는 체육의 인성교육적 가치를 제고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iagnosis for character education realization of athletes. finding the trait of each anger expression type after analyzing the type of athletes` way of expressing their anger. I applied Q methodology devised to measure the person`s subjectiveness. P-sampling is edited by my own standard with 35 middle school athletes of Athlete Middle and High school in K city who are considered to have study-related issues. The collected materials by Q-classification were conducted Q-factor analysis by using QUANL 1.2 PC programs.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3 types are classified: The first type(the type of controlling anger) recognizes the state of their emotion, trying to remain calm with patience and control themselves. They have relatively positive way of thinking, the second type(the type of suppressing anger), feel anger but hide their anger instead of expressing it ,and criticize others within himself. This type has negative thinking about their situations but suppresses their anger to keep favorable relations with others in most cases. The third type(the type of expressing anger) expresses their anger and even curse to adopt an aggressive attitude. They have very negative thinking about their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and don`t make so much of the relations with others.

      • KCI등재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방법: 대화(Conversation)와 내러티브(Narrative)

        박선영 ( Seon Young Park ),김회용 ( Hoy Yong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교육의 효과적인 종합을 구상한 립맨은,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통해 개인 사고능력의 계발과 합당한 공공선의 성취를 동시에 모색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프래그머티즘에 바탕한 탐구공동체의 특성에서 발견된다. 개인과 공동체는 `탐구`라는 활동으로 상호관련 지어져 연속적으로 발전되어 나갈 때 개인 혹 공동체 어느 한 요소만 교육목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수단-목적으로 그 역할을 바꾸어나가며 발전할 수 있다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은 대화(conversation)를 통해 이루어진다.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내적 특성상 대화는 불확실성이 내재된 고유한 상황에서 체득한 질적 경험(qualitative experience)을 유도하며, 개인에게는 사고와 감정의 종합적인 발달을 이끌어내고 공동체 차원에서는 문제해결에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합당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실제 대화가 실천되는 과정에서는 언어훈련과 논리훈련, 텍스트분석에 의존해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내적 특성을 미처 발휘하지 못한 채 사고기술 훈련에만 치우칠 수 있다 나아가 사고의 종합적 발전을 통해 좋은 판단을 학습하는데 목적을 두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은 단지 개인과 공동체의 인식론적 변화를 가져다줄 뿐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존재론적 변화의 경험 추구라는 본연의 목표와 거리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구체적 맥락에서 의견을 재구성하고, 개인의 감정적 혹은 비논증적 배경을 설명함으로써 타인에게 깊이 공감할 기회를 주는 내러티브(narrative) 활동이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과정에서 병행될 것을 제안했다. 내러티브와 대화가 적절히 구성된 철학적 탐구공동체 속에서 개인은 질적 충만감이 있는 체험을 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role of narrative which can supplement the conversation used in the situation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Children. To reveal the nature of conversation and narrative in detail, researchers first identify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Matthew Lipman`s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Children model can integrate the educational purpose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While the purpose of liberal education lies at autonomy of individuals, communitarian education aims at achievement of the common good. Therefore, these two educational models inevitably conflict each other in the educational practice. Lipman`s model doesn`t aim at the fixed educational goals because his model is based on Dewey`s thought, pragmatism In the actual practice of conversation, Lipman focused on training the logic of language or thinking skills which are based on the mental acts. In these cases, these conversations do not lead to holistic autonomy and community hardly experience the rational judgement. That`s why narratives should be formed in personal and concrete context. The narratives are characterized as being illogical, emotional. Furthermore, they can create and reconstruct the events in the human life and meaning to a human life. Narrative can help to achieve its intended objectives of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and successfully make up for the activity of the conversation.

      • KCI등재

        철학놀이를 통한 미술활동

        조영진(Cho, Young-Jin),김회용(Kim, Hoy-Y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2

        학교에서의 미술교과는 다른 과목에 비해 논리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한 교과로 인식 되어 왔으며,학교 교육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특히 상급학교의 입시교육에 치중하는 중등 교육에서의 미술교과 수업은 작품 활동에 필요한 일부의 기능이나 단편적인 이론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지적인 사고(思考) 및 판단 활동과는 무관한 교과로 인식되는 왜 곡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미술교육의 의미가 기능이나 지식 습득과정으로 축소되었을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미술의 본질적 가치인 심미성과 총체성 이 상실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것 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사고 및 판단 활동을 강조하는 철학놀이를 미술활동과 결합하여 미술교육의 질적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철학놀이는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공동체를 형성하고 탐구활동을 통해 자신들이 직면한 철학적 문제를 함께해 결하고자 시도하는 것 이다. 개인의 감상과 의견을 설계하는 탐구과정에 작품 창작 및 감상동의 미술활동이 결합된다면, 창의적 상상력과 미술 기법 그리고 지적 탐구 능력 및 미술적 표현력 등이 종합적으로 발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미술활동을 통한 철학놀이가 어린이 들에게 총체적인 심미 체험을 부여하며, 지적 사고 능력은 물론 정서적 사유를 함께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밝히기 위해 2장에서 듀이의 미학(美學)과 이를 바탕으로 한 립맨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개념을 설명하여 철학 놀이의 이론적 의미를 제시하였고, 3장에서는 탐구공동체에 미술 구상 활동을 접목한 수업의 실천 사례를 제시하여 칠학놀이의 실제적 효과를 설명하였다. Art education in school has been regarded as a non-directive and illogical subject compared to other subjects. and art classes which have been treated as relatively inferior in school curriculum have been reduced as a subject of education. to a part of its function or theoretical knowledge rather than being treated as a natural and practical experience of learning. In addition. through distorted perceptions. art as a subject began to be recognized as separated from intelligent thinking and judging. With art education being limited as the process of educating its function and knowledge. an important aspect. which is its essential value. aesthetics and wholeness. has been los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maximize the qualitative effect of art education combining art activity and philosophy-play.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play is that children who become curious about a topic involved with philosophy resolve the question through joint-study with teachers and peers. At this time. if art activity such as creating artworks and appreciation of art is joined with the study of building up personal feeling and opinions. creative imagination. artistic techniques and intellectual study process can be pieced together and that will lead to an educational aesthetic experience. To determine that philosophy-play with art activity offers the wholeness of aesthetic experience to children and IS a way to develop intellectual thinking skills and emotional reasons at the same time. In chapter two. we measured Dewey's aesthetics and the concept of Lipman's philosophical study-community based on Dewey's aesthetics. and suggested theoretical meaning of philosophy-play. and in chapter three. we propose the actual study of classes combining art-designing activity with the study-community and investigated to reveal its practical effects.

      • KCI등재

        듀이의 ‘미적 경험’ 연구 동향 분석

        박선영(Seon-Young Park),김회용(Hoy-Yong Kim)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이 글은 최근 10여 년간 교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듀이의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연구가 이론적 검토와 실천적 적용 면에서 어느 정도 진일보하였는지 반추(review)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양적 변화와 내용/방법상 발전 상황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내용적 발전의 여부를 좀 더 깊이 포착하기 위해 세 가지 질문을 추가적으로 제시했다. 그 질문은 첫째, 질성의 의미를 좀 더 폭넓은 학문적 맥락 아래 규명하고 있는가? 둘째, 교육적 경험과 미적(질성적) 경험 간 논리적 정합성을 검토하였는가? 셋째, 경험의 내용(교과)에 따라 질성의 유형이나 수준(단계)이 생길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는가?이다. 이에 대하여 첫째, 질성은 미적 경험의 특성뿐 아니라 인간의 인식 과정 및 존재의 확장 과정까지 규명하는 개념으로 연구됨으로써 교육학적 토대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해석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둘째, 미적 경험과 교육적 경험이 내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 지향의 종합적 형태로 설명되어 두 경험 유형 간의 논리적 정합성을 추론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셋째, 경험 내용에 따라 질성의 성격이 달라질 수는 있지만 수준이나 위계가 생기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암시하는 연구가 있다는 사실로 요약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위 사실을 통해서 듀이의 미적 경험 개념에 대한 교육학 영역의 연구가 내용과 방법 면에서 점진적인 발전 과정에 있다고 유추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Dewey’s aesthetic experience in the field of pedagogy over the past decade (2014-2023) and briefly review the degree to which studies have evolv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oward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number, study content, and method and then presented three questions to infer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Thes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as the meaning of quality (qualitative thought) been identified under a broader academic context? Second, has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qualitative) experie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been reviewed? Third, can the content (subject) of experience shape the type or level (step) of quality?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quality (qualitative thought) was studied as a concept that identifie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but also the possibility of human perception and the expansion process of existence, supporting the pedagogical foundation. Second, there were studies that suggested the presence of logical consistency between the two types of experience. They addressed the fact that the two types of experiences are similar in that the fullness (internal value) of the experience itself and its value (means value) are combined as support for the next experience. Third, there were studies that made it possible to infer that although the nature of qual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experience, there cannot be a level of hierarchy or superiority.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research in the field of pedagogy on Dewey's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is continuously developing and deepening.

      • KCI등재

        어린이 철학(Philosophy for/with Children, P4wC)의 핵심가치로서의 미적 경험:

        박선영(Park, Seon-Young),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3

        어린이 철학(Philosophy for/with Children, 이하 P4wC)은 혁신적인 초・중등 교수학습법으로 오랫동안 인구에 회자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 및 이론 영역으로부터 보편적인 관심을 끌어내는 데 성공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왜일까? 연구자들은 우리나라 교육의 장에서 어린이 철학이 단순히 수업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이 그 중요한 원인이라고 진단했고, 어린이 철학의 본령적 특성에 심미성(審美性)이 내재하여 있다고 판단하여 어린이 철학 프로그램의 설계자인 매튜 립맨(Matthew Lipman)과 그의 학술적 레퍼런스인존 듀이(John Dewey)의 교육론을 분석하여 이를 규명해 보았다. 지금까지 어린이 철학운동 진영에서는 ‘사고 기능의 발달’을 목표로 명시해 왔기에 그 교육적 가능성이 인식되는 폭은 넓지않았다. 그러나 운동 전반의 흐름에 병존하는 ‘미적 경험(aesthetic exprience)’은 교육이라는 인간 활동의 본질적 특성을 함의한 개념이기에 이를 핵심 가치로 부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며, 이렇게 될 때 어린이 철학의 진면목이 제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연구자들은 이 사실을 존 듀이의 ‘질성적 사고(qualitative thought)에 기반한 경험’ 개념으로 포착하고자 했으며, 이 글은 위 가정을 해명하는 절차로 전개되었다. For a long time, Many educational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Philosophy for/with Children(P4wC) movement as a useful teaching process. In spite of that, P4wC doesn t seem to success of being selected as a good one from schools and educational scholars. Researchers indicate that because P4wC has become accepted just as a kind of teaching craft in our educational field, and we assume that there has another characteristic such as an Aesthetic impression in the practice and theory of P4wC. So we analyze the John Dewey and Matthew Lipman s Educational theory in order to confirm that. Until now. The Reader group of ICPIC have been saying that The main goal of the P4wC is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 so, unfortunately, it s educational value has been underestimated. but we now focus on the concep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which has existed together with the goal of the P4wC stated, and It is important and worthy of investigation because it contains the fundamental value of the educational phenomenon. Then the real educational value of P4wC would be reevaluated. In order to try to grasp the meaning of that, researchers analyzed the concept of Experience of Qualitative Thought and interpret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the two educational scholars.

      • KCI등재후보

        한나 아렌트의 공교육 제안 논의

        박선영(Pak, Sun Young),김회용(Kim, Hoy 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이 글은 현대 공교육에 대한 다양한 기대와 정의에 접근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한나 아렌트의 공교육제안을 논의하였다. 한나 아렌트가 주장한 공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녀의 공공성개념을 파악해야 한다. 아렌트가 현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밝혔던 공공성은 “차이에 기반하여 개인이 공적영역에 참여하는 행위”이다. 공공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개인의 독특성, 타인과의 차이, 자신의 견해를 말로서 표현함, 그리고 타인과의 대화와 토론이다. 아렌트는 이러한 공공성 개념과 관련지어 공교육을 제안했는데 어린이의 참여보다는 전통의 학습을, 공공성의 발휘보다는 분리를 강조했다. 그러나 성인의 권위에 의존한 교육은 공공성의 본래의미인 개인의 독특한 참여활동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었고, 정치적 참여를 배제하는 공교육은 어린이의 대화와 토론능력을 과소평가하였다. 따라서 공교육기관은 차이에 기반한 개인의 공적 참여활동을 적극적으로 학습하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iscuss Hanna Arendt's conception of publicness and argument of her public education in order to approach how the public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First, Hanna Arendt’s conception of publicness is reinterpreted. Publicness is refered to action based on the plurality and uniqueness taken to express an individual’s opinion through speech in the public realm. Second, her standpoint for modern public education is examined. Arendt argued that children must learn about traditions and public education needs to give an authority grown up person. And she asserts that publicness should not become a part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and limits of argument for public education, so propose another form of contemporary public education in simple terms. First, This study insistes that both grown-up person(teacher, parents) and children must have the authority of education. Second, This study insistes that Arendt's conception of publicness should be reaffirmed. The broad and changed meanings of publicness are not proper for children and these should be carefully controlled in public schools. But publicness that means "action based on the plurality and uniqueness which is taken to express an individual’s opinion through speech in the public realm" should not be seperated from the school. By nature, as she says, public schools where children gather are basically public places that cannot be changed into private places. in addition, public schools should be put an extenti on to the publicness. Children get a chance to learn publicness and discussion in school in a proper way.

      • KCI등재

        상상력을 활용한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의 연구동향 분석 : 2008년부터 국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최민주(Choi Min Ju),김회용(Kim Hoy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상상력을 활용한 깊은 학습(Learning in Depth)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후속적인 국내 깊은 학습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둔다. 2008년부터 현재까지의 깊은 학습과 관련된 키워드를 RISS와 ERIC사이트에서 검색하여 총 29편의 국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동향 분석의 범주로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의 세 가지 항목을 설정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국외 연구는 교육자 및 고른 연령층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과적용 방안과 관련된 질적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국내 연구는 교육자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깊은 학습의 원리, 교과적용 방안, 프로그램 개발 내용의 질적 연구를 주로 실행하였다. 깊은 학습은 자발적인 실천 의지에서 비롯된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연구이기에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주요 학습 프로그램으로 성공적인 정착의 과정을 밟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을 통하여 추후 국내 연구의 과학적 수행과 연구 영역의 다양성 및 행정적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related to Learning-in-Depth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Two databases(Riss, Eric) were searched for over 12 years(2008~2020). The total 29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hree criteria: research objects,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art of reserch trend of LiD focusing on overseas journals, conducted on educator and learner as curriculum application plan with qualitative study were most frequent. Second, in the field of reserch trend of LiD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the most of variables related to educato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s reserch which are principle of LiD, curriculum application plan and LiD program development with qualitative study. And third, since LiD is a realistic and practical study derived from voluntary will to practice, it is a major learning program that fosters the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learners in the school field and is taking the course of successful settle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in Korea, diversity of research fields,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t home and abroad.

      • KCI등재
      • KCI등재

        롤즈(Rawls)의 도덕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오창진(Oh, Chang-Jin),김상현(Kim, Sang-Hyeon),박선영(Park, Sun-Young),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2

        “사상체계의 제1덕목을 진리라고 한다면 정의는 사회제도의 제1덕목이다”라는 롤즈(Rawls)의 정의론의 구절은 그의 도덕이론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롤즈는 정의의 원칙을 토대로 하는 새로운 도덕이론 체계를 세웠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공정으로서의 정의, 합리성과 선, 정의감, 도덕심리학을 중심으로 롤즈의 도덕이론 구조의 틀을 정리하면서, 롤즈의 도덕이론이 전통적 의미의 의무론적 윤리학, 보편주의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하면서 이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비판과 여성주의 윤리학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양자의 비판에서 주요한 공통점은 보편주의에 근거한 롤즈의 도덕이론이 탈맥락적이고 차이에 대한 이해를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롤즈의 후기 저작을 통해서 이러한 비판이 일부분 오해와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임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도덕원리의 기초가 정의의 원칙에 출발하고 있는 롤즈의 도덕이론은 보편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아울러, 보편성과 차이를 결합시키려는 하버마스(Habermas)와 벤하비브(Benhabib)의 담론윤리, 호네트(Honneth)의 인정도덕이론을 살펴봄으로써 롤즈 도덕이론과 비판이론들이 다원화된 사회에서 진일보한 도덕이론을 재구성할 수 있는 이론적 기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focused on Rawls’ moral theory with reference to his works A Theory of Justice, Political Liberalism. The aim of thesis was to examine Rawls’ theory in the critical perspective with reference to critics and I will seek new ethics beyond Kant’s Ethics. In chapter two, I analyzed his moral theory already mentioned Rawls’ theory of justice. Especially, I tried to examine the moral theory on Rawls’ Justice, focusing on ‘justice as fairness’, ‘rationality and good’, ‘sentiment of justice and moral psychology. Then we understood Rawls’ moral theory which was based on universalism in moral theory. Moreover, we could grasp the person as antecedently individuated or unencumbered, priority of right over good, and developmental stages in sentiments of justice. The content of chapter three reviewed Rawls’ theory in terms of communitarianism, virtue ethics and feminist ethics focused on ‘conception of ego’,‘priority of right’ and ‘gender’. In addition, I explained Rawls’ response of these criticisms on the Political Liberalism. From those explanation, we could grasp the critics about Rawls’ theory that was due to understanding between universality and difference. In chapter four, I studied the discourse ethics in moral theory with reference of Benhabib and Habermas, they agreed to universality,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to admit difference in plural society. While Honneth suggested that it was possible for us to form of moral of recognition which was consisted of communitarianism, caring ethics, and Kant’s ethics. In conclusion, Rawls’ theory was applicable to the reality and futhermore enchanced the new framework of moral theory,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