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 한자교육의 실태와 평생교육적 의미

        김은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know that the effectiv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as not accomplished because of the valueless discussion on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the use Hangeul together with Chinese characters for the half a century of the past. A language and a character is different things. The language has the strong racial characteristics. But the character can be borrowed without limit.The Chinese characters are not the character for only china today. The Chinese characters are character to have been used through several countries and peoples of the Oriental culture circle from old times. The Chinese characters are character to have history and tradition tha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ur language life and character life before King Sejong made Hangeul. We will do good language life and character life when Hangeul, phonetic is harmonious with Chinese characters,ideogram. Currently Chinese characters are taugh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inly through private eduction because public education has not yet systemized. To clarify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level and look for ways of its impro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comparative analyses of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education.In a related survey, it was found that 71.8%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receive or have receive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roblems with the curren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level and their improvement way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Problems Related to Education System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formal curriculum. And teachers who specialized in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employed and then trained in a systematic way. The specialization are needed to become higher since students think of teachers' instruction as the most important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2) Problem Related to Education Contents Perception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o implement it properly. For the improvement, the prejudices to such education should be modified.And the difference between text materials for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hemselves and for cultivating morality through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students and parents. In addition, those materials should be integrated in harmony To mak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ystematic,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objective of the education which are consistent with real deman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ext material for the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with appropriate standards of selecting Chinese characters. A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should be developed In conclusi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should beimplemented in a systematic plan since students and their parents face the education first at the education level.

      • 지역언론 보도의 지역이기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수도권정비계획법 완화를 둘러싼 갈등보도분석을 중심으로

        김은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언론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른바 제 4부라고 할 정도로 한 사회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게 언론의 현실적 위상이다. 더욱이 지방분권화가 이뤄진 민주사회에서는 중앙언론 못지 않게 지역언론의 역할 또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지역언론은 권위주의 언론풍토에서 지금까지 여러 차례 정비와 통폐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정치적, 제도적 통제와 내적 미성숙을 겪어야 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편향에 따른 광고원과 뉴스원은 중앙에 집중되어 있고 지역독자들의 중앙지 지향성으로 인해 중앙언론과 경쟁을 해야하는 이중적 경쟁구도에 놓여있다. 이러한 언론상황은 지역언론의 존립 자체를 위협해 왔고, 그러다 보니 지역 언론들은 살아남기 수단으로 자기중심적 뉴스 선별과정을 통해 사안을 설정하고 정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욱이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지역언론의 역할 또한 증대되었지만, 그 역할은 오히려 극도의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 성향을 나타내는 편협성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가 단일 민족국가임에도 지역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지역 주민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원활하게 해결하고, 사회 통합자적 입장에 있어야 할 지역언론이 저널리즘의 공익적 차원보다는 시장논리가 더 강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완화 문제를 둘러싸고 수도권과 비 수도권 지역언론간의 보도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언론 보도가 지역감정 유발 및 지역 이기주의성에 어떠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개관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언론학적 관점에서 지역언론 보도의 지역 이기주의 보도성향의 문제점을 접근, 지역언론의 현주소를 알아보는 동시에 언론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언론 보도에 있어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형태는 어떠한가? 둘째 지역언론의 지역 이기주의 보도가 지역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지역언론의 지역 이기주의 보도가 갖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은 어떠한가? 넷째 지역언론 보도의 공정성과 지역성이 갖는 갈등은 어떠한가? 다섯째 지역 언론 보도의 공정성과 지역성 조화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인일보, 강원일보, 중앙일보 등 3개 신문 보도의 지역이기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사의 직접 분석을 주된 분석 틀로 삼았다. 수집된 기사는 내용분석 기법을 이용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기호학적 방법을 이용한 질적 분석을 통해 보도된 기사가 지역 이기주의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져왔는지를 따져보고 그 결과의 검증을 통해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성향을 추론해 내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에 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언론들의 보도는 지역갈등 상황에서 민주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보다는 자기지역의 주장이 옳고, 그 방향으로 정책변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으로 일관하는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태도를 견지하였다. 여기서 경인일보와 강원일보는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서로간의 최대 공약수를 이끌어 내려는 노력보다는 지역 이기주의에 편승해 뉴스의 가치를 편파적으로 선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이런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태도는 지역간 갈등을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래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대처 자세를 촉구하고 중앙정부에는 법개정에 있어 지역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그러나 지역주민들은 이런 보도태도에 대해 직접적인 관여를 한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지역언론의 지역 이기주의 보도는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강하였다. 수도권정비계획법 완화문제와 관련해 경인일보는 국가발전과 경쟁력 차원에서 법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편 반면에 강원일보는 지역경제 타격을 내세워 법을 오히려 강화해야 한다는 논지를 폄으로써 갈등을 증폭시킬 뿐 갈등해소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넷째 지역언론들도 지역성과 공정성에서의 갈등적 고민은 있었다. 그러나 언론자유화가 이뤄지면서 지역언론 수가 크게 늘고 중앙언론의 지역언론시장의 잠식이 심화되면서 지역성에 더욱 치우치고 있음을 드러냈다. 다시 말해 열악한 지역언론 환경과 지역 주민의 갈등 지향적인 이기주의성이 맞물려서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태도를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경인일보와 강원일보는 공정성에 있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기사 작성보다는 주관적인 기사에 치중하면서 지역이기주의적 보도에 비중을 두었고, 지역성에 있어서도 두 신문 모두 상대지역의 입장은 전혀 기술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자기 지역입장에서 보도한 것이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또 보도의 균형성과 심층성에 있어서도 지역신문은 대안제시나 원인규명, 쟁점보도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심층성이 부족한 단순기술에 비중을 두면서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성향을 보였다. 현안사안인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공장총량제, 외자유치 등과 관련해서는 경인일보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들어 일방적으로 법 완화를 주장하였고, 강원일보는 지역경제 붕괴 우려와 수도권 난개발 우려 등을 내세워 관련법을 강화해야 한다는 상반된 입장을 견지하였다. 중앙일보는 대체적으로 양 지역의 입장을 함께 보도하면서 수도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요구와 함께 지방발전을 병행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는 양비론적인 입장의 보도성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지역 언론이 지역간 갈등을 보도함에 있어 사회적 공기차원에서 갈등 해결자, 지역사회 통합자의 역할을 수행하기보다는 갈등을 조장하고, 지역감정에 편승하는 지역 이기주의적 보도태도에 집착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지역 이기주의적 현상이 점점 확산되어 가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감안할 때 지역언론이 보다 진지하고 대의적인 측면에서 기사를 다뤄야 함은 물론 향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보도태도의 모델 연구가 과제로 남아있다는 판단이다. In our modern society, the role of the journalism expands wider and wider. The reality is that the journalism is positioned as much important as can be called "the Fourth Government ". On the other hand, as the government has been decentralized more and more in this democratic society, the roles of the local journalism become as much important as the central counterparts. Nevertheless, our local journals were subject to several rounds of "revamping" or "M & A", manipulated by the authoritarian governments and therefore controlled by the political power and its system, and therefore, people criticize that they have not been mature enough to play their roles smoothly. Although the local autonomy system began to be operated on a full scale, giving opportunities to the local journals to expand their roles, there is a long way towards their competition with the central journalism. Today, even if our society is homogeneous with the single race and culture, we suffer from the ever-serious regional antagonism.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local journals who are given credit to help solve the various inter-regional problems and integrate our society tend to rely on the market logic more.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ttitudes or coverages of the capital area journals and local ones regarding the conflicts involving the revision of Capital Area Redevelopment Code and thereby,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journals' coverages and inter-local antagonism.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local-egoistic coverage of the local journals from a viewpoint of journalism and thereby, suggest the solutions to develop the local journalism. For this study, three newspapers were sampled to analyze their coverages related to local egoism, in not only a quantitative but also qualitative way u sing the semantic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were verified to infer the local egoism therefrom.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how much egoistic are the coverage of local journals?; second, how much does the egoistic coverage of local journals affect the inter-regional conflicts?; third, what ar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egoistic local journalism, and what are its negative aspects?; fourth, how does the fair coverage principle of the journalism conflict with the localism?; fifth, how can the fair coverage principle be in harmony with the local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r local journals has continued to cover the inter-regional conflicts biased towards their local favoritism rather than explore some democratic solutions to the inter-regional problems; they tend to insist that their positions are right and therefore, that the national policies should be designed in favor of their position; Kyeong-In Daily and Kangwon Daily take advantages of the local egoism to cover the issues sensationally rather than find a common denominator through fair news service and dialogue/compromise. Second, such a local egoism of news coverage serve to deepen the inter-regional conflicts. The local journals urge their provincial governments to react positively to the issue and requested the central government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ested regions when it moves to revise the code. However, there could be find no evidence that there had been opinion polling for such coverages. Third, the egoistic local journalism has more negative aspects than positive ones. When the central government moved to decontrol the capital area development, Kyeong-In Daily supported the movement on the pretext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while Kangwon Daily opposed it and rather insisted that the code should be revised to be more controlling. The result is not resolution but deepening of the inter-regional conflicts. Fourth, the local journals seem to have once or more agonized between localism and fair journalism. However, as the local journalism became more decontrolled and the number of local journals increased with their arena more encroached upon by the central journals, they tended to be more biased towards their localism. In other words, our local journals cannot afford to abandon their local egoism due to the poor environment of local journalism and local people's 'NIMBY' tendency. In conclusion, although the degree of fairness differ slightly between Kyeong-In Daily and Kangwon Daily, both of them are more subjective and egoistic in handling the p ending issue rather than cover it in a more reasonable and objective way. After all, it was foun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qualitative approach that both newspapers did not introduce the other's position to their readers and instead, cover the issue from their own viewpoint.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balanced and critical coverage, the two local newsp apers did little suggest alternatives by reviewing the causes or examining the bone of disputes and instead, focused on the simple news and emotional comments. Regarding the pending issue or "capital area redevelopment code", the gross factory capacity system and inducement of foreign capital, Kyeong-In Daily requested that the code should be eased to enhance the competitive edge of the nation's indu stries, while Kangwon Daily urged the government to more control the development for the fear of collapse of local economy and reckless development of capital area. In contrast, the central journal Joong Ang Daily covered the two opposing positions, while suggesting a compromising solution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egional preservation. All in all,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our local journals insist on their egoistic positions of localism rather than play a role of agents of conflict solution and social solidarity, when they cover any inter-regional conflicts.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such an egoism spreading throughout our society, it is deemed necessary to determine the true picture of our society and address the problems and their causes correctly and thereby, find their solutions.

      • 에너지시스템 모형(MARKAL)을 이용한 중장기 지역 전력수급계획에 관한 연구

        김은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2004, the environment of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has been changed radically. Internally, the government made the decision to suspend the opening of the wholesale electricity market and the separation of distribution & retail sector from KEPCO. In the external, the uncertainty to secure the energy balance in Korea had increased more and more due to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and rising energy pric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the role of the 3rd Basic plan has been changed from guide-line under transitional period to a national master plan of electric power sector, reflecting the government electric policies such as regional supply & demand bal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lectric power system. In establishing the 3rd Basic Plan, the existing WASP model was used to address regional energy bal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ltering the input data and introducing the sequential process. But the result could have defectiveness due to the limitation of WASP capability to address those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modeling methodologies of regional electric power system expansion planning using MARKAL model and to find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ologies using MARKAL on planning the electric power system expansion through analyzing the real case study with real data of Korea electric power system. In addition, the thesis reviews the traditional electric power system optimization models, WASP and EGEAS. Especially, establishing the case study with real data, the study deals with the detail modelling techniques to use MARKAL on electric power system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developing the 4th Basic Plan, addressing regional plann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Especially, the resul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cenario can give us the insights on the optimal path of Korea electric power system expansion. In addition, the analyzing the electric power system using MARKAL with the methodologies can be useful in determining or developing the national energy policy.

      • Effect of 3D lithiophilic current collector for anode-free Li ion batteries : 음극이 없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위한 3D 리튬 친화성 전류수집기의 효과

        김은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극이 없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실현은 음극 측의 불균일한 리튬 증착 형성으로 인한 낮은 쿨롱 효율로 인해 제한적입니다. 리튬의 균일한 증착을 위해 에테르 기반 전해질을 사용하여 Au가 증착된 3차원 (3D) 음극 전류수집기를 사용합니다. 설계된 음극 전류 수집기에서 6mV로 수렴한 리튬의 초기 증착 동안 과전위가 발생하고 100 사이클에 걸쳐 99%의 높은 쿨롱 효율로 안정적인 사이클링이 달성됩니다. 또한, 2차원 구리 전류 수집기 (LFP/2D-Cu)와 비교할 때, Au이 사전 증착된 3D 음극 전류 수집기가 있는 배터리에서 더 나은 전기 화학적 성능과 긴 수명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전기화학적 성능의 향상은 Au 및 3D 구조의 전착을 통한 국부 전류 밀도 감소로 인한 리튬 석출의 조절 및 전해질 분해의 억제에 기인합니다. 이 연구는 음극이 없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실현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합니다. The realization of anode-free lithium metal batteries (AFMBs) is limited owing to low Coulombic efficiency derived from the formation of uneven lithium plating at the anode side. Here, we induce the uniform deposition of lithium by an Au predeposited three-dimensional (3D) anodic current collector with an ether-based electrolyte. At the modified anodic current collector, the over-potential generate during the initial deposition of lithium converged to 6 mV, and stable cycling are achieved with an extremely high Coulombic efficiency of 99% over 100 cycles. Furthermore, when compared to two-dimensional (2D) bare copper foil (LiFePO4/2D Cu), AFMBs using LiFePO4 cathode with Au predeposited 3D anodic current collector (LiFePO4/Au-3D Cu) show better rate performance and longer cycle life. This improvement i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is derived from the regulation of lithium deposition and inhibition of electrolyte decomposition due to the local current density through the predeposition of Au and 3D structure. This study provides a new path to realizing AFMBs.

      • 도시, 산단, 그리고 농촌 주거용 건물의 층고별 초미세먼지 (PM2.5) 농도 차이

        김은환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국가 공기질 측정소의 위치는 지표면인 반면, 국내 일반인의 거주형태는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을 포함하고 있어, 노출평가의 측면에서는 고층아파트 거주자의 경우, 저층 아파트 거주자와 비교했을 때, 지표면에 기반한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실제 노출농도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 층높이별 수직 높이에 따른 초미세먼지 데이터는 미국이나 홍콩 등에서 측정을 진행한 사례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층높이별 초미세먼지 농도 차이 관련 데이터가 여전히 부족함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봄철 (2022년 4월20일~5월3일), 여름철 (2022년 6월23일~7월6일) 2주간 실외 초미세먼지 측정 센서(환경부 1등급 인증 간이측정기)를 연구 참가자 아파트의 1층 외부와 수직적으로 동일한 방향의 연구 참가자 집 외부 베란다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는 도시지역으로 선정된 서울시 동대문구, 중구, 산단지역으로 선정된 안산시 단원구, 상록구, 농촌지역으로 선정된 당진시 석문면, 아산시 신창면에서 모집되었다. 선정된 측정 지점에서 동시간 측정된 초미세먼지 데이터를 1시간 간격으로 고층과 지상층을 짝지어, 농도비(고층/저층)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나아가 주중 주말과 아침 점심 저녁 시간대별(아침 7:00~9:59, 점심 10:00~12:59, 저녁 17:00~19:59) 초미세먼지 농도비(고층/지상층)를 비교 분석하였다. 봄철 여름철로 데이터를 나누어 분석 했을 때, 층높이에 따른 농도비 차이는 없었다. 도시(서울), 산단(안산), 농촌(당진, 아산)에 따른 지역별 PM2.5 농도비 또한 수직적 높이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차이가 없었고, 주중 주말과 아침 점심 저녁 시간별로 나누어 분석한 농도비 또한 차이가 없었다. 지역별 초미세먼지 농도값이 높게 나타난 순서는 산단, 도시, 농촌 순이며, 농촌은 지상층과 고층 농도비 차이가 가장 크지만, 산단의 초미세먼지 농도 수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측정 지점이 적지만, 실제 생활하는 고층과 지상층의 초미세먼지 농도를 동일 위치의 다른 높이에서 동일 시간에 실시간으로 측정을 진행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는 것에 학문적 기여가 있었다고 판단한다.

      • 국내 전력시장에서의 가스터빈(GT) 발전기 경쟁력 및 미래 전력산업 환경에서의 역할 분석

        김은환 건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Competitions between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in the electricity system are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energy systems due to the difficulty with the economic storage of electricity (synchronism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re is an equilibrium in the power market as each technology claims a certain share of the market according to the power demand patterns for different time slots and the cost composition (fixed and variable costs) of different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rather than certain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monopolizing the entire market. In South Korea, they sought after an optimal generation mix based on the planned economy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power market in 2001. After its introduction, however, the market players make decisions through the market mechanism and thus influence the choice of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and optimal generation mix (equilibrium point). That transition from the planned system to the market system happened according to a policy judgment that free competitions among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via the power marke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getting an optimal generation mix.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the degree of competition among them, and the optimal generation mix among different nations according to the economic level, geographical location, and fuel supply conditions of each country. A generation mix, however, consists of base load plants such as nuclear and coal power plants and peak load plants such as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and gas turbine (GT) in most cases. South Korea started to introduce nuclear, coal, and gas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after the first and second oil crisis where they suffered due to the focus on oil power plants, and keeps nuclear, coal and CCGT power plants at a certain level. Its competitive edge of peak load plants is lower than overseas power markets due to the high fuel costs for LNG consumption in CCGT and the lower construction costs and high load factors of base load plants (nuclear and coal). Its competitivity of peak load plants has recently grown worse due to rising international oil prices since the middle 2000s. Previous studies on competitions among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and the analysis of equilibrium points in the power market conducted an analysis with an optimization model in the planning aspec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optimal generation mixes via the market would be the same as those via planning and focused on competitions between coal power plants that were base load plant and combined cycle power plants that were peak load plants by excluding the nuclear and renewable ones that made up policy load plants. Their findings, however, have limitations in real application since there is a huge gap in economy between coal power plants and combined cycle power plants in the power market environment of South Korea,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compete in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competition in peak load plants between CCGT and GT instead of competition between base and peak load plants like in previous studies. In common overseas power markets, CCGT and GT claim certain market shares as peak load plants with the latter boasting a high utilization rate as reserve plant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introduction of GT in the market that opened in 2001 with no analysis cases of GT's economy as a peak load plant. The current power market of South Korea is run on the cost-based pool, which allows for no price spikes. Since the capacity payment criteria for compensations for missing money are set based on GT generators, the power market uses GT generators as marginal pla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ompetitive edge of GT generators as peak load plants in the domestic power market of South Korea and identify the causes of GT's failure in market entry, thus assessing the adequacy of market signals in the domestic power market. The present paper consist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d optimal generation mix theories through power planning and power markets and described the theoretical fitness of the optimal generation mix through planning and markets that were the base of the present study. Chapter 3 analyzed the competitive environment among power plants including the generation costs, load patterns, and market prices of the domestic power market and traced the progress of market entry for each power generation technology since the creation of the market in 2001. Chapter 4 estimated the generation costs (fixed costs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and efficiency of GT based on CCGT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GT generators with screening analysis, a static analysis technique. Chapter 5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GT generators with the WASP-IV model, a dynamic analysis technique,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its failure in entering the power market, thus evaluating the adequacy of signals in the power market. Chapter 6 predicted the competitiveness of GT generators in the future power system environment such as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and fuel tax reform. Finally, Chapter 7 summed up the findings, sorted out the conclusion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rket systems for the future power system environment. 전력시스템에서 발전기술간 경쟁은 경제적인 저장이 어려운 전력의 특성(생산과 소비의 동시성)으로 인해 다른 에너지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특정 발전기술이 전체시장을 독점하기 보다는 시간대별 전력수요 패턴 및 발전기술간 비용구성(고정비, 변동비) 차이에 따라 각 기술이 일정수준의 시장을 점유하는 균형상태를 이룬다. 국내의 경우 2001년 전력시장 도입 이전에는 계획경제에 기반 한 최적전원구성 달성을 추구하였으나, 시장 도입 이후로는 발전기술간 선택 및 최적전원구성(균형점)이 시장메커니즘을 통한 시장참여자의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계획체제에서 시장체제로의 이러한 전환은 전력시장을 통한 발전기술간 자유로운 경쟁이 최적전원구성 달성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정책적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가별 발전기술의 종류, 발전기술간 경쟁정도 및 최적전원구성은 각 국가별 경제수준, 지리적 위치 및 연료수급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원구성은 일반적으로 원전 및 석탄발전의 기저전원과 가스복합(CC) 및 가스터빈(GT) 등의 첨두전원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석유중심 발전원에서 1,2차 석유위기를 기점으로 원전, 석탄 및 가스 발전기술 도입을 통해 현재는 원전, 석탄 및 가스복합이 일정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가스복합의 LNG 사용으로 인한 높은 연료비, 기저전원(원전 및 석탄)의 낮은 건설비 및 높은 부하율 특성으로 인해 첨두전원의 경쟁력은 해외 전력시장에 비해 낮다. 특히, 2000년대 중반부터의 국제적인 유가상승으로 인해 첨두전원의 경쟁력은 더욱 약화되었다. 전력시장에서의 발전기술간 경쟁 및 균형점 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는 시장을 통한 최적전원구성과 계획을 통한 최적전원구성이 동일하다는 원리 하에 계획적 측면에서 최적화모형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정책전원인 원전 및 신재생을 제외한 기저전원인 석탄발전과 첨두전원인 복합발전 간 경쟁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국내 전력시장 환경에서는 석탄전원과 복합발전의 경제성 차이가 커 실질적인 경쟁이 어려우므로, 연구결과의 현실 적용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의 기저전원과 첨두전원과의 경쟁이 아닌 가스복합(CC)과 가스터빈(GT)의 첨두전원 간 경쟁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해외 전력시장에서는 첨두전원으로서 가스복합과 가스터빈이 일정수준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특히 가스터빈의 경우 예비력자원으로 활용도가 높다. 반면, 국내의 경우 2001년 시장개설 이후 가스터빈의 시장진입이 없으며, 현재까지 첨두전원으로서 가스터빈의 경제성분석 사례도 없는 상황이다. 현 전력시장은 가격스파이크를 허용하지 않는 변동비반영시장(Cost Based Pool)으로 운영 중이다. 미회수비용(Missing money) 보상을 위한 용량가격(Capacity Payment)의 기준은 가스터빈 발전기로 설정하고 있어, 전력시장에서는 가스터빈 발전기가 한계발전기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전력시장에서 가스터빈 발전기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가스터빈의 시장 미진입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전력시장신호 적정성을 평가하며, 변화하는 미래 전력산업 환경에서 가스터빈의 역할 변화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전원계획 및 전력시장을 통한 최적전원구성 이론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토대가 되는 계획(Planning)과 시장(Market)을 통한 최적전원구성의 이론적 정합성을 기술한다. 3장에서는 국내 전력시장에서의 발전원가, 부하패턴 및 시장가격 등 발전원간 경쟁 환경을 분석하고, 2001년 시장개설 이후 발전기술별 시장진입 추이를 파악한다. 4장에서는 가스복합을 토대로 가스터빈의 비용(고정비, 운전유지비) 및 효율을 추정하고, 이를 전제로 정태분석방법인 심사곡선분석을 이용해 가스터빈 발전기의 경쟁력을 분석한다. 5장에서는 동태분석방법으로 WASP-Ⅳ 모형을 이용하여 가스터빈 발전기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력시장 미진입 원인을 도출함으로써, 전력시장신호의 적정성을 평가한다. 6장에서는 신재생 확대 및 연료세제 개편 등 미래 전력산업 환경에서의 가스터빈 발전기의 경쟁력을 전망한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서 결론을 정리하고, 미래 전력산업 환경에 대비한 시장제도 개선 시사점을 도출한다.

      • 동북아해역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관한 연구

        김은환 부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cea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human environment, so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When referring the ocean, people first think of the vastness of it. The ocean is really vast according to its percentage of the earth. But at the same time, it is limited that the resources it contains and the environmental stress it can under. Unluckily, when people began to develop and use it, they didn’t realize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it. Instead, they realize this problem until the deterior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has reached a critical level. People began to protect the ocean and enact laws about it from 1930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law and conventions about marine environment, there are the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in 1972 a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1982. In addition, there is oil pollution, ocean dumping, Polar pollution and other international and regional conventions. This paper looks at the Northeast Naval Domain which is a semi-enclosed nature area. The water flows slowly and the marine logistics volume is high.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store and has enormous influence on the riparian countries if polluted. With the fast developing of the economic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 increasing of Maritime transports and the poor Terrestrial resources, the use and development of the ocean increases frequently.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becomes relatively serious. It requires all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o cooperate mutually to solve this problem. In such a context, this paper puts forward the special programs of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after examines the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of the relevant provisions and analysis the international maritime cooperation cases. The writer hopes this paper will do something with the solution of the pollution of the Northeast Naval domain.

      • 해석 모델링을 적용한 자가 발진 Class-D 오디오 증폭기의 설계

        김은환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자가 발진Class-D오디오 증폭기를 위한 동작 해석 모델링 된 블록의 조합을 매트랩과 시뮬링크 환경에서 구성하여 과도 상태를 포함하는 시간 영역 시뮬레이션을 설계자에게 제공한다. 제안된 블록들과 시스템은 불감 시간 왜곡, 스위칭 주파수의 변동, 연산 증폭기의 비선형 요소(유한한 DC이득, 유한한 대역폭, 슬루율 그리고 포화 전압)등과 같은 Class-D증폭기 대부분의 주요한 비이상적인 성질의 모델링을 포함하고, 뿐만 아니라 소자 모델보다 매우 짧은 시뮬레이션 시간이 소모되어 빠르게 시스템을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 결과, 설계하는 증폭기의 전체 특성을 정확도 높게 예측할 수 있는 비선형 모델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작 해석 모델링은 응용되는 제품을 실행하는 최고의 구조와 그 구조에서 요구하는 각 블록의 최적의 성능을 찾는 한 가지 방법이 된다. CMOS 0.18um 공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이론을 입증하였다. 제안된 증폭기는 20Hz에서 20KHz까지 동작하며, 최대 전력은 부하가 8Ω, 5V 공급전압에서 THD가 1%일 때, 600mW이다. 그리고 부하가 없을 시, 유휴 전류는 1.6mA이며 1W에서 부하 8Ω일 때, 효율은 83.5%이다. 전원 잡음제거율은 2KHz에서 -59dB이며 변조 지수‘0’에서 스위칭 주파수는 500KHz이다. This paper presents a complete set of blocks implemented in the popular Matlab & Simulink environment, which allows designers to perform time-domain behavioral simulations of self-oscillating class-D audio amplifier. The proposed set of blocks and entire system takes into account most of the self oscillating class-D amplifier non-idealities, such as deadtime distortion, switching frequency fluctuation and operational amplifier parameters (finite dc gain, finite bandwidth, slew rate and saturation voltages), furthermore allowing us to obtain a good estimation of class-D amplifier performance with a short simulation time. In this result, we present a model of non-linearity that can be used to accurately predict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class-D amplifier. Thus, the behavioral analysis modeling is one way to find the best architecture to fulfill the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the optimum requirements for the building blocks in the given architecture. A practical implementation in a CMOS technology has been done to validate the theoretical and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amplifier operates for the signal bandwidth from 20Hz to 20KHz. It demonstrates a maximum power of 600mW with THD 1% into 8Ω load at 5V supply voltage, the current consumption is 1.6mA without load and the efficiency reaches 83.5% into 8Ω l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