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윤의 작품 연구 :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2017),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2018),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2018),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2017)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43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Jiyoun Kim’s works following two conceptual factors in a composition: intuition and logic. Her works introduced in this paper are: Lamenter for string quartet (2017), Dried Flowers for piano trio (2018), Old Pal for solo flute (2018), and Anagram for brass quintet and piano (2017). Through looking at these compositions, one can see the composer’s use of intuition and logic in how they function as crucial elements to form works analyzing each accordingly. Kim’s works include a mélange of intuition and logic, playing a critical role for the context of composition. For instance, Lamenter and Dried Flowers, which primarily use intuition rather than logic, aim to express the personal feelings and the innermost self of the composer. Meanwhile, Anagram and Old Pal, which are designed to highlight the logical and systematic way of writing, strive to enhance the musical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will explore how meticulously intuition and logic are utilized to fulfill the composer’s intention, and how they function throughou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work. Lamenter is a lamentation for the Korean women who were sexually assaulted under Japanese Military Force in 1910, and reflects the composer’s personal thoughts regarding this history. Both the usage of extreme upper registers in the string parts, and the outpouring of four intertwined voices also portray the turmoil of Kim, as an instinctual response to learning about this disturbing incident. Furthermore, the string players embark upon a provocative melody, juxtaposing contrasting sections of silence and tumult in A-B-C–A’ form, which symbolize the underlying affliction and distress in the subconscious minds of the victims. Dried Flowers reflects on the composer’s personal view, watching dried flowers, and describes the varying sides of the phenomenon in three movements. In the first movement, the appearance of the dried flowers itself is illustrated by placing the notes closely to each other. In the second movement, the composer approaches the introspective aspect of herself examining the object: three arpeggiated harmonies, which are incongruously dissonant (forming a smooth transition between chords via slow bitonal elision,) efficaciously underline the contradicting act of drying flowers. In the third movement, the exuberant utilization of strongly colliding seconds and sevenths, which are intended to be almost jarring, intensifies the sense of unease and emphasizes the tension which is present throughout the whole piece. Old Pal for solo flute contemplates human nature and music itself. Several techniques applied in the piece reinforc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abstract motives and the work. The ambiguous tone quality of the air sound implies human breaths, and the indeterminate tonguing and multiphonics encourage the players to take liberty, giving them freedom; consequently, it enables the piece to have a sense of improvisation. The opaque and rough tone colors, caused by the contemporary playing techniques, represent human nature and an alienation effect--produced by such unfamiliar tone colors--questioning perceptions of music itself, refocusing our attention sonically. These contemporary flute techniques are a means of expressing the subject matter and is the utmost goal of the music. The composer endeavors to exert the logical process, rather than intuition, as a means to create Anagram. In this work, the composer transforms the literary technique of wordplay into that of compositional process. Anagrams are a type of wordplay where one creates a different word or a phrase by rearranging the order of the letters of the initial word or phrase. This piece, however, is built around rhythms, instead of the letters, in order to play anagrams. This is achieved by regrouping and rearranging the eighth notes in groups of two and three.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a work from both the points of view of intuition and logic. Notable, is that these two constituents have substantial impact on the compositional process as a profound expression in music. Likewise, a work can be approached and evalu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point of view the composer initially intends. Therefore, this thesis establishes how Kim develops her ideas through various boundaries and capabilities of musical composition.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김지윤이 작곡한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2017),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2018),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2018),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2017)에 관한 연구이다. 네 곡은 모두 2018년 11월 1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리사이틀홀에서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작품으로 초연되었다. 작곡가는 각 작품의 창작배경에 따라 자신의 의도를 직관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표현한다. 작품 구성에 있어 직관이란 내면의 소리이다. 체계화된 음악 어법이 계산적으로 쓰인 논리와 달리 내적인 필연에 의해 쓰인 것이 직관이다. 본 논문에서 다룬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에서 슬픔과 분노의 감정을 리듬의 대조를 통해 적막과 소요로 표현한 것은 작곡가의 직관이다. 반면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에서 8분음표가 2개나 3개로 군을 이루며 끊임없이 변형되는 것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계산적 논리이다. 직관과 논리는 상반되는 개념이 아니므로 하나의 작품 안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내면적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결국 외적인 것을 선택해야만 하고 그것은 논리와 맞닿기 때문이다.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에서 사물에 대한 작곡가의 개인적 심상을 표현하기 위해 8음음계(octatonic scale)라는 논리적 체계를 사용한 것이 그러하다. 반면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는 플루트의 다양한 기법을 표현하기 위해 인간의 본질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가져온 점에서 논리가 직관으로 설명된다.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는 일제 강점기 시대의 위안부를 위한 애도가로 작곡가의 주관적 감정이 다소 개입되어 있다. 식민지 역사를 가진 나라의 여성으로서 마주하는 슬픔, 분노, 고통을 ‘애도하는 사람’이 되어 표현한다. 현악기의 찢어질 듯한 고음과 복잡하게 얽힌 4개의 성부는 이러한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구성 또한 작곡가의 직관을 따른다. 도입부–A-B-C–A’부분의 구조를 적막과 소요의 대조로 나타낸 것은 무의식에 잠입 되어 있던 아픔이 불현듯 스쳐 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은 말려놓은 꽃을 본 작곡가의 개인적 감상을 담은 곡이다. 3악장에 걸쳐 현상을 단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악장은 꽃잎이 바싹 말라붙은 형상 자체를 표현한 것으로, 음과 음 사이 간격이 아주 좁게 형성되어 있다. 2악장은 사물의 형상을 관찰한 작곡가의 내면이 드러난다. 세 성부가 아르페지오(arpeggio)의 형태로 불협화를 이루는 것은 꽃을 말리는 행위의 모순을 암시하는 것이다. 3악장은 2도와 7도를 중심으로 불협화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각 성부가 글리산도(glissando), 트레몰로(tremolo), 트릴(trill) 등의 기법을 빠르게 주고받으면서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는 플루트의 현대 주법을 사용하여 인간과 음악의 본질을 고찰한다. 이 곡은 에어사운드(air sound)와 멀티포닉스(multi-phonics)가 연주자의 임의대로 연주되어 즉흥적인 성격을 가지며, 다양한 현대 주법으로 인해 불투명하고 거친 음색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은 인간의 본질을 나타내고, 새로운 음색의 낯선 효과로 감상자에게는 음악의 본질을 생각하게 한다. 이처럼 플루트의 현대 주법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자 그 자체로 목적이 된다.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는 언어유희에서 온 문학적 기법을 작곡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애너그램(anagram)은 단어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순서를 바꾸어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드는 놀이로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기원한다. 이 곡은 애너그램을 문자 대신 리듬으로 표현한다. 8분음표를 2개 또는 3개로 묶은 후, 그 배치를 다르게 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리듬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는 직관보다는 논리에 의해 작곡된 곡으로 금관 악기를 통해 타악기적인 리듬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작곡가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작품의 구성 방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작품을 전적으로 직관이나 논리 중 하나의 관점으로만 보는 것은 불가하다. 다만, 본 논문은 작곡가가 각각의 작품에서 직관과 논리 중 어떤 것을 중점으로 두며 작곡했는지 알아보고, 그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 주얼리 제품 속성이 지각된 가치와소비자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Laboratory-grown Diamond를 중심으로=

        김지윤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화학적, 결정 구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2010년 중반 이후 기술 발전으로 고품질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며 상용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구매 잠재력을 가진 소비자를 대상으로 랩 그로운 주얼리 제품의 속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태도, 그리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 속성 중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은 기능적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적 가치나 사회적 가치에 대해 가격이나 품질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뢰성이나 환경성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 속성인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은 소비자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의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인 기능적 가치, 이타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 태도는 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능적 가치는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의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적 가치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가치의 경우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의 가격이나 품질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으나, 신뢰성과 환경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에 대한 기능적, 이타적, 사회적 가치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소비자 태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얼리 산업에서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와 이를 이용한 주얼리 제품의 시장이 향후 확대되고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하며, 소비자들에게 보다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이 매력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어떠한 요인을 고려해야 할지 시사한다.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분야의 마케팅 전략과 브랜드 가치 제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길 바라며, 향후 주얼리 산업에서 더 주목받을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Laboratory-grown diamonds — which began to be commercialized after mid-2010 owing to high-quality mass production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possess the same chemical, structural,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s natural diamond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f laboratory-grown jewelry products on the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potential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potential consumer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verified based on extant literature. Therefor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roperties of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price, quality, reliability, and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ed functional value. Contrarily, for altruistic value or social value, price or qua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while reliability and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price, quality, reliability,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ttitude. Third, the perceived value of laboratory-grown diamonds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attitude. Fourth, perceived values — such as functional value, altruistic value, and social value -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Fifth, consumer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ixth, functional valu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quality, reliability, environment, and consumer attitude toward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In contrast, the mediating effect of altruistic valu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ocial value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rice and quality and consumer attitude but did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reliability and environment and consumer attitude. Finally, consumer attitud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unctional, altruistic, and social values of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Such findings support the prospect that the market for laboratory-grown diamonds and jewelry products using these diamonds will expand in the jewelry industry and imply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to attract consumers with these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marketing strategies and brand value in the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market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helping it gain traction in the jewelry industry.

      • Discovery of disease-modifying therapeutics and blood-based diagnostics for alzheimer’s disease

        김지윤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 accompanied with pathological hallmarks including senile plaques, tau abnormalities, neural cell damage and cognitive impairments. Although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AD, there is no drug that can treat AD fundamentally. Moreover, because currently available diagnostic methods, such as analysis using cerebrospinal fluid or MRI/PET techniques are rather invasive and highly priced to perform,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find the simple diagnostic tools such as blood-based diagnostics that is easily accessible and relatively inexpensive. Discovery of additional biomarkers can elevate the quality of Aβ-based diagnosis via blood for indication of the AD progression. To answer the aforementioned matters, we suggest three promising drug candidates (Chapter 2); Necrostatin-1 (Nec-1), a necroptotic inhibitor (Chapter 2- I), YSKD17, Aβ targeting peptide (Chapter 2-II), taurine, one of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in mammalian CNS (Chapter 2-III) by investigating the cytotoxicity and apoptotic signaling in vitro and by showing the behavioral recovery using AD mice models in vivo. Finally, we found the novel biomarker that can support blood-based diagnostics (Chapter 2-IV).

      • 단맛 기호 성향에 따른 식품에 대한 기호 및 감정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준이 다른 단맛에 대해 서로 다른 기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을 분류하여 이들의 식품에 대한 기호 및 감정 등을 이해하고자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수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단맛 수준에 따른 기호 체계를 이해하고자 설탕을 5 수준으로 달리한 모델 시스템과 음료 시스템에서의 기호도를 Monell forced-choice, paired-comparison, tracking procedure (이하 모넬 테스트)와 평점법 (rating)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식품 항목들에 대한 기호도를 측정하여 단맛 기호와 실제 식품 간의 기호의 연결 가능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를 통해 결정된 단맛 기호 성향을 구분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구분된 서로 다른 단맛 기호 성향을 보이는 두 집단 (강한 단맛을 선호하는 집단; SL 및 강한 단맛을 비 선호하는 집단; SD)에 대한 식품의 기호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자 식품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향이 단맛에 대한 기호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설탕의 수준을 달리한 용액에 단 향 2종 (캐러멜 및 멜론) 및 달지 않은 향 (녹차)을 첨가하여 이에 따른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향 자체에 대한 기호 및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식품과 관련된 10종의 향에 대한 기호도, 익숙한 정도, 단맛 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단맛의 기호 형성에는 단맛에 의해 발현되는 감정에 의한 연관성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단맛 기호 성향에 따라 단 식품 섭취 시 발현되는 감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음료 및 과자 군에서 각각 단맛이 상이한 시판 제품 2 종씩을 선정하여 검사원에게 각 식품의 섭취 직후 느껴지는 감정 및 기호를 평가하게 하였다. 첫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평점법의 결과를 군집 분석하여 서로 다른 기호를 보이는 세 종류의 군집을 얻었으며 모넬 테스트 결과와도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군집 중 두 군집은 각각 강한 단맛을 선호하거나 약한 단맛을 선호했으며, 모델 시스템과 음료 시스템에서 매우 유사한 기호 반응을 보였다. 나머지 한 군집은 모델 시스템보다 음료 시스템에서 강한 단맛에 대해 뚜렷하게 긍정적인 기호 반응을 보였다. 또한, 단맛 기호 성향에 따라 여러 종류의 단 식품에 대한 평소의 기호와 연관성이 높았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강한 단맛을 선호하는 집단 (SL)과 강한 단맛을 비 선호하는 집단 (SD) 모두 향의 종류에 크게 관계없이 전반적으로는 설탕 농도에 따른 특유의 기호 패턴을 보였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각각의 향과 특정 설탕 농도에서 조화로움이 반영되는 상황에서 기호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단 향은 단맛과 잘 어울리는 경우에 향미로써 전반적인 기호도가 충족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정도는 강한 단맛을 선호하는 사람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품 향의 감지 및 기호에 있어서는 단맛 기호 성향에 따른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즉, 향은 단맛과 함께 향미로써 기능할 때 맛과의 조화로움 측면에서 식품의 기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단맛 기호 성향에 따른 단 식품에 대한 감정 반응은 감정의 종류 및 강도에 있어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SL은 단맛이 강한 식품에 대해 강하고 균일한 긍정의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호도도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SD의 강한 긍정의 감정 반응은 기호도와 관련이 높았으나, SL에 비해 감정의 강도가 약했으며 감정 발현 경향의 차이가 있었다. 즉, 단맛 기호 성향에 따라 단맛 특이적인 식품에 대한 감정 발현 기준 및 형태가 달랐으며, 이는 기호와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총 세 가지 연구를 통해 단맛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기호 성향을 보이는 집단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단맛에 대한 기호는 실제 단 식품들에 대한 기호와도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단 식품에 대한 기호는 평소 식품 섭취를 통해 향미로써 경험되어온 식품 향에 대한 학습된 정보에 따라 단맛과 함께 연관되어 익숙한 상황일 때 전체적인 기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현상이 단맛 기호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주요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단 식품에 대한 기호에는 단맛 특이적인 감정 발현 과정이 주요하게 작용함을 발견하였고, 따라서 단맛 기호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것에 있어 감정 요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었다. Preference for sweetness is known to innate in human due to nutritional significance. However, preferred levels of sweetness differ across individuals. The study wa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rst study was objected to classify people according to their preferred sweetness in sucrose solutions and beverages. The objectives of the second study were to classify people according to sweet liker status and to examine hedonic responses to odor/taste mixture containing sweet or unsweet odors with varying levels of sucrose. The objectives of the third study were to examine how sweet likers and dislikers expressed emotions to foods varying in sweetness. In the first study, the stimuli were model and beverage systems, each containing five levels of sucrose. Subjects were asked to rate liking and intensity of sweetness for sucrose solutions on a 15-cm line scale. And then, they tasted the sucrose solutions in pairs and selected the preferred one using the Monell forced-choice, paired-comparison, tracking procedure (Mennella et al., 2011). These tests were replicated with the beverages. At the end of the test, subjects rated their liking for sweet and savory food items. The second study examined hedonic responses to odor/taste mixture containing sweet (caramel, melon) or unsweet (green tea) odors with varying levels of sucrose. In the test 1, Ss sniffed 10 food related odors and rated liking, familiarity, total intensity, sweet intensity and relation to foods. In the test 2, caramel, melon and green tea flavored solution were prepared. Ss were asked to rate odor liking and taste liking. In the test 3, samples were 15 flavored sucrose solutions. Caramel, melon and green tea flavor was added to the 5 levels of sucrose solutions, respectively. Ss rated liking and intensity of sweetness for the samples. In the third study, the samples were four commercial products: two beverages (orange drink; mango juice) and two biscuits (wheat biscuit; chocolate biscuit) differed in sweetness, respectively. Subjects were asked to rate their elicited emotions on 10-pt scale and liking on 9-pt scale immediately after they consumed each of the products. The twenty-two emotion terms were selected from the EsSense ProfileTM and PANAS. The results of first study revealed that three distinct clusters based on the hedonic responses were selected by cluster analysis. Cluster 1 showed positive hedonic ratings with increased sucrose concentration in both model and beverage systems, so they were designated as sweet likers. Cluster 2 showed somewhat positive hedonic responses to sucrose increases in the beverage system, but not in the model system, and cluster 3 showed an inverted U shape pattern for increases in sucrose liking, and were considered sweet dislikers. These patterns were confirmed with the Monell test.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across clusters on preferences for sweet and savory food items. In the second study, SL and SD were defined by cluster analysis using their hedonic responses to the five levels of sucrose solution. In both groups,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in perceiving 10 odor samples. In the odor/sweet taste mixture test, SL liked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s of sucrose, while SD liked the low sucrose concentration independent of types of odor. However, both groups showed somewhat different trends in liking in terms of congruency of odor and taste. SL liked high levels of sucrose solution when paired with sweet smelling odor. In the lower level of sucrose solutions, SD did not decrease liking when paired with sweet smelling odor. These data extend the impact of the sweet liker dimension to encompass odor/sweet taste mixtures. The results of third study showed that SL expressed strong positive emotions in response to the chocolate biscuits and mango juice, which were both highly sweet and highly liked. In contrast, SD expressed relatively strong positive emotions to the wheat biscuit and mango juice which were both liked, while they neither were positively about, nor liked, the chocolate biscuits.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emotional responses are subject to similar individual variations to sweet foods as are measures of liking. In turn, sweet liker status can be shown to be associated with varied emotional states elicited by foods.

      • 바위와 나무의 이미지를 모티브로한 도자조형 연구

        김지윤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 작품의 창작에 있어서 자연물을 통해 영감을 얻는 예술가들이 많다. 비록 흔한 자연물이지만, 세심히 관찰하다 보면 그 안에서 느껴지는 다양한 감정들과 조형 요소들을 발견하여 작가들의 자신의 내면 이야기를 하는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 자연 속의 바위와 나무는 인간과 가까이에서 늘 함께 해왔고 친숙한 자연물 중 하나이다. 그만큼 인간과 비슷한 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바위와 나무에서 느껴지는 느낌과 연구자의 외면과 내면의 모습을 빗대어 다양한 조형적 형태를 작품에 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나무와 바위의 조형화를 위하여, 형태와 특징, 상징적 의미에 대해 연구 하였다. 둘째, 도자조형의 발전함에 있어서 조사하였다. 셋째, 바위와 나무의 이미지와 조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넷째, 바위와 나무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이용한 작품들의 사례연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바위와 나무에서 느껴지는 조형적 요소와 여기에 본인이 개인적으로 느껴지는 감정을 연관 지어 조형 작품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리 인간과 늘 가까이에 있는 익숙한 자연물에 대해서 남들과 다르게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그 안에서 선과 면, 조형요소를 찾을 수 있는 것은 예술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창작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더 무한한 영감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고, 더 나아가 깊이 있는 작품들을 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보고 노력 할 것이다.

      • 음운인식 및 음운 작업기억 훈련이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읽기부진아동은 정상 수준의 지능지수를 지니고 적절한 교육환경이 제공되었음에도 읽기에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의미한다. 읽기의 최종 목표가 읽기 이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읽기 이해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단어재인 능력이 발달하여 유창하게 글읽기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단어재인 능력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음운처리과정이 정상적으로 발달해야 한다. 읽기부진 아동이 지니는 읽기에의 어려움은 읽기의 발달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발달해야 할 영역인 음운처리과정에서의 수행력 저하로 관찰된다. 이 때 음운처리능력은 음운인식, 음운부호화, 음운인출(Torgesen, Wagner, & Rashotte, 1994)로 구성된다. 첫 번째 요소인 음운인식은 글자를 구성하는 음절, 음소 단위에 대한 소리 조작 능력을 의미한다(Ball & Blachman, 1991; Castle, Riach & Nocholson, 1994; Goswami & Bryant, 1990). 두 번째 과정인 음운부호화 는 작업기억에 음운 정보를 유지하고 소리에 기초한 표상체계로 부호화하는 과정으로 음운성 정보들을 작업기억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요하는 단계이다(Wagner & Torgesen, 1987). 마지막 요소인 음운인출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음운부호화 과정을 토대로 장기기억으로부터 심성어휘집에 내재되어 있는 해당 음운의 부호를 빠르게 인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agner & Torgesen, 1993). 학령기 초기에 이르기까지 음운처리과정이 정상적으로 발휘되지 못하면 읽기 부진 아동에 속하여 모든 교과 영역의 기초 능력이라 할 수 있는 읽기 및 쓰기 활동에서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낙오되어 더 높은 과정으로의 읽기 이해까지 나아가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그러나 저학년 읽기부진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음운 부호화 과정에서의 음운 작업기억 및 음운인식과 단어재인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다수이고 중재에 대한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운인식 훈련이 실시된 경우가 일부 보고되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일관되고 효과적인 치료 프로그램을 검증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 8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훈련에 더하여 음운성 단서들에 대한 작업기억에의 저장 및 처리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음운 작업기억 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을 때 읽기능력에 미치는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읽기부진 아동 8명과 일반 통제 집단 아동 8명의 읽기능력 하위 4개 변인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각 변인에 대하여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를 받은 실험집단 내의 중재 전·후 수행 점수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는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반 초등학교 1학년 ~ 3학년에 재학 중인 읽기부진 아동 8명과 일반 아동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과정은 대상자 선정, 사전 검사, 음운인식 및 음운 작업기억 훈련(24회기), 사후 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사전 및 사후 검사에서 실시한 읽기 능력 평가 척도는 단어재인(의미단어, 무의미단어) 과제, 음운인식 (음절,음소) 과제, 음운 작업기억(비단어따라말하기, 문장 폭 기억하기) 과제, 음운인출 (빠른이름대기) 과제로 실시하였으며 일반 통제 집단에 대한 검사는 읽기부진 아동의 중재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의 간격 (24회기, 약 3개월) 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읽기부진 아동에 대해서는 한 회기에 음운인식 훈련 40분, 음운 작업기억 20분으로 구성된 훈련을 주 2회씩, 24회기 동안 실시한 후, 사전 검사 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평가 및 사후평가에서의 읽기 각 하위 변인들에 대하여 집단 간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훈련을 제공받은 읽기부진아동 집단 내에서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는지 알아보고자 비모수 검정 방법인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평가에서는 의미단어재인, 무의미단어재인, 음운인식의 음절 및 음소유형, 음운 작업기억에서의 비단어따라말하기, 빠른이름대기에서의 숫자, 글자 유형 과제에서 집단 간 수행력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후평가에서는 의미단어재인, 음운인식의 음절유형 과제에서 집단 간 수행력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남으로써 사전 평가에서의 결과와 다르게 일반 아동 수준으로 수행력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부진아동 집단 내에서 의미단어재인, 무의미단어재인, 음운인식의 음절 및 음소 유형, 음운 작업기억에서의 비단어따라말하기, 빠른이름대기에서의 색깔, 그림, 글자 유형 과제에서 중재 후 수행력이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단어재인 과제의 사전평가에서는 일반아동이 읽기부진 아동에 비해 약 26.9%, 무의미단어재인 과제에서는 약 39.35% 높은 수행력을 보임으로써 두가지 유형에서 모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후 평가에서는 의미단어재인 과제에서 일반아동이 읽기부진 아동에 비해 약 3.75% 수행력이 높게 나왔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행력 차이를 보이지는 않음으로써 중재 이후 읽기부진 아동의 수행력이 일반 아동 수준으로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의미단어재인 과제에서는 사후 평가에서도 일반아동이 약 3.22% 높은 수행력을 보이며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운인식의 음절유형 과제에서의 사전평가에서는 일반아동이 읽기부진 아동에 비해 약 7.69%, 음소유형 과제에서는 약 50% 높은 수행력을 보이며 두가지 유형에서 모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후 평가에서는 음절유형 과제에서 집단 간 수행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중재 이후 읽기부진 아동의 수행력이 일반 아동 수준으로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소유형에서는 사후 평가에서도 일반 아동이 약 12.07% 높은 수행력을 보이며 집단 간 수행력 차이가 여전히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운 작업기억에서의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에 대한 사전평가에서는 일반아동이 읽기부진 아동에 비해 약 12.8%, CLPT(단어회상) 과제에서는 약 18.45% 높은 수행력을 보이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후평가에서도 마찬가지로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에서는 일반아동이 읽기부진 아동에 비해 약 18.45%, CLPT(단어회상) 과제에서는 약 23.5% 높은 수행력을 보이며 집단 간 차이가 여전히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이름대기의 색깔유형에 대한 사전평가에서는 일반아동이 읽기부진 아동에 비해 약 7.29sec, 그림유형에서는 약 7.56sec 빠른 속도를 보였지만 집단 간 수행 속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후평가에서도 색깔유형과 그림유형은 일반아동이 각각 7.11sec, 5.81sec 빠른 속도를 보였지만 집단 간 속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전평가에서의 숫자유형과 글자유형에서는 일반아동이 읽기부진아동에 비해 각각 5.99sec, 9.16sec 빠른 속도를 보임으로써 집단 간 수행 속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 이후에도 일반아동이 각 유형에 대해 약 5.54sec, 5.8sec 빠른 속도를 보이며 집단 간 속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부진아동 집단 내에서 단어재인 과제에 대한 중재 전·후 수행력 차이는 의미단어재인 유형에서 약 28.75% 상승하였으며 무의미단어재인 유형에서 약 25% 상승함으로써 2가지 유형에서 모두 중재 이후 수행력이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운인식 과제에 대한 중재 전·후 수행력 차이는 중재 이후 음절유형에서 약 9.12%, 음소유형에서 약 41.96% 상승함으로써 두 가지 유형에서 모두 중재 이후 수행력이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운작업기억 과제에 대한 중재 전·후 수행력 차이는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에서는 약 6.55% 상승하여 중재 이후 수행력이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장 폭 기억하기 과제의 단어회상 유형에서는 중재 이후 약 2.38% 수행력이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빠른이름대기 과제에 대한 중재 전·후 수행력 차이는 색깔, 그림, 글자 유형에서는 각각 평균 1.18sec, 4.25sec, 3.23sec 감소하여 중재 이후 평균 속도가 유의하게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숫자 유형의 과제에서는 중재 이후 평균 속도가 약 0.68sec 감소하여 중재전·후의 수행력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아동에게 실시한 음운인식 및 음운 작업기억 훈련을 통해 의미단어재인 과제, 음운인식의 음절유형 과제에서 일반 아동 수준으로까지 수행력이 상승하여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중재를 받은 읽기부진 아동 집단 내에서 단어재인(의미단어, 무의미단어), 음운 작업기억 능력(비단어따라말하기), 음운인출 (빠른이름대기_색깔, 그림, 글자) 에서의 수행력이 중재 이후 유의하게 상승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implemented on 8 children in early years of elementary school who have reading disabilities, when combined with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raining that can enhance the abilities of saving and processing the working memory of phonological codes. First,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s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reading ability and its four variables, upon 8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8 general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the performances of each variables. Then, the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mediation to se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medi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8 general children in first to third grade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he experiment was delivered in order of selecting participants, preliminary inspect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king memory trainings (24 sessions), and post inspection. The assessment scale of reading ability that had been conducted during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s consisted 109 of the tasks of word recognition (semantic and non-semantic words), phonological awareness (syllables and phonemes), phonological working memory (non-word repetition and CLPT), and phonological encoding (rapid automatized naming). The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s of the control group were delivered with the same interval as the terms of mediation sessions that had been conducted among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24 sessions, for about 3 months).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eceived 40 minutes of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and 20 minutes of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raining per session, for 24 sessions in total, twice a week. Then, they were inspected with the same method as the preliminary inspection.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scores in performance, a Mann-Whitney U test, the nonparametric test, was implemented on the value of reading ability’s variables acquired in the post inspection subtracted by the value acquired in the preliminary inspection. And a Wilcoxon signed rank test, also a nonparametric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significant increase in performance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were provided with training.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before the mediation did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ask of word-recognition, phonological awareness, non-word repetition, CLPT(recall) and rapid automatized naming(digit, letter). And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fter the medi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task of semantic word recognition, syllable phonological awareness. Second, the performance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fter the mediation have shown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e task of word recognition on semantic and non-semantic words. Third, the performance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fter the mediation have shown significant rise during the syllable and phoneme parts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

      • 여성 게이머는 총을 쏠 수 있는가? : FPS 게임을 플레이하는 여성의 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지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여성 게이머들의 체험을 중심으로 디지털 가상공간에서의 경험과 몸의 관련성을 밝히는 글이다. 이를 위해 FPS 게임 <오버워치(Overwatch)>(2016)를 플레이하는 여성 게이머 10명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나아가 매체이론, 현상학, 그리고 페미니즘의 논의들이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되었으며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의 매체이론의 경향을 반영하고자 했다. 과거 디지털 가상공간은 인종·성별에 따른 신체적 표지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실의 차별들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매체연구에서는 이러한 탈신체화 논의들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오히려 매체의 물질성과 그 형식에 주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디지털 게임을 플레이한다는 것은 그 과정에서 플레이어와 게임 간의 물리적·신체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육체적인 경험이다. 이러한 점에서 디지털 게임은 매체와 몸, 양쪽의 관점에서 흥미로운 학술적 대상이 된다. 둘째, 현상학의 논의들은 유물론적 매체 이론이 간과할 수 있는 실존적 몸에 관한 관점들을 제공한다.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몸에 대한 체계적 이론들은 이 논문을 이끌어 나가는 중심 개념이다. 메를로-퐁티는 자전거나 타자기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운동적 습관, 즉 ‘신체도식’을 획득함으로써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1인칭 슈팅(First Person Shooter; FPS) 게임은 게임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특히 숙련도와 몸의 관여도가 높은 장르라는 점에서, 이를 플레이하기 위한 신체 도식의 습득이 요구된다. 셋째, 디지털 게임과 여성 사이의 상호규정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테크노페미니즘의 논의들을 참고했다. 페미니즘에서 몸은 언제나 중요한 논의의 중심이 되어왔다. 이 연구에서 페미니즘의 논의들은 매체, 여성, 그리고 몸이라는 키워드를 잇는 이론적 가교의 역할을 한다. 연구의 결과, 여성 게이머들은 메를로-퐁티가 말하는 ‘초월적 몸주체’로서의 모습을 보이면서도 동시에 여성 게이머’에 대한 타자화된 시각을 내면화한 측면을 드러냈다. 이것은 아이리스 영(Iris Young)이 주장한 여성적 존재의 모순적인 운동 양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들 속에서도 여성 게이머들은 세계 속에 참여하고 나아가며, 그들이 경험하는 제약들은 ‘예측 불가능한’ 효과로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여성 게이머들은 FPS 게임을 플레이함으로써 컴퓨터 및 주변기기에 대한 지식을 쌓거나, 여성 배제적인 게임 커뮤니티의 문화를 바꾸고자 다른 여성들과 연대를 형성하기도 했다. 페미니즘 관점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많은 게임 연구들은 여성 캐릭터들의 재현이나 여성 게이머와 남성 게이머 사이의 성향 차이를 통계적으로 조사하는 데 그치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게임의 매체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게임과 여성 게이머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체험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기존의 페미니즘 논의들을 게임과의 체험 속에서 다시 확인함으로써 사이버 공간에서도 이러한 내용들이 구체성을 가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즉 이 연구는 아이리스 영이 시도했던 여성적 운동성에 대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이를 디지털 환경에 적용시켜 본 시도이다. 최근 국내와 국외를 막론하여 여성 게이머들을 향한 온라인상의 공격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여성 게이머들의 게임 체험에 영향을 끼친다. FPS 게임에서 여성 게이머들이 “총을 쏘지 못하게” 만드는 상황에 대한 이 같은 분석은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적 존재들의 다양한 운동방식에 확대·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female gamers’ embodied experiences and their relevance to digital virtual space.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on 10 female game players who played the First Person Shooter(FPS) game <Overwatch>(2016). The discussions of media philosophy, phenomenology, and feminism were utilized as theoretical resources. First, this study tries to reflect the recent ‘material turn’ in media philosophy. Digital space is often expected as an alternative space since the bodily indexes that imply one’s race or gender are not prominent in digital spaces. Recent trends in media philosophy, however, resist the disembodying properties of the digital space and focus on the materiality of the media. Furthermore, playing digital games is a carnal experience, as it promotes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he media. This study argues that the digital game became a significant scholarly subject in both areas of media philosophy and the perspective of the body. Second, discussions of phenomenology provide perspectives on the existential body that a materialistic view might overlook. Merleau-Ponty’s theories about body took a central part in this study. Merleau-Ponty suggested a notion of the ‘body schema’, or the acquisition of the bodily habit that enables people to use new instruments such as a bicycle or a typewriter. This idea of ‘body schema’ could also be applied to playing FPS games, as the game demands players’ bodily participation and mechanical control skills. Third, discussions from feminist technoscience were useful in this study, since the study tries to examine the mutual regulation between digital games and women. The body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topic in feminism. The discussions of feminist technoscience served as a theoretical bridge that connects the keywords of media, women and the bo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emale gamer participants showed their status as a ‘transcendental presence’, while at the same time a situated female body who internalized the female gamer stereotypes. This could be the ‘contradictory feminine bodily existence’ which Iris Marion Young has suggested. However, even in these restrictions, female game players engaged and moved toward the world based on their orientation. Sometimes the restrictions that female game players encountered functioned as a productive force that resulted in unexpected outcomes. While playing FPS games, participants grew attention on computer technologies or peripheral devices such as gaming mouse, keyboards, monitors and cables. Some female game player participants joined the solidarity community of female gamers to improve the female excluding gaming culture. Most game researches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focus on the female character’s representation or investigate the different tendency between female and male game players.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attempts a phenomenological method that focuses on the attributes of the digital game media. Furthermore, applying the feminist discussions of the body on digital games, these arguments have still proven to be true in digital spaces. Specifically, this study extends the discussions of ‘feminine motility’ suggested by Iris Young, applying these modalities of the ‘feminine bodily existence’ into the era of the digital world. Starting from 2014, online abuses against female gamers such as ‘#Gamergate’ has been brought up as serious problems.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the present situation that constructs the female gamer’s bodily experience. This problematic could be extended to other dimensions of the digital everyday life of women.

      •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사의 지원서비스 품질 분류와 가맹점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지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he service elements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are classified into five quality dimensions ( attractive, One-dimensional, Must-be, indifferent, and reverse quality) through the previous study of Kano-model.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each quality factor on the transaction satisfaction with the franchise headquarters, which is felt by franchise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see how each factor of franchisor’s support service affects the satisfaction of actual franchisees. Finally, This paper studied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n commitment, resignation intention, and conflict of franchise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 this purpose, a sample was collected from the currently operating franchisees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finally, 195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규모는 1999년 45조원에 불과했던 산업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08년 77조3000억 원, 2013년에는 86조원에 이르렀고, 2016년 기준 100조원 이상으로 그 어느 산업보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업종별 프랜차이즈 매장 수 및 브랜드 수 가운데 외식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크다. 본연구의 목적은 크게 4가지로 첫째 Kano-model을 통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이루어진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서비스 요소들이 매력적, 일원적, 당연적, 무관심, 역품질의 5가지 품질 차원으로 어떻게 구분되어 지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각 품질 요소들이 가맹점주들이 느끼는 가맹본부와의 거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셋째,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각 지원 서비스 요소들이 실제 점주들의 만족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보기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더 나아가, 기존의 연구들에서 연구되었던 만족도가 몰입, 재계약 의도, 갈등에 미치는 영향이 외식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 에게는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외식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가맹점주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9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적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Kano-model을 통하여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서비스 요인들을 분류 해 본 결과 충족이 되면 만족을 주지만, 충족되지 않더라도 받아들일 수 있는 요소인 매력적 품질의 경우 정기적인 재교육, 금융서비스 지원, 부동산 서비스 지원, 대중매체 광고, 정기적인 광고, 가맹점 판촉행사 지원 서비스가 분류되었다. 또한 충족이 되면 당연하다고 생각하나, 안 되면 큰 불만을 야기 시키는 요소인 당연적 품질은 점포운영 실습교육, 메뉴조리 교육, 위생관리 교육, 고객관리 서비스 교육, 종업원 관련 교육, 슈퍼바이저 정기 방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충족이 되면 만족하나, 충족 되지 못하면 불만족 하는 요소인 일원적 품질은 체계적 상권 분석, 영업지역 보호, 편리한 식자재 주문 및 반품 시스템, 정시 배송, 정량배송, 우수한 품질 식자재 제공, 가격 경쟁력 있는 식자재 제공, 슈퍼바이저의 친절함, 슈퍼바이저의 운영상태 점검 및 개선점 제공, 예상 매출 제공, 주기적 메뉴개발, 본사의 신속한 문제해결의 서비스 요소가 분류 되었다. 충족여부에 상관없이 만족도 불만족도 없는 요소인 무관심 품질과 충족이 되면 불만족하는 요소인 역품질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매력적 품질요소와 일원적 품질요소는 가맹본부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가맹점주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당연적 품질요소에 대해서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당연적 품질요소로 분류된 교육 서비스와 물류 서비스를 가맹점주들이 가맹거래에서 당연히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운영지원 서비스, 입지선정 서비스, 물류 서비스, 교육 서비스, 슈퍼바이저 서비스, 프로모션 서비스가 점주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는, 운영지원 서비스와 입지선정서비스, 슈퍼바이저 서비스, 프로모션 서비스는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에 물류서비스와 교육서비스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맹점주들이 가맹거래에서 물류와 교육 서비스를 당연히 기대하는 서비스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 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가맹점주의 가맹본부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가맹본부와의 계약에 대한 몰입과, 재계약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에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 특히 외식프랜차이즈 업계에서 가맹본부 실무자들에게 가맹점주들의 만족 관리와 관계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되기를 바라며, 향후 가맹점주의 만족을 위한 서비스 요소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업종간의 특성을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이 도출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클라우드 스토리지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설계 및 최적화

        김지윤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loud storage services such as DropboxTM, Unbuntu OneTM, Mozy, CrashPlan, CloudMe, Wuala offer great convenience to users, as it liberates them from concerns about the scalability of storage and data synchronization among users’ devices. Although these services provides users with convenience functionalities, the users hesitate to deploy cloud storage system. It is due to concerns about security of the cloud storage systems where infrastructure may be shared among many different organizations. Consequently, security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s therefore of immense importance and the issue needs to be addressed to secure the cloud storage systems. In an attempt to design a verification framework for cloud storage systems, we thoroughly analyze conventional security assessment procedure from KISA and SIT. In a result, we identified three critical mismatches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dependency, parallelism, and redundancy. As a remedy to the identified mismatches, we present a computationally efficient 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of cloud storage system. 최근 모바일 컴퓨팅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으며, 여러 장치의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해준다. 이러한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개인과 기업의 핵심 자료 유출에 따른 보안 이슈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스토리지 보안 검증의 중요성도 증대되었다. 이처럼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보안 검증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보안 평가 가이드라인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다양성, 종속성, 병렬성, 중복성 등을 고려해 효율적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보안 평가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 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을 이용해 클라우드 스토리지 보안 검증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