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재은(Jaeeun Kim),최정열(Jeong-Yeol Choi) 한국추진공학회 2022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5
스크램제트 비행체에 향후 개발할 초내열합금 적용과 재생냉각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복합열전달해석 솔버 개발의 일환으로, 고속비행환경의 스크램제트엔진 흡입구~격리부의 내부유동을 전산해석 하였다. 2차원 압축성 RANS 지배방정식에 k-ω SST 난류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축등온 벽면 온도를 추정하여 경계조건을 부과한 후 대류열유속과 온도분포를 도출하고 검토하였다. 전산해석 결과 재생냉각을 가정한 경사면 위의 박리기포에서 가장 높은 열전달계수와 열유속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a CHT solver for the application of super-alloy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o the scramjet vehicle and for use in the regenerative cooling system, a computational analysis of the internal flow of the scramjet engine inlet and isolation part in a high-speed flight environment was performed. The k-ω SST turbulence model was used in the two-dimensional compressible RANS governing equation, and the convective heat flux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ere computed and reviewed after boundary conditions were imposed by estimating the axial constant wall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computational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highest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heat flux in the separation bubble on the ramp, assuming regenerative cooling.
경관생태학과 인문학 그리고 연구방법으로서의 지리정보시스템 활용
김재은(KIM Jaeeun),홍선기(Hong Sunkee)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島嶼文化 Vol.0 No.35
복잡한 제반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생태학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었다. 이를 계기로 보다 자연 환경 뿐만 아니고 인간에 의한 보다 복잡하고 새로운 형태의 문제 해결을 위해 경관생태학이 새롭게 대두되었다. 경관생태학은 자연 환경에 나타나는 제 현상들 뿐이 아니고 그 안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오랫동안 관계를 맺어온 인간 활동에도 크게 관심을 두고 연구한다. 특히, 자연환경과 인간문화가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으며 경관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또 과거의 토지 이용 등을 유추하고 현재의 변화를 보며 미래의 경관변화를 유추하는 것은 경관생태학의 큰 연구주제이다. 이렇듯 인간 활동에 의해 나타나는 경관변화 연구가 중요시됨에 따라 인문학에 대한 이해와 공동연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경관변화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해서 과거와 현재를 통해 미래를 잇는 시ㆍ공간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은 공간의 시ㆍ공간적 연구를 진행하면서 인문학적 자료의 필요성과 다양한 분석 방법이 현재 제시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경관생태학적 연구와 인문학적 연구의 연결은 학문의 발전뿐 아니라 현실적인 인류가 접하고 있는 제반 환경문제의 이해와 해결에 보다 한걸음 다가갈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이다. Importance of ecology is emerging issue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To solve more complicated problems caused by human impact as well as natural environment in the world, landscape ecology is supporting to powerful tools. Landscape ecology is focusing on not only human society influencing on man-nature relationships but also multi-functionality between cause and consequence of natural environments. How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culture systems are working together, how they are influencing to landscape change, and how we can estimate landscape dynamics in future; they are very important issue in landscape ecology. Such research on landscape change of human system is need to underst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very useful tool to link spatial categories betwee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and those data is significantly helpful to explore the landscape chang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developing to examine the diverse spatial analysis functioning and manipulating humanities data, socio-economic data and ecological data. In recent, landscape ecology is strongly depend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n this cooperation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c alternatives to link the gap between environmental conflict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well as academic development such as disciplinary research.
김재은(Kim, Jaeeun)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3 島嶼文化 Vol.0 No.41
근래 동아시아에서 섬과 바다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일본과 중국 등 주변국들과의 해양영토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면서부터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따라서 일본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섬과 해양 정책 등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섬, 특히 갯벌섬과 해양정책의 올바른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동아시아의 일본은 자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확장을 위한 노력이 주변 국가들의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이것은 자국의 해양영토를 확보하여 해양자원 개발과 같은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중국도 이러한 차원에서 국가 조직을 정비하고 새로운 해양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를 이미 시작하고 있다. 섬과 해양관련 정책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과 영국도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환경 변화의 관점에서 초점을 두고 섬과 해양관련 정책을 위한 국가조직을 정비하고 많은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새정부가 들어서면서 기능이 국토해양부와 농수산식품부 등 여러 부처로 나누어졌던 것을 효율적인 국가조직 정비를 위해 다시 해양수산부가 재조직 되었다. 지난 5년간 섬과 해양 관련 정책은 효율적이지 못하고 여러 부처로 흩어져 있던 것을 이제 새롭게 통합하고 조절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섬의 경우는 섬에 사는 사람들이 해양영토의 지킴이로서의 역할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인문학적 접근을 통한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갯벌이 발달된 갯벌섬의 관리는 그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가나 지자체 차원의 효과적이고 올바른 섬과 해양 개발을 위해서는 그 지역이 속한 자연환경 특성을 고려한 인문환경의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제부터라도 국가 영토로서의 섬과 해양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뿐 아니라 더 늦기 전에 집중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연구와 투자를 통해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interest of East Asian countries on the island and the sea is rising. This surround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is becoming obviously clear about marine territory. Therefore, island and marine policy in East Asia, such as China and Japan discussed and Korean policy of island and marine also discussed for sustainable way. Japanese government have been try to extend EEZ(Exclusive Economic Zone) that faced the objection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Korea and China. It thinks that extended EEZ is bring to more economical benefit from maritime natural resources. It looks like a new maritime paradigm. In addition, China also already started to get natural resource from maritime. The Chinese government was made a new 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new maritime paradi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