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생물을 이용한 해조류의 가수분해 및 이용 -I. 다시마와 미역을 가수분해시키는 미생물군의 탐색-

        김해섭,배태진,Kim Hae Sub,Bae Tae Jin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4

        조직이 단단하여 이용률이 낮은 해조류의 조직을 가수분해시키고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자연계에서 미생물을 탐색하여 해조류의 가수분해에 사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자연계에서 약 200종류의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고, 이중에서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가 인정되는 33군의 시료를 사용하여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 및 가수분해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소의 배설물에서 취한 시료 (No. 5), 공중낙하균군 시료 (No.33), 토양에서 취한 시료 (No. 10, 26), 담수에서 취한 시료 (No.27, 30) 및 부식한 식물에서 취한 시료 (No. 8, 28)에서 다시마와 미역의 조체 붕괴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들 미생물군들을 다시 다시마와 미역에 접종하여 4주간 배양하고, 그 배양물 중의 전당과 환원당 함량, 추출을 및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 두 해조 모두에서 시료 번호 27번과 8번이 가수분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들 미생물군에 의하여 가수분해된 배양물에서 전당의 추출율은 다시마에서 각각 $68.55\%$ 및 $44.02%$이었고, 미역에서는 각각 $80.87\%$ 및 $62.60\%$이었다. 그리고 환원당의 추출율은 다시마에서 각각 $47.59%$ 및 $28.81\%$, 미역에서는 각각 $76.83\%$ 및 $39.01\%$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creening of microfloras involved in hydrolysi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 Undaria pinnatifida), This is a part of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seaweed using microorganisms. General process is difficult to extract of the useful constituent parts as intercellular mucilage, storage polysaccharide and mineral from seafood. It was screening to thirty-three microflora samples as destructed of tissue in sea tangle and sea mustard to about two hundred microflora samples from mountain, rice field, dry field, sea, seaside and fish market etc. in the neighborhood of Yeosu. Sufficient results of the naked eye observation were obtained at eight microflora samples as a feces of bull, a decayed pine tree, a soil of dry field, the mud of the banks in a rice Held, the water of a ditch in a rice Held, the weed of the banks in a rice field, the water in a rice field and leaved in the air, And the value of chemical analysis of the sample is much better in comparison with control. Accordingly, the hydrolysis of seaweed using microorganisms in the inside of these microflora samples can possibility.

      • KCI등재

        In vitro 및 In vivo에서 표고버섯, 표고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의 항당뇨와 항비만 작용

        김해섭(Haeseop Kim),유제헌(Jeheon You),조영철(Yeongcheol Jo),이영재(Youngjae Lee),박인배(Inbae Park),박정욱(Jeongwook Park),정명아(Myung-A Jung),김영숙(Young-Suk Kim),김선오(Suno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2

        표고버섯, 표고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의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 80% ethanol 추출물(LE), 표고버섯균사체배양쌀 80% ethanol 추출물(LEM)에서 3T3-L1 preadipocyte cell line을 이용하여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화유도 후 8일 째에 Oil Red O 염색을 통해 세포내 형성된 지방구(lipid droplet)를 isopropanol에 용출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LE 100 μ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LE 300 μg/mL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LEM은 대조군에 비하여 LEM을 10 μ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LEM 30, 100, 300 μg/mL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CETP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LE 300 μg/mL에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LEM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LEM 30 μ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고 LEM 100, 300 μg/mL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PTP1B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LE는 대조군에 비하여 LE 10, 30, 100, 1,000 μg/mL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LEM은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고지방식이에 LE, LEM을 28일간 경구투여 하였을 때 흰쥐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은 HFD군에 비해 LE군, LEM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p<0.05), 혈청의 중성지방(triglyceride) 농도는 HFD군에 비해 LE, LEM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LEM군은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의 HDL-cholesterol은 HFD군과 시료처리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LDL-cholesterol은 HFD군에 비해 LEM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표고버섯과 표고버섯균사체배양쌀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혈중 지질 조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y of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LE) and rice with Lentinus edodes mycelium (LEM) to inhibit diabetes and obesity. Lipid accum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by 78% and 74% upon treatment with 300 μg/mL of LE and LEM, respectively (p<0.01).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CETP) inhibition activity increased by 94% and 99% upon treatment with 300 μg/mL of LE and LEM, respective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 and LEM on diabetes, the inhibition of protein tyrosine phosphate 1B (PTP1B) activity from the LE and LEM extracts at various concentrations (1, 3, 10, 30, 100, 300 μg/mL) was assessed. PTP1B activity by treatment with 10, 30, and 100 μg/mL of LE, was inhibited at a rate of 7, 9, and 7% respectively. Also, PTP1B activity from treatment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LEM led to a significant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PTP1B activity (p<0.01). LE and LEM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28 days after a high fat diet (HFD). LE and LEM significantly reduced triglyceride,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GOT and GPT were not significantly effec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s of LE and rice with LEM have potent activiti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 KCI등재

        상황버섯,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의 비만 및 당뇨 억제 효과

        김해섭(Haeseop Kim),유제헌(Jeheon You),조영철(Yeongcheol Jo),이영재(Youngjae Lee),박인배(Inbae Park),박정욱(Jeongwook Park),정명아(Myung-A Jung),김영숙(Young-Suk Kim),김선오(Suno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PL)과 상황버섯균사체를 접종시켜 20일간 배양한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PLM)의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화유도 후 8일째에 Oil Red O 염색을 통해 세포 내 형성된 lipid droplet을 isopropanol에 용출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PL 3, 30, 100, 300 μg/mL에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농도 의존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CETP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PL 300 μ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100 μ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M 300 μg/mL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인슐린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에 있어서 인슐린의 효과를 저해하는 PTP1B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PL은 10, 30, 100 μg/mL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 1,000 μg/mL에 있어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대조군에 비하여 PLM 1 μg/mL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M 3, 10, 30, 100, 300, 1,000 μg/mL에 있어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고지방식이에 PL과 PLM을 28일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총콜레스테롤은 HFD군에 비해 PL, PLM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P<0.05), 혈청의 중성지방(triglyceride) 농도는 HFD군에 비해 PL군, PLM군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의 HDL-cholesterol은 HFD처리군보다 시료처리군에서 증가를 보였으며, PLM처리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LDL-cholesterol은 HFD군에 비해 PL군, PLM군에서 감소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황버섯과 상황버섯균사체 배양쌀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PL과 PLM이 혈청지질 조정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항비만, 항당뇨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에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PL) and rice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PLM) to inhibit obesity and diabetes. The efficacy of PL and PLM were evaluated using Oil Red O staining,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CETP) levels, protein tyrosine phosphate 1B (PTP1B) levels, organ weight, and serum lipid levels. Lipid accum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by 76% and 59% upon treatment with 300 μg/mL of PL and PLM, respectively (P<0.01). The inhibition of CETP activity increased 99% upon treatment with 300 μg/mL of PL or PLM. Treatment with 3, 10, 30, 100, and 300 μg/mL of PL, changed PTP1B activity by 10, 11, 14, 12, and 18% respectively. Also, treatment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LM led to a significant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PTP1B activity (P<0.01). PL and PLM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28 days after a high fat diet (HFD). PL significantly (P<0.05) reduce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In addition, PLM significantly (P<0.05) reduced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levels. GOT and GP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L and PLM extracts have potent and useful activitie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논두렁 물의 미생물군으로부터 해조분해능을 갖는 균주의 분리

        김해섭 ( Kim Hae Seob ),최옥수 ( Choe Og Su ),강동수 ( Kang Dong Su ),박욱민 ( Park Ug Min ),백승한 ( Baeg Seung Han ),배태진 ( Bae Tae Jin ) 한국수산과학회 200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6 No.6

        N/A Vari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rice field ditch water, and their seaweed degrading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y were incubated in a liquid medium of sea tangle (Laminaria juponica) and sea mustard (Unduria pinnatifida) powder for 3 weeks. Ratios of reduced sugar to total sugar of the liquid medium were measured once a week. Ratios of reduced sugar to total sugar of 27A311, 27C221, 27A111 and 27B121 strains were highest. Accordingly, these four strains were incubated in 3 different liquid media of sodium alginate, sea tangle powder, and sea mustard powder for 3 or 4 weeks. The ratios of reduced sugar to total sugar and cell growth were measured once a week. Cell growth was higher in 27Alll and 27C221. Ratios of reduced sugar to total sugar was higher for 27C221 in the liquid mediums with sodium alginate and sea mustard powder, and for 27A111 in the liquid medium with sea tangle powd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황국균을 이용한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L.) 혼합물의 발효 특성

        김해섭(Hae-Seop Kim),박인배(In-Bae Park),이영재(Young-Jae Lee),신궁원(Gung-Won Shin),임주영(Joo-Young Lim),박정욱(Jeong-Wook Park),조영철(Young-Cheol J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9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에 미강, 대두, glucose 및 starch의 첨가비를 달리 조절하고 이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30℃에서 7일간 발효시켰다. 발효 진행에 따른 pH, 적정산도, 아미 노태질소, 환원당, α-amylase 활성, protease 활성 및 곰팡이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최종 발효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능과 전자공여능(electon donating ability)을 비교하였다. pH는 초기 6.19~6.22에서 발효 7일 경과 후에는 5.41~6.08로 낮아졌으며, 적정 산도는 초기 0.59~0.68%에서 발효 6일 경과 후 최고 수준인 0.95~1.13%로 증가하였다. 또한, 아미노태질소는 초기 128.0~167.2 ㎎%에서 발효 7일 경과 후 159.4~209.0 ㎎%로 증가하였으며, 환원당은 초기 2.0~5.9%에서 발효 7일 경과 후 0.4~1.1%로 감소하였다. 곰팡이수는 초기 10? CFU/g에서 발효 7일 경과 후 약 10? CFU/g 가량으로 감소하였다. α-amylase 활성은 모든 시험구가 발효 초기부터 활성이 나타났으며 protease 활성은 발효 5일 이후부터 식품공전 규격을 충족시켰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시험조건 모두 발효 전에 비해 발효 7일 경과 후 ACE 저해활성과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mixture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t 30℃ for 7 days. Changes of pH, titratable acidity, amino-nitrogen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activities of α-amylase and protease and number of mold were determined in the course of the fermentati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ctivitie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were measured after 7 days fermentation. The pH lowered from 6.19~6.22 into the level of 5.41~6.08 after fermentation for 7 days.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0.59~0.68 into the highest level of 0.95~1.13% after 6 days fermentation. Furthermore, the amino-nitrogen content increased from 128.0~167.2 ㎎% to 159.4~209.0 ㎎% after fermentation for 7 days. For the reducing sugar content, it decreased from 2.0~5.9% into the level of 0.4~1.1% during 7 days fermentation. The number of molds decreased from 10? CFU/g to approximately 10? CFU/g after 5 days fermentation. α-Amylase activity showed from the beginning of the fermentation in all samplings, but protease activity reached the value of food code standards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ACE inhibition activities were slightly increased from 9.5~16.6% to 19.3~22.7%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were slightly increased from 55.6~57.8% to 60.9~62.7% after 7 days of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