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시용 카메라 영상에서의 배경 특성을 사용한 그림자 제거

        김정대(Jeongdae Kim),도용태(Yongtae Do)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9 No.3

        In the image processing for VS (Video Surveillance), the detection of moving entities in a monitored scene is an important step. A background subtraction technique has been widely employed to find the moving entities. However, the extracted foreground regions often include not only real entities but also their cast shadows, and this can cause errors in following image processing steps, such as tracking, recognition, and analysis. In this paper, a novel technique is proposed to determine the shadow pixels of moving objects in the foreground image of a VS camera. Compared to existing techniques where the same decision criteria are applied to all moving pixels, the proposed technique determines shadow pixels using local features based on two facts: First, the amount of pixel intensity drop due to a shadow depends on the intensity level of background. Seco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pixel intensities remains even if a shadow is cast.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tested at various situation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nd moving humans in different colors.

      • 스마트 물관리 기술의 개발과 적용 -전북 동진지구 중심으로-

        김정대 ( Jeongdae Kim ),문성근 ( Sungkeun Moon ),김진택 ( Jintaek Kim ),이용직 ( Yong-jig Lee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스마트 물관리란 기존시설에 지능형센서를 비롯한 정보통신기술(ICT)과 수자원 분석기술을 접목하여 물이용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물관리이다. 한국농어촌공사를 비롯한 국내기관에서는 농어촌용수 이용합리화 계획 및 농업용수관리자동화 개선방안 등으로 현장 물관리 실용화 기술개발과 물관리 전문화를 위하여 신규개발 기술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수자원 관리 전문화를 위하여 스마트 물관리의 시범적용을 실시하고 실용화 촉진 및 물관리 교육·훈련을 위한 시범지구 구축 및 운영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시범지구를 선정하여 현장모니터링 시설을 설치하고,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구축된 시스템을 운영하여 확대보급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물관리 시범지구는 대상지구의 특성, 수리시설 및 관련 물관리 시스템 그리고 관할지사의 수리관행 등을 고려하여 전북 동진지구로 선정하였다. 현장관측시설은 136지점(저수지, 양·배수장, 배수갑문, 용수로 등)에 설치 운영 중에 있다. 수위계는 CDMA와 USN 형식으로 설치되었다. 강우영상계는 USN(Zigbee)형식이며, 유량계는 ADCP형식이며 Side looking 방식을 갖고 있다. 정보서비스 시스템은 초기화면, 용수현황, 관측자료, 용수분석, 경보상황, SCADA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폰의 일반화에 맞춰 모바일 버전의 시스템도 구축되었다. 농촌용수의 효율적인 이용과 물관리를 위하여 대상지구의 용수계통별 최적 용수공급량 산정 및 운영 모듈을 개발하고, 기존 관측 자료와 정보 공유 및 업무 연계를 추진할 수 있는 통합 모듈을 개발함으로써 과학적인 농촌용수 물관리 실현과 농업인에 대한 선진 용수 서비스 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은 미래지향적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전문화된 물관리 시스템으로서 기존 시설의 이용을 극대화하고 효율적인 물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시범사업으로 진행되어 효과가 증명되고 있다.

      • 웹기반 농업용수 정보시스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만다라트(Mandal-Art)기법 적용방안 연구

        김솔희 ( Solhee Kim ),신바울 ( Paul Shin ),김찬우 ( Chanwoo Kim ),정찬훈 ( Chanhoon Jung ),김정대 ( Jeongdae Kim ),박진선 ( Jinseon Park ),서교 ( Kyo Suh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ystem evaluation has increased according to ICT development and this evaluation is required for objective verif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web-based information system and verify the availability of these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applying to agricultural water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finds and provides eight evaluation items and 64 indicators for a web-based information systems using 3×3 Mandal-Art matrix which is a tool for creating creative ideas. These evaluation items are design, contents, navigation, stability, community, convenience, usefulness, and accuracy. We presented total 64 evaluation indicators by deriving 8 evaluation items for each using 9×9 Mandal-Art matrix. When evaluating information systems using evaluation indicators, we can identify vulnerable items in the information system. Also, we can understand intuitively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information systems when appearing a single score after weighting. In addition, it can also help to prepare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systematically.

      • 시군관리 저수지의 물관리 정보화를 위한 시스템 분석

        김대식 ( Daesik Kim ),김진택 ( Jintaek Kim ),김정대 ( Jeongdae Kim ),구희동,임혜지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한국농어촌공사가 사용하고 있는 물관리 관련 정보시스템은 RIMS, RAWRIS 등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농어촌공사 외부 시스템들도 수자원공사의 WAMIS 등과 같이 다양한 부처에서 각각의 시스템들로 운영되고 있다. 시군관리 소규모 저수지는 전체적으로 수자원의 비율은 12% 정도에 이르지만, 14,200개에 이르는 전국적인 분포와 대부분 소유역의 주요 위치에 입지하고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농업용 수자원의 관리와 수자원의 추가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물관리 측면에서 한국농어촌공사와 시군관리 저수지를 통합한 정보화가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시군관리 저수지를 포함한 물관리통합정보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둘째, 시군관리 저수지의 정보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물관리통합정보시스템의 구성 체계를 설계하고 개념과 해결과제를 6단계의 모듈로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물관리통합정보시스템 6단계 모듈은 ① 지능형통합정보시스템 구성요소설계, ② 기존 시스템 활용 내용 도출, ③ 신규개발 요소 설계, ④ 지능형 시군저수지 정보시스템 설계, ⑤ 시군 위험저수지 지정 및 정보화 방안, ⑥ 기존시스템 연결 자료/정보공유 체계 및 제도 마련 등이다. 둘째, 시군관리 저수지의 정보화를 위한 개선방안도 저수지 현장에서 중앙 정보시스템에 이르는 6단계의 오브젝트로 구분하여 현재실태를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시군관리 저수지 정보화 6단계 오브젝트는 ① 저수지(유역, 시설, 수위내용적곡선, 몽리구역), ② 저수지 현장관리조직, ③ 지자체 행정조직, ④ 중앙조직, ⑤ 정보전달네트워크, ⑥ 통합정보시스템 등이다. 시군관리저수지는 시설관리와 물관리측면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예산문제로 지자체에서 최소한의 예산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충분한 예산확보를 통하여 시설관리 및 이치수 측면의 물관리를 통합한 정보시스템과 전문기관에서 관리할 수 있는 조직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만다라트(Mandal-Art) 기법을 이용한 웹기반 농업용수 정보시스템 평가지표 개발

        김솔희,김찬우,정찬훈,박진선,김정대,서교,Kim, Solhee,Kim, Chanwoo,Jung, Chanhoon,Park, Jinseon,Kim, Jeongdae,Suh, Kyo 한국농촌계획학회 2017 농촌계획 Vol.23 No.4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ystem evaluation has increased according to ICT development and this evaluation is required for objective verif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web-based information system and verify the availability of these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applying to agricultural water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finds and provides eight evaluation items and 64 indicators for a web-based information system using $3{\times}3$ Mandal-Art matrix that is a tool for creating creative ideas. These evaluation items are design, contents, navigation, stability, community, convenience, usefulness, and accuracy. Total 64 evaluation indicators were presented by deriving eight evaluation items for each using $9{\times}9$ Mandal-Art matrix. When evaluating information system using evaluation indicators, it can be identified the vulnerable items in the information system. Also,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information system could be understood when appearing a single score after weighting. In addition, it can also help to prepare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systematically.

      • 빅데이터를 활용한 침수피해대응 농업수자원 정보 관리 방안

        남원호 ( Won-ho Nam ),김정대 ( Jeongdae Kim ),강석만 ( Seokman Kang ),김태곤 ( Taegon Kim ),김한중 ( Hanjo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대한 필요가 대두되면서 수자원 정보의 수집, 관리 및 제공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수자원 관련 정보시스템으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WAMIS), 물관리정보유통시스템 (WINS),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RIMGIS),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RAWRIS), 농어촌지하수넷 등 수자원 관련 정보시스템을 통해 데이터의 수집·저장, 분석과 처리, 재생산 및 공공데이터의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정보의 적극적인 개방과 공유가 확대되면서 수자원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의 양은 다양해지고, IT 환경의 변화에 따른 자료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의 개선으로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를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는 빅데이터 (Big data)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침수피해대응 농업수자원 정보 관리 방안으로 다양한 농업수자원 관련 실시간 센서의 계측 정보, 소셜 네트워크정보 등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에 대하여, 국내외 수집, 통합, 분석 기술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침수피해와 관련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침수피해 확률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비전문가가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며,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표시하고,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 가시화 기술로써 침수피해지도 및 트윗지도, 위치기반 재해예보지도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SWAT모형과 CMIP5 자료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기후변화 영향 평가

        조재필,황세운,고광돈,김광용,김정대,Cho, Jaepil,Hwang, Syewoon,Go, Gwangdon,Kim, Kwang-Young,Kim, Jeongdae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5

        The study aimed to project inflows and demmands for the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s in South Korea considering a varie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uncertainty of future climate information. The study bias-corrected and spatially downscaled retrospective daily Global Climate Model (GCM) outputs under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4.5 and 8.5 emission scenarios using non-parametric quantile mapping method to forc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Using the historical simulation, the skills of un-calibrated SWAT model (without calibration process) was evaluated for 5 reservoir watersheds (selected as well-monitored representatives). The study then,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9 GCMs in reproducing historical upstream inflow and irrigation demand at the five representative reservoirs. Finally future inflows and demands for 58 watersheds were projected using 9 GCMs projections under the two RCP scenarios. We demonstrated that (1) un-calibrated SWAT model is likely applicable to agricultural watershed, (2) the uncertainty of future climate information from different GCMs is significant, (3) multi-model ensemble (MME) shows comparatively resonable skills in reproducing water balances over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projection under the RCP 4.5 and RCP 8.5 scenario generally showed the increase of inflow by 9.4% and 10.8% and demand by 1.4% and 1.7%, respectively. More importantly, the results for different seasons and reservoirs varied considerably in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 (20)

        박경래 ( Park Kyeongrae ),이기갑 ( Lee Gigap ),김정대 ( Kang Youngbong ),강영봉 ( Kim Jeongdae ) 한국방언학회 2021 방언학 Vol.- No.33

        이 글은 지금까지 소개되지 않은 방언 어휘를 새로 발굴해서 소개하는 스무번째 연재물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20)’에 소개한 어휘들은 각 지역의 장년층 이상의 토박이들이 일상생활에서 쓰이고 있는 것들이다. 여기에 새로 소개하는 방언 어휘는 충청도와 전라도, 제주도, 경상도 지역에서 수집한 열한 개다. 이 글에 소개하는 충청도 방언은 지금은 거의 사라진 전통 혼례식과 관련된 어휘 두 개이고, 전라도 방언은 역사적인 변천을 거친 가축을 직업적으로 잡는 사람, 표준어의 의미와 용법과 다른 동사 두 개 등 세 개다. 그리고 제주도 방언은 소와 관련된 어휘 세 개가 소개되었고 경상도 방언은 건물과 관련된 어휘 두 개와 벼농사와 관련된 어휘 하나 등 세 개다. 이 글에 새로 소개된 방언 어휘들은 표준어와 형태는 같지만 의미나 용법에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고,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쓰이는 어휘도 있다. 용법이나 의미는 같지만 형태만 다른 것들도 있고 어원(語源)이나 어휘 체계에 차이가 있는 예들도 있고, 사회문화적인 차이로 방언 간에 차이를 보이는 어휘들도 있다. 따라서 “새로 발굴한 방언”에서 소개하는 방언형과 표준어를 고식적으로 대응시키는 일은 삼가야 된다. 또한 여기에 소개하는 어휘들은 사용지역으로 표시된 관련 지역 외에서도 형태나 의미와 용법에서 차이를 달리하여 쓰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Elev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elev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or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two new words in Chungcheong-do and three new words in Jeolla-do, Jeju-do and Kyeongsang-do dialect respectively.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All two words are related with a traditional wedding.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Gigap(Mokpo National University). Three words are related with a butcher and two verb. J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Jeju National University). Three words are related with a cow all.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