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普照 知訥과 霞谷 鄭齊斗의 工夫論에 대한 비교 연구

        김종용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7 No.-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formance theory of Seon Buddhism and Yangminghak[陽明學]. To this end, this thesis continued the discussion by focusing on Jinul [知訥] and Hagok [霞谷],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inul [知訥] presupposes realization prior to practicing, but Hagok [霞谷] did not say that it was premised on experiences such as realization of one's own character in cultivation. In other words, Jinul [知訥] believed that prior to practicing, one must first have the experience of realization [先悟‧解悟] that one's own disposition and the Buddha's disposition are no different. Because he saw it impossible to brush, find, or maintain his teeth without knowing what his character was. Meditation before realizing this is laborious and fruitless, says Jinul [知訥]. However, in the cultivation of Hagok [霞谷], there is no such premise as transcendental experience. This is because Hagok [霞谷] believed that humans can naturally practice the will of Heaven if they do not lose their character and keep it.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Hagok [霞谷], if there is no excessive greed, Si-Duan [四端] mentioned by Mencius [孟子] and Liang-Zhi [良知] spoken by Wang-Yang-Ming [王阳明] were naturally revealed. Second,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erformative theories of the two characters is different. The purpose of the practice of Jinul [知訥] is to get rid of ignorance, to thin out the three poison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life and death in the past. However, the purpose of Hagok [霞谷] cultivation is to guard against and eliminate excessive greed, to protect the original nature of the heart, to realize heavenly liabilities, and to achieve harmony in all things as a mediator between heaven and earth. In other words, if the practice of Jinul [知訥] is to solve the problem of life and death by realizing the truth and the principle of all things in the world by acquiring the wisdom of banya, Hagok [霞谷] is to inherit the will of heaven and fulfill it. Thus, although both figures were identical in their emphasis on inner practice, their purpose was different. Third, both ideas were considered as a method of performing not only internal performance, but also practical and external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ogic of the two practical implementation methodologies. Jinul [知訥] believes that wisdom can be obtained through the Buddha's deeds, but In Hagok [霞谷], an act such as Yukye [六藝] has a greater meaning as a check-and-training practice to check and control one's own mind. In other words, the Buddha's actions must be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inner practice. By analogy, Seon meditation and the Buddha's actions are like the wings of a bird. The external practice of Hagok [霞谷] is like the knot of the internal training. By analogy, inner practice is like two legs, and external practice is like eyes. Therefore, the Buddha's actions of Jinul [知訥] have the meaning of the practice itself. And Hagok [霞谷]'s six Yukye [六藝] is to keep and confirm that one does not lose his pure heart. 본 연구는 한국 선불교와 양명학의 공부론을 비교 분석한 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눌(知訥)과 하곡(霞谷)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갔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눌은 수행에 앞서 깨달음[先悟‧解悟]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하곡은 수양 공부 이전에 선행되어야 할 어떠한 단계도 말하지 않았다. 즉 지눌은 수행하기에 앞서 부처의 성품과 자성이 본디 차별이 없음을 깨달아야 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본성의 참모습이 무엇인지 모른 채 막연히 수행을 이어가는 것은 수고스러울 뿐 그 어떠한 이익이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곡은 수양에 앞서 자신의 심성에 내재되어 있는 천리(天理)를 깨닫거나 체험하는 등의 전제를 말하지 않는다. 이는 하곡이 인간의 심성이라는 것은 객기와 습염(習染)만 아니라면 그대로 드러나는 것이고 이는 천리(天理)와 다름 아니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즉 하곡의 입장에서 마음에 객기와 습염만 없다면 맹자(孟子)가 말하는 사단(四端)과 왕양명(王陽明)이 말하는 양지(良知)가 절로 드러나는 것이다. 이에 수양에 있어 그 어떠한 전제는 없으며 다만 지나친 인욕[暴氣]을 경계하는 것을 공부의 요체로 보았다. 둘째, 공부를 통한 궁극적 ‘목적’에 대한 차이가 보인다. 지눌 수행의 목적은 무명(無明)을 여의고 실상(實相)을 깨달음으로 종래에는 생사(生死)의 문제로부터 자재함을 얻는 것이다. 반면 하곡 수양의 목적은 부동심(不動心)‧무폭기(無暴氣)가 없도록 하여 본래의 심성을 지켜 하늘과 땅의 매개자로서 하늘을 뜻을 계승하여 땅에 천도(天道)를 실현함에 만물의 화육(化育)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었다. 즉, 지눌의 수행은 반야의 지혜를 밝혀 세상 만물의 진리와 실상을 깨달아 생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면, 하곡은 하늘의 뜻을 계승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을 이루는 것이었다. 셋째, 두 인물 모두 내적 공부뿐만 아니라 실천적 공부 또한 공부의 주요 요소로 내세웠다. 하지만 그 논리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지눌의 보현행은 성불(成佛)에 있어서 필히 이해되어야 하는 수행이라 보았고, 반면 하곡은 육예(六藝)와 같은 행위를 통해 자신을 반성하고 경계하는 점검적(點檢的) 수양을 말하였다. 다시 말해 보현행은 선수행과 더불어 행해져야 하는 수행이다. 비유하자면 선수행과 보현행은 새의 양 날개와 같은 것으로 함께 나아가야 하는 수행인 것이다. 반면 하곡의 육예와 같은 수행적 실천은 내적 공부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었다. 하곡은 기본적으로 지행합일(知行合一)이라 보았기 때문에 모든 행동은 마음의 표상(表象)이라 보았다. 자신의 만행이 곧 마음 상태를 말해주는 것이라 보았음으로 모든 행동에서 자신의 마음 상태를 점검하고 반성하여 공부를 이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지눌의 보현행은 그 자체로 수행의 의미를 갖는다 할 수 있고, 하곡의 육예와 신독은 본래의 심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점검적 공부인 것이다.

      • KCI등재

        자연재난 데이터 실감 가시화 시스템

        김종용,정석철,이계원,조준영,김동욱,박상훈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8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4 No.3

        We introduces a system that enables fast and effective visualization of natural disaster data such as typhoons, tsunamis, floods, and flooding to help make informed decisions in disaster situations. Data containing disaster information consists of a few hundred megabytes to many tens and hundreds of gigabytes, which can not be handled by a PC. This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lient-server based service to generate and output results from high-performance servers. The server in a built-in, high-performance cluster handles client requests and sends the result of visualization to the client. Clients can receive the results in any form of images, videos, or 3D graphic model by specifying a desired time frame, effectively viewing the results with a user-friendly GUI. 태풍, 해일, 홍수, 범람 등에 관련된 자연재난 데이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시화하여 재난 · 재해 상황에서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재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적게는 수백 MB에서 많게는 수십, 수백 GB 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개인이 지닌 컴퓨터로는 처리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시스템을 제공하여 고성능 서버에서 가시화 결과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서는 결과를 받아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되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내장된 고성능 클러스터로 렌더링된 결과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기간을 지정하여 가시화된 결과를 이미지, 동영상, 3D 그래픽 모델 중 원하는 형태로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친화적인 GUI와 효과적으로 가시화 결과를 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PS 유화중합

        김종용,조성모,이대수 한국공업화학회 2002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2 No.0

        유화중합은 물의 사용, 높은 분자량 및 좁은 분자량 분포, 높은 수율을 가지는 등의 많은 장점으로 인해 고분자 합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화중합시 사용되는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는 중합후 이를 제거해야 하는 추가공정이 필요하며 잔류 계면활성제는 최종 고분자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분자량 계면활성제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고분자의 물성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소수성 블록에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고분자량의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여 PS(polystyrene) 유화중합에 응용하였다. HTPB(hydroxyl terminated polybutadiene)와 TDI(toluene diisocyanate)의 반응을 통하여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소수성 블록을 제조한 후 사슬말단에 친수성 블록인 PEG(polyethylene glycol)를 결합시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PAA(poly(acrylic acid))를 결합시켜 중화시킨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각각 합성하였다. 유화중합은 일정한 양의 스티렌(styrene) 단량체, 반응성 계면활성제, 개시제, 사슬이동제,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열분석,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측정, 입도분석, 모폴로지(morphology) 및 분자량 측정을 통하여 물성을 조사하였다.

      • KCI등재

        불교와 진화생물학적 인간 해석에 대한 비교분석

        김종용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진화생물학적 ‘유전자 결정론’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회의를 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불교에도 무아사상(無我思想)을 말하며 존재에 대한 부정을 말하고 있는데, 이러한 두 이론의 사고(思考)는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적 사고로 빠질 수 있는 이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회의주의적 시선을 잠재우기 위해 불교에선 불성(佛性)을, 그리 고 진화생물학을 대두시킨 도킨스는 밈(Meme)을 내세운다. 불교에서 말 하는 불성의 상징은 무명(無明)을 벗은 ‘깨달은 자’이다. 이러한 각자(覺 者)는 세상 만물이 항상 함이 없고[無常] 서로 연기(緣起)되어 있음을 알 아 아상(我相)에 대한 분별심이 없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아상을 부정하 고 진아를 깨달음으로써 이고득라(離苦得樂)을 삶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도킨스가 주장하는 ‘밈(Meme)’, 즉 문화적 유전이 우리를 진보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킨스의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적 시선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일단 진화생물학은 시종일관 인간을 다른 자연 만물과 동일한 위치에서 해석하다 다소 급하게 ‘밈’이라는 개념을 도입하 면서 인간의 주체와 자율성을 회복하고자 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 역설에 가깝다. 이러한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결국 진화생물학적으로 본질적 인간 존재는 DNA의 운반체이고, 우리의 모든 욕구와 의지가 DNA의 맹목적 생존과 결부되어 있다면 인간의 주체성과 자율성은 확보될 수 없는 것으 로 보이며, 이에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의 대안으로는 한계가 있는 이론 이라 하겠다. 위와 같은 비교연구는, 불교의 입장에선 다소 초월적으로 여겨졌던 무아사 상을 진화생물학적 근거를 빌려 방편적으로 설명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진화 생물학적으로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함정, 즉 주체성과 자율성의 확보문제를 불교적 교리가 그 대안이 된다는 점에서 불교와 진화생물학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If we look at humans in evolutionary biology, it is not easy to secure a subjective and autonomous human form. Evolutionary biology interprets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 determinism,” interpreting human will as beings that are bound to act in favor of the blind survival of DNA. This evolutionary biological interpretation has sufficient logic to lead our attitude toward existence and life to nihilism or skepticism. Similarly, Buddhism denies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ly thought of “I”. The logic of Wu-Wo[無我] in Buddhism is materialistically explained as Wu-Chang[無常] and Yuan-Qi[緣起], and spiritually, Shi-Er-Chu[十二處] and Wu- Yun[五蘊] explains Wu-Wo[無我] and dismantles the existence of 'I'. In this respect, both theories have a theoretical similarity in that the primitive "I" used by mankind is not a substance. However, the ideas of these two theories may be considered skeptical thinking. In order to calm these skeptical gazes, Buddhism suggests Fu-Xing [佛性], and Dawkins, who brought up evolutionary biology, suggests ‘Meme’. Here, the directions of the two theories are completely different. The symbol of Fu-Xing[佛性] in Buddhism is the “enlightened one” free from Wu-Ming[無明]. These enlightened ones know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not eternal, but are related to each other. Those who realize this do not make absolute judgments on everything. It doesn't cause an obsession with something. These enlightened ones are those who do not get stuck in everything and are not psychologically disturbed. The enlightened person here has a cosmic meaning. The meme that Dawkins claims is that culture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certain thoughts or beliefs, and that culture can advance us. In other words, we have an intrinsic selfish gene, but by cultural cloning and progression of memes, we can move forward to a better self and society. However, the reductionist gaze of Dawkins' evolutionary biology seems somewhat unreasonable. First, evolutionary biology continues to interpret humans as being identical to animals. However,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meme’ somewhat urgently, they are trying to recover the human subject and autonomy. This is actually a paradox. Even if these problems are traced, it seems that human existence is a carrier of DNA in evolutionary biology, and human subjectivity and autonomy cannot be secured if all our desires and wills are linked to the blind survival of DNA. Nevertheless, it seems to be a very clear and rational theory to explain the origin of human existence in evolutionary biology or to explain where human needs originated. If you look at it in Buddhism, it will be a very interesting part in that the selfless though,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central idea of Buddhism for a long time, is explained to some extent scientifically.

      • KCI등재

        실감형 가상현실 실전훈련 콘텐츠를 위한 관리 평가 시스템 개발 사례연구

        김종용,박동근,이필연,조준영,윤승현,박상훈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0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6 No.3

        Realistic training contents utilizing intensive immersion of virtual reality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education, and medical care. High-risk, high-cost education training, in particular, is difficult to conduct in reality, but it can be applied with the latest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at enhances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efficiently and safely experiencing it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reality. This study introduces a management system that systematically manages realistic virtual training contents and visualizes training results in schematic pictures based on defined evaluation elements. The management system can store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ent in the database and manage the training records of each trainee in a practical way. In addition, a content-based scenario can be created in multiple scenarios by setting training goals, number of participants, and methods for applying evaluation elem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management system’s production method and the results based on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content as an application example. 가상현실의 높은 몰입감을 활용한 실감형 훈련 콘텐츠가 산업,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현실에서실시하기 힘든 고위험, 고비용이 발생하는 교육훈련을 최신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현실과 비슷한 환경에서 효율적이고안전하게 체험하여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실감형 가상훈련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의된 평가요소를기반으로 훈련 결과를 도식화된 그림으로 가시화하는 관리 시스템을 소개한다.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에서 생성되는 정보를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각 훈련생의 훈련 기록을 실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기반 시나리오 생성 방법으로훈련 목표, 참여인원, 평가요소 등을 설정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시나리오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관리 시스템의제작 방법과 그 결과를 적용 사례인 가상현실 훈련 콘텐츠 기반으로 설명한다.

      • KCI등재

        현대 윤리학 관점에서 본 禪과 자비 - 현대 ‘德’ 윤리 중심으로 -

        김종용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89 No.-

        본 논문은 근대 윤리학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현대 윤리학에서 대두되고 있는 덕 윤리(virtue ethics) 대한 선불교(禪佛敎)적 접근이다. 서양은 세계대전 이후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근대적 윤리관에서 한계를 발견했으며, 그러한 한계를 고대 서양철학의 회기 즉,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22)의 윤리 철학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는 시도가 마이클 센델(Michael Sandel)과 매킨타이어(A.MacIntyre)를 중심으로 많이 연구되고, 또 주장되고 있다. 이러한 덕 윤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현대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대 덕 윤리는 인간의 내면적 윤리성에 대한 긍정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러한 인간의 내면적 윤리 함량을 증진시켜줄 구체적인 방법론으로써 단지, 습관과 주지주의(intellectualism,主知主義)적 관점만을 제시하고 있다. 때문에 논자는 위와 같은 방법론이 다소 거시적이고 개념적이라는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위에서 언급한 현대적 덕 윤리의 덕 함량에 대한 방법론의 간극을 선불교로 말미암는 자비와 그 실천에서 그 해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Zen(禪) Buddhist approach to virtue ethics emerging in contemporary ethics to solv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modern ethics. The West has found its limitations in modern ethics that they had developed after World War II. An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by such scholars as Michael Sandel and A. MacIntyre, in order to find alternative solutions in the ethics philosophy of Aristoteles(384-322) from the period of ancient Western philosophy. Especially, contem- porary virtue ethics are seeking solutions by accepting Aristotle's virtue ethics through a modern interpretation. These modern virtue ethics originate from positive affirmations of human internal ethics. However, as a specific methodology to promote such human internal ethics, they only suggest habits and intellectualism. So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Aristotle's methodology is somewhat abstract and conceptual. In this paper, this article seeks to find an alternative answer to the lack of methodology in the virtue promotion of modern virtue ethics by the pratice of mercy originated from Zen(禪)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