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Jiyoun Kim’s works following two conceptual factors in a composition: intuition and logic. Her works introduced in this paper are: Lamenter for string quartet (2017), Dried Flowers for piano trio (2018), Old Pal for solo flute (2018), and Anagram for brass quintet and piano (2017). Through looking at these compositions, one can see the composer’s use of intuition and logic in how they function as crucial elements to form works analyzing each accordingly. Kim’s works include a mélange of intuition and logic, playing a critical role for the context of composition. For instance, Lamenter and Dried Flowers, which primarily use intuition rather than logic, aim to express the personal feelings and the innermost self of the composer. Meanwhile, Anagram and Old Pal, which are designed to highlight the logical and systematic way of writing, strive to enhance the musical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will explore how meticulously intuition and logic are utilized to fulfill the composer’s intention, and how they function throughou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work. Lamenter is a lamentation for the Korean women who were sexually assaulted under Japanese Military Force in 1910, and reflects the composer’s personal thoughts regarding this history. Both the usage of extreme upper registers in the string parts, and the outpouring of four intertwined voices also portray the turmoil of Kim, as an instinctual response to learning about this disturbing incident. Furthermore, the string players embark upon a provocative melody, juxtaposing contrasting sections of silence and tumult in A-B-C–A’ form, which symbolize the underlying affliction and distress in the subconscious minds of the victims. Dried Flowers reflects on the composer’s personal view, watching dried flowers, and describes the varying sides of the phenomenon in three movements. In the first movement, the appearance of the dried flowers itself is illustrated by placing the notes closely to each other. In the second movement, the composer approaches the introspective aspect of herself examining the object: three arpeggiated harmonies, which are incongruously dissonant (forming a smooth transition between chords via slow bitonal elision,) efficaciously underline the contradicting act of drying flowers. In the third movement, the exuberant utilization of strongly colliding seconds and sevenths, which are intended to be almost jarring, intensifies the sense of unease and emphasizes the tension which is present throughout the whole piece. Old Pal for solo flute contemplates human nature and music itself. Several techniques applied in the piece reinforc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abstract motives and the work. The ambiguous tone quality of the air sound implies human breaths, and the indeterminate tonguing and multiphonics encourage the players to take liberty, giving them freedom; consequently, it enables the piece to have a sense of improvisation. The opaque and rough tone colors, caused by the contemporary playing techniques, represent human nature and an alienation effect--produced by such unfamiliar tone colors--questioning perceptions of music itself, refocusing our attention sonically. These contemporary flute techniques are a means of expressing the subject matter and is the utmost goal of the music. The composer endeavors to exert the logical process, rather than intuition, as a means to create Anagram. In this work, the composer transforms the literary technique of wordplay into that of compositional process. Anagrams are a type of wordplay where one creates a different word or a phrase by rearranging the order of the letters of the initial word or phrase. This piece, however, is built around rhythms, instead of the letters, in order to play anagrams. This is achieved by regrouping and rearranging the eighth notes in groups of two and three.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a work from both the points of view of intuition and logic. Notable, is that these two constituents have substantial impact on the compositional process as a profound expression in music. Likewise, a work can be approached and evalu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point of view the composer initially intends. Therefore, this thesis establishes how Kim develops her ideas through various boundaries and capabilities of musical composition.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김지윤이 작곡한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2017),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2018),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2018),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2017)에 관한 연구이다. 네 곡은 모두 2018년 11월 1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리사이틀홀에서 석사 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작품으로 초연되었다. 작곡가는 각 작품의 창작배경에 따라 자신의 의도를 직관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표현한다. 작품 구성에 있어 직관이란 내면의 소리이다. 체계화된 음악 어법이 계산적으로 쓰인 논리와 달리 내적인 필연에 의해 쓰인 것이 직관이다. 본 논문에서 다룬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에서 슬픔과 분노의 감정을 리듬의 대조를 통해 적막과 소요로 표현한 것은 작곡가의 직관이다. 반면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에서 8분음표가 2개나 3개로 군을 이루며 끊임없이 변형되는 것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계산적 논리이다. 직관과 논리는 상반되는 개념이 아니므로 하나의 작품 안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내면적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결국 외적인 것을 선택해야만 하고 그것은 논리와 맞닿기 때문이다.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에서 사물에 대한 작곡가의 개인적 심상을 표현하기 위해 8음음계(octatonic scale)라는 논리적 체계를 사용한 것이 그러하다. 반면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는 플루트의 다양한 기법을 표현하기 위해 인간의 본질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가져온 점에서 논리가 직관으로 설명된다. 현악 사중주를 위한 『라멘터(Lamenter)』는 일제 강점기 시대의 위안부를 위한 애도가로 작곡가의 주관적 감정이 다소 개입되어 있다. 식민지 역사를 가진 나라의 여성으로서 마주하는 슬픔, 분노, 고통을 ‘애도하는 사람’이 되어 표현한다. 현악기의 찢어질 듯한 고음과 복잡하게 얽힌 4개의 성부는 이러한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구성 또한 작곡가의 직관을 따른다. 도입부–A-B-C–A’부분의 구조를 적막과 소요의 대조로 나타낸 것은 무의식에 잠입 되어 있던 아픔이 불현듯 스쳐 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피아노 삼중주를 위한 『마른 꽃』은 말려놓은 꽃을 본 작곡가의 개인적 감상을 담은 곡이다. 3악장에 걸쳐 현상을 단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악장은 꽃잎이 바싹 말라붙은 형상 자체를 표현한 것으로, 음과 음 사이 간격이 아주 좁게 형성되어 있다. 2악장은 사물의 형상을 관찰한 작곡가의 내면이 드러난다. 세 성부가 아르페지오(arpeggio)의 형태로 불협화를 이루는 것은 꽃을 말리는 행위의 모순을 암시하는 것이다. 3악장은 2도와 7도를 중심으로 불협화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각 성부가 글리산도(glissando), 트레몰로(tremolo), 트릴(trill) 등의 기법을 빠르게 주고받으면서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플루트 독주를 위한 『오랜 친구』는 플루트의 현대 주법을 사용하여 인간과 음악의 본질을 고찰한다. 이 곡은 에어사운드(air sound)와 멀티포닉스(multi-phonics)가 연주자의 임의대로 연주되어 즉흥적인 성격을 가지며, 다양한 현대 주법으로 인해 불투명하고 거친 음색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은 인간의 본질을 나타내고, 새로운 음색의 낯선 효과로 감상자에게는 음악의 본질을 생각하게 한다. 이처럼 플루트의 현대 주법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자 그 자체로 목적이 된다. 금관 오중주와 피아노를 위한 『애너그램(ANAGRAM)』는 언어유희에서 온 문학적 기법을 작곡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애너그램(anagram)은 단어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순서를 바꾸어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드는 놀이로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기원한다. 이 곡은 애너그램을 문자 대신 리듬으로 표현한다. 8분음표를 2개 또는 3개로 묶은 후, 그 배치를 다르게 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리듬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는 직관보다는 논리에 의해 작곡된 곡으로 금관 악기를 통해 타악기적인 리듬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작곡가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작품의 구성 방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작품을 전적으로 직관이나 논리 중 하나의 관점으로만 보는 것은 불가하다. 다만, 본 논문은 작곡가가 각각의 작품에서 직관과 논리 중 어떤 것을 중점으로 두며 작곡했는지 알아보고, 그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주얼리 제품 속성이 지각된 가치와소비자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Laboratory-grown Diamond를 중심으로=
김지윤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화학적, 결정 구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2010년 중반 이후 기술 발전으로 고품질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며 상용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구매 잠재력을 가진 소비자를 대상으로 랩 그로운 주얼리 제품의 속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태도, 그리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 속성 중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은 기능적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적 가치나 사회적 가치에 대해 가격이나 품질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뢰성이나 환경성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 속성인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은 소비자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의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인 기능적 가치, 이타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 태도는 구매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능적 가치는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의 가격, 품질, 신뢰성, 환경성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적 가치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가치의 경우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의 가격이나 품질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으나, 신뢰성과 환경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에 대한 기능적, 이타적, 사회적 가치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소비자 태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얼리 산업에서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와 이를 이용한 주얼리 제품의 시장이 향후 확대되고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하며, 소비자들에게 보다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제품이 매력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어떠한 요인을 고려해야 할지 시사한다.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 주얼리 분야의 마케팅 전략과 브랜드 가치 제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길 바라며, 향후 주얼리 산업에서 더 주목받을 랩 그로운 다이아몬드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Laboratory-grown diamonds — which began to be commercialized after mid-2010 owing to high-quality mass production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possess the same chemical, structural,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s natural diamond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attributes of laboratory-grown jewelry products on the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potential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potential consumer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verified based on extant literature. Therefor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roperties of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price, quality, reliability, and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ed functional value. Contrarily, for altruistic value or social value, price or qua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while reliability and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price, quality, reliability,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ttitude. Third, the perceived value of laboratory-grown diamonds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attitude. Fourth, perceived values — such as functional value, altruistic value, and social value -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Fifth, consumer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ixth, functional valu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quality, reliability, environment, and consumer attitude toward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In contrast, the mediating effect of altruistic valu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ocial value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rice and quality and consumer attitude but did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reliability and environment and consumer attitude. Finally, consumer attitud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unctional, altruistic, and social values of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Such findings support the prospect that the market for laboratory-grown diamonds and jewelry products using these diamonds will expand in the jewelry industry and imply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to attract consumers with these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marketing strategies and brand value in the laboratory-grown diamond jewelry market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helping it gain traction in the jewelry industry.
Discovery of disease-modifying therapeutics and blood-based diagnostics for alzheimer’s disease
김지윤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국내석사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 accompanied with pathological hallmarks including senile plaques, tau abnormalities, neural cell damage and cognitive impairments. Although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AD, there is no drug that can treat AD fundamentally. Moreover, because currently available diagnostic methods, such as analysis using cerebrospinal fluid or MRI/PET techniques are rather invasive and highly priced to perform,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find the simple diagnostic tools such as blood-based diagnostics that is easily accessible and relatively inexpensive. Discovery of additional biomarkers can elevate the quality of Aβ-based diagnosis via blood for indication of the AD progression. To answer the aforementioned matters, we suggest three promising drug candidates (Chapter 2); Necrostatin-1 (Nec-1), a necroptotic inhibitor (Chapter 2- I), YSKD17, Aβ targeting peptide (Chapter 2-II), taurine, one of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in mammalian CNS (Chapter 2-III) by investigating the cytotoxicity and apoptotic signaling in vitro and by showing the behavioral recovery using AD mice models in vivo. Finally, we found the novel biomarker that can support blood-based diagnostics (Chapter 2-IV).
사이버 공간 사용자들의 지각된 대인관계지지와 자아방어기제 사용
폭넓은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PC 통신과 인터넷의 발달은 사이버 공간을 하나의 새로운 세계로 기능하게 만들었다. 많은 사람들이 사이버 공간을 이용해 손쉽게 정보를 얻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며 그 안에서 인간적인 교류까지도 행하게 되었다. 많은 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사이버 공간 사용의 확대는 여러 가지 부작용 또한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공간이 지닌 심리적 특성을 살피고 잘못된 사용과 관련될 수 있는 가능한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컴퓨터를 통해 사이버 공간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가 기본적인 정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가정하고 전체 사용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연령인 10대 후반과 20대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컴퓨터 통신망과 지필검사를 통하여 모두 359명의 응답을 얻었으며 사이버 공간 사용의 병리성 정도에 따라 병리성이 높은 집단(N=97)과 낮은 집단(N=86)으로 나누었다. 먼저 병리성의 정도와 성별 및 연령 그리고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 두 집단이 대인관계지지와 미성숙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수준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병리성 점수는 남성에게 있어서 더 높았다. 대상자의 연령인 10대 후반과 20대 내에서는 연령에 따라서 병리성의 정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모든 연령대를 대상에 포함시킨다면 이와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2.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가 대인교류적인 특성을 제공하는 채팅아니 온라인 게임 등인 사람들은 정보검색 서비스나 E-mail과 같이 현실의 보조수단이 되는 서비스를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 비해 높은 병리적 사용 수준을 보였다. 이는 사이버 공간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대인교류적인 성질을 지닌 것이 병리적 사용과 관계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했다. 3. 대인관계지지의 지각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대면적 지지와 비대면적 지지, 그리고 이 둘을 합한 전체 대인관계지지 수준을 비교했다. 그 결과 병리성이 높은 집단은 비대면적 지지의 지각 수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면적 지지는 더 낮은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전체적으로 지각하는 지지의 수준에 있어서는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4. 병리적인 사용집단은 미성숙한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성숙한 방어기제의 사용이 여러 임상척도와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와, 병리적 사용이 우울, 강박증 등의 임상척도와 관련되었다는 연구에 의해 예측할 수 있었던 결과이다. 본 연구는 병리적인 사이버 공간의 사용이 대인관계의 어느 한 부분을 만족시켜 줄 수는 있으나 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있어서는 문제와 관련될 수 있으며, 자아방어기제의 사용에 있어서 미성숙한 것과 상관이 있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이것은 사이버 공간의 병리적 사용이 문제를 야기시켰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선행된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문제를 지닌 각 개인에 대한 자세한 탐색을 통해서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Given the increased distribution of computer worldwide, innovation in PC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helped make cyberspace into a whole other dimension. The designation of the internet as an information super-highway denotes the multiplicity of avenues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gathering that have been made available to computer users. In addition to providing a number of conveniences, however, cyberspace usage can also various maladaptive behavior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problems related with cyberspace misuse. The scope of this study ranges from general mild problems as well as severely diagnosed cases. As such,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overall cyberspace users,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general features of the users, and furthermore offer a foundation for future therapeutic interventions. Cyberspace should assume an auxiliary role in the lives of its users to such an extent as to make life more convenient. Otherwise, if it replaces the actual life, people could experience maladaptive problems in their everyday life. Therefore, the problems concerning cyberspace use should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life in reality.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e pathological cyberspace use(PCU) evaluation scale was organized. Given that the primary requisite in the study was for all cyberspace users to have the ability to lead a normal daily life, college students in their late teens and twenties, who constitute the greatest proportion of all users,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The reponses of 359 people were obtained through an on-line and pencil-paper survey.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higher(N=97) and lower(N=86) 25% groups by their level of pathological use.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PCU level and sex, ag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were examined. Also, thes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ir percei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and use of immature defense mechanis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Men exhibited higher PCU levels than women did. 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the respondents included. However, if all age levels had been included in the analyses, different results could have been expected. 2. People who used services which dealt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on-line chatting and on-line gaming showed higher PCU levels than people who used services which were more pragmatic in nature, such as information-gathering and e-mail correspondences. This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among the services in cyberspac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had a correlation with PCU. 3> In terms of percei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face-to-face support which can be satisfied only by meeting others in person, non-face-to-face support which can be obtained through both cyberspace and actual life, and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were differentiated. As a result, the pathological group did not show different non-face-to-face support levels from the healthy group. However, the pathological users perceived less face-to-face support than healthy users did. In all, the pathological group was shown to exhibit lower levels of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pport than the healthy group did. 4. Concerning the use of immature defense mechanism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was shown to depend on the respondents' PCU level. This result could be expected from a review of researches showing that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immature defense mechanisms use and other clinical scales, and that PCU was related with psychopathological indexes such as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This study proved the fact that PCU can be correlated with problems in overall personal life even though it can satisfy a portion of one's life, and that pathological group was more immature in ego mechanisms of defense they used. However, these results do not indicate that PCU itself brought about the problems.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PCU was the precedent cause or the effect could be identified separately by investigating case by case.
영화 속 카페 문화와 공간 디자인의 관계 : 1930년대 이후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현대 한국 사회에서 카페 공간은 커피를 마시는 공간이면서 사교, 업무, 휴식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 최근 카페 점포의 수가 급격하게 많아지면서 현대 도시인들의 접근성이 강화되어 카페는 일상적 공간이 되었다. 현대 도시인들이 머물면서 자연스럽게 카페 안에서의 문화가 형성된다. 카페에서 업무나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코피스족’(커피 + 오피스)이나 ‘카페브러리족’(카페 + 라이브러리)처럼 그들을 지칭하는 용어도 생겼다. 그에 따라, 이용자들의 수요에 맞게 카페도 업무나 미팅을 위해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거나 공부 환경을 위한 테이블 좌석 배치를 구성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카페 공간의 문화와 공간 디자인이 일정한 관계성을 맺고 있다고 보고 시대별로 카페 문화와 공간 디자인이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분석하여 카페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때, 문화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서 영화를 활용하였다. 영화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의 가치 체계를 반영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를 파악하기 위해 기호학의 개념을 활용하여 영상 표현 안에서의 상징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영상 화면에서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론으로 ‘바르트의 기호학’에서 개념을 도출하였다. 영화 속 카페 장면을 조사하기 위한 영화 선정은 1차적으로 한국 영화 중 예술성, 사회성, 대중성 등의 기준을 토대로 영화 전문가들이 선정한 4가지 자료들을 선정하였다.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약 400편의 영화를 전체 조사 범위로 하고, 2차적으로 시대적, 공간적, 내용적 기준으로 카페 공간이 등장하는 영화 75편을 추려내었다. 이를 토대로 193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37편의 영화 속 카페 문화와 38편의 영화 속 카페 공간 디자인을 조사하였다. 한국 영화 속 카페 공간의 문화를 파악하기 위해 영화의 스토리와 인물의 행위 및 태도를 기호학적 영상 분석 방법을 통해 행위 특성과 태도 및 가치관 특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카페 공간의 디자인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디자인 요소로서 구조적, 가구, 장식적 요소로 나누어 영상 이미지 속에서 각각의 요소별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영화 속 카페 장면 속에서 시대별 카페 공간의 문화와 공간 디자인을 각각 확인한 후, 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화 속에서 도출한 시대별 카페 공간의 문화와 디자인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간에 대한 새로운 요구로 나타난 외부로의 개방성과 개방성 강화로 인한 내·외부 소통 문화가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외부 개방성은 기존의 폐쇄적인 다방의 퇴보와 젊은 사람들의 사회적 요구에 의해 커피숍이 등장하면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외부 개방성이 강화되면서 영화 속에서 인물들의 내·외부 소통 행위도 다양하게 관찰 할 수 있다. 두 번째, 카페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칸막이벽의 활용성이 변화한다는 것이다. 칸막이벽은 6,70년대 폐쇄적 다방과 만남의 공간 기능 활성화를 위한 상업적 목적에 의해 좌석 구분용 칸막이벽 형태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이후 구조적으로 개방성이 강화되면서 칸막이벽은 공간 구획이나 장식적 요소로 활용되게 되었다. 세 번째, 운영 방식 변화에 의해 카운터와 조리대의 위치 및 구성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문화 현상이 나타난다. 마담과 레지로만 구성되었던 초기 다방의 경우 카운터와 조리대가 혼재되어 나타나지만, 이후 다방의 비즈니스화로 마담과 레지와 주방장으로 분리되고 카운터와 조리대도 분리되어 나타난다. 카운터는 다방 입구에 놓여 ‘얼굴마담’이 손님을 맞이하는 기능이 강화되었다. 80년대 커피숍과 커피 전문점이 등장하면서 커피의 전문성이 강화되었고 바리스타의 업무 효율성을 위해 셀프서비스가 도입되었다. 카운터 뒤에 조리대가 붙어 있게 되어 직원의 업무가 효율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었으며 직원의 모습도 외모보다는 브랜드가 강조되게 되었다. 네 번째, 카페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로 커피 전문점이 확대되었고, 커피전문점은 다양한 좌석 형태를 등장시켜 카페 공간의 기능을 개인 업무를 위한 공간으로 확대시킨다. 만남과 대화의 공간이었던 다방의 좌석은 테이블과 의자 세트 구성이었지만 커피 전문점이 커피를 마시는 곳으로서 본질적 기능이 강화되면서 바테이블과 여럿이 앉을 수 있는 긴 테이블 등 효율적인 구성의 좌석들이 나타난다. 이는 카페가 만남과 대화의 장소이면서 개인 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을 확대시킨다. 다섯 번째, 장식적 요소들은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 시대적 변화가 있었다. 초기 카페의 장식은 문화 예술인들에 의해 이국적, 서구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80년대 이후 세대적 분화로 나이든 사람과 젊은 사람의 취향에 맞춰 장식적 요소들이 구별되었다. 커피 전문점이 나타나면서 전문 원두커피에 대한 수요로 인해 커피 관련 도구들이, 브랜드 소비 행태로 인한 브랜드가 강화된 인테리어 요소가 나타난다. 이처럼, 영화 속의 카페 공간의 분석을 통해 문화는 공간 디자인에 영향을 주고 디자인은 또 다른 문화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문화와 공간 디자인은 상호작용의 관계를 가진다. 더 나아가, 영화 속 카페 장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성을 토대로 앞으로의 카페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페 공간에서 공간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이용자의 행위보다 대중의 카페 공간에 대한 인식에 있다. 그리고 공간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카페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은 사회·경제·제도·기술·건축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연관되면서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는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문화의 영향을 받아 변화된 공간 디자인은 구조, 가구, 장식적 요소들이 독립적인 변화를 겪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받으면서 연쇄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지니며 그 경계는 점차 사라지는 경향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변화된 공간 디자인은 새로운 인간의 행위를 발생시키고 그 행위가 공간을 인식하는 대중의 가치관으로 자리 잡게 된다면 다시 새로운 공간 디자인 변화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상호작용의 특성으로 볼 때, 현재 카페 공간에 나타나는 문화적 흐름은 두 가지 특성을 보인다. 먼저, 카페 공간에 대해 개인 업무를 위한 공간으로 보는 인식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개인 업무에 효율적인 구조나 가구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게 할 것이다. 또한, 경험을 중시하는 사회적 트렌드에 따라 카페 공간은 더욱 새로운 경험을 주는 공간으로 시대, 장소, 문화와 상관없는 새로운 장식과 가구가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 안에서 구조, 가구, 장식적 요소들은 연쇄적으로 변화하고 구조이면서 가구이고, 가구이면서 장식적 기능을 하는 다기능의 공간 디자인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문화가 형성되는 것은 복합적인 사회의 요소가 결합되며 이것이 카페 공간 디자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운영 방식, 제도, 건축 혹은 기술적 변화 등 다방면의 사회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변화된 공간 디자인이 앞으로의 새로운 인간의 행위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행위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여 공간 디자인에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영화 속 장면이라는 다소 제한적인 프레임 안에 한정된 스토리와 인물의 행위를 토대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제한된 자료에서 바라본 공간의 모습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시대별로 한국 영화 속에서 카페 공간이 나오는 영상 자료들을 발굴해내고 기존의 카페 공간 디자인 연구에서 파악하기 어려웠던 공간과 문화와의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영화를 비롯한 문화적 산물을 통한 공간 디자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공간 디자인뿐 아니라 문화와의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김지윤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Soviet Un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birth and dismantling. The Soviet Union was noted for various problems from the birth to dismantling. In particular, it belonged to a powerful nation that led the initiative in the Cold War and mitigation of world history, but it is now recorded on one page of history. This study consulted diverse literature to evaluate both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between various conflicting studies as offering obvious points : the origin and dissolution of the Soviets. Chapter 2, which i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details based on the Soviet birth. In the idealistic, it was described the activities and ideas of Lenin, a key figure in the Russian Revolution was achieved. After that, through the February and October Revolutions of 1917, it was explain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revolution before the birth of the Soviet Union. In the birth of the Soviet Union state, the contents of the detail Soviet Union system are described. In the next 3 chapters, it was analyzed the content and failures of Perestroika based on the dismantling of the Soviet Union. In soviet-socialism, it was accounted for socialism in the Soviet Union and directly refers to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The next thing, in the cause and analysis of the dismantling was explaine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Soviet Union's global status at that time. The final chapter was concluded with a summary and suggestions for this study and an alternative to the Soviet Un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stablishment of the Soviet Union changed the balance of world power. The goal of the Soviet Union was to prevent capitalism or even more advanced imperialism and repelling German fascism. The Soviet Union even joined the ranks of advanced nations through this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part indicated as the limit was that the Soviet Union had been powerful nation. While the policy of detente and cold war was repeated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within the Soviet's had been economic and ethnic problems. These issues led to their dismantlement. In this way, the subject of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should take into account that analyzing the same problem can result in conflicting results based on the perspective and standards of individuals. In the end, the Soviet Union's achievements were mistimed, its merits could not be widely spread, and all that’s been left behind has resulted in a negative legacy.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와 학생들의 수학 교과 역량 분석
김지윤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인해 인공지능 소양 함양이 강조되면서 신설된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에 포함된 과제가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인공지능 수학>을 학습한 학생들에게 수학 교과 역량이 발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5종의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 과제 중에서 학생의 활동이 포함된 총 104개의 과제를 선정하고 박경미 외(2015)의 교과 역량의 하위요소와 그 의미 및 기능을 수정한 분석 틀을 마련해 과제에 반영된 수학 교과 역량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는 정보처리 역량, 추론 역량, 의사소통 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과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태도 및 실천 역량에 대한 과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으로 <인공지능 수학>을 수강한 학생과 수업을 진행하며 프로젝트 결과물, 자기평가, 교과 역량 검사지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 교과 역량의 함양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을 뿐, 교과 역량에 대한 수업 전과 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생들 스스로는 교과 역량의 변화를 크게 느끼지 못했으나 실제로 과제 결과물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양한 교과 역량이 발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6가지 수학 교과 역량을 고르게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는 다양한 역량을 반영하는 과제가 포함되어야 하며,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 및 학습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인공지능 수학> 과목에 맞는 ‘기능’을 제공해야 하고, 평가 기준 마련과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whether the tasks presen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which was newly added to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rowing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knowledg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fit to develop the competences of the math subject and I investigatee which competences of the math subject were manifested in students that studied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First, a total of 104 tasks including student activities among the tasks of five different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the competences of the math subject reflected in the tasks within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revised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subelements of the subject competences announced by Park et al(2015).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finding show a high distribution level of tasks to manifest the information process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competences with few tasks targeting attitude and practice competences. Next I analyzed whether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competences of the math subject among students that took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lessons as part of the joint curriculum among different schools based on project outcomes, self-rating questionnaires, and subject competence questionnaires. As a result, students had changes to their affective competence and few changes to their subject competences aft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lessons. Although students themselves did not feel big changes to their subject competences, they manifested various subject competences in their tasks outcom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is study, textbooks need to offer tasks reflecting various competences and develop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o that students can cultivate the six competences of the math subject evenly.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should provide "functions" fit for the subject through its content system and needs to establish a set of evaluation criteria and develop a set of evaluation tools.
장기배낭여행자의 문화 경험과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전지구화' 논의의 관점에서
김지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08 국내석사
A backpacker seems to be one of the most impressive cultural icon of this era and important agency of globalization. Backpackers, who are so-called 'global nomads', are interesting actors who jump into diverse cultures and challenge themselves going through the journey. They are occasionally located as the moving audience, part-time anthologists, time-space consumers and individual intercultural communicator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ravelling experience of Korean long-term backpackers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ization and identity with describing the cross-cultural interaction with visiting country and connection to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o explore dynamics of the process and to identify potentiality or limitation of a backpacker as a subject is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Who are they and what are the mediating variables driving them to travel? What kind of travel do they experience? What do those cultural experience imply in the globalized context? Firstly, momentums of backpacking, the growth process and additional contexts such as the specificity of the generation and backpacker's political and economic preconditions are introduced. Media experience of travel information and visual culture which encourage a backpacker and influence growth of tourism industry are then examined. Secondly, the identity changes, cross-cultural interaction and inner struggles are discussed and categorized. Lastly, the inheritance of the travel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itinerary are finally considered. The sub-cultural aspects of backpackers' taste, style and community were found. Media practice, circulation of traveling experience and nostalgia as a structure of feeling stemed from Korean modernization are also meaningful discovery.Thick description and a researcher's reflexivity is a methodological tactic of this study.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tradition, in-depth interview is taken as a research method. Informal focus group discussion is included for making up field research and my self-reflexive auto-ethnography is attached. Travel diaries written during travelling, essays and photos uploaded on personal webpage are taken as important references as well.In conclusion, backpacking experience is a cultural practice that enlarges personal horizon and reminds the authentic self. By communicating with local people and other travellers and involving local cultures, backpackers can be more respectful to other cultures as well as critically looking inside Korean cultures at distance. These journey leads youth backpackers to the humanity and a broaden 'imagined community', which is possibly an alternative globalization, that is, a reflexive globalization. '전지구화'로 설명되는 현상과 징후들이 점점 더 많이 포착되고 우리 생활과 긴밀히 어우러져 전개되고 있다. 유학과 어학연수, 이민이나 이주노동, 해외출장과 시찰, 여행 등 개인은 다양한 형태로 해외를 체험한다. 전지구화 논의에서 '개인의 이동'과 정체성 문제는 간과될 수 없는 중요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연구나 사회학, 관광학 등의 연구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현장연구의 중요성이나 연구자의 성찰성과 같은 화두와 관련해 전지구화와 연관된 개인의 경험을 미시적인 수준에서 구체화하는 시도이다. 여행에 매료되는 나 자신과 오늘도 짐을 싸 공항으로 향하는 무수한 청춘들에 대한 호기심에서 출발하여 시공간 소비자이면서 참여관찰자 내지 문화인류학자이기도 한 장기배낭여행자의 문화경험을 해석해보고자 했다.다양한 화두를 던지는 흥미로운 주제인 여행이라는 문화 현상 중에서도 특히 한국의 2?30대 장기여행자의 배낭여행 경험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장기여행을 하는 한국의 젊은이들은 누구이며 왜 여행을 떠나게 되었는가, 어떤 여행을 경험하는가, 여행이 이들에게 남긴 것은 무엇이며, 여행 경험의 사회·문화적 함의는 무엇인가. 이를 풍부하게 기술하고 해석하는 가운데 현지문화 및 자문화와의 관계나 여행을 통한 개인의 정체성 형성 및 변화를 설명하고자 했- iv -다. 3개월~1년 이상의 장기여행 경험이 있는 여행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기본적인 연구방법으로 채택했으며 연구자의 반영적 자기기술지를 별첨했다. 이는 연구자의 주관적 경험이 이 연구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음을 반증한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여행의 동인과 장기여행이 각자에게 갖는 의미를 정리했다. 노동에의 보상, 꿈의 실현, 한국사회의 '팍팍한' 현실로부터의 이탈, 홀로서기와 극기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어 생애사적 관점에서 개인의 성장환경과 사회화과정 속에서 자연친화적인 어린 시절, 부모세대, 교육의 영향여부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학습되고 축적된 경험으로서 여행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여행서, TV, 영화, 1인 미디어, 게임 등의 미디어 경험이 어떻게 장기여행의 촉매제가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미디어는 상상력의 공간을 확보하고 정신적 이동성을 확장하였으나 동시에 '비매개된 경험', 즉 실제로 겪어내는 경험의 진정성을 더욱더 갈구하게끔 하였다.길 위에서의 여행경험을 네 가지 차원의 실천 행위로 구분하여 각각이 함의하는 바를 해석함으로써 여행자들이 성찰적 시선을 내면화하고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했다. 공간을 독해하고 시간을 점거하는 기초적 움직임인 걷기, 타문화와 타인을 관찰하기, 현지문화 및 여행자들과 관계 맺기, 극기와 모험이 그것이다. '걷기'는 구체적인 경험을 복원하고 대상과의 소통의 공간을 남긴다. '관찰자 되기'는 현지문화 및 자문화(한국)를 거리 두고 관조하는 것과 연관된다. 여행자는 시선의 교환을 경험하면서 '응시의 권력'에 내재하는 딜레마를 자각한다. 또한 사람들과 관계 맺으며 다양한 맥락 속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한다. 타인들의 세계와 자신의 세계가 미끄러지고 만나는 가운데 스스로를 재맥락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기간 홀로 여행을 해낸다는 것은 일탈이나 휴식 너머의 성취감의 획득이나 자존감의 회복이라는 의미를 개인에게 선사한다.또한 장기여행은 여행자 공동체나 공유되는 문화의 성격을 볼 때 하위문화적 특징을 보인다는 점에서 코드화된 경험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현대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에서 누락되고 소멸된 시공간성을 그리워하는 노스탤지어의 정서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오늘날 개인의 여행경험은 카메라나 인터넷 등의 미디어 경험과 밀접히 맞닿아 있다. 사진 찍기는 성찰적 시선 형성의 중요한 매개가 되고 있- v -으며 1인 미디어나 여행에세이를 경유해 여행담을 교환하는 과정 속에서 여행경험은 재생산되고 상징자본으로서 축적된다.장기여행자들은 경제?정치?군사?문화의 영역에 포진한 '세계화'의 면면을 목격한다. 국가 간 경제 불균형이나 계급 불평등 문제를 확인하게 되면서 세계가 움직이는 논리를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을 얻는다. 개인적이고 민족적인 주제들은 다른 문제들과의 상호관련성 때문에 지구촌의 문제로 재인식된다. 더불어 미시적 수준에서 일상생활을 관찰하고 광의의 문화를 인지하는데, 이로써 문화와 문화, 개인과 개인 사이의 보편성과 차이를 발견하고 그것을 존중하고자 하는 '인정의 정치'가 가능해지며 인류애에 기초한 유대감과 연대의식이 움틀 공간이 마련된다.이러한 환경 속에서 여행자들은 자연스럽게 자문화와 자아를 비판적, 반성적으로 사유한다. 다양한 사회문화적 관계들-국가,성, 계급, 나이, 경제력 등- 사이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위치를 수정하고 때로 객관화하며 한국 사회로부터의 탈주를 모색하기도 한다. 모순과 내적 갈등을 체감하는 동안 여행자들은 나름의 대답을 찾아간다. 이는 변화를 모색하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연결되거나 실천적 의지를 내면화하는 기제가 되기도 한다. 장기여행을 경험한 여행자들은 자기진정성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며 일상성의 전복을 꾀하고 주체성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삶을 기획한다. 체제 내에서 지속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우며 여러 불평등의 요소가 남아있는 까닭에 비판의 여지가 있지만 여행은 여전히 개별적 행위자들에 의한 점진적 변화나 전지구화의 불의에 맞서는 일상적 혁명으로서의 잠재력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