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문(記文)을 중심으로 고찰한 임대정원림(臨對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특성

        노재현 ( Jae Hyun Rho ),박태희 ( Tae Hee Park ),신상섭 ( Sang Sup Shin ),김현욱 ( Hyoun Wuk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임대정원림은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사평리 상사마을 끝자락에 서북향하여 자리하는데, 16C 남언기에 의해 조성된 고반원을 기반으로 1862년 사애 민주현에 의해 작정되었으며, 봉정산과 사평천을 배산임수하여 풍수적으로 번영과 행복을 상징하는 학체형국(鶴體形局)의 서출동류하는 길지이다. 공간구성은 ``사애선생장구지소``로 각자된 표석과 향나무가 어우러져 있는 앞뜰(前園)과 정자와 방지원도형 연못을 포함하는 ``대상부(臺上部)``의 내원(內園), 삼신선도를 둔 2개의 연못으로 이루어진 ``대하부(臺下部)``의 수경원(水景園)그리고 봉정산 수림과 외남천(사평천)및 농경지를 포함하는 외원(外園)등 총 5개 권역으로 구성됨으로써 임대정을 중심으로 위요 중첩된 원림적 속성이 강하게 표출된다. 시문과 현장조사 결과, 임대정원림은 안분지족의 의미를 담고 있는 기임 등 임수대산(臨水對山)한 터에 수심양성의 거점을 경영코자 했던 은일처로서의 장구지소, 귀거래를 위한 별서원림, 대자연의 도와 일체화를 이루고자 한 세심처(洗心處)등의 작정동기가 확인되며, 애련설에 근거한 향원익청(香源益淸)적 개념의 피향지와 읍청당, 방지원도 그리고 도합 3개로 이루어진 삼신선도의 신선사상 등 다양한 의경 요소가 함축된 원지(園池)를 보이고 있다. 임대정원림의 경관처리기법으로는 봉정산의 원경과 달빛 투영미를 의도한 인경(引景), 사방에 펼쳐진 산수경관과 문화경관의 환경(環景), 대경(對景)으로서 도입된 목가적 전원의 차경, 수륜대로의 앙경(仰景)과 연못으로의 부경(俯景), 정자와 오솔길에서 취할 수 있는 정관(靜觀)과 동관(動觀), 계류수와 연못 등 수경공간의 인경(隣景), 버섯 또는 우산처럼 보이도록 유도된 임대정으로의 관경(觀景), 버드나무 어우러진 연못의 간경(看景), 격물치지의 의미를 담아 관념을 대입한 암각글씨의 의경(意境), 해돋이와 해넘이를 동시에 취할 수 있는 취경(取景)등이 중첩되어 펼쳐지는 다양한 경관기법이 발견된다. 건립 초기에는 주로 은행나무, 대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뽕나무, 가래나무, 오동나무 그리고 매화와 연 등의 식물이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데, 전반적으로 유가적 품격을 반영하거나 도가적 풍류관, 미래번영을 염원하는 봉황사상 등이 내재된 의미경관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더불어 연못 주변에 도입된 열식법, 정자 주변에 펼쳐진 총식과 환식법, 녹음수를 활용한 점식법, 기념식수한 오동나무 등의 고식법, 소나무와 전나무를 양과 음으로 대응시킨 대식법 등 다양한 식재기법을 추적할 수 있다. Imdaejeong Wonlim is located on the verge of Sangsa Village in Sapyeong-ri, Daepyeong-myeon, Hwasun-gun Gyeongsangnam-do toward Northwest. It was planned by Sa-ae, Minjuhyeon in 1862 on the basis of Gobanwon built by Nam Eongi in 16th century against the backdrop of Mt. Bongjeong and facing Sapyeong Stream. As water flows from west to east in the shape of crane, this area is a propitious site standing for prosperity and happiness. This area shows a distinct feature of Wonlim surrounding the Imdaejeong with multi layers as consisting of 5 districts - front yard where landmark stone with engraved letters of ``Janggujiso of Master Sa-ea`` and junipers are harmoniously arranged, internal garden of upper pavilion ranging from a pavilion to square pond with a little island in the middle, Sugyeongwon of under pavilionu consisting of 2 ponds with a painting of three taoist hermits, forest of Mt. Bonggeong and external garden including Sapyeong Stream and farmland. According to documentation and the results of on-site investigation, it is certainly proved that Imdaejeong Wonlim was motivated by Byeoseo Wonlim which realized the idea of ``going back1 to hometown after resignation`` following the motives of Janggujiso, a hideout aimed to accomplish the ideology, ``training mind and fostering innate nature,`` on the peaceful site surrounded by water and mountain, as well as motives of Sesimcheo(洗心處) to be unified with morality of Mother Nature, etc. In addition, it implies various imaginaty landscapes such as Pihangji, Eupcheongdang, square pond with an island and painting of three Taoist hermits based on a notion that ``the further scent flies away, the fresher it becomes,`` which is originated from Aelyeonseol(愛蓮說). In terms of technique of natural landscape treatment, divers techniques are found in Imdaejeong Wonlim such as distant view of Mt. Bongjeong, pulling view with an intention of transparent beauty of moonlight, circle view of natural and cultural sceneries on every side, borrowed scenary of pastoral rural life adopted as an opposite view, looked view of Sulyundaero, overlooked view of pond, static view in pavilion and paths, close view of water space such as stream and pond, mushroom-and-umbrella like view of Imdaejeong, vista of pond surrounded by willows, imaginaiy view of engraved letters meaning ``widen knowledge by studying objectives` and selected view to comprise sunrise and sunset at the same time. In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various plants seemed to be planted, albeit different from now, such as Ginkgo biloba, Phyllostachvs spp., Salix spp., Pinus densiflora, Abies holophvlla, Morus bombvcis, Juglans mandschurica, Paulownia coreana, Prunus mume, Nelumbo nucifera, etc. Generally, it reflected dignity of Confucianism or beared aspect of semantic landscape implying Taoist taste and idea of Phoenix wishing a prosperity in the future. Furthermore, a diversity of planting methods were pursued for such as liner planting for the periphery of pond, bosquet planting and circle planting adopted around the pavilion, spot planting using green trees, solitary planting of monumentally planted Paulownia coreana and opposite planting presenting the Abies holophylla into yin and yang.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통해 본 왕의 위락활동 유형과 변천

        강현민,신상섭,김현욱,마일초,한서정,Kang, Hyun-Min,Shin, Sang-Sup,Kim, Hyun-Wuk,Ma, Yi-Chu,Han, Rui-Ting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4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제왕들의 위락활동과 변천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궁중 안팎 외부공간에서 행해진 왕의 위락활동은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회형은 회례연, 진연(進宴), 풍정(豊呈), 진찬(進饌), 양로연, 사신연, 수연(壽宴), 곡연(曲宴) 등이었고, 강무형은 활쏘기, 격구, 사냥 등이며, 유희형은 나례(가면놀이), 처용무, 풍두희(?頭戱), 그리고 화산붕(불꽃놀이), 꽃놀이(賞花), 투호, 수박희(手搏戱), 낚시, 뱃놀이, 각투(角鬪), 상희(象戱), 잡희 등이었다. 위락 활동은 고려시대 답습기[1기, 태조~세조(예종)], 확립기[2기, 군사문화가 성리학 문화로 전환되었고 연회의 규례가 제도화, 성종~중종]. 단절기[3기, 임진왜란 등 불안한 정세 속에서 침체, 단절 초래, 성종~현종]. 중흥기[4기, 위락 문화 재정비, 수준 높은 왕실 문화의 자긍심 표출, 숙종~정조]. 그리고 쇠퇴기[5기, 세도정치로 왕권이 추락하면서 위락 활동이 급격히 퇴조, 순조~순종] 등 5단계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왕들의 사냥 관련 기사는 600건 이상 추적 되는데, 태종, 세종, 세조 등은 각 100여회 이상이었다. 사냥 대상은 호랑이, 곰, 사슴과 노루, 표범, 멧돼지, 매 등 이었고, 한양의 동북쪽 산림지역에서 주로 행해졌는데, 산수풍광이 수려하고 지리에 익숙한 풍양, 철원지역 등 북방의 정세와 안전을 살피기 위한 방안, 그리고 풍양이궁(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장소성 등과 밀접하게 연계된다. 단오절 세시풍속으로 대중에 확산된 격구놀이는 조선 초 왕과 신하들의 최상류층 마상격구로부터, 중기이후 무과시험의 마상격구와 상류층의 보상격구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 확산되어 겨울철 남성들의 집단유락문화로 전승되는 과정이 추적된다. 특히, 강무형 위락문화는 봄(활쏘기), 여름(투호), 가을(활쏘기), 겨울(격구) 등 심신수양을 겸한 4계절 행위요소로 작용되었다. 한편, 조선시대 왕과 왕비들의 연향과 같은 위락 활동은 공식적 의례의 경우 내정(內庭)에서, 비공식적 관유(觀遊)의 경우 궁궐 후원이나 별궁에서, 특수 연회의 경우 모화관과 태평관, 기로소 등 별원(別園)에서, 활쏘기의 경우 성균관 사단에서, 사냥의 경우 금표가 설치된 강무장(금원과 원유)에서, 매사냥의 경우 한강변 광나루에서, 격구의 경우 보격구 중심으로 내정이나 별궁에서 다양하게 행해졌다. 즉, 외조, 치조, 연조, 후원의 범위를 넘어서 별원과 금원, 원유 등 한양에서 최대 100리 범위 까지를 활동영역으로 설정하는 위락문화 확장성(정(庭)${\rightarrow}$원(園)${\rightarrow}$원(苑)${\rightarrow}$원유(苑?))을 추적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수준 높은 기록문화의 추적을 통해, 역대 왕들의 위락문화를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고, 위락 활동(진찬, 회례연, 양로연, 대사례, 사신연 등은 물론 사냥, 활쏘기, 격구, 투호, 처용무, 낚시, 뱃놀이, 불꽃놀이 등) 전모와 장소성, 그리고 상징적 의미, 역사적인 전승과정과 위락문화 등을 복합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s a book recording the Joseon Dynasty's historical facts in an annalistic format. The King's amusement activities throug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Ye-ak(禮樂) system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king's amusement activities that were perfo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could be classified as state banquets, military banquets, and banquets for play. The analysis of the king's amusement activity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The characteristic of [1 period : King Taejo~Sejo(Yejong)] was dominated the military banquets of the Goryeo Dynasty. Neo-Confucianism is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and social turning of the ballast, considerations of military culture, culture, and Hoeryeyeon Jinpungjeong, a cloud of dust and elders banquets such as Giroyeon and Yangnoyeon on the nature of the party. A lasting ordinance was institutionalized[2 period : King Seongjong~Jungjong]. In the chopper and jeongyujaeran, Hong Kyung Rae led a royal amusement activities are stagnant, often produce isolated storage compute in the gloomy situation[3 period : King Injong~Hyeonjong]. Revival period is pride of the amusement activity through the culture of Joseon Dynasty royal culture [4 period : King Sukjong~Jeongjo]. The throne, crashed due to political power is an ebb of royal amusement activities, while also rapidly waning[5 period : King Seonjo~Seonjong].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hunting took place around the forest area northeast of Hanyang and during King Seongjong's period, it took place closer to the capital city, while in Lord Yeonsan's period, it was expanded to a 39 kilometer radius area from the palace, and banquets such as various forms of entertainment of Cheoyongmu, and Flower-viewing. The Joseon kings who enjoyed hunting were King Sejong, Sejo, Seongjong, Yeonsan, and Jungjong. Most of hunting objects were tigers, bears, deer and roe deer, leopards, boars, their animals and falconry took, and the purpose of the hunting was to perform ancestral rites to the royal ancestry or the royal tombs. Lord Yeonsan's hunting activities had negative effects after King Jungjong the king's hunting activity decreased sharply. However, there were also positive aspects of Lord Yeonsan's Prohibition of cutting woods ect. In conclusion, the expansion of the King's garden(庭:courtyard${\rightarrow}$園:privacy garden${\rightarrow}$苑:king's garden${\rightarrow}$苑?:national hunting park) is evident which starts from formal and informal activities that took place in Oejo, Chijo, and Yeonjo, which went further to the separate and secret gardens, and then even further, thus setting the amusement activity area as a 39 kilometer radius range from Hanyang.

      • KCI등재

        별업 하거원(何去園)원림에 투영된 조영사상 연구

        신상섭 ( Sang Sup Shin ),김현욱 ( Hyun Wuk Kim ),강현민 ( Hyun Min Ka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1

        유회당 권이진이 대전 무수동에 경영한 별업 하거원 원림의 조영사상을 추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거원에 투영된 작정자의 사상적 배경은 ``신종추원(愼終追遠)``의 효제사상, 가학의 전통과 도덕적 합리주의에 근거한 무실사상, 청한지연(淸閒之燕)의 유학적 은일사상과 신선풍의 도가적 풍류사상을 들 수 있다. 즉, 이러한 사상적 가치관을 하거원이라고 하는 목적공간에 대입시켜, 상징원(象徵園), 의원(意園), 축경원(縮景園) 등과 같은 별업 원림을 구축하였다. 2) 하거원의 공간구성체계는 위계성을 고려한 3단계 영역으로 대별되는데, 제 1영역은 유회당에서 도경에 이르는 지역으로 거주를 겸한 전이공간, 제 2영역은 수만헌 뜰을 중심으로 요천대와 장우담 그리고 화계, 선묘의 시묘소 등이 펼쳐지는 기념비적(별업) 추모공간, 제 3영역은 하거원의 좌청룡 지맥 그리고 북에서 남쪽을 향하여 계류가 관류하는 동쪽 외원에 속한 은일공간이다. 3) 상징적으로 제 1영역은 유회당-고수대-오덕대로 이어지는 유교적 공간, 그리고 죽천당-도경에 이르는 선경의 세계를 의미적 경관으로 중첩시켜 상징화하였다. 제 2영역은 수만헌과 요천대 그리고 장우담 영역인데, ``신종추원(愼終追遠)``의 상징적 가치, 부모에 대한 추모와 그리움 등이 투영되고 있다. 제 3영역은 하거원의 동쪽 외원(배경대 - 운와 - 몽정 - 가산), 그리고 북에서 남으로 물길이 관류하는 계원(溪園) 권역은 동계(東溪) - 활수담 - 수미폭포로 구성되는데, ① 몽정은 학문을 통해 어리석음을 깨닫는 격물치지의 삶을, ② 활수담은 명리를 추구하지 않는 초월적 삶의 자세를, 그리고 ③ 장우담은 신선세계로 향하는 선경의 관문을 상징화하고 있다. 4) 하거원 별업의 사유방식은 유교와 도학의 두 알고리즘이 반복적으로 중첩되어 드러난다는 점인데, 공간전개의 서장에 해당하는 납오지와 활수담은 도덕적 합리주의에 바탕을 둔 수심양성의 장을 상징화 하였다. 그리고 하거원의 동쪽 외원에 속하는 몽정 권역은 수신과 학문탐구 등 유교적 가치체계를 주제로 하고 있다면 장우담, 수미폭포, 운와 등은 신선경의 세계를 의미경관으로 대입시킨 척번(滌煩)의 풍류라 할 수 있다. 5) 가산이라고 하는 축경기법을 별업 하거원에 대입시켜 무산12봉과 같은 선경세계를 구축코자 하였는데, 옛 시문에 표현된 상징적 의미를 차용하여 ``하방(1), 화봉(2, 3), 출군(4, 5, 6), 신완(7), 취규(8, 9, 10), 처묘(11), 기융(12)``이라 명명했다. 가산을 읊었던 대표적 옛 시인은 왕의, 노삼강, 두보, 한유, 전희성, 범석호 등을 들 수 있는데, 시공을 초월하여 글로서 인연을 맺고 그들이 추구했던 신선경의 세계와 풍류문화를 하거원이라고 하는 별업에 담아 정신세계의 풍요를 구가코자 하였다. The research results of tracing the Landscape Philosophy of Hageowon garden(何去園) in Musu-dong, Daejon of Youhwadang, Kwon, Iijin(權以鎭, 1668~1734) is as below.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protagonist reflected in Hageowon is the Hyoje Ideology(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孝弟) of Sinjongchuwon(painstakingly caring for one`s ancestors), Musil ideology(pursuing ethical diligence and truthful mind, 務實) based on sadistic tradition and ethical rationalism, Confucionist Eunil Ideology(ideology on seclusion, 隱逸) of Cheonghanjiyeon(quiet relaxation, 淸閒之燕), and the Pungryu ideology(appreciation for the arts, 風流) of Taoism in the Taoist style. Thus, by substituting these ideological values into a space called Hageowon, the Byulup gardens(別業) such as the Symbolic garden(象徵園), meaning gaeden(意園), and miniascape garden(縮景園) were able to be constructed. 2) The space organization system of Hageowon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considering the hierarchy. The first territory is the transitional space having residential features, which is an area to reach peach tree - road(Taoist world 桃經) from Youhwadang(有懷堂). The second territory is a monumental memorial space where the Yocheondae(繞千臺), Jangwoodam(丈藕潭), Hwagae(花階), and the ancestral graves take place, centering on the yards of Sumanheon(收漫軒), and the third territory is the secluded space in the eastern outer garden where the mountain stream flows from the north to south and which is the vein of the left-hand blue dragon(靑龍) of the guardian mountain of Hageowon. 3) Symbolically, the first phase has symbolized the space as a meaningful scenery by overlapping the Confucionist place of Youhwadang - Gosudae(孤秀臺) - Odeokdae(五德臺), and the mystic world of Jukcheondang(竹遷堂) - peach tree - road(桃徑). The second phase, which is the space of Sumanheon(收漫軒), Yocheondae, and Jangwoodam, the symbolical value of Sinjongchuwon(愼終追遠) and the remembrance and longing for one`s parents are reflected. The third phase, which is the eastern outer garden of Hageowon <Baegyeongdae(拜景臺) - Unwa(雲臥) - Mongjeong(夢井) - artificial mountain(假山)> and where the mountain stream flows from the north to south, is composed of the east valley(東溪) - Hwalsudam(活水潭) - Sumi Waterfall(修眉瀑布). More specifically, (1) Mongjeong symbolizes the life of gaining knowledge through studying to realize one`s foolishness, (2) Hwalsudam symbolizes a transcending attitude in life refusing to pursue wealth and fame, and (3) Jangwoodam symbolizes the gateway to the fairyland to enter the world of mystic gods. 4) The rationale behind Hageowon is that the two algorithms of Confucionism and Taoist Theory appear repeatedly and in an overlapping way. The Napoji(納汚池) and Hwalsudam, which pertains to the prelude of space development, has symbolized Susimyangseong(修心養成, meditating one`s mind and improving one`s nature), which is based on ethical rationalism. Moreover, if the Monjeong sphere pertaining to the eastern outer garden of Hageowon takes the Confucionist value system as its theme, including moral training, studying, and researching, Jangwudam, Sumi Waterfalls, and Unwa can be understood as a taste of Cheokbyeon(滌煩, eliminating troubles) for the arts where the mystic world is substituted as a meaningful scenery. 5) The miniascape technique called artificial mountain was substituted to Hageowon to construct a mystic world like the 12 peaks of Mt. Mu(巫山). By borrowing the symbolic meaning expressed in old poems, it has been named ``Habang(1/何放), Hwabong(2, 3/和峯), Chulgun(4, 5, 6/出群), Sinwan(7/ 神浣), Chwhigyu(8, 9, 10/聚糾), Cheomyo(11/處杳), Giyung(12/氣融).`` The representative poet reciting artificial mountain were Wangeui(汪醫), Nosamgang(魯三江), Dubo(杜甫), Hanyou(韓愈), Jeonheaseong(錢希聖), and Beomseokho(范石湖). They related themselves with literature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attempted to sing about the richness of the mental world by putting the mystic world and culture of appreciating the arts they pursued in the vacation home called Hageowon.

      • KCI등재

        무수동 유회당 원림(何去園)의 산수체계와 공간구성

        신상섭 ( Sang Sup Shin ),김현욱 ( Hyun Wuk Kim ),강현민 ( Hyun Min 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대전 무수동에 가꾸어진 유회당 원림(하거원)의 산수체계 및 문화경관 구성요소를 ``유회당집``(18C)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회당(권이진)은 보문산 남쪽 지맥 무수동에 자신의 이상세계를 반영한 하거원 원림을 경영했다. 즉, 1707년 마을 뒷동산에 선묘를 자리잡은 이후 시묘소(삼근정사) 조성, 1713년 납오지, 1714년 반환원, 그리고 1727년에 외부공간을 확충하여 하거원 원림을 완성했다. 마을의 산수체계는 대둔산-오대산-보문산이 차례로 이어져 주맥을 이루는데, 주산인 보문산의 지맥(응봉)에서 동쪽으로 뻗은 구릉이 청룡이며, 보문산의 서쪽 지맥(천근과 사정)이 백호이고, 남산은 안산이 된다. 한편, 주륜산에서 발원한 서남쪽 내(川)가 외명당수가 되고, 응봉에서 발원한 계류(내명당)가 마을 동쪽을 관류하여 남서쪽으로 출수되는 배산임수 체계를 보여준다. 마을 동쪽으로 펼쳐지는 계류와 자연 암반 등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조성된 초기의 정원(반환원)은 납오지, 활수담, 고수대, 수미폭포, 도경(복숭아나무 오솔길), 오덕대(감나무), 매룡(매화나무), 샘, 배경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반환원을 확장하여 조성된 하거원은 계류와 4개의 연못, 5개의 대(臺)와 3개의 대숲(竹林), 그리고 석가산 축경원 등 수목서 경색(景色)이 어우러진 원림을 구축했다. 의미경관 요소로 ① 부모님 추모를 위한 유회당, ② 가문 화합을 염원한 납오지, ③ 절개를 귀하게 여긴 고수대, ④ 덕과 지혜의 의미를 일깨운 오덕대, ⑤ 고매한 인간됨을 염원한 수미폭포, ⑥ 상서로움을 취한 요천대, ⑦ 은일자의 삶을 대입시킨 수만헌과 기궁재, ⑧ 가문과 학문 발전을 염원한 활수담, ⑨ 선조의 은혜를 일깨운 몽정, ⑩ 은둔자의 모습을 표현한 석가산, (11) 묘역지킴의 기쁨과 은퇴후의 삶을 위한 하거원 등을 들 수 있다. 하거원의 공간구성체계는 ① 유회당 내원(內園: 납오지와 죽천당, 오덕대, 도경과 후정 등), ② 수만헌 별업(유회당 後園: 석연지와 요천대, 수만헌과 배경대, 암석원 등), ③ 석가산(l2봉) 축경원(縮景園, 수만헌 東園: 활수담과 수미폭포, l2봉 가산 등), ④ 마을 뒷동산에 자리잡은 선조들의 묘원(墓園), 그리고 여경암 암자와 산신각(공동체 토속신앙 제례처), 거업재(서당) 등은 유불선(儒彿仙)이 융화된 선경처로서 원근의 계절미를 시원스럽게 부감(俯瞰)할 수 있는 차경원(惜景園)으로 구성된다. This study, based on <Yuhoidangjib 有懷堂集> (edited in 18th century), analysed the landscape system and cultural landscape elements of Yuhoidang(Hageowon 何去園) Garden in Musu-dong, Daejeon, and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YuHoidang(Gwon Yijin 權以鎭) managed Hageowon Garden in Musu-dong, located on the southern branch of Mt. Bomun, to realize his utopia. The completion of Hageowon Garden was only possible due to his installation of a variety of facilities in family gravesite on the hill behind his house: Shimyoso(Samgeunjeongsa 三近精舍, in 1707), Naboji(納汚池, in 1713), Banhwanwon(in 1714) and expended exterior space(in 1727). With regard to the landscape system of the village, the main range of mountains consists of Mt. Daedun, Mt. Odae and Mt. Bomun. The main high mountain of the three is Mt. Bomun, where ``Blue Dragon`` hill branches off on the east side(Eungbong), ``White Tiger`` in the west(Cheongeun and Sajeong) and Ansan(inner mountain) in the south. The landscape system is featured by ``mountains in back and rivers in front``. The river in the south-west, with its source in Mt. Juryun is called as the ``Stream of outer perfect spot``, while the ``Stream of inner perfect spot`` rises from Eungbong, passing through the east part of the village into the south-western direction. Banhwanwon Garden(盤桓園) was created with the stream in the east and natural bedrocks, and its landscape elements includes Naboji, Hwalsudam, Gosudae, Sumi Waterfall, Dogyeong(path of peach trees), Odeeokdae(platform with persimmon trees), Maeryong(Japanese apricot tree), springs and observatories. An expanded version of Banhwanwon was Hageowon garden, where a series of ``water-trees-stone`` including streams, four ponds, five observation platforms, three bamboo forests and Chukgyeongwon(縮景園) of an artificial hill gives the origin forest a scenic atmosphere. When it comes to semantics landscape elements, there are ① Yuhoidang to cherish the memory of a deceased parents, ② Naboji for family unification, ③ Gosudae to keep fidelity, ④ Odeokdae to collect virtue and wisdom, ⑤ Sumi Waterfall to aspire to be a man of noble character, ⑥ Yocheondae for auspicious life, ⑦ Sumanheon and Gigungjae to be in pursuit of hermitic life, ⑧ Hwalsudam for development of family and study, ⑨ Mongjeong to repay favor of ancestors, ⑩ Seokgasan, a symbol of secluded life, ⑪ Hageowon to enjoy guarding graves in retired life. The spatial composition of Hageowon was realized through ① Yuhoidang`s inside gardens(Naboji, Jucheondang, Odeokdae, Dogyeong, Back yard garden and others) ② Swnanheon(收漫軒) Byeolup or Yuhoidang`s back yard gardens (Seokyeonji, Yocheondae, Sumanheon, Baegyeongdae, Amseokwon and others) ③ Chukgyeongwon of the artificial hill(which is also the east garden of Sumanheon, being composed of Hwalsuthm, Sumi Waterfall and Gasan or 12 mountaintops) ④ the scenic spots for unify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e Cemetry garden hi the back hill of the village, the temple of Yeogyeongam, Sansinkilk (ancestral ritua1 Place of folk religion) and Geoeopjae (family school). On top of that, Chameongwon Garden(借景園) commands a panoramic distant view of nature`s changing beauty through the season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