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永平道元의 󰡔正法眼藏󰡕의 이해를 위한 시론

        김호귀,Kim. Ho-gui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09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

        일본 曹洞宗의 개조인 永平道元의 󰡔정법안장󰡕은 일본 조동종의 성격을 가장 잘 구현한 저술이기도 하다. 아울러 중국선의 특징이기도 한 祖師禪의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것은「정법안장」 이 지니고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내용을 표출하는 道元의 선적인 사유방식 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정법안장」은 석존의 깨침인 정법안장을 그대로 책명으로 사용한 것인데, 그 명칭에 걸맞게 그 속에서 전개된 내용 또한 정법안장의 속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 기본적인 입장은 本來成佛의 사상에 근거한 것이다. 그것을 道元 은 때로는 본각적인 입장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그것이 현실에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는 現成公案으로 설명하기도 하며, 개개인의 입장에서는 只管打坐라는 좌선의 모습으로 나타내기도 하며, 그 작용은 身心脫 落의 체험으로 전개시키기도 한다. 때문에 道元의 선사상은 그 가운데 깨침과 수행이 일여하다는 修證一如의 입장이다. 수증일여는 필연적으 로 只管打坐라는 모습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와 같은 道元禪의 성격은 반드시 信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때문에 그 信은 佛祖 자체에 대한 信 이면서 불조의 正法眼藏의 正傳에 대한 信이며 本覺에 대한 信으로서 단순한 믿음을 넘어 佛法卽威儀이기도 하다. 佛法卽威儀이기 때문에 일상 낱낱의 생활이 그대로 여법한 행위로 승화되어 있다. 곧 이런 점에서 道元의 永平淸規는 달리 修證을 사회적 으로 표출한 규범이다. 올바른 청규에 의하여 성취해야 할 좌선이 모습은 󰡔普勸坐禪儀󰡕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正法眼藏修証義」에서 제시한 출가납자의 본분과 더불어 가장 순수한 선자의 모습으로 성취시켜 나아 가기 위한 지침서로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Eihei-Dogen(1200-1253) is the founder of So-to-sect (Tsao-tung-tsung) in Japanese Zen Buddhism. The sect originated from Chinese five zen-sects which was formed from 9th to 10th century. Soto-sect is one of the five Chinese zen-sects, and also one of the thirteen Japanese Buddhist sects.This sect is noted for the identity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or single-minded sitting-meditation. Eihei-Dogen′s zen-thoughts are selected as like some special characteristics in The Shobo-genzo. The Shobo-genzo, or the Eye Storehouse of the True Dharma, is Dogen′s representative work. He intended it to be composed of one hundred section in all. Death prevented him, however, from completing his original plane, though not before he had expounded ninety-two(or five) sections. These sections describe the profound philosophy of Buddhism and concrete of daily actions. In the former case his peculiar paradoxical expression often causes beginners to feel perplexed ; in the latter case his words tell us that practice is above knowledge. In Dogen, the koan is truth(that is enlightenment), and vice versa. But Rinzai-sect are said to be unable to realize enlightenment unless they are able to find a solution to their koan during practice, Dogen, however, stressed that the koan itself is enlightenment, and manifests itself in sitting-meditation beyond thinking and nonthinking. Eventually, he, negated the use of koan as objects of meditation to be used in the of realizing enlightenment. The Mahanirvana-Sutra says, "All things have the Buddha-nature itself." On the contrary, however, Dogen thought that all things are, as they are, the Buddha-nature itself. This is because he tried to grasp the Buddha-nature in the realm of practice or ultimate reality. In this sense, the Buddha is the nature, and vice versa. Dogen′s Zen Buddhism is the religion of daily actions. Therefore, the Buddha-nature manifests itself only through practice. Dogen especially emphasized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is is because if we are attached to the results achieved, we cannot make constant efforts. In this sense practice after becoming enlightened is extremely essential to Zen trainees. As mentioned before, there is no gap between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erefore, we must not regard practice as before and enlightenment as after. Moreover, for one to realize enlightenment between self and others. About this Dogen said, "If we do sitting-meditation even for a moment, identified with the Buddha in body, mind, and speech, we shall find that the world is the Buddha′s and that the whole space is the realm of enlightenment." All things are the real manifestation of truth. Accordingly, mountains, rivers, earth or sun, the moon, and stars - all this is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s body, expounding the highest supreme dharma(sutras). Its detailed explanation can be found the sections of The Shobo-genzo, but eventually, Dogen regarded the repetition of birth and death as the eternal body of a true man(enlightened person).Systems of thought based on duality, such as the subject-object-split, are two aspects of the one-whole reality.That is to say, the two aspects are originally inseparable from each other. About this identity Dogen expounded the eleven kinds of identities (1) being and time, (2) cause and effect, (3) self and others, (4) precepts and Zen-Buddhism, (5) birth and death, (6) koan and enlightenment, (7) being and non-being, (8) Zen-Buddhism and the state, (9) men and women, (10) monks and lay people, and (11) sutra and zen-buddhism. Zen masters attach great importance to a genealogical book and a kasaya(sacred-surplice), regarding them as transmitting the Buddhism′s dharma to posterity. This is because the dharma would decline and fall without a spiritual communion between master and disciple.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person transmission of the Way is the very core of The Shobo-genzo.

      • KCI등재

        하술상 수상논문 : 『묵조명(默照銘)』에 나타난 묵(默)과 조(照)의 개념

        김호귀 ( Ho Gui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굉지정각은 천동산(天童山)을 중심으로 그 자신의 독특한 교화를 펼쳤는데 그것이 묵조의 수행이라는 가풍으로 전개되어 나아갔다. 『묵조명』의 묵조라는 말을 가지고 자기의 선풍을 고취시킨 것은 바로 굉지였다. 『묵조명』에 나타나 있는 묵조에는 묵과 조를 각각 작용과 정체와 현성의 세 가지 입장에서 공능과 비유와 속성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와 같은 묵조의 세 가지 측면이 일여(一如)한 바탕에서 묵조선은 성립할 수 있었다. 이것이 곧 본증(本證)의 현성(現成)내지는 자각(自覺)의 의미이다. 때문에 묵조선의 구조는 본증자각(本證自覺)을 설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중점이 바로 깨침의 세계 곧 불(佛)의 세계에 맞추어 진다. 본증의 자각이기 때문에 그 깨침으로 이끌어 나아가는 방법과 수행이 구분되어 있지 않다. 묵묵하게 좌선을 할 때에 그대로 투탈(透脫)된 깨침의 세계가 현현한다. 그 세계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래부터 도달해 있는 세계이다. 때문에 『묵조명(默照銘)』에서는 묵조(默照)에 대하여 묵(默)으로서의 좌선(坐禪)의 수(修)와 조(照)로서 현성된 證을 달리 보지 않고 증(證)이 본래부터 구족되어 있음을 설하고 있다. 특히 묵조라는 용어는 순히 묵묵히 비추어본다는 수식 내지 한정의 관계가 아니라 묵과 조의 병렬적인 의미이다. 그래서 묵조는 묵묵한 좌선으로서의 수행을 가리키는 묵(默)과 광겁(廣劫)에 두루 비추지 않음이 없는 증(證)上에서의 공능(功能)인 조(照)를 상징한다. 그리하여 묵조는 각각 묵(默)은 조(照)가 상정된 묵(默)으로서의 현성이라면 조(照)는 묵(默)을 수반하는 照로 서의 현성이다. 묵조선에 대한 종래의 비판의 한계는 그 실천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유무에 떨어진다든가 단계성에 상대한 본증적(本證的)이고 론리(論理)的인 특질을 지적하는데 머물러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조동종의 가풍으로서 전승되어 온 소위 오위사상(五位思想)이 지니고 있는 종래의 한계라는 것은 묵(默)과 조(照)의 어의에 들어있는 의미의 분석과 그 의미에 대한 부적절한 적용으로 인하여 그 실천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양측의 상관관계 내지는 대치성을 어떻게 해결하여 그 일치점에 도달하는가 하는 것이 묵조선의 과제였다. 따라서 묵조(默照)하는 묵조선 수행에 대하여 그 원리의 한계성을 소위 五位의 논리성으로 극복하고, 오위가 지니고 있는 실천의 한계성을 묵(默)과 조(照)의 지유(至游)的인 성격으로 극복해왔다. MoChao-Ming was written by Hung-chieh Cheng-choai(1091~1157). MoChao -Ming means a maxim of Silent-Penetration. Here we look upon as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At first the standpoint of Silent-Penetration Zen is the Self-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Realization of the Silent-Penetrative Ze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 Penetration Ze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and Un-thought. Sitting-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Un-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Un-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Un-thought throughly. Thus Un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Un-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Not-contamination. That`s exactly thought of the Silence-Penetration. All these no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based on MoChao-Ming, The MoChao -Ming comprise three conceptions, The first is the Ac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This action is so called exquisite action. Exquisite action comprise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second is Identity of Silent-Penetration Zen. The Identity is so called the verbal expression about Mo that is Silent & the mind of enlightenment about Chao that is Penetration. Third is Present-form of Silent- Penetration Zen. This Present-form is so called the realization about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former is sitting meditation of body & the latter is enlightenment state of mind Chao. Also these three notion are The structures & contents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Zen.

      • KCI등재

        聲準和尙牧牛錄에 나타난 性覺聲準의 선사상 고찰

        김호귀(Kim, Ho Gui)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0 No.-

        성각성준(1932.5.20-1977.9.24)의 삶을 통해서 현대 한국불교의 단편적인 모습을 엿볼 수가 있다. 특히 그의 법어집인 󰡔목우록󰡕에는 조사선법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제를 추출해볼 수가 있다. 그의 법어집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선문지남」에는 총 18칙의 내용을 엿볼 수가 있다. 거기에 드러난 선법의 주제는 첫째로 本來成佛에 근거한 현실의 자각, 둘째로 無分別心의 이해와 그 실천, 셋째로 고정관념의 초월 및 그 타파, 넷째로 心法의 이해와 그 체험 등으로 분류해볼 수가 있다. 이들 각각의 주제는 선법의 사상과 선법의 수행 및 제자들에 대한 교화의 수단에 해당한다. 이들 주제를 선사상의 주제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본래성 불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자유를 누릴 수가 있고, 분별심을 초월하는 데에는 회광반조의 마음이 있어야 하며, 본래면목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집착심을 초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인적인 체험이 중요하고, 주인공의 자각이 필요하며, 명안을 구족해야 하고, 형상을 초월해야 하며, 본래성불에 대한 자각을 통해서 무분별 무집착을 터득해야 하고, 언외의 뜻을 알아차려야 하며, 망념을 초월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성준화 상의 이와 같은 가르침은 다름 아닌 조사선법의 선사상을 보여준 것이었다. We can classify Sunggak-Sungjun ̕s zen thoughts into four large groups based on Sungjun-hwasangMokwoorok(聲準和尙牧牛 錄). Among the SeonmoonJinam(禪門指南) is made of eighteen discourses. The first theme is aware of reality based on enlightenment of self-discipline. For example, first discourse, third discourse, fourth discourse, sixth discourse, twelfth discourse and fourteenth. The second theme is understanding and act of indiscretion mind. For example, second discourse, ninth discourse, sixteenth discourse and seventeenth discourse. The third theme is understanding and personal experience of One ̕s orignal mind. For example, seventh discourse, eighth discourse, tenth discourse, eleventh discourse and thirteenth discourse. The fourth theme is transcendency and abolition of non-fixed idea. For example, fifth discourse, fifteenth discourse and eighteenth discourse. These themes are Sungjun ̕s zen thoughts that belongs to the Patriarch zen thoughts.

      • 특집 논문 : 용성의 불전번역과 그 의의 -『금강경』과 『용성선사어록』을 중심으로-

        김호귀 ( Ho-gui Kim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5 전자불전 Vol.17 No.-

        20세기에 백용성은 새로운 불교운동의 일환으로 大覺敎운동을 주창하였는데, 그 이유는 기존의 전통불교가 쇠락하여 새롭게 불교를 개혁하고자 하는 열망이었다. 이에 백용성은 다양한 운동을 펼쳤다. 특히 불서에 대한 우리말 번역을 성취하기 위하여 삼장역회를 설립하여 한문불전에 대한 한글번역을 주도하는 한편불교의 교리에 대한 저술활동을 통하여 불교의 새로운 인식의 확대 및 보급에 정열을 쏟았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는 『금강경』의 번역과 관련된 상황, 그리고『용성선사어록』에 대하여 번역의 구성과 특징과 그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금강경』의 번역은 그 대의에 해당하는 『윤관』을 비롯하여 『詳譯科解金剛經』, 『신역대장경』,『新譯大藏金剛摩訶般若波羅蜜經』등 총 3회에 걸쳐서 번역 및 발행되었다. 그리고 용성선사의 어록은 근현대 한국불교사의 산물로서 1941년 삼장역회에서 발행되었다. 상·하 2권으로서 『前序』를 비롯하여, 본문 총 13장의 주제, 부록 및 後序와 跋文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金剛般若波羅蜜經) belongs to Maha yana Sutras, more particularly among the kinds of Prajnaparamita Sutras. The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translated six times in Chines language extending from 5c - 9c. The first translation was Kumarajiva(鳩摩羅什), Jingang - banrouboluomi - jing(金剛般若波羅蜜經) year 402. Yongsung Jinjong, seon master of modern korea, has translation wit h commentary notes about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by Ku marajiva. He translation with commentary notes over three times and one time the general idea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Thre e times translation with commentary notes of Vajracchedika Prajnapar amita Sutra are Shinyeok-daejangkyeong, Shinyeok-daejang-gumgang -mahabanyabarami-kyeong and Sangyeok-gwahae-VajraSutra. One tim -e the general idea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 Sutra is Gumgan g-maha-banyabaramilkyeong-Junbudaeyi-yunkwan. These writings wer e contained volume no.5 the complete works of Yongsung-daejongsa. And we can see genuine sayings form in Korean seon history, i.e. t 0he advent of Youngseonsa-aurok[龍城禪師語錄]. The advent of Youngs 0eonsa-aurok comprised in vol.Ⅰ. of Complete works of Yongsung-Dae -jongsa[龍城大宗師全集]. This Complete works of Yongsung-Daejongs a was published in year 1941 by Samjang-Yeokhoi[三藏譯會]. Youngseonsa-aurok consisted of two volumes. That summarized as follows, that is ta say, a preface introduction by Kim Sung-geun[金聲根], the body of text are 13items, a supplement, after notice by 0Kimsan-Taeheup[金山泰洽] and a epilogue by Dongsan-Hyeil[東山慧 一]. Youngseonsa-aurok recorded two types, namely, one sis genuine China alphabet the other is China alphabet and Korean alphabet. But 0the after with Korean alphabet is translated about the before with China alphabet. The contents of Youngseonsa-aurok are diversity themes. First is genuine analects of seon, Second is educations, Third is missionary work of Buddism, Forth is variety of problems modern society, etc. We know that the value of Youngseonsa-aurok are diversity. But the primary value is reappearance the genuine sayings form in Korean seon history. So, the Youngseonsa-auro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oint.

      • KCI우수등재

        黙照禪의 수행체계

        김호귀(Kim Ho-gui) 불교학연구회 2003 불교학연구 Vol.6 No.-

          A standpoint of the Silent-Penetration Zen(?照禪) is BonjeungJagak(本證自覺), which means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Enlightenment. Enlightenment of the Silent - Penetrative Ze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Penetration Ze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 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 - consciousness of From 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s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poster, the Self 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非思量).<BR>  Sitting-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o we call it the Solely for Sitting-pos ter(只管打坐). That it to say, a supreme of sitting-meditation. the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at outset..<BR>  The Un-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the Un-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the Un-Thought throughly. Thus the Un-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Un-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非),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BulYumo(it means Non-Contamination(不染汚). That"s exactly Thought of Silence-Penetration.<BR>  The Free itself of Body and Mind(身心脫落) give a concrete form to the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Un-Thought. To put it another way, the Free itself of Body and Mind is embodiment of inward training our body and our mind in daily life, through the Sitting-Samadhi(坐禪三昧). Generally, because of Daily life is consider for training and act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Zen.<BR>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the training system of Silent-Penetration Zen are the Self 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Un-Thought and the Solely for Sitting-poster(只管打坐).

      • KCI등재후보

        『금강삼매경』 「본각리품」의 수증관에 대한 고찰 ― 『금강삼매경주해』를 중심으로―

        김호귀 ( Kim Ho-gui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0 불교 철학 Vol.7 No.-

        『금강삼매경』은 일찍부터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을 통해서 그 내용과 사상적인 특징이 알려져 왔다. 그런만큼 원효의 안목이 투영된 입장에서 『금강삼매경』을 이해해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중국 명대의 원징 『금강삼매경주해』는 선종의 입장에서 주석한 것으로 처음부터 선사상과 선수행에 근거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원효가 보여 준 견해와 상당히 다른 모습이 많이 노출되어 있다. 원효는 경전의 구성에 대하여 무상법품과 무생행품, 본각리품과 입실제품, 진성공품과 여래장품을 짝지어 설명하였지만, 원징은 각 품을 독립적인 입장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 고찰하는 본각리품에 대해서는 여타의 품과 독립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곧 중생이 일찍부터 본각을 갖추고 있는 까닭에 더욱더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수행을 말미암지 않으면 안 된다는 질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생이 모든 정식을 굴려서 암마라식에 나아갈 수 있는지, 그리고 그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이에 대하여 암마라식에 나아가서도 다시 거기에 주착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이르기까지 불의 답변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 본각리품은 본각과 리행의 측면에서 자리와 이타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것을 선종의 본래성불의 사상과 관련하여 그 수증의 구조를 고찰한다. Jingangsanmeijing has been known for i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Gumgangsammaegyungron of Wonhyo(元曉) from early on. However, Yuancheng(圓澄) Jiangsanmeijingzhujie of Chinese Ming Dynasty is annotated from the standpoint of Zen Zhong and shows understanding based on Zen thoughts and Zen practices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s from the views of Wonhyo. Wonhyo explained the composition of the scriptures by pairing the item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ifth, the sixth and the seventh respectively, but Yuancheng grasps each item as an independent position. Now, this paper approaches Benjuelipin from an independent perspective with other parts. This Benjuelipin is a story that because the regeneration has Benjue early on, it must be done to implement it more and more. More specifically, the question is whether regeneration can roll all the anguish and move on to amala-vijāna, and what is the way? The answer to this is that you should not go to amala-vijāna and stick to it again. In the end, what Benjuelipin is saying is to benefit oneself and also to the others, which leads to prajñā-pāramitā.

      • 특집논문 : 『금강경』 번역의 제 문제 -백용성 대종사 번역본 『금강경』의 구성 및 내용의 특징

        김호귀 ( Ho Gui Kim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3 전자불전 Vol.15 No.-

        백용성 대종사는 『금강경』에 대하여 1922년 『新譯大藏金剛摩詞般若波羅寶經』 을 비롯하여 1926년 『詳譯科解金剛經j 및 『金剛摩詞般若波羅寶經J, 그리고 1936 년 『신역대장경』 등 총 4회에 걸쳐 번역하였다. 또한 1923년에는 『금강경』의 전 체적인 대의에 대한 용성의 견해를 엿볼 수 있는 『金剛摩詞般若波羅寶經全部大 義輪實』을 저술하였다. 『신역대장금강마하반야바라밀경』은 蘇漢文 흔용체이면서, 治父의 주석을 중심으로 하면서, 거기에 함허의 r說誼』 및 용성 자신의 주해를 가하였다r상역과해 금강경』은 경문의 분과에 대한 용성의 견해가 가장 잘 드러난 번역본으로서 54 분과로 세분하고, 용성 자신이 41회에 걸쳐서 경문의 단락에 대하여 부연설명을 가하였다r신역대장경』은 소명태자의 32분과에 의거하여 총 113단락으로 나누 고, 112군데 걸쳐서 해설을 붙였다r윤관』은 경문의 대의를 총괄하여 판별한 것 이었다. 곧 의심한 질문의 형식에 따른 개별적인 Z7가지 의심과 의심한 질문의 내용에 따른 총체적인 107}지 의심 등 모두 37이다. So to speak, Sinyuk-DaejangGumgangMahabanyabaramilgyung in 1922, SnngyukGW1h:JeGumganggyung & GumgangMahabanyabaramilgyung in 1926, and SinyukDaejanggyung in 1936. Moreover, YongSung wrote a summing up of Vajracchechka prajiiaparamifjj-satra, that is, Gumgangbanyabaramilgyung- Yungvmn in 1923. Sinyuk-DaejangGumgangMahabanyabaramilgyung use Hangul at the same time with Chinese characters in the formed of book. But the contents of book was made of the commentary by Yefu-Daochuan({``j3`` )(jiJI/) of Song dynasty, the commentary by Hamhu-DuktongO~EmW ii) of Josun dynasty and the commentary by Younssung himself. SnngyukGwahaeGumganggyung was composed of fifty four sections about Vajracchechka prajiiaparamifjj-satra, and Young sung dilated upon that subject through forty one sections. SinyukDaejanggyung on the basis of thirty two sections by Zaoming, namely, the prince of Liang. But Yongsung itemize the thirty two sections into one hundred thirteen, and among them one hundred thirteen sections had notes by Yongsung himself. Gumgangbanyabaramilgyung- YWJgllWl written In answer form. twenty seven theme. But The Gumgangbanyabaramilgyung- YWJgUWl was the core of prajilaptlrami tfj-satra. question and contents of Vajracchedika prajnaparamita-sutra.

      • KCI등재

        선종의 법맥의식과 전등사서의 형성

        김호귀(Ho Gui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8

        중국선의 시작은 보제달마(菩提達磨)로부터 비롯된다. 그것은 오늘날 전승되어 온 선종이 보리달마의 법손들에 의하여 형성되고 발전되었으며 전승되었기 때문이다. 중국선종이 오늘날까지 건재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전개의 이면에 다양한 요소들이 깃들어 있다. 인도의 선법에서 중시되었던 차제(次第)및 점수(漸修)의 선법이 중국선종에서는 차제와 점수 이외에도 돈교법문(頓敎法門)을 바탕으로 하는 조사선법(祖師禪法)의 발전이 큰 몫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가장 큰 영향은 아무래도 조사의 법맥을 형성하고 내세우며 홍보하면서 자파의 권위 및 존재를 부각시키려는 노력이었다. 그 중심에 위치한 개념이 곧 전등계보(傳燈系譜)의 형성 이었다. 본격적인 전등계보의 형성은 혜능과 신수의 법손들에 의하여 각자의 정통성을 주장하려고 내세웠던 문중이 자긍심으로부터 비롯되었지만, 그 이전에도 이미 소박한 법맥의 전승 내지 주장이 있었다. 먼저 중국에서 형성되었고 전개되었던 선종에서는 그 권위와 정통성을 멀리 인도에서까지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달마다라선경(達摩多羅禪經)}과 {부법장인연전(付法藏因緣傳)}을 비롯한 소위 선경(禪經)에다 그 근거를 두고 몇 가지 법맥의 유형을 만들어갔다. 따라서 인도의 석가모니에게 정법안장의 근원을 두고 그 법맥을 계승했다는 전등계보가 형성되었다. 이로써 인도선법에 대한 전등부법설(傳燈付法說)의 조사는 『달마다라선경』의 9조사설로부터 비롯하여 『부법장인연전』의 23조사 혹은 24조사설로 발전되고, 이것이 마가지관(摩訶止觀)으로 수용되었으며, 다시 좌계대사비(左溪大師碑)에서 29조사설로 확대되었다. 다음으로 북종선의 전등계보로서는 기존의 인도와 관련된 전등계보를 계승하여 {릉가경(楞伽經)}의 전수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이 돋보인다. 그 계보는 {달마다라선경}(411) → {부법장인연전}(472) → {法如禪師碑文}(689) {능가불인법지}(?) {전법보기(傳法寶紀)}(712-713) → {릉가사자기(楞伽師資記)}(713-716)이다. 다음으로 남종선의 전등계보로서는 하택신회(荷澤神會)의 노력에 힘입어 남종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북종의 전등계보를 발판으로 활용하여 그 위에 남종의 전등계보를 완성하였다. 그 계보는 {달마다라선경}(411) → {부법장인연전}(472) → {전법보기}의 비판으로 등장한 {보제달마남종정시비론(菩提達摩南宗定是非論)}(732) → {좌계대사비}(754) → {능가사자기}의 비판으로 등장한 {력대법보기(曆代法寶記)}(774) → {조계대사전(曹溪大師傳)}(781) → 돈황본 {단경(壇經)}(780-800) → {보림전(寶林傳)}(801)이다. The beginning of China seon sects from Bodhidharma in early 6c. Nowaday allseon sects of the East Asia are descendants of Bodhidharma. In early seon sects,they made of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from India seon thoughts toChines seon sects.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means the EyeStore house of the Dharma. So the Eye Store-house of the Dharma isenlightenments of Buddhism. The Dharma light a figurative expression ofenlightenments. And the books about Dharma light originatedeach other of seonsects. In early seon sects of China,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 light isbased on the Sutras and analects including the Damoduoluochanjing(達摩多羅禪經)- nine patriarchs Fufacangyinyuanchuan(付法藏因緣傳) - twenty three patriarchs. The Northern seon-sect that expounded by Shen-hsiu disciple of Ta-manHung-jen made of the Damoduoluochanjing(達摩多羅禪經) - nine patriarchs → Fufacangyinyuanchuan(付法藏因緣傳) - twenty three patriarchs → Lengqieforenfazhi(楞伽佛人法志) → Chuanfabaoji(傳法寶紀) - seven patriarchs → Lengqieshiziji(楞伽師資記) - seven patriarchs.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in Northernseon sect rooted in Lengqiejing(楞伽經). The southern seon sect that expounded by Hui-neung disciple of Taman-Hungjen and Shen-hsiu made of the Putidamonanzongdingshifeilun(菩提達摩南宗定是非論) - thirteen patriarchs → Lidaifabaoji(曆代法寶記)-twenty seven patriarchs→ Caoxidashichuan(曹溪大師傳) - thirty three patriarchs → Tanjing(壇經) thirtythree patriarchs → Baolinchuan(寶林傳) thirty three patriarchs. The pedigrees oftransmit the Dharma light in southern seon sect rooted in the pedigrees of transmit the Dharma-light of Northern seon sect.

      • KCI우수등재

        『金剛仙論』의 分科와 그 사상적 특징

        김호귀(Kim Ho-Gui)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19 No.-

          The Abhidharma of Vajrar ?i (金剛仙論) by Vajrar?i (金剛仙) is a treatise on Vajracchedik?-praj??-p?ramit?-s?tra (金剛經). It is in fact The Abhidharma of Vajracchedik?-praj??-p?ramit?-s?tra (金剛般若論) by Vasubandhu (天親). And Vasubandhu’s treatise is, in turn, the same as The Abhidharma of Vajracchedik?-praj??-p?ramit?-s?tra by Asa?ga (無著) that consists in eighty g?th?s about Vajracchedik?-praj??-p?ramit?s?tra. It was said that Asa?ga received it from Bodhisattva Maitreya (彌勒菩薩) while in sam?dhi.<BR>  Vajrar?i (or Vajrar?ri or Vajrasena) was a disciple of Vasubandhu. He thus inherited the thoughts of Vasubandhu in his Abhidharma of Vajrar?i: firstly, the idea of the threefold body of the buddha, namely, the Dharma-body, the reward-body and the manifestationbody; Secondly, the ideas of threefold ??nyat? (三空) and twofold nir?tman (二無我); and thirdly, the ide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trine in words and the enlightenment itself through words.<BR>  Vajrar?i however classified the contents of Vajracchedik?-praj??p?ramit?-s?tra into 12 chapters, differently from Vasubandhu’ s classification: (1) Preface; (2) Taking care of Bodhisattvas; (2) Maintenance of pure-mind; (4) Self-discipline going well; (5) Tathagatas are not produced by causation; (6) ?tman and dharma are both empty; (7) The virtues of dharma is superior to those of treasures; (8)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9) The benefits of bearing the S?tra; (10) Elimination of doubts; (11) Noattachments to enlightenment; and (12) Commitment.

      • KCI우수등재

        『담연원징선사어록(湛然圓澄禪師語錄)』의 선관인식(禪觀認識) 및 종문인식(宗門認識) 고찰

        김호귀(Kim, Ho-gui)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6 No.-

        명대 말기에는 당 오대 송대와는 달리 원대를 거치면서 형성된 종교다원주의의 정책에 힘입어 종교들 사이에도 다양한 사상의 혼융이 이루어졌고, 불교 자체에서도 종파들 간의 융합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갔다. 더욱이 선종의 경우에는 교학의 관계는 물론이고 수행법의 경우에도 정토수행을 비롯한 여타의 다양한 수행법이 혼재되면서 출가와 재가 그리고 여인의 수행과 이교인(異敎人)의 불교수행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인 양상으로 드러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명말 불교의 상황은 여러 가지 종파와 삼교의 사상이 융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대였다. 수행의 측면은 물론이고 신앙과 사상의 측면에서도 불교만이 아니라 도교와 유교 등 삼교가 상호 영향을 끼치면서 조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시대였 다. 이러한 시대에 담연원징은 조동종의 선사로서 『선종혹문』(『담연원징선사어록』제8권 수록)이라는 저술을 통해서 선의 수증관 및 선의 교화행에 대하여 다양한 설명을 보여주고 있다. 선의 수증관으로는 외연을 넓혀서 좌선수행과 정토수행 주력수행 간경수행 예배수행 등 기타수행에 대한 상황을 일러주었고, 선의 교화행으로는선이 대중에게 다가가려는 제스처로서 재가인의 수행을 비롯하여 여인의 수행과 불교 이외에 유교의 수양 및 도교의 수심 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 있다. 『선종혹문』을 통해서 원징은 선의 입장에서 당시에 유행하고 있는 종파 및 기타 유교와 도교 등에 대한 관점인 선관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자신이 속해 있는 선종에 대한 종문인식의 자각을 통하여 선종 자체의 정체성 및 선종과 기타 교학을 비롯 한 여타의 종교에 대한 입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이를 통하여 선종과 명대 말기에 번성했던 기타의 사상에 대한 교섭이 어떤 것이었는가에 대하여 엿볼 수가 있다. Under the policy of religious pluralism, the late Ming Dynasty showed active intercommunicative flow of thoughts among various religions. The harmony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flourished in this soil. Buddhism itself was not an exception of this phenomenon and enjoyed diversity in thoughts and practices. The Zen School, in particular, not only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octrinal School, but also adopted diverse methods of practice for diverse people such as women, pagans, monastics, and laity. The practice for Pure Land was also used in that school. This atmosphere is well reflected in Zhanran-Yuancheng(湛然圓澄)’s Chanzong-huowen(禪宗或問). Chanzong-huowen is composed of three parts and 57 items. The 57 items show questions and answers on various themes. He widened the boundary of practice through introduction of sitting meditation,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Amitabha, mantra and dharani practice, chanting, and reading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is, he tried to approach all walks of life including women, and presentedexplanation of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relation with Zen. On the standpoint of Zen, he first review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Zen and other Buddhist sects, Confucianism, and Taoism. He alsodemonstrat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Zen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doctrinal school and other religions. Chanzong-huowen shows Zhanran-Yuancheng’s effort to clarify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Zen, and at the same time, to establish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Zen and other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